KR20170085806A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806A
KR20170085806A KR1020160005401A KR20160005401A KR20170085806A KR 20170085806 A KR20170085806 A KR 20170085806A KR 1020160005401 A KR1020160005401 A KR 1020160005401A KR 20160005401 A KR20160005401 A KR 20160005401A KR 20170085806 A KR20170085806 A KR 2017008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ot device
information
platform serv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홍범
정민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5806A/en
Publication of KR2017008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8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18
    • H04L29/10
    • H04L67/16

Abstract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IoT 시스템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IoT 플랫폼 서버 및 위치 서비스 플랫폼 서버(위치 서버)으로 이원화된 플랫폼 서버를 연동하여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 서버에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oT application provides the location based service in the IoT system, the IoT platform server and the platform server that is divided into the location service platform server (location server) are interlocked so that the IoT device is connected only to the IoT platform serv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ying interfaces.

Description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n IoT device,

본 실시예는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통신'이라 칭함)은 사람의 개입없이 사물과 사물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의미하며, M2M(Machine-to-Machine) 통신, 또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IoT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장치는 IoT 디바이스(IoT Device)라고 지칭되며, 낮은 이동성(Low Mobility), 시간 내성(Time Tolerant) 또는 지연 내성(Delay Tolerant), 작은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 등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IoT 디바이스는 IoT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Internet of Th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oT communication ") refers to communication carried out between objects and objects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includes M2M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or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As shown in FIG. A terminal device used in IoT communication is referred to as an IoT device (IoT Device) an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low mobility, time tolerance or delay tolerance, and small data transmission . IoT devices can be connected to and used by IoT platform servers.

기존의 IoT 관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종속적이다. 이와 같이 특정 서비스 중심적인 플랫폼 서버는 다른 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될 경우 시스템의 설치, 확장 및 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추가 비용을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IoT 서비스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통 플랫폼(Common Services Platform)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가 oneM2M에서 이루어지고 있다.The platform server for providing the existing IoT related service is dependent o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Thus, a specific service-oriented platform serv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to install, extend and maintain the system when used in other service fields. Based on these problems, oneM2M has been discussing to develop a Common Services Platform standard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IoT service fields.

다양한 IoT 응용 서비스 중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 IoT 플랫폼 서버에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어 기존에 구축된 위치 서비스 플랫폼 서버(이하, '위치 서버'로 칭함)를 활용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 서버 및 위치 서버에 모두 연결되어야 하므로 IoT에 구현되는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mong various IoT application services, location based services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e service quali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function of providing and managing the location of IoT devices in the IoT platform server. However, when utilizing the existing location service platform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tion server') for providing such a function, the IoT device must be connected to both the IoT platform server and the location server, The interface may become complic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oT 시스템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IoT 플랫폼 서버 및 위치 서버로 이원화된 플랫폼 서버를 연동하여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 서버에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oT system, when an IoT applica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an IoT platform server and a platform server that is divided into a location server are interlocked so that the IoT device is connected only to the IoT platform serv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가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IoT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기 등록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IoT 디바이스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IoT 디바이스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과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기초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서버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측위 기초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위치정보를 위치 서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위치정보를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n IoT device from an IoT applic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exist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transmitting a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IoT device exists in the positioning function to the IoT device, Receiving location basic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based on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ceiving the location basic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oT application. Provides a location measurement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IoT 시스템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IoT 플랫폼 서버 및 위치 서버로 이원화된 플랫폼 서버를 연동하여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 서버에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일하고 IoT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출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oT application provides the location based service in the IoT system, the IoT platform connects to the IoT platform server by interlocking the platform server that is divided into the IoT platform server and the location server Thereby provid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ying the interfaces and reducing the complexity of the Io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IoT 플랫폼 서버가 IoT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측위 기초정보를 동적으로 획득함으로써 더욱 정교한 IoT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platform server can dynamically obtain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used for gener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oT application, thereby provi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re sophisticated IoT device It is effecti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와 IoT 플랫폼 서버간의 대역폭이 IoT 플랫폼 서버와 위치 서버 간의 대역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IoT 플랫폼 서버가 IoT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측위 기초정보를 누적(aggregation)하여 위치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QoS(Quality of Service)에 상응하여 효율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ndwidth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IoT platform server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bandwidth between the IoT platform server and the location server, the IoT platform server aggregates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oT devi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oS (Quality of Service).

