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43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436A
KR20170085436A KR1020170001977A KR20170001977A KR20170085436A KR 20170085436 A KR20170085436 A KR 20170085436A KR 1020170001977 A KR1020170001977 A KR 1020170001977A KR 20170001977 A KR20170001977 A KR 20170001977A KR 20170085436 A KR20170085436 A KR 2017008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downlink
relay node
wireless backha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675B1 (ko
Inventor
분 룽 엔지
수디르 라마크리슈나
리 궈
토마스 데이비드 노블란
남영한
스리다르 라자구팔
지안종 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02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22977A1/en
Priority to CN201780011334.0A priority patent/CN108702199B/zh
Priority to EP17738606.7A priority patent/EP3403340A4/en
Publication of KR2017008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중계 노드 장치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FIED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unified) 무선 백홀(backhaul) 및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를 비롯한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은 기지국들(base stations) 또는 기지국들 또는 eNodeB들과 같은 송신 포인트들로부터 UE(user equipment)들로 신호들을 전달하는 하향링크(downlink, DL) 및 UE들로부터 eNodeB들과 같은 수신 포인트들로 신호들을 전달하는 상향링크(uplink, UL)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 또는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도 지칭되는 UE는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컴퓨터 장치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스테이션인 eNodeB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동등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unified) 무선 백홀(backhaul) 및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중계 노드 장치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타이밍 및 상기 제2 타이밍은 정렬되며,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정렬하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중계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송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을 지원하는 중계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밍 및 상기 제2 타이밍은, 정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을 지원하는 기지국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정렬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중계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통합된(unified) 무선 백홀(backhaul) 및 접속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시스템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하향링크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백홀을 갖춘 중계 기지국을 갖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eNB 및 중계 노드 간의 시간 다중화(multiplexing) 및 RN-UE 전송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및 통합된(unified) 무선 백홀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앵커 기지국들로 다중 백홀 링크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중계 기지국 및 단말에 의한 상이한 앵커 기지국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백홀 및 액세스 링크 모두에 대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액세스 프레임들과 백홀 프레임들 간의 시간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사이의 공간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 간의 자원 조정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스펙트럼 공유의 세번째 방법에 따른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 간의 자원 조정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공간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개시에 따른 중계 기지국 그룹들에 기초한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공간 분할 다중화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8은 스펙트럼 공유 기법에 따른 백홀 및 액세스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스펙트럼 공유 방식에 따른 백홀 및 액세스 하향링크 / 상향링크 자원 할당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다수의 중계 기지국들과의 결합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중계 SDM(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그룹들로부터 중계 기지국들과 관련된 단말에 대한 개선된 스펙트럼 활용성(utilization) 및 스케줄링 유연성(scheduling flexibility)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BS1으로 구성된 셀룰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서브 프레임(sub-frame, SF)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 영역을 갖는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개시에 따른 서브프레임 주기에서의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노드로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전송을 도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b는 본 개시에 따른 서브프레임 주기들에서의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전송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경우에 대한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8은 중계 노드와 단말 연결 절차 동안 단말에 지시될 서브 프레임의 파라미터(parameter)들을 예시한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개시에 따라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 백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30a 및 도 30b는 본 개시에 따라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 백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른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본 개시에 따라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부터 백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unified) 무선 백홀(backhaul) 및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을 채용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프레임 구조들(frame structures) 및 시그널링(signaling)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파라미터들을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발명에 따라 적절히 수정)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 LTE-A(LTE-advanced)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100은 eNB(enhanced NodeB) 101, eNB 102 및 eNB 103을 포함한다.
eNB 101은 eNB 102 및 eNB 103과 통신한다. eNB 101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전용 IP(proprietary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IP 네트워크 130과 통신한다. eNB 102 및 eNB 103은 이 예시에서 eNB 101을 통해 네트워크 130에 액세스 할 수 있다. eNB들 101 내지 103 각각은 ‘기지국(bas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eNB 102는 eNB 102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 120 내의 UE에 (eNB 101을 통해) 네트워크 130로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UE들은 중소기업(small business)에 위치할 수 있는 UE 111, 대기업(enterprise)에 위치할 수 있는 UE 112, WiFi 핫스팟(hot spot)에 위치할 수 있는 UE 113, 제 1 주거지역에 위치할 수 있는 UE 114, 제2 주거지역에 위치할 수 있는 UE 115 및 모바일 장치(휴대폰, 무선 랩톱(laptop) 또는 무선 개인 디지털 비서)일 수 있는 UE 116를 포함한다. UE들 111 내지 116 각각은 모바일 장치 또는 고정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eNB 103은 eNB 103의 커버리지 영역 125 내의 UE들에게 (eNB 101을 통해) 네트워크 130로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UE들은 UE 115 및 UE 116을 포함한다. eNB들 101 내지 103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기술들을 사용하여 각자 서로 통신을 하거나 UE들 111 내지 116과 통신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eNB들 101 내지 103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inter-eNB 조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UE들 111 내지 116 각각은 '단말(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점선은 단순히 설명과 예시를 위해 원형에 가깝게 표현된 커버리지 영역들 120 및 125의 개략적인 범위를 나타낸다. 커버리지 영역들 120 및 125와 같이, eNB들에 관련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은 eNB들의 구성 및 자연 및 인공의 방해물에 따른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불규칙한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구성요소들의 각각을 나타내는 101 내지 103에 대해서, "eNodeB" 또는 "eNB"대신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eNodeB"및 "eNB"라는 용어는 원격 무선 장비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요소들의 각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구성요소들 각각을 나타내는 111 내지 116에 대해서, "사용자 장비" 또는 "UE" 대신에 "이동국"(MS), "가입자 기지국"(SS), "원격 단말기"(RT), "무선 단말기"(WT) 및 "사용자 장치" 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사용자 장비" 및 "UE" 용어들은 UE가 이동 장치(휴대폰과 같은)인지 고정 장치(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자동 판매기와 같은)로 간주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eNB에 무선으로 액세스하는 원격 무선 장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eNB들 101 내지 103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각자 통신할 수도 있고, UE들 111 내지 116과 통신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eNB들 101 내지 103은 고유 기지국 식별자(base station identifier, 이하 ‘BSID’)와 같은,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BSID는 종종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 식별자이다. 각각의 eNB들 101 내지 103은 다수의 셀들을 가질 수 있고(하나의 섹터가 하나의 셀을 나타낼 때와 같이), 각각의 셀은 물리 셀 식별자 또는 종종 동기화 채널로 전달되는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 100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도 1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100은 임의로 적절하게 배치된 임의의 수의 eNB 및 임의의 수의 UE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eNB 101은 임의의 수의 UE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러한 UE들에게 네트워크 130로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NB 101은 외부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또는 추가적인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네트워크 100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eNB들 101 내지 103 및 UE들 111 내지 116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eNB들 101 내지 103 및 UE들 111 내지 116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한다. 즉, eNB들 101 내지 103 및 UE들 111 내지 116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NB들 101 내지 103 및 UE들 111 내지 116은 빔 탐색(beam search)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도시한다. 도 2a에서, 송신 경로 200은 도 1의 eNB 102와 같은 eNB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서, 수신 경로 250은 도 1의 UE 116와 같은 UE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경로 250은 (도 1의 eNB (102)와 같은) eNB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송신 경로 200은 UE에서 구현 될 수도 있다. 송신 경로 200 및 수신 경로 250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inter-eNB 조정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경로 200은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 및 변조(modulation) 블록 205, 직렬-병렬 변환(serial to parallel, S-to-P) 블록 210, 크기 N의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 블록 215, 병렬-직렬 변환(parallel to serial, P-to-S) 블록 220, CP(cyclic prefix) 추가 블록 225, 상향-변환기(up-converter) 230을 포함한다. 수신 경로 250은 하향-변환기(down-converter) 255, CP 제거 블록 260, 직렬-병렬 변환(S-to-P) 블록 265, 크기 N의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 블록 270, 병렬-직렬 변환 블록 275, 및 채널 복호화(channel 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 블록 280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나머지 일부 구성이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동안,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FT 블록 270과 IFFT 블록 215는 구성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들로서 구현 될 수 있으며 크기 N은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FFT 및 IFFT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변환의 다른 타입들, 예를 들어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이하 ‘DFT’) 및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이하 ‘IDFT’)가 사용될 수 있다. DFT나 IDFT 함수를 사용하면, N의 값은 임의의 정수 값(예: 1, 2, 3, 4 등등)일 수 있고, FFT나 IFFT 함수를 사용하면, N의 값은 2의 거듭제곱 값(예: 1, 2, 4, 8, 16)이 될 수 있다.
송신 경로 200에서, 채널 부호화 및 변조 블록 205는 일련의 정보 비트들을 수신하고, 부호화(예: 저밀도 패리티 체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코딩)를 적용하고, 주파수 영역 변조 심벌들의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비트들을 변조(예: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한다. 직렬-병렬 변환 블록 210(예: 역-다중화(de-multiplexes))은 크기 N의 병렬 심벌 스트림(stream)들을 만들기 위해, 직렬 변조된 주파수 영역 심벌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며, 크기 N은 eNB 102 및 UE 116에서 사용되는 IFFT/FFT 크기이다. 크기 N의 IFFT 블록 215는 시간 영역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크기 N의 병렬 심벌 스트림들에 대해서 IFFT를 연산한다. 병렬-직렬 변환 블록 220은 직렬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크기 N의 IFFT 블록 215에서 연산된 병렬 시간 영역 출력 심벌들을 변환한다(즉, 다중화한다). CP 추가 블록 225는 시간 영역 신호에 CP를 추가한다. 상향-변환기 블록 230은 무선 채널을 통한 전송을 위해서, CP 추가 블록 225의 출력을 RF 주파수로 변조한다(예: 상향-변환기). 신호는 RF 주파수로의 변환 전에 기저대역에서 필터링(filtering) 된다.
eNB 102에서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후에, UE 116에 도착하고, eNB 102에서 이루어졌던 과정의 반대 과정이 UE 116에서 수행된다. 하향-변환기 2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변환하고, CP 제거 블록 260은 직렬 시간 영역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CP를 제거한다. 직렬-병렬 변환 블록 265는 시간 영역 기저대역 신호를 병렬 시간 영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크기 N의 FFT 블록 270은 크기 N의 병렬 주파수 영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FFT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병렬-직렬 변환 블록 275는 병렬 주파수 영역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벌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복호화 및 복조 블록 280은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변조된 심벌들을 복호화 및 복조한다.
각각의 eNB들 101 내지 103은 UE들 111 내지 116으로 하향링크에서의 송신과 유사한 송신 경로 200을 구현할 수 있고, UE들 111 내지 116으로부터 상향링크에서의 수신과 유사한 수신 경로 250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UE들 111 내지 116은 eNB들 101 내지 103으로 상향링크에서의 송신과 유사한 송신 경로 200을 구현할 수 있고, eNB들 101 내지 103으로부터 하향링크에서의 수신과 유사한 수신 경로 250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eNB는 하나 또는 다수의 셀들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셀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셀 내의 각각의 어레이는 시간 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 시스템에서 상이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비율들과 같은 상이한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송신/수신 체인들(chains)이 하나의 어레이 또는 하나의 셀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셀 내의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동일한 다운 링크 제어 채널 (예: 동기화 채널, 물리적 방송 채널 등등) 전송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다른 채널들 (예: 데이터 채널들)은 각각의 어레이에 특정한 프레임 구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OFDMA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하지만 도 2a 및 도 2b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요구들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은 도 1의 UE들 111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의 예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UE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도 3a는 UE의 임의의 특정한 구현에 있어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16은 안테나 305, RF 송수신기 310, 송신 처리 회로 315, 마이크 320, 수신 처리 회로 325를 포함한다. UE 116은 또한 스피커(speaker) 330, 프로세서(processor) 340, 입력/출력(input/output) 인터페이스(interface)(IF) 345, 키패드(keypad) 350, 디스플레이 355, 및 메모리 360을 포함한다. 메모리 360은 기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프로그램 361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362들을 포함한다.
RF 송수신기 310은 안테나 305로부터 네트워크 100의 eNB에 의해 전송되어 인커밍(incoming)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 310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인커밍 RF 신호를 하향-변환(down-convert)한다.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신호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필터링(filtering), 부호화(coding) 및/또는 디지털화(digitizing)를 통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수신 처리 회로 325로 보내진다. 수신 처리 회로 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예: 음성 데이터)를 이후의 처리 과정(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을 위해 스피커 330 또는 프로세서 340으로 송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15는 마이크 320으로부터 아날로그(analog) 또는 디지털(digital) 음성 데이터를 수신 또는 프로세서 340으로부터 다른 아웃고잉(outgoing) 기저대역 데이터(예: 웹 데이터, 전자메일, 또는 쌍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15는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출력되는 기저대역 데이터를 복호화,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 310은 송신 처리 회로 315로부터 아웃고잉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상향-변환하며, RF 신호는 안테나 305를 통해 전송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메모리 360의 일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36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판독 전용 메모리 (read only memory, RO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340은 하나 또는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UE 116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메모리 36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 361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중 하나에서, 프로세서 340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기 310, 수신 처리 회로 325 및 송신 처리 회로 315에 의한 순방향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한다. 프로세서 340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340은 고유 반송파 지시자(unique carrier indicator)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할당 처리 회로 및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의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ing, 이하 ‘PDSCH’)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프로세싱 회로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할당 기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 할 수 있다. PUSCH 전송을 지원한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는 여러 목적들을 제공하며 각각의 PDCCH들에서 DCI 포맷들을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DCI 포맷은 PDSCH 수신을 위한 하향링크 할당(assignment) 또는 PUSCH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 340은 또한 inter-eNB 반송파 집합을 지원하기 위한 inter-eNB 조정(coordination) 방법들을 위한 작동과 같은, 메모리 360에 상주하는 다른 절차들 및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inter-eNB 반송파 집합은 또한 이중 연결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서 340은 실행 절차에 의해 요구됨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 360 내외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340은 PDCCH의 제어 채널 요소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MU-MIMO(multiple user-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362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 340은 OS 프로그램 361에 기초하거나 eNB로부터 수신 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362를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 340은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345에 결합되어, UE 116에 랩탑 컴퓨터 및 핸드헬드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들에 접속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345는 이러한 액세서리들과 컨트롤러 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또한, 프로세서 340은 키패드 350 및 디스플레이부 355에 결합된다. UE 116의 사용자는 키패드 350을 이용하여 UE 116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355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웹 사이트에서와 같이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3a는 UE 116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이 도 3a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요구들에 따라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3a는 이동 전화로서 동작하는 UE 116을 도시하지만, UE는 다른 유형의 이동형 또는 고정형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기지국은 eNB 102의 구성의 일 예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eNB 102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다른 eNB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eNB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도 3b는 eNB의 임의의 특정 구현에 대해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eNB 101 및 eNB 103은 eNB 1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 102는 다수의 안테나들 370a 내지 370n, 다수의 RF 송수신기들 372a 내지 372n, 송신 처리 회로 374 및 수신 처리 회로 376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의 안테나들 370a 내지 370n은 2차원(2D)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eNB (102)는 또한 제어기 / 프로세서 (378), 메모리 (380) 및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2)를 포함한다.
RF 송수신기들 372a 내지 372n은 UE들 또는 다른 eNB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과 같은 인커밍(incoming) RF 신호들을 안테나들 370a 내지 370n으로부터 수신한다.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은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인커밍 RF 신호를 하향-변환한다. IF 또는 기저 대역 신호들은 기저 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복호화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수신 처리 회로 376으로 전송된다. 수신 처리 회로 376은 추가 처리를 위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으로 송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74는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쌍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74는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아웃고잉(outgoing) 기저대역 데이터를 부호화,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들 372a 내지 372n은 송신 처리 회로 374로부터 아웃고잉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수신하고, 안테나들 370a 내지 370n을 통해 전송되는 RF 신호들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상향 변환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eNB 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 수신 처리 회로 376, 및 송신 처리 회로 315에 의한 순방향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보다 진보된 무선 통신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BIS(blind interference sensing)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같은 블라인드 간섭 감지 (blind interference sensing, 이하 ‘BIS’)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간섭 신호들에 의해 감산된 수신 신호를 복호화 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다양한 기능들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에 의해 eNB 102에서 지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포함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또한 OS 운영체제와 같은 메모리 38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들 및 다른 절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D 안테나 어레이들을 갖는 시스템들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웹 RTC(real time communication)와 같은 개체들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실행 절차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 380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또한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2에 연결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2는 eNB 102가 백홀 연결을 통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인터페이스 (382)는 임의의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들)을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 102가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를 지원하는 것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382는 eNB 102가 유선 또는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eNB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eNB 102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382는 eNB 102가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더 넓은 네트워크(인터넷과 같은)로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382는 이더넷(ethernet) 또는 RF 송수신기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 380은 컨트롤러/프로세서 325로 결합된다. 메모리 380의 일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38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BIS 알고리즘과 같은 복수의 명령들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복수의 명령들은 컨트롤러/프로세서 378로 하여금 BIS 절차를 수행하게 하고, BIS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신호를 감산한 후에 수신된 신호를 복호화 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RF 송수신기들 372a 내지 372n, 송신 처리 회로 374 및/또는 수신 처리 회로 376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eNB 102의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은 FDD 셀들과 TDD셀들의 집성(aggregation)을 통한 통신을 지원한다.
도 3b는 eNB 102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도 3b에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NB 102는 도 3b에 도시된 각각의 컴포넌트들을 임의의 개수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382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상이한 네트워크 주소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우팅(rout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특정한 예로, 송신 처리 회로 374 및 수신 처리 회로 376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 반면, eNB 102는 각각(RF 송수신기마다 하나의 인스턴스와 같은)의 다중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들은 정보 내용을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들,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signal, 이하 ‘DCI’)를 전달하는 제어 신호들 및 파일럿 신호들로 알려진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들을 포함한다. eNodeB는 각각의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PDSCH’)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을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DCI를 송신한다. 하향링크 할당에 사용되는 가능한 DCI 형식은 DCI 형식 1A, 1B, 1C, 1D, 2, 2A, 2B, 2C 및 2D이다. UE는 UE에 대한 하향링크 유니캐스트(unicast) 수신 방법을 결정하는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로 구성될 수 있다. 주어진 전송 모드에 대해, UE는 DCI 포맷 1A 및 DCI 포맷 1B, 1D, 2, 2A, 2B, 2C 또는 2D 중 하나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하향링크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eNodeB는 UE-CRS(common RS),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 및 DM(demodulation)RS를 포함하는 다수의 RS 타입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전송한다. CRS는 DL 시스템 대역폭(bandwidth, BW)을 통해 전송되며,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들을 복조하거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CRS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이기 위해, eNodeB는 CRS보다 시간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더 작은 밀도의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측정을 위해 NZP(non-zero power) CSI-RS) 자원(resource)들을 사용할 수 있다. 간섭 측정 자원(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s, IMRs)의 경우, ZP(zero power) CSI-RS와 관련된 CSI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 IM)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UE는 eNodeB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CSI-RS 전송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DMRS는 각각의 PDSCH의 대역폭에서만 전송되며, UE는 PDSCH 내의 정보를 복조하기 위해 DMRS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하향링크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하향링크 시그널링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을 사용하고, 하향링크 TTI는 1/1000(1ms)의 길이(duration)을 가지며, 시간 영역(또는 2 슬롯)에서 N = 14 크기인 OFDM 심벌들 및 주파수 영역의 K RB(resource block)들을 포함한다. 제1 타입의 제어 채널들(control channels, CCHs)은 제1 N1 OFDM 심벌들 410(전송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즉, N1 = 0)에서 송신된다. 나머지 N-N1 OFDM 심벌들은 주로 PDSCH들 420을 송신하고, TTI의 일부 RB에서 제2 유형의 CCH들(enhanced control channels, ECCHs) 430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RB는 서브 반송파들, 또는 RE(resource element)들로 이루어지며, UE는 PDSCH 전송 대역폭(bandwidth, BW)을 위한 전체 개의 RE들에 대한 개의 RB들을 할당받는다. 주파수에서 1RB이고 시간에서 1슬롯인 단위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라고 지칭된다.