도 1은 종래 IoT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을 위한 IoT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IoT system.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syste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in an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IoT 통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IoT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스마트 장치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SDC),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IoT 통신은 에너지(Energy) 분야,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분야, 헬스케어(Healthcare) 분야, 공공 서비스(Public Services) 분야, 주거(Residential) 분야, 리테일(Retail) 분야, 운송(Transportation)분야, 그리고 기타 분야 등으로 나뉜다. 본 발명은 상기 분야를 포함하며, 그 외의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described in IoT communication. IoT communication can be variously called M2M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Smart Device Communication (SDC), or 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The IoT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the fields of energy, enterprise, healthcare, public services, residential, retail, transportation, and others. Field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mentioned fields, and is applicable to other fields.

도 1은 종래 IoT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IoT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IoT 시스템은 IoT 애플리케이션(2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 IoT 디바이스(40), 위치 서버장치(50), 위치 애플리케이션(60)을 포함한다. 여기서 IoT 디바이스(40)는 IoT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위치 정보가 요청되는 IoT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위치 서버장치(50)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애플리케이션(60)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1, the conventional IoT system includes an IoT application 20, an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 an IoT device 40, a location server device 50, and a location application 60. Here, the IoT device 40 means an IoT device for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IoT application 20. [ 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50 refers to a platform that supports a location application 60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종래 IoT 시스템은 IoT 애플리케이션(20)과 위치 애플리케이션(60)과 같이 상이한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장치를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구현한다. 이와 같은 수직적 플랫폼 구조는 IoT 디바이스와 같은 단말장치가 각각의 플랫폼 서버장치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다.The conventional IoT system vertically implements a platform server device for supporting a different application service such as the IoT application 20 and the location application 60 for a specific application. Such a vertical platform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a terminal device such as an IoT device must be connected to each platform server device.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IoT 플랫폼 서버장치(30)로부터 IoT 디바이스(40)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구축된 위치 서버장치(50)와 IoT 디바이스(40)가 연동되어야 한다. IoT 플랫폼 서버장치(30)와 위치 서버장치(50)는 각각 IoT 애플리케이션(20)과 위치 애플리케이션(60)에 특정한 시스템 환경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1, in order to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IoT device 40 from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 the existing position server device 50 and the IoT device 40 are interlocked . This is because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 and the location server device 50 are designed to provide a specific system environment for the IoT application 20 and the location application 60, respectively.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가 저사양 디바이스인 점을 고려할 때 도 1과 같이 IoT 디바이스가 복수의 플랫폼 서버장치에 연결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Considering that most IoT devices are low-end devices, it may be difficult for an IoT device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latform server devices as shown in Fig.

따라서, IoT 시스템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에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IoT application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in the IoT system,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interfaces by allowing the IoT device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IoT platform.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을 위한 IoT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syste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100)은 IoT 애플리케이션(20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 IoT 디바이스(400), 위치 서버장치(500)를 포함한다.2, an I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application 200, an IoT platform server 300, an IoT device 400, and a location server 500.

IoT 애플리케이션(200)은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을 운영하며 oneM2M에서 특정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oT 공통 서비스(Common Service)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IoT 애플리케이션(200)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제공할 수 있다. IoT 애플리케이션(200)은 예를 들어, oneM2M 아키텍처(Architecture) 모델에서 정의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Infrastructure Domain)에 위치한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 IN)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pplication Entity: A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oT application 200 refers to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the service logic (Service Logic) and uses the IoT common service using one open interface in oneM2M. The IoT application 200 may also provide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The IoT application 20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n Application Entity (AE) of an Infrastructure Node (IN) located in an Infrastructure Domain defined by the oneM2M Architecture model .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예를 들어, oneM2M 아키텍처 모델에서 정의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에 위치한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 Entity: CS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provide a common service function (CSF) to support various IoT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400 and provide a function to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Common Service Entity (CSE) of an infrastructure node (IN) located in an infrastructure domain defined in the oneM2M architecture model.