E-UTRAN은 중계 노드(relay node, RN) 또는 중계 기지국(relay base station)이 도너 eNB(donor eNB, DeNB) 또는 도너 기지국이라 불리는 중계 노드를 서빙(serving)하는 eNB에 무선으로 접속하게 함으로써 중계를 지원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백홀이 장착된 중계 기지국을 갖는 예시적인 셀룰러 네트워크 500을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중계 노드 530은 중계 노드에 대한 백홀로 불리우는 Un 인터페이스 513을 통해서, 도너 eNB 또는 도너 기지국 510으로 불리는 중계 노드를 서빙하는 eNB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중계 노드는 eNB 기능을 지원한다. 즉, E-UTRA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 프로토콜 및 S1 및 X2 인터페이스들을 종단(terminate)한다. eNB 기능에 더하여 또한, 중계 노드는 DeNB에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물리 계층, 계층-2, RRC 및 NAS 기능와 같은 UE 기능(functionality)의 서브셋(subset)을 지원한다. UE 520과 같이, UE는 DeNB에 의해 직접 서비스 될 수 있거나, UE 540과 같이,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 될 수 있다. 대역 내(in-band) 중계 동작을 위해, 중계 노드를 위한 무선 백홀 링크 513 및 DeNB와 중계 노드를 위한 무선 접속 링크들 511, 531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대역 내(in-band) 중계 동작에서,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eNB에서 중계 노드로의 전송 및 중계 노드에서 UE로의 전송을 시간 다중화함으로써 eNB-RN 송신을 위해 별도로 설정된다. eNB에서 중계 노드로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은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다. eNB에서 중계 노드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중계 노드에 의해 해당 UE들로의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eNB에서 중계 노드로의 전송들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발생하고, 중계 노드에서 eNB로의 전송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들에서 발생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eNB-RN 및 RN-UE 전송들의 시간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eNB-RN 전송은 시간 슬롯 t1 514에서 발생할 수 있고 eNB-UE 및 RN-UE 전송은 시간 슬롯 t2 512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eNB-RN 링크 및 RN/eNB-UE 링크 간에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자원들의 추가적인 직교화(orthogonalization)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eNB에 연결된 다수의 중계 노드들 간에 수행된다. 이 예에서, 시간 슬롯 t1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백홀 링크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수의 eNB-RN 링크들 사이에서 더 분할된다(예: 주파수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 셀 간에 간섭이 충분히 작은 경우, 서로 다른 중계 노드들의 셀들에 대해 자원 재사용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백홀과 액세스 링크들 사이의 직교한 자원 할당의 결과에 따라, 이러한 무선 중계 시스템들은 네트워크 내의 중계 노드들 및 UE들의 수에 따라 쉽게 확대되지 아니하고, 이는 조밀한 셀 배치 시나리오에서 그 적용을 제한한다.
E-UTRAN은 또한 RRC_CONNECTED의 다중 수신/송신 UE가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두 개의 eNB들에 위치하는 두 개의 구분되는 스케줄러(scheduler)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이하 ’DC’) 동작을 지원한다. 특정 UE에 대한 DC에 관여하는 eNB들은 두 가지 다른 역할을 맡을 수 있다. eNB는 MeNB 또는 SeNB 역할을 할 수 있다. DC에서, UE는 하나의 MeNB 및 하나의 SeNB에 접속된다. UE에 대해 구성된 서빙 셀들의 세트는 2 개의 서브 세트들: MeNB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포함하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및 SeNB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셀 그룹 (secondary cell group, SCG)으로 이루어진다.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접속 네트워크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UE들에게 무선 액세스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기지국은 기지국의 무선 액세스 서비스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계 기지국에 무선 백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이라 칭해진다. 중계 기지국은 또한 앵커 기지국으로의 유선 백홀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중계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 간의 백홀로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수의 UE들에게 무선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주파수 대역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앵커 기지국의 무선 액세스, 중계 기지국의 무선 액세스 및 중계 기지국의 무선 백홀 간에 공유된다. 중계 기지국은 eNB 기능을 지원한다. UE의 관점에서, 중계 기지국은 eNB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 간의 유선 백홀 연결을 설치할 필요 없이, 새로운 중계 기지국을 앵커 기지국 또는 활성화될 아이들(idle) 중계 기지국에 배치하고 접속(attach)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동일한 앵커 BS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른 중계 기지국, 앵커 기지국 및 다른 중계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UE에 부정적인 성능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시스템은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 라고 지칭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 7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앵커 기지국 710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들(f1 및 f2)로 구성되며, f1의 주파수(예: 600MHz 내지 2GHz)가 f2의 주파수(예: 3GHz 내지 300GHz)보다 낮기 때문에, f1이 f2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진다. 중계 기지국 730은 커버리지 영역 770을 갖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f2)으로 구성된다. f1에서 앵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만, f2에서 다른 앵커 기지국 또는 중계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는 UE 720은 액세스 링크 721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다. f2에서 중계 기지국 73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UE 740은 f2에서 액세스 링크 742를 통해 중계 기지국 730과 연결될(associated) 수 있다. 또한, f1에서 앵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UE가 있을 때, f1에서 UE는 DC 또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구성을 사용하여 액세스 링크 741로 다른 앵커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 시그널링(RRC(radio resource control) 및 이동성 핸들링(handling)) 및/또는 높은 QoS(quality of service) 데이터는 f1을 통해서 UE에 전달될 수 있고, BE(best effort) 트래픽은 f2를 통해서 UE로 전달될 수 있다. DC의 경우, UE의 관점에서 앵커 기지국은 MeNB이고 중계 기지국은 SeNB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모두는 중계 BS-UE 통신을 위해 지원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 BS-UE 통신에 대하여 하향링크만이 지원되고, 상향링크는 UE-앵커 기지국 통신을 통해 지원된다.
주파수 f2에 기반한 독립형 시스템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주파수 f1뿐만 아니라, f1에서 앵커 기지국에 대한 UE들의 대응하는 연결들 721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앵커 기지국들에 동시에 접속되거나(attached) 연결될(associated)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 할 수 있다. 다수의 앵커 기지국들에 대한 다중 백홀 링크들은 총 백홀 용량(aggregate backhaul capacity)을 증가시켜서, 더 많은 UE가 중계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될 수 있게 한다. 서로 다른 앵커 기지국들에 대한 다중 백홀 링크들은 또한 네트워크에서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을 피할 수 있으므로, 백홀 링크로의 방해로 인해 중계 기지국이 제공하는 전체 셀에 서비스의 중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일 예에서, 상이한 앵커 기지국들에 대한 백홀 링크들의 전부 또는 일부(subset)는 동시에 활성화된다. 활성 백홀 링크들의 집합은 중계 기지국 셀의 로드(load), 앵커 기지국들의 로드 또는 백홀 링크들의 채널 품질/상태(예: 서비스 중단)와 같은 요인들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한번에 하나의 백홀 링크만 활성화된다. 이와 유사하게, 활성 백홀 링크는 중계 기지국 셀의 로드, 앵커 기지국의 로드 또는 백홀 링크들의 채널 품질/상태(예: 서비스 중단)와 같은 요인들에 의존해서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중계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앵커 기지국들에 동시에 연결될 때, 중계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앵커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들(중계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앵커 기지국들에 대한 다수의 백홀 링크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중계 기지국 830은 앵커 기지국 710(백홀 링크 731과 함께) 및 앵커 기지국 850(백홀 링크 832와 함께)과 결합되거나 접속된다. 또한, 중계 기지국은 대응되는 커버리지 850을 갖는 f1상의 앵커 기지국 880에 연결되는 UE 810(중계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음)에 서비스 812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UE는 둘 이상의 중계 기지국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UE가 다른 중계 기지국으로부터 계속 서비스 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중계 기지국에 대한 방해가 UE에 대한 서비스 중단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 예에서, 서로 다른 중계 기지국들에 대한 액세스 링크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동시에 활성화된다. 활성 액세스 링크들의 집합은 중계 기지국 셀의 로드 또는 액세스 링크들의 채널 품질/상태(예: 서비스 중단)와 같은 요인들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한번에 하나의 액세스 링크만이 활성화된다. 이와 유사하게, 활성 액세스 링크는 중계 기지국 셀의 로드 또는 액세스 링크들의 채널 품질/상태(예: 서비스 중단)와 같은 인자들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E는 f1에서 제1 앵커 기지국 및 f2에서 중계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지만, 중계 기지국이 연결되거나 접속된 앵커 기지국은 제2 앵커 기지국이다. (즉, 제1 앵커 기지국과 상이) 이 구성은, f2에서 중계 기지국이 실제로 제1 앵커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거나 제1 앵커 기지국으로의 백홀 링크가 열악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조건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유리하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중계 기지국에 의한 상이한 앵커 기지국 연결 및 단말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중계 기지국 930은 (백홀 링크 932와 함께) 앵커 기지국 980과 연결되거나 접속된다. 반면, 서비스되는 UE 740은 f1에서 앵커 BS 710과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 또는 다른 중계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중계 기지국과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기지국에서, 백홀 링크를 위한 전용 RF 프론트 엔드(front end) 및 안테나 패널(antenna panel)이 있을 수 있고, 액세스 링크들을 위한 또 다른 전용 RF 프론트 엔드 및 안테나 패널이 있을 수 있다. 유사한 구성이 앵커 기지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낮은 주파수 f1에서 액세스 링크들을 위한 또 다른 전용 RF 프론트 엔드 및 안테나 패널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에서 백홀과 액세스 링크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공통 RF 프론트 및 안테나 패널이 있을 수 있다. 유사한 구성이 앵커 기지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낮은 주파수 f1에서 액세스 링크를 위한 또 다른 전용 RF 프론트 엔드 및 안테나 패널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백홀 및 액세스는 동일한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및 변조 파형(예: OFDM)에 기초하지만, 백홀 및 액세스에 대한 무선 접속 기술의, 부반송파 간격 및/또는 OFDM 심벌 길이(duration), CP(cyclic prefix) 오버헤드(overhead)와 같은, 상이한 OFDM 심벌 뉴머롤로지(numerologies)가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백홀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상이한 무선 채널 특성, 백홀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의 상이한 하드웨어 및 신호 처리 능력, 백홀 및 액세스 링크들에 대한 상이한 트래픽 패턴 또는 로드, 백홀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상이한 데이터 속도, 지연시간(latency) 요구 사항 및 QoS 요구 사항 및 기타 등등의 결과일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간의 차이점에 대한 예가 <표 1>에 주어진다.
속성 백홀 링크 액세스 링크
Environment Case 1: Urban Macro
Case 2: Urban Micro
Case 1: Urban Micro
Case 2: Hotspot
Outdoor/indoor Outdoor Outdoor or indoor
Line-of-sight (LOS)/Non-LOS (NLOS) LOS with high probability LOS/NLOS probability according to environment
Coverage (pathloss) Large Small
Channel time delay spread Depends on cell size, LOS condition & beamforming Depends on cell size, LOS condition & beamforming
Transmit power Can be larger than access’s Can be smaller than backhaul’s
Transmit beamforming gain Large Large
Receiver form factor (receive beamforming gain) Large Small
Receiver mobility Static (low Doppler spread) Mobile (high Doppler spread)
Traffic over link Less dynamic (due to traffic aggregation) Dynamic
일 예에서, 백홀 링크의 낮은 지연시간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 OFDM 심벌 길이는 액세스 링크와 비교하면 백홀 링크에 대해 단축되지만, 부반송파 간격은 액세스 링크에 비하여 백홀 링크에 대해 증가한다. 다른 예에서, 특정 배치 시나리오에 대해서, 채널 시간 지연 확산(delay spread)가 더 큰 커버리지 영역으로 인해 백홀 링크에 대해 더 클 때, OFDM 심벌 길이는 액세스 링크에 비하여 백홀 링크에 대해 더 크고, (동일 또는 유사한 CP 오버헤드를 유지하기 위해) 부반송파 간격은 데이터 속도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짧아진다. 또 다른 예에서, 특정 배치 시나리오에 대해서, 채널 시간 지연 확산이 우세한 LOS 채널 조건으로 인해 백홀 링크에 대해 더 짧을 때, 백홀 링크의 CP 오버헤드는 액세스 링크에 비하여 더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백홀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해 상이한 뉴머롤로지가 구성될 때, 한 뉴머롤로지의 부반송파 간격 또는 OFDM 심벌 길이는 다른 것의 정수 배이다. 이러한 구성은 자원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백홀과 액세스 사이의 특정 스펙트럼 공유 기법(예: 시간 분할 다중화 및 공간 분할 다중화)에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심벌 또는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 경계의 정렬이 보다 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백홀 및 액세스는 동일한 무선 접속 기술 및 변조 파형(OFDM과 같은)에 기초하지만, 상이한 슬롯/서브프레임/프레임 구조 뉴머롤로지(예: 슬롯/서브프레임/프레임 길이(duration) 또는 구성(composition))가 백홀 및 액세스 링크들에 대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은 X개의 OFDM 심벌들로 구성되는 반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은 Y개의 OFDM 심벌들로 구성되며, 여기서 X 및 Y는 상이할 수 있다. 백홀 링크들을 통한 단일 전송에 서로 다른 트래픽 유형들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지만, 액세스 링크를 통한 단일 전송은 대응되는 QoS 요구 사항들에 따라 UE에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 유형들의 하나 또는 작은 일부(subset)만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지연시간 요구사항들은 전달할 데이터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반면, 액세스 유형에 상관없이 백홀 링크에 대한 단일 지연시간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다. 보다 엄격한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위해, 더 짧은 서브프레임 길이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백홀 및 액세스는 동일한 무선 접속 기술 및 변조 파형(OFDM과 같은)에 기초하지만, 백홀 및 액세스에 대한 시스템 대역폭, 송신 전력, 송신 모드들,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 기법들, 변조 기법들에서 상이한 무선 접속 기술의 시스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백홀 링크에서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액세스 링크에 대해 구성되는 것에 비해서 보다 넓은 시스템 대역폭 또는 높은 변조 차수(order)가 백홀 링크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백홀 링크를 통한 트래픽 집성으로 인해(이는 백홀 트래픽이 덜 동적이거나 버스트(bursty)한 것을 암시함), 백홀 링크에 대한 감소된 동적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로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allocation/assignment) 기법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 기법의 예시들은 단일 동적 제어 채널이 다수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에서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 하는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및 주기적인 기법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들의 블록을 예약하는 것과 같은 주기적인 기법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들이 준-고정(semi-persistent) 기법으로 할당되는 준-고정 스케줄링을 포함한다. 액세스 링크를 위해, 트래픽 유형에 따라 동적 스케줄링 또는 감소된 제어 오버헤드를 갖는 스케줄링이 UE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계 기지국의 정적인 특성으로 인해, 백홀 링크에 대해 폐루프(closed loop) 전송 모드가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의 경우, 채널 상태 및 UE 이동성에 따라 개방 루프(open loop) 및 폐 루프 전송 모드들 모두가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백홀 및 액세스에 대한 파형(waveform)들이 상이하다. 일 예에서,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와 같은 CP 오버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기법이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반면, OFDM은 더 큰 CP 길이를 갖는 강건한 심벌 간 간섭 보호를 요구하는 다중-경로 채널 조건을 가지는 액세스 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을 백홀에 사용하는 또 다른 이점은, 수신기가 UE보다 복잡할 수 있고, 보다 정교하거나 신호 처리 집중적인 간섭 제거 기술들이 송신기에서 CP의 추가가 부족해서 발생하는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완화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백홀 및 액세스 스펙트럼 공유 기법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TDD(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구조가 가정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프레임 10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속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1010, 그 뒤에 따르는 특수(special) 서브프레임 101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1020을 포함한다. 특수 서브프레임 1015은 하향링크 부분 1011, 보호 구간(gruard period, GP) 1012 및 상향링크 부분 1013으로 이루어진다. 가정된 프레임 구조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개시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프레임 구조가 백홀 및 액세스 링크 모두에 대해 가정된다. 백홀 및 액세스 링크들에 대해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은 배제되지 않는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액세스 링크상의 송신이 백홀 링크 수신과 간섭할 때, 중계 기지국은 백홀 링크에서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없고,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로) 송신할 수 없다. 이와 유사하게, 백홀 링크에서의 송신이 액세스 링크 수신과 간섭할 때, 중계 기지국은 백홀 링크에서 (앵커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없고,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로부터) 수신할 수 없다. 이는 중계 기지국의 "반-이중(half-duplex)" 문제라고 지칭된다. 링크 간 간섭은 백홀 링크를 위한 안테나와 액세스 링크를 위한 안테나 사이의 불충분한 격리의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 스펙트럼 공유 기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제1 방법에서,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은 링크 간 간섭을 피하기 위해 시간 영역에서 다중화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액세스 프레임들 1110과 백홀 프레임들 1120 사이의 시간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두번째 방법으로,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화된다. 액세스 프레임들이 제2 주파수 서브대역 1230에 할당되는 반면, 백홀 프레임들은 제1 주파수 서브대역 1210에 할당된다. 링크 간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보호 대역(guard band) 1220이 요구된다. 그러나, 보호 대역은 각각의 주파수 서브대역에 주파수 영역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과 비교할 때, 두번째 방법은 백홀 및 액세스 링크 모두에 대해 유연한 스케줄링이 가능하거나, 또는 자원 할당을 제 시간에 허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세번째 방법에서,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은 공간 도메인에서 다중화 된다. "반-이중(half-duplex)"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백홀 링크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는 각각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상의 액세스 링크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와 공간적으로 다중화된다. 중계 기지국에 대해, 백홀 링크에 대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시점(switch point)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의 전환 시점은 정렬된다. 이와 유사하게, 백홀 링크에 대한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의 전환 시점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시점이 정렬된다. 앵커 기지국, 중계 기지국 및 UE들은 많은 수의 안테나들이 장착되어 있을 때 실현 가능한 고차원 송신 및/또는 수신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게다가, 비교적 작은 안테나 패널 폼팩터(form factor)가 고주파(20GHz 내지 300GHz와 같은)에서 실현 가능하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 공간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첫번째 및 두번째 방법과 비교하여, 백홀 및 액세스 링크 사이에서의 스펙트럼 자원의 최대 공유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백홀 링크 1310의 하향링크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상의 액세스 링크 1320의 상향링크와 공간적으로 다중화되므로, 중계 기지국은 주어진 시간 1350에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서 수신만을 수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백홀 링크 1330의 상향링크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액세스 링크 1340의 하향링크와 공간적으로 다중화되므로, 중계 기지국은 주어진 시간 1360에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에서 송신만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홀 링크에 대해 보다 빠른 데이터 속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주파수 서브대역은 백홀 링크에 배타적으로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대역폭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 첫번째 방법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화 또는 세번째 방법에 따른 공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백홀 및 액세스 링크들 간 스펙트럼 공유가 가능하기 위해, 앵커 기지국 및 중계 기지국 간 조정(coordination) 프로토콜 및 절차가 요구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간에 예시적인 자원 조정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1410 단계에서, 앵커 기지국은 백홀 자원 또는 프레임 구조 구성을 결정하고 중계 기지국들에 대한 신호(공통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채널을 통하는 것과 같은)를 결정한다. 제어 시그널링의 다른 예는 백홀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시점의 시간 위치 및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의 전환 시점의 시간 위치일 수 있다. 1420 단계에서, 백홀 자원 구성을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중계 기지국은 자신의 UE들에 대한 송신 및 수신을 스케줄링 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들뿐만 아니라 앵커 기지국으로 수신 및 송신할 위치/방식(where/how)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스펙트럼 공유 기법의 세번째 방법에 따른 앵커 기지국과 중계 기지국간의 자원 조정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1510 단계에서, 앵커 기지국은 백홀 하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백홀 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및 중계 기지국들에 대한 신호(공통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는 것과 같은)를 결정한다. 백홀 하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구성을 수신함에 따라, 각 중계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자신의 UE들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수신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백홀 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구성을 수신함에 따라, 각 중계 기지국은 백홀 상향링크 정보를 앵커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자신의 UE들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정보를 스케줄링 및 송신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백홀에 할당되는 것으로 지시되지 아니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있는 경우, 중계 기지국은 (백홀 자원 구성으로부터의 제한 없이) 유연한(flexible) 방식으로 액세스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은 이러한 자원들에 대해 액세스 송신/수신을 스케줄링/수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이 자유롭게 이들 자원에 대한 액세스 송신/수신을 스케줄링/수행하는지 여부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다.