IoT 디바이스(400)는 IoT 애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위치 정보가 요청되는 IoT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IoT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oneM2M 아키텍처 모델에서 정의하는 필드 도메인(Field Domain)에 위치한 (i)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Application Service Node: ASN)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 및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 또는 (ii) 애플리케이션 전용 노드(Application Dedicated Node: ADN)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oT device 400 refers to an IoT device for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IoT application 200. The IoT device includes, for example, (i) a common service entity (CSE) and an application entity (AE) of an application service node (ASN) located in a field domain defined in the oneM2M architecture model or ) Application entity (AE) of an application dedicated node (ADN) or the like.

위치 서버장치(500)는 IoT 디바이스(400)로부터 위치측정을 위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제공하는 서버장치를 의미한다.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500 refers to a server apparatus that obtains information for location measurement from the IoT device 40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100)에서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400 in the I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측정을 위하여 우선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IoT 디바이스(400)가 등록되어야 한다(S310). 과정 S310에서 IoT 디바이스(400)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로 IoT 디바이스(400)에 대한 관련정보를 전송한다.In order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400, the IoT device 400 must be registered in the IoT platform server 300 (S310). In step S310, the IoT device 400 transmits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400 to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

구체적으로, 과정 S310에서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중에서 <node>라는 자원(Resource)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가 제공하는 API는 예컨대, REST API일 수 있다. <node> 자원의 속성(Attribute) 정보는 [표 1]과 같다.Specifically, in step S310, a resource named &quot; node &quot; may be utilized among AP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provided by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 Here, the API provided by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be, for example, a REST API. <nod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esource is shown in [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IoT 디바이스(400)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등록 시, <node> 자원을 활용하여 IoT 디바이스(400)의 식별자(nodeID)를 전달하도록 한다.The IoT device 400 transmits the identifier (nodeID) of the IoT device 400 using the <node> resource when registering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

IoT 디바이스(400)는 식별자(nodeID) 외에 측위 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400)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가 제공하는 <node> 자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00)에 대한 관련정보를 생성(Create)함으로써 측위 기능에 대한 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과정 S310에서 이용될 수 있는 <node> 자원의 속성은 LocationCapability이다.The IoT device 400 may addition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osition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identifier (node 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400 generates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400 by using the <node> resource provided by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 The attribute of the < node > resource that can be used in step S310 is LocationCapability.

LocationCapability 속성은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여기서 측위 기능은 예를 들어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IoT 디바이스(400)가 스스로 측위가 가능하여 측위정보를 직접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는 유형, 스스로 측위가 불가능하여 직접 측위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고 측위하는 데 필요한 측정(Measurement)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유형, 및 전술한 두 가지 경우 모두 가능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측위하는 데 필요한 측정정보는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정보로서 IoT 디바이스(400)가 직접 측정하여 수집(Collect)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LocationCapability attribute is an attribute indicat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 Here, the positioning fun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or example. That is, the type in which the IoT device 400 is capable of positioning itself and can provide the positioning information directly to the IoT platform server 300, can not provide the positioning information by itself and can not provide the direct positioning information, A type in which only measurem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a type in which both of the above cases are possible. Herei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positioning may b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400, and information that is directly measured and collected by the IoT device 400.

다만, [표 1]의 LocationCapability 속성에 기재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400)의 3가지 측위기능 유형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ocationCapability 속성이 나타내는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기능 유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However, the three types of positioning functions of the IoT device 400 described in the LocationCapability attribute of Table 1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ositioning function types of the IoT device 400 indicated by the LocationCapability attribute are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de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기능에 대한 정보는 IoT 디바이스(400)의 식별자 등록 시 식별자에 포함되어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400)의 식별자는 아래와 같이 측위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may be included in the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400 when the identifier is registered,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For example, the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400 may be preset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sitioning function as follows.

- 0.23.03.002.0323123. 01 : 스스로 측위 가능- 0.23.03.002.0323123. 01 : Self-positioning

- 0.23.03.002.03231431. 10 : 스스로 측위 불가능- 0.23.03.002.03231431. 10 : I can not position myself

과정 S320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애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IoT 디바이스(40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요청신호는 예를 들어, 위치관련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림 요청신호가 될 수 있다.In step S32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receives a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IoT device 400 from the IoT application 200. [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may be, for example, a notification request signal for the occurrence of a location related ev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400)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대하여 지오펜싱(Geo-Fencing)을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이하, '지오펜싱 기반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20). 지오펜싱 기반 위치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400)의 지오펜스 영역 진입(Entering), 지오펜스 영역 이탈(Leaving), 및 지오펜스 영역 내 존재(Inside)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400 may request geo-fencing-based lo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ofencing bas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S320). The geofencing-base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n, for example, whether the IoT device 400 is entering a geofence area, leaving a geofence area, and whether it is inside a geofencing area can do.