다른 예에서, 백홀 자원 구성을 시그널링 하는 대신에, 앵커 기지국은 이용 가능한 액세스 자원 구성을 중계 기지국에 시그널링한다. 이어서, 중계 기지국은 스펙트럼 공유 기법에 따라 이용 가능한 액세스 자원 구성으로부터 백홀 자원 구성을 도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은 자신의 UE들을 앵커 기지국에 서비스하기 위한 원하는 또는 필요한 액세스 자원을 지시할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은 채용된 스펙트럼 공유 기법에 따라 백홀 자원 구성을 결정할 때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공간 분할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앵커 기지국에 의한 다수의 중계 기지국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앵커 기지국에서 다수의 중계 기지국으로의 전송은 공간 다중화를 통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공간 다중화 간섭은 SLNR(signal-to-leakage-and-noise-ratio) 최대화 또는 다중 사용자 간섭의 ZF(zero-forcing)과 같이 특정 성능 메트릭(metric)을 최적화하는 다중 사용자 프리코딩(precoding) 알고리즘을 통해 완화될 수 있다.
앵커 기지국에 의한 다수의 중계 기지국들의 공간 다중화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앵커 기지국 1610은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중계 기지국들 1620 및 1630로 동시에 신호 1621 및 신호 1631을 송신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개시에 따른 중계 기지국 그룹들에 기초한 백홀 프레임들 및 액세스 프레임들의 공간 분할 다중화의 두 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앵커 기지국과 연결된 중계 기지국들은 그룹화되며, 그룹 내의 중계 기지국으로의 백홀 송신 및/또는 수신이 공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수행되는 반면, 그룹들 간의 백홀 송신 및/또는 수신은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통해 직교화된다. 이러한 그룹화는, 앵커 기지국에서 안테나들의 수에 비해 연결된 중계 기지국들의 수가 많은 경우, 중계 기지국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간섭을 허용 가능한 레벨로 최소화 시키는데 유익하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기지국 A 1720 및 중계 기지국 B 1730은 시간 1에서 활성인 제1 SDM(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그룹에 속하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기지국 C 1740 및 중계 기지국 D 1750은 시간 2에서 활성인 제2 SDM 그룹에 속한다. 중계 기지국 그룹은 대응되는 백홀 송신/수신이 진행 중일 때 활성화된다. 중계 기지국 그룹이 활성 상태가 아닌 기간 동안, 중계 기지국 그룹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은 (백홀 자원 구성으로부터 제약 없이) 유연한 기법으로 자신의 UE에 대한 액세스 송신/수신을 스케줄링/수행할 수 있다. 어떤 배치 조건들에서, 비활성 중계 기지국 그룹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에 의한 완전한(full) 스케줄링 유연성은 중요한 중계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 항상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기지국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중계 기지국들 간에 추가적인 조정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비활성 중계 기지국 그룹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에 의해 전체 스케줄링 유연성이 있다고 가정되어야 하지만, 이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중계 기지국 SDM 그룹들이 존재할 때, 스펙트럼 공유 기법의 세번째 방법에 따른 백홀 및 액세스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 SDM 그룹화(그룹1 및 그룹2)는 백홀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수행되지만 백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앵커 기지국이 그룹1로 백홀 하향링크 전송 1810을 수행할 때, 그룹1에 속한 중계 기지국들은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1830을 수행한다. 한편 그룹2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은 자신의 UE들을 위한 유연한 액세스 스케줄링/송신/수신 185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앵커 기지국이 그룹2로 백홀 하향링크 전송 1820을 수행할 때, 그룹2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은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1860을 수행한다. 한편, 그룹1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은 자신의 UE들을 위한 유연한 액세스 스케줄링/송신/수신 1840을 수행할 수 있다. 앵커 기지국이 백홀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때, 그룹1 및 그룹2에 대한 중계 기지국은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1880 및 1890을 수행한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중계 기지국 SDM 그룹이 존재할 때, 스펙트럼 공유 기법의 세번째 방법에 따른 백홀 및 액세스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 할당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중계 기지국 SDM 그룹화(그룹1 및 그룹2)는 백홀 하향링크 및 백홀 상향링크 모두에 대해 수행된다. 백홀 하향링크 길이에 관한 설명은 도 18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생략된다. 앵커 기지국이 그룹1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수신 1910을 수행할 때, 그룹1에 속한 중계 기지국은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1950을 수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앵커 기지국이 그룹2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수신 1930을 수행할 때, 그룹2에 속한 중계 기지국은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1981을 수행한다. 한편, 그룹1에 속하는 중계 기지국들은 자신의 UE들을 위한 유연한 액세스 스케줄링/송신/수신 196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DM 그룹 특정 백홀 자원 구성은 중계 기지국들로 시그널링된다. 일 예에서, 중계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그룹에 속하는 백홀 자원 구성만을 수신한다. 중계 기지국들의 관점에서, 구성된 그룹 특정 백홀 자원의 일부가 아닌 시간-주파수 자원은 유연한 액세스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앵커 기지국-중계 기지국 조정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중계 기지국은 그룹 아이덴티티(group identity)을 수신한다(signaled). 게다가, 모든 중계 기지국 SDM 그룹에 대한 백홀 자원 구성들이 중계 기지국에 시그널링된다. 중계 기지국은 지정된 그룹 아이덴티티로부터 자신의 백홀 자원을 식별한다. 유연한 액세스 스케줄링을 위해 다른 그룹 아이덴티티로 구성된 백홀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계 기지국 그룹들의 SDM의 기법 및 도 18 또는 도 19에 도시된 예시적인 자원 할당 기법을 가정하면, UE가 적어도 두 개의 중계 기지국 SDM 그룹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지국과 동시에 연결이 있는 경우, UE가 오직 하나의 중계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다면 불가능했을, 추가적인 스케줄링 유연성으로부터의 이익 및 스펙트럼 이용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연결되어 있는 (SDM 그룹의) 하나의 중계 기지국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상향링크 액세스 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상향링크에서 중계 기지국으로 송신 중 이거나, UE가 연결되어 있는 (다른 SDM 그룹의) 제2 중계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수신 중일 수 있다. UE는 또한 상향링크에서 제2 중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중계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중 어느 하나에서 스케줄링 되는 능력은 UE에 대한 스펙트럼 이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다수의 중계 기지국들과의 결합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고하면, UE A 2040은 중계 기지국1 2020과 연결되고, UE B 2060은 중계 기지국2 2030과 연결되고, UE C 2050은 중계 기지국1 2020 및 중계 기지국2 2030 모두에 연결된다. 시간 1 2000a에서, 앵커 기지국 2010은 중계 기지국2 2030으로 송신하고, UE B는 중계 기지국2로 상향링크에서 송신 중이다. 이때, 중계 기지국1는 유연한 기법으로 액세스 계층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중계 기지국1은 하향링크에서 UE A 및 UE C 모두에게 송신 중이다. 시간 2 2000b에서, 앵커 기지국 2010은 하향링크에서 중계 기지국1 2020으로 송신하도록 스위칭하고, UE A는 상향링크에서 송신한다. 한편, 중계 기지국2는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UE B 및 UE C로 전송한다. 이 예에서, 주어진 시간에 하향링크의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는 UE A 및 UE B와는 달리, UE C는 시간1 및 시간2 모두에 하향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받는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라 다중 중계 SDM 그룹들로부터 중계 기지국들과 관련된 단말에 대한 개선된 스펙트럼 이용 및 스케줄링 유연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SDM 기법은 도 1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UE B는 중계 기지국2와 연결되고 UE C는 중계 기지국1 및 중계 기지국2와 연결된다. 초기에, UE C는 중계 기지국2 (2120, 2121, 2122와 같이)에 수신하고 송신한다. 그러나, 중계 기지국2의 하향링크 백홀 수신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스위칭할 수 없고, 모든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된 후에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동작 모두 중단해야 하는 UE B와는 달리, UE C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고, 중계 기지국1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 2132 및 2142할 수 있다. 그 후, UE C는 중계 기지국2와의 통신 2150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BS1으로 구성된 셀룰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BS1 2701은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2702에 위치한 UE들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BS1 2701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들의 세트는 UE 세트1로 지칭되고, UE 세트1의 멤버인, 즉 BS1 2701에 의해 서비스되는 예시적인 UE는 도 22에서 UE 2704로서 식별된다. BS1 2701은 무선 액세스 링크 2705를 통해 UE 세트1에 정보를 전송하고, UE 세트1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에서 UE로 송신 방향은 무선 액세스 링크 2705의 하향링크로 지칭된다. UE에서 기지국으로 송신 방향은 무선 액세스 링크 (2705)의 상향링크로 지칭된다. UE 세트1에서 특정 UE에 대해 의도된 하향링크 정보는 정보 소스(source of the information)로부터 유선 백홀 2703을 통해 BS1 2701에 도달한다. 일 예로서, 유선 백홀은 BS1을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source of the information, ISP)의 인프라 스트럭쳐(infrastructure)에 연결하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이후에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으며, 웹 사이트는 정보원인 UE에 의해 액세스된다. 특정 UE에 의해 BS1 2701에 전송된 상향링크 정보는 유선 백홀 2703을 통해 정보의 목적지로 전송된다. 이전 예에서와 같이, UE에 의해 액세스되는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가 정보의 목적지가 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셀룰러 시스템은 또한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2707에 위치한 UE들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BS2 2706을 포함한다. 2711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BS 2701 및 BS 2706의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들 2702 및 2707은 서로 겹쳐질 수 있다. BS2 706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들의 세트는 UE 세트2로 지칭되고; UE 세트2의 멤버인, 즉 BS2 706에 의해 서비스되는 예시적인 UE는 도 22에서 UE 2708로서 식별된다. BS2 2706은 무선 액세스 링크 2709를 통해 UE 세트2에 정보를 전송하고 UE 세트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액세스 링크 2709에 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 방향의 정의는 무선 액세스 링크 2705와 동일하다.
BS1 2701과 달리, BS2 2706은 유선 백홀을 가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BS1 2701은 BS2 2706으로 무선 백홀 링크(source of the information, WBH) 2710을 통해 유선 백홀 링크 2703에 의해 BS1 2701에 제공된 것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UE 세트2에서 특정 UE에 대해 의도된 하향링크 정보는 정보 소스로부터 유선 백홀 2703을 통해 BS1 2701에 도달한다. 유사하게, UE 세트2의 특정 UE에 의해 BS2 2706로 전송된 상향링크 정보는 BS2 2706에 의해 WBH 링크 2710를 통해 BS 2701에 전송되고, BS1 2701에 의해 유선 백홀 2703을 통해 정보의 목적지로 전송된다. UE 세트2의 UE에 대한 정보의 소스 및 목적지는 각각은 UE 세트1의 UE로 및 UE로부터의 정보의 소스 및 목적지에 관한 앞선 설명과 각각 유사하다.
BS1 2701은 WBH 2710을 통해 BS2 2706에 의해 서비스되는 UE 세트2로 또는 UE2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기 때문에, BS2 2706은 도 22의 27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BS1 2701에 대한 중계 노드(relay node, RN)이다. 이하 본 개시의 나머지 부분에서 사용되는 "중계 노드"는 이 문맥에서와 같이 이해된다. BS1 2701은 백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앵커링(anchoring)" BS2/RN 2706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앵커 기지국"을 의미하는 "ABS(anchoring base station)" 용어는 본 개시의 나머지 부분에서 사용된다. 도 22와 관련하여 BS1 2701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2에 도시된 예시인, 셀룰러 시스템은 몇 개의 앵커링 기지국 및 몇 개의 중계 노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중계 노드는 특정 UE 세트를 서빙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중계 노드는 앵커링 기지국의 서브 세트에 의해 앵커링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앵커링 기지국 및 중계 노드 사이의 통신은 각각 도 22의 맥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앵커링 기지국과 앵커링된 중계 노드 사이의 통신은 도 22의 맥락에서 기술 된 바와 같다 이러한 셀룰러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시스템으로 지칭될 것이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다음 텍스트에서 "SF"와 "서브프레임"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 도면에서, 수평 차원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 차원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23은 1에서 N까지 번호가 매겨진 임의의 숫자, N개의 OFDM 심벌 및 1에서 S까지 번호가 매겨진 임의의 숫자, S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는 시간-주파수 그리드로 구성된 SF 2801을 도시한다. 다른 해석에서, SF 2801은 시간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N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되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에서 S개의 부반송파들(subcarriers, SCs)로 구성된다.
도 22의 문맥에서, 앵커링 기지국 2701에 관하여, UE 세트1에서 UE로의 및 UE로부터의 송신은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단위로 수행된다.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OFDM 심벌들의 세트는 앵커링 기지국 세트 2701에서 UE 세트1의 UE로의 하향링크 송신에 이용될 수 있는 반면, 서브프레임 내의 임의의 다른 OFDM 심벌 세트는 UE 세트1의 UE들로부터의 앵커링 기지국 2701로의 상향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UE 세트2에서 UE로의 및 UE들로부터의 송신들에 대하여 도 7의 문맥에서 유사한 설명이 중계 노드 2706에 적용된다.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송신 영역들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2901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은 기지국 및 UE 세트간의 통신에 관련된다. 도 22의 문맥에서, UE 세트는 UE 세트1 또는 UE 세트2의 UE들을 지칭할 수 있는 반면, BS는 앵커링 기지국 2701 또는 중계 노드 2706을 지칭 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2901은 시간 영역에서 임의의 개수 (D + G + U)개의 OFDM 심벌들, 주파수 영역에서 임의의 개수 S개의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진다. 다른 해석에서, 서브프레임 2901은 시간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개수 (D + G + U)개의 OFDM 심벌들로 이루어지며, 주파수 영역에서 각 OFDM 심벌은 주파수에서 S개의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진다. 서브프레임 290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D개의 순차 OFDM 심벌들로 구성된 하향링크 영역 2902. 기지국은 하향링크 영역에서 UE들로 전송한다.
2) 하향링크 영역 2902 내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은 하향링크 영역에 각각의 DDC개의 심벌에서 SDC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한다.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기지국으로부터 UE들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3) 하향링크 제어 영역 외의 하향링크 영역 2902의 일 부분은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으로 지칭된다.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은 기지국으로부터 UE들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의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4)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G개의 순차적인 심벌들로 구성된 갭(gap) 영역 2904. 이러한 갭은 기지국 및 UE에 의한 정보의 송신 및 수신으로부터 정보의 수신 및 송신으로 천이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5) U개의 순차적 심벌들로 이루어진 상향링크 영역 2905. UE들은 상향링크 영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6) 상향링크 영역 2905 내의 상향링크 제어 영역 2906은 하향링크 영역에 각각의 UUC개의 심벌에서 SUC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한다. 상향링크 제어 영역은 UE들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향링크 제어 영역의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7) 상향링크 제어 영역 외의 상향링크 영역 2905의 일 부분은 상향링크 데이터 영역으로 지칭된다. 상향링크 데이터 영역은 UE들로부터 기지국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향링크 데이터 영역의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8)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영역의 각각의 심벌은 상이한 숫자의 점유된 부반송파들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하향링크 영역의 각 심벌은 기지국이 UE들로 전송하는 상이한 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향링크 영역의 각각의 심벌은 UE들 중 임의의 UE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이한 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9) 어떤 실시 예에서, 서브프레임 2901 내의 영역들의 시간 순서는 상향링크 영역 이후, 갭이 뒤따르고 하향링크 영역이 뒤따르는 순서일 수 있다.
10) 어떤 실시 예들에서, 하향링크 영역은 비연속적인 심벌들의 세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러한 세트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심벌들의 세트 내의 심벌들의 추가적인 서브 세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상향링크 영역은 비연속적인 심벌들의 세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러한 세트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심벌들의 세트 내의 심벌들의 추가적인 서브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에, 다수의 갭들이 존재할 수 있다.
11) 어떤 실시 예들에서, 서브프레임 2901은 하향링크 영역으로만, 즉 G=U=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향링크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추가 실시 예에서, 서브프레임 2901은 단지 상향링크 영역으로만, 즉 D=G=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향링크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12) 어떤 실시 예들에서,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은 하향링크 영역 2902의 모든 부반송파들을 점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영역 2906은 상향링크 영역 2905의 모든 부반송파들을 점유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2901내의 여러 영역들의 내용은 하기 A 내지 F에서 설명된다.
A)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은 수 개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UE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이러한 영역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내의 위치 및 변조 및 부호화 기법(modulation & coding scheme, MCS)과 같은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상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영역, 및/또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세부 사항을 UE에 통지한다.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영역은, 제어 채널의 복조 및 복호화를 돕기 위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UE가 시스템 타이밍을 획득하는 것을 돕고, UE와 기지국 간에 발진 주파수의 불일치와 같은 하드웨어 손상을 보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파일럿(pilot) 또는 기준 샘플들을 갖는 부반송파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B) 특정 서브프레임에서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이전 또는 현재 서브프레임(들)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긍정확인 응답-부정확인 응답(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Ack-Nack)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C)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라는 용어는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i.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PDCCH들의 제1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PDCCH내의 세트는 제1 세트의 PDCCH와 관련이 있는, 즉 UE들이 제1 세트 중 특정 UE에 의해 복구가 가능(복조, 복호화 및 해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PDCCH들의 제2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PDCCH 내의 세트는 제1 세트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는 UE들의 제2 세트의 각 UE와 관련이 있다. PDCCH들의 제1 및 제2 세트 각각은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PDCCH로 지칭된다. ii. 시간-주파수 그리드 내의 PDCCH의 위치는 반-정적(semi-stat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PDCCH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PDCCH는 시스템 사양에 정의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알려진 주파수 위치에서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PDCCH의 위치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3에서 발생하는 다른 제어 채널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유사하게, PDCCH를 부호화 및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MCS는 시스템 사양(system specifications)에 정의된 MCS들 중 하나이고, UE에 알려져 있다. UE와 관련이 있는 제어 정보 부분의 변조된 샘플들의 제어 영역 903의 시간-주파수 그리드(grid)의 매핑은 UE에 알려져 있다. iii. UE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영역 내의 PDCCH의 위치 뿐만 아니라, 비트 수 단위의 PDCCH 정보 크기, PDCCH 정보를 부호화 하기 위해 사용된 MCS에 관한 다양한 정보(hypothesis)을 사용하여, 자신을 목적하는 PDCCH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을 검색(search over)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블라인드 복호화(blind decoding)라고 한다.