IoT 디바이스(400)가 지오펜싱 기반 위치정보를 요청할 때에는 [표 2]와 같은 구조의 API를 호출할 수 있다.When the IoT device 400 requests the geofencing-based location information, it can call the API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locationPolicy> 자원은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자원으로 IoT 애플리케이션(200)이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때,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나 IoT 디바이스(4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locationPolicy> 자원 외에 추가적으로 <container> 자원이 필요할 수 있다. <container> 자원은 데이터를 보관하는 자원으로서 획득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The <locationPolicy> resource is a resource describing a method of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400. When the IoT application 20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400, And an identifier of the device 400. In addition to the <locationPolicy> resource, an additional <container> resource may be required. The <container> resource is used to stor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as a resource to hold data.

IoT 디바이스(400)는 [표 2]에 기재된 속성을 조합하여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가 0.20.302.398.2314921인 IoT 디바이스(400)가 서울시를 이탈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알림을 요청하는 경우는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3]은 [표 2]의 속성을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으로 표시한 것이다.The IoT device 400 may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by combining attributes described in [Table 2]. For example, when the IoT device 400 having an identifier of 0.20.302.398.2314921 requests notification when an event of leaving the city of Seoul occurs, it can be expressed as [Table 3]. [Table 3] shows the attributes of [Table 2] as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과정 S330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과정 S310에서 등록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정보를 기반으로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33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IoT 디바이스(400)를 기 설정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3가지 유형으로 IoT 디바이스(400)를 구분할 수 있다.  In step S330, the IoT platform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IoT device in step S310 (S33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can classify the IoT device 400 into a predetermined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 For example, the IoT device 400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hree types described above.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에 상응하는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IoT 디바이스(400)로 송신한다(S34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으로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측위 기초정보는 위치 서버장치(500)가 IoT 애플리케이션(200)에 의해 요청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transmits a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xistence of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to the IoT device 400 (S34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erein,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that is used by the position server apparatus 500 to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oT application 200.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는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디바이스(400)의 측위 기능에 상응하는 측위 기초정보를 요청한다.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 That is,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requests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400.

또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애플리케이션(20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동적으로 측위 기초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위 기초정보 요청 주기를 변경하거나 측위 기초정보의 데이터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can dynamically request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IoT application 2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period or change the data type of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정 S340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과정 S320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mgmtCmd> 자원에 매핑하여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mgmtCmd> 자원의 속성 및 자식자원 정보는 [표 4]와 같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4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generate a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by map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acquired in step S320 to the <mgmtCmd> resource. The attribute and child resource information of <mgmtCmd> resource used at this time are shown in [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400)를 측위 기능 존재 여부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IoT device 400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sition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1. 스스로 측위 가능한 경우1. If you can position yourself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mgmtCmd> 자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00)에 측위정보(예, 위도 및 경도)를 요청할 수 있다.IoT platform server device 300 may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e.g., latitude and longitude) from IoT device 400 using the <mgmtCmd> resource.

2. 스스로 측위 불가능한 경우2. When positioning is not possible by oneself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mgmtCmd> 자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00)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측정(Measurement)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can reques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IoT device 400 using the <mgmtCmd> resource.

3. 1 및 2의 경우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3. Provide both cases 1 and 2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mgmtCmd> 자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00)에 측위정보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측정정보를 모두 요청할 수 있다.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can request all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IoT device 400 using the <mgmtCmd> resource.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00)는 측위 기초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로 전송한다(S35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수신한 측위 기초정보를 위치 서버장치(500)로 전달한다(S360).The IoT device 400 receiving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to the IoT platform server 300 (S35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transmits the received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to the position server apparatus 500 (S3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정 S360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푸시(Push) 알림 등의 방식으로 측위 기초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aggregation 속성을 이용하여 과정 S350에서 수신한 측위 기초정보를 누적하여 위치 서버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60,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transmit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in a manner such as a push notification. In addition,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can accumulate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50 and transmit it to the position server apparatus 500 using the aggregation attribute described in [Table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과정 S360에서 위치 서버장치(500)는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가 수신한 측위 기초정보를 회수(Retrieve)함으로써 측위 기초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60, 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500 may acquire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by retrieving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FIG.