D) 상향링크에 대해서, 상향링크 제어 영역 2906에서 전송되도록 Ack/Nack (A/N) 또는 CSI 피드백이 구성될 수 있다. A/N은 UE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ack-nack 피드백을 지칭한다. 다운 링크 데이터 패킷은 하향링크 제어 영역과 마찬가지로, 상향링크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의 복조 및 복호화를 돕기 위해 채널 측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BS와 UE들 간에 발진 주파수의 불일치를 보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파일럿 또는 기준 샘플을 갖는 부반송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E)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은 기지국에서 UE로의 사용자 정보 전송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용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에서 기지국에서 UE로 송신 된 데이터 채널을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특정 UE로 PDS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그리드는 PDSCH의 복조 및 복호화를 돕기 위해 UE가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돕기 위한 파일럿 또는 기준 샘플을 갖는 부반송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UE-RS”는 이러한 UE-특정 기준 샘플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i. 데이터 채널에서 부반송파들에 의해 운반되는 데이터 패킷(또는 전송 블록)은 변조 심벌들의 세트를 지칭한다. 변조 심벌들은 정보 비트들의 세트 및 정보 비트들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들의 세트로 구성되는 비트들의 세트에 대한 변조 및 부호화 동작의 결과이다. 각각의 CRC 비트는 정보 비트들의 특정 선형 조합이다. UE에서 복호화 동작을 수행한 후, UE는 복호화된 정보 비트로부터 CRC 비트를 계산하고, 전송된 CRC 비트와 비교함으로써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송신된 CRC 비트와 수신된 정보 비트들로부터 계산된 CRC 비트 사이의 일치는 데이터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선언되게 한다. ii. 데이터 패킷(또는 전송 블록)은 SF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세트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이 의도된 BS 및 UE 모두는 데이터 패킷 비트와 SF 사이의 매핑(mapping)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이러한 매핑은 PDCCH를 통해 기지국에서 UE로 지시될 수 있다.
F) 상향링크 데이터 영역의 구조 및 관련 동작은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에 대한 대응하는 구조 및 동작과 유사하다. 본 개시에서 용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상향링크 데이터 영역에서 UE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또는 전송 블록)의 구조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의 구조와 유사하다.
도 22의 용어와 정의의 문맥 및 도 24 문맥에서의 용어 및 정의의 사용에 있어서, 구조, 정보 내용 및 앵커링 기지국에 의한 대응되는 처리 및 앵커링 기지국의 중계 노드 및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들을 개시하는 실시 예들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 이전에, 도 22의 맥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앵커링 기지국, 중계 노드 동작 및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앵커링 기지국 및 중계 노드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은 동일한 길이(duration)을 가지며, 시간상으로 (최대 앵커링 기지국과 중계 노드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까지) 동기화된다. 각 앵커링 기지국 및 중계 노드에 대한 서브프레임은 동시에 (최대 앵커링 기지국과 중계 노드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까지) 시작되고, 종료한다.
다음으로, 앵커링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UE 세트1 내의 UE와 유사한 논리적 엔티티(entity)로서 중계 노드를 취급하는 앵커링 기지국은, 중계 노드에 알려진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부분 내의 영역을 이용하여 PDCCH를 중계 노드로 송신한다. PDCCH는 중계 노드에 a. 앵커링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또는 후속 서브프레임들 동안 전송에 있어서, 서브프레임들의 시작 및 종료, 각각의 서브프레임들에서 시간-주파수 그리드에서의 자원 할당, 변조 및 부호화 기법, 사용된 프리코더 뿐만 아니라 스트림들의 개수와 같은 PDSCH 전송의 세부 사항과 함께,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UE 세트2에 관한 백홀 정보를 포함하는 PDSCH를 중계 노드로 송신하는지 여부 b. 중계 노드가 서브프레임 또는 후속 서브프레임들 동안, UE 세트2로부터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며 앵커링 기지국 유선 백홀을 통해 정보의 목적지로 전송될 정보 및/또는 전송에서 서브프레임들의 시작 및 종료, 각 서브프레임들에서 시간-주파수 그리드에서의 자원 할당, 변조 및 부호화 기법(MCS), 사용될 프리코더 뿐만 아니라 스트림의 숫자와 같은 PUSCH 전송의 세부사항과 함께 중계 노드로부터 무선 백홀 상의 자원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PUSCH를 앵커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지 여부. c. 중계 노드에 대한 다음 앵커링 기지국 PDCCH의 발생 또는 중계 노드에 대한 잠재적인 앵커링 기지국 PDCCH를 위해 모니터링 되어야 하는 다음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발생에 관한 정보와 함께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 또는 다음 순서의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의 구조 d. 이후 서브프레임들에서 UE 세트2에 대한 PDSCH/PUSCH 자원 할당 승인에 대한 중계 노드가 따를 스케줄 등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앵커링 기지국은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에서 자원 할당을 지시 및 유도하여, 앵커링 기지국 및 중계 노드에 대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보다 양호한 간섭 조정을 허용할 수 있다.
이후, 중계 노드는 앵커링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면 PDCCH의 제어 정보에 의해 구동되는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들의 타임라인(timeline)은 PDCCH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 (a) 앵커링 기지국 및/또는 UE 세트2 내의 UE들의 서브 세트와의 통신을 위해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관련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에서 PDCCH 전송을 통해 향후 통신의 세부 사항을 UE 세트2 내의 UE의 관련 서브 세트에 알린다. (b) UE 세트2 내의 UE로부터의 PUSCH 전송의 동시 수신을 수반할 수 있는 앵커링 기지국으로부터의 PDSCH 전송을 통한 백홀 데이터를 수신한다. (c) UE 세트2내의 UE들로 동시 PDSCH 전송을 동반할 수 있는 PUSCH 전송을 통해 백홀 데이터를 앵커링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d) UE 세트2내의 UE들에 PDSCH들을 송신 및/또는 UE들로부터 PUSCH들을 수신한다. (e) UE 세트2에 대한 장래의 PDSCH/PUSCH 자원 할당 승인과 관련하여 앵커링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을 따른다.
실시 예들 세트1: 서브프레임 구간 내의 앵커링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PDCCH 전송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구조
이 일련의 실시 예들은 앵커링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 PDCCH를 송신하는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구조, 앵커링 기지국에 의해 중계 노드로 송신되는 PDCCH의 위치 및 내용 및 관련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구조 및 중계 노드 동작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일련의 실시 예들에서, 개시된 중계 노드 동작들은 앵커링 기지국이 PDCCH를 PDCCH로 전송할 수 있다는 지식에 의해 구동된다. 앵커링 기지국 서브프레임이 중계 노드-타겟 PDCCH 전송을 가질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중계 노드 획득을 위한 기술은 실시 예 세트2에 개시된다.
이 일련의 실시 예들에서, 중계 노드를 목적하는 PDCCH를 포함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PDCCH의 중계 노드 수신은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내의 갭 영역에 대응한다. 부가적으로, PDCCH 전송 영역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시작에 있으며, 서브프레임 길이에서 PDCCH의 중계 노드 수신이 가능한 한 일찍 이루어지는 것을 보증한다. 이것은 UE 세트를 서비스하기 위해 중계 노드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의 가능한 한 많은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개시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간들에서의 ABS-RN PDCCH 전송을 도시한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 SF 3001 및 RN SF 3004 모두는 길이에서 T개의 OFDM 심벌들이며,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까지 시간적으로 동기화된다(이는 중계 노드 및 앵커 기지국 사이의 전파 지연). ABS SF 3001은 주파수에서 최대 SABS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하고,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SDC,ABS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하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3002 및 서브프레임의 시작부터 시작하는 시간에서 DDC,ABS개의 심벌들을 포함한다. 앵커 기지국은 PDCCH가 관련된 중계 노드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모든 중계 노드에 목적된 PDCCH는 영역 3002 내에 있는 제1 DDC,ABS _to_ RN개의 심벌들을 차지하는 ABS 하향링크 제어 영역 3002 내의 서브-영역인 영역 3003 내에 위치한다.
도 25a에 도시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001에 있어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이 중계 노드로 PDCCH를 전송하는 SF 길이에 대해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004에 의해 도시되는, 목적된 중계 노드의 서브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최대 SRN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하고, 서브프레임의 최초 (DDC,ABS _to_RN + W) 심벌들 내에 갭 영역 3006을 포함하며, W는 0 또는 양의 정수이다. 도 22의 문맥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계 노드 및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UE 세트인 UE 세트2 사이의 갭 영역 1006에서는 어떠한 통신도 발생하지 않는다.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 3005는 시간에서 갭 영역을 따르는 DDC,RN개의 심벌 및 주파수에서 SDC,RN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중계 노드에 의해 UE 세트2에 송신된 PDCCH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를 갖는 앵커 기지국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001의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PDCCH의 송신 및 수신에 대한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의 동작들은 각각 3007 내지 300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3008에서와 같이, 앵커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모든 중계 노드에 목적된 PDCCH 전송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3002의 서브-부분인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영역 3003 내의 중계 노드로 PDCCH를 전송한다. 3009에서, 중계 노드는 앵커 기지국이 PDCCH를 송신할 수 있는 심벌의 개수 DDC,ABS _to_ RN 및 PDCCH의 주파수 점유 SDC,ABS 부반송파들의 지식을 사용하여 PDCCH 수신을 시도한다. 이러한 수신은 동작 사양들에서 정의된 가능한 PDCCH 패킷 크기들 및 변조 및 부호화 방식들의 세트에 관하여 3003의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검색을 수반한다. 중계 노드는 앞서 본 개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호화된 PDCCH 비트에 대한 성공적인 CRC 검사를 통해 PDCCH 수신의 성공을 결정한다. 모든 PDCCH 구조 가설들에 대한 수신 시도들에 대해 성공적인 CRC 검사의 결여는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 수신 실패 또는 그러한 SF 길이 내의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 전송의 부재를 나타낼 것이다.