위치 서버장치(500)는 측위 기초정보에 근거하여 IoT 애플리케이션(200)에 의해 요청된 IoT 디바이스(4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70). 위치정보는 지오펜싱 기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오펜싱 기반 위치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400)의 지오펜스 영역 진입(Entering), 지오펜스 영역 이탈(Leaving), 및 지오펜스 영역 내 존재(Inside)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할 수 있다.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500 may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400 requested by the IoT application 200 based on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S370).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geo-fencing 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fence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entering the geo fence area of the IoT device 400, leaving the geo fence area, It is possible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inside.

위치 서버장치(500)는 생성한 위치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로 전송하고(S380),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애플리케이션(200)으로 수신한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390). 즉,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과정 S320에서 IoT 애플리케이션(200)이 호출한 API에 명시된 속성을 이용하여 IoT 애플리케이션(200)에 의해 요청된 위치정보를 회신(Response)한다. 예를 들어, IoT 플랫폼 서버장치(300)는 IoT 애플리케이션(200)의 위치관련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림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위치관련 이벤트 발생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500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in step S380 and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IoT application 200 in step S390. . That is,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respond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oT application 200 using the attributes specified in the API called by the IoT application 200 in step S320. For example, the IoT platform server apparatus 300 may transmit a location related event generation notification signal in response to a notification request signal for the occurrence of a location related event of the IoT application 200.

도 3에서는 과정 S310 내지 과정 S39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310 내지 과정 S39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3 that the processes S310 to S390 are sequentially executed,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order described in FIG. 3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FIG. 3 is not limited to the time-series order, since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being executed in parallel.

한편,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each step of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 ROM,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IoT 시스템에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IoT 플랫폼 서버 및 위치 서비스 플랫폼 서버(위치 서버)로 이원화된 플랫폼 서버를 연동하여 IoT 디바이스가 IoT 플랫폼 서버에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일하고 IoT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출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el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in the IoT system, so that the IoT platform interworks with the platform server which is divided into the IoT platform server and the location service platform server (location server) So as to unify the interfaces and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IoT system.

100: IoT 시스템 200: IoT 애플리케이션
300: IoT 플랫폼 서버장치 400: IoT 디바이스
500: 위치 서버장치
100: IoT system 200: IoT application
300: IoT platform server device 400: IoT device
500: Location server device

Claims (1)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서 IoT 플랫폼 서버장치가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IoT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기 등록된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IoT 디바이스의 측위 기능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측위 기초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기초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서버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상기 측위 기초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oT device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Receiving a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IoT device from an IoT applic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is present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previously registered;
Transmitting, to the IoT device, a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sitioning function of the IoT device;
Receiving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to the position server devic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ing basic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er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oT application
/ RTI &gt; of the IoT device.
KR1020160005401A 2016-01-15 2016-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KR201700858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401A KR20170085806A (en) 2016-01-15 2016-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401A KR20170085806A (en) 2016-01-15 2016-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806A true KR20170085806A (en) 2017-07-25

Family

ID=5942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401A KR20170085806A (en) 2016-01-15 2016-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58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15A3 (en) * 2017-09-25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15A3 (en) * 2017-09-25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076263B2 (en) 2017-09-25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812B2 (en) Lightweight IoT information model
US11582306B2 (en)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service
US10798538B2 (en) Asset floor map
KR102064690B1 (en) Service layer resource propagation across domains
US10250565B2 (en) Service layer device location management and privacy control
WO20170205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US201400941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US9774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s relative to a user defined geographic area
KR20160034930A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and location for a user device
CN105659565B (en) Enhanced M2M content management based on interests
CN111095904B (en) Service layer message templat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337443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on service control apparatus, data coll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70085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sition of IoT Devices
KR102046730B1 (en) Elements of service
US9294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US10091637B2 (en) Providing information to a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0661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harging information in a machine-to-machine (m2m) network
JP6299204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Wolf Location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of CAP and PIDF-LO for early warning systems.
Podziewski et al. E-health Oriented Application for Mobile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