일부 실시 예는 다음의 특정 파라미터 값 설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1) SDC,ABS = SABS, 즉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처음 DDC,ABS 내의 모든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2) SRN = SABS, 즉,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은 같은 수의 최대 숫자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즉, ABS SF처럼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다. 3) SDC,RN = SRN, 즉 RN 서브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제1 DDC,RN 심벌들 내의 모든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4) DDC,ABS= 1, 2 또는 3 심벌들, DDC,ABS _to_RN = 1 또는 2 심벌들, W = 0 또는 1 심벌. 즉 다시 말하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최대 3 심벌들을 점유하며, 그 중 첫 번째 또는 두 번째(DDC,ABS > 1 인 경우)에는 각각 2 또는 3 심벌 주기의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내의 대응되는 갭 영역을 가지며, 중계 노드에 목적된 PDCCH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5b는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PDCCH 전송을 위한 2가지 방식들을 도시한다. 제1 방식에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및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 간의 신호 전파 지연까지 시간상 동기화된다. 제2 방식에서, 중계 노드는 앵커 기지국이 PDSCH들을 중계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구간들 및/또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의 발생 주기에 대해 통지되며, 이는 실시 예 세트 2에서 설명된다.
실시 예 세트2: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갖는 서브프레임 구간의 중계 노드에 대한 지시
이 일련의 실시 예들은 앵커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할 수 있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의 위치 뿐만 아니라, 실시 예 세트1에서 도 25a 및 도 25b의 문맥에서 개시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파라미터들의 값들, DDC,ABS _to_ RN개의 심벌들 및 SDC,ABS개의 부반송파들에 대한 정보를 중계 노드가 얻을 수 있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본 세트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사양들은, 서브프레임 구간들이 시스템 프레임의 정보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통해 식별되는 것과 같은 공식(formula)을 통해 앵커 기지국이 PDCCH들을 중계 노드로 전송할 수 있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의 발생 주기 및/또는 서브프레임 구간들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사양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에 적용할 수 있는 DDC,ABS 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들의 값 또는 값 집합을 더 정의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중계 노드와의 초기 연결에 따라, 그러한 서브프레임 구간들 내에서 중계 노드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초기 파워-업(power-up), 타이밍 획득 및 시스템으로의 동기화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앵커 기지국과 연결에 따라, 유사하게 그러한 서브프레임 구간들 동안에 PDCCH 전송을 검색하거나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 세트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중계 노드는 서브프레임 구간 및/또는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발생 주기 및/또는 RRC 구성의 일부 또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의 일부와 같은 무선 백홀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PDSCH 전송을 통한 중계 노드로 전달 가능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이러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에 적용 가능한 DDC,ABS 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 값들에 대한 값 또는 세트에 대해 통지될 수 있다. 다른 옵션에서, 중계 노드에 대한 앵커 기지국 PDCCH 영역에 관한 전술한 정보는 PBCH와 같은 공통 브로드캐스트 채널(common broadcast channel)에서 방송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b는 본 개시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간들에서 예시적인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나타낸다.
이 세트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전송되는 PDCCH는 중계 노드로의 가능한 PDCCH 전송으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다음 또는 다음 세트의 발생에 대해 중계 노드에게 알리는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26a 내지도 26d에 예시되어 있다. 도 26a에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2902의 일부를 사용하여 PDCCH 3103을 중계 노드에 송신한다;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 및 중계 노드에 타겟팅된 PDCCH의 부분 3102의 구조는 각각 도 25의 문맥에서 항목(item) 3001 및 3003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중계 노드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104의 갭 영역 3104 동안 PDCCH 전송을 수신하려고 시도한다.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 및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104는 모두 서브프레임 시간 구간 인덱스들의 시퀀스(sequence)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N에 대응한다. 일 예에서, 지시자를 포함하는 PDCCH는 공통 PDCCH이며, 따라서 CRC가 다중 중계 노드에 알려진 공통 RNTI로 주소로 지정되는 경우처럼 다중 중계 노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시자는 중계 노드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 또는 상향링크 승인(grant)을 위해 PDCCH에 포함될 수 있다.
3106에서와 같이, PDCCH 3103은 지시자 또는 지시자의 세트를 포함하며, 중계 노드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려준다.
중계 노드로의 다음 PDCCH 전송을 포함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번호; 도 26a의 예시에서, 이는 값 K가 적어도 1인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번호 (N + K)로 도시된다. 다시 말해, 특정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내의 PDCCH는 다음 SF로부터 시간 순서대로 장래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내의 PDCCH의 위치를 중계 노드에 알릴 수 있다.
DDC,ABS 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들의 단위에서, PDCCH를 수신하려고 시도할 때, 중계 노드가 탐색할 필요가 있는 심벌 및 부반송파 영역을 정의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구조.
일부 실시 예들에서, PDCCH 3103은 중계 노드로의 장래의 PDCCH 전송들에 관한 다음 지시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a)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갖는 미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의 특정 숫자 P,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의 시간 인덱스 N에 대한 이들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에 대한 P 각각의 시간 인덱스들의 세트뿐만 아니라, 이러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PDCCH를 수신하려고 시도할 때 중계 노드가 검색할 필요가 있는 심벌 및 부반송파 영역을 정의하는 P 각각의 DDC,ABS 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들의 세트. 다른 실시 예에 따라, PDCCH는 DDC,ABS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지시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이들 값들이 각각의 P 지시된 장래의 ABS들에 적용됨을 지시할 수 있다. P의 값은 1보다 작을 수 있다. (b)서브프레임 길이 시간의 숫자의 관점에서 특정 구간 P를 갖는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갖는 장래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주기적인 발생. 다시 말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의 PDCCH는 다음의 PDCCH 전송이 이러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에 적용 가능한 DDC,ABS _to_RN 및 SDC,ABS 파라미터들 값의 추가적인 지시와 함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N+P), (N+2*P), (N+3*P) 등에서 일어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주기 P는 1만큼 작을 수 있다. 또한, PDCCH 3103은 이러한 주기적 미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발생의 수 M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의 PDCCH는 다음 PDCCH 전송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N+M*P) 에서 지시된 순서에 따른 최종 도달(appearance)까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s (N+P), (N+2*P), (N+3*P) 에서 일어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장래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사건의 수 M은 1만큼 작을 수 있다.
또한, 3107에서와 같이 PDCCH 3103으로부터 중계 노드 3106으로의 지시에 따라, 앵커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N+1)에서 (N+K-1)까지 중계 노드에 PDCCH를 송신하지 않는다. 앵커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PDCCH 전송을 포함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에 대한 지시에 따라,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N+1)에서 (N+K-1)에 관련된 다른 중계 노드로 PDCCH를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107에서와 같이, 중계 노드 3106에 대한 PDCCH 3103에 의한 지시에 따라 중계 노드는 서브프레임 구간 인덱스 #(N+1) 내지 (N+K-1) 동안 어떤 PDCCH 수신도 시도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 #N 이후, 중계 노드는 서브프레임 구간 인덱스 #N (N+K)에서 서브프레임 구간 인덱스 #N의 PDCCH 310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다음 PDCCH 수신 시도를 한다.
중계 노드가 이전 앵커 기지국 PDCCH에 의해 지시된 PDCCH 전송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노드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사양에서 정의되거나 중계 노드에 지시된 서브프레임 구간 동안 PDCCH를 검색하거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도 26b는 PDCCH가 전체 OFDM 심벌을 점유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6a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구간에서의 동일한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도시한다.
실시 예 세트3: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의 내용(contents)
본 실시 예들의 세트는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노드로 전송된 PDCCH의 내용뿐만 아니라 이러한 PDCCH 제어 정보에 응답하여 중계 노드 동작을 설명한다. 요약하면, PDCCH의 내용은 다음 항목 1) 내지 8)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1) 중계 노드에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이후에 전송이 있는지 또는 중계 노드로부터 앵커 기지국으로의 전송 요청이 있는지 중계 노드에게 알려주는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는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의 DCI 포맷에 의해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는 또한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의 정보 비트에 의해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2) 중계 노드에 Transmission_Code로 지시된 전송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Action_Time_Start 파라미터.
3) 중계 노드에 Transmission_Code에 의해 지시 된 송신의 종료 시간을 지시하는 Action_Time_End 파라미터.
4)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 된 송신 및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SF에 사용되는 자원에 대해 중계 노드에 알리는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
5) 중계 노드에 대한 다음 PDCH 또는 PDCCH들을 포함하는 다음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 또는 서브프레임들에 관한 RN 및 이들 서브프레임들에서 제어 영역의 구조를 알려주는 파라미터들. 이들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 세트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6) 현재의 것부터 시작하여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를 포함하는 다음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까지의 모든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전송 구조에 관해 중계 노드에 알리는 ABS_SF_DL_UP_Gap_Struct 파라미터. 특히, 각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에 대해 이 파라미터는 서브프레임의 갭 기호뿐만 아니라 DL 또는 UL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내의 기호를 지정한다. 이 정보는 자신이 서비스하고 있는 UE 세트2의 UE들과의 통신에 대해 RN 서브프레임의 DL, UL 및 갭 영역을 결정할 때 중계 노드를 돕는다. 중계 노드는 UE 세트 2에서 UE들과의 통신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시에 구성 요소 하향링크, 상향링크 및 갭 영역에 대한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대응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구성 요소와 정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7) RN_SF_DL_UL_Struct 파라미터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 구조를 중계 노드에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앵커 기지국은, 예를 들어, 간섭 조정 목적을 위해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에서 트래픽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이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8) 변조 및 코딩 방식, 전송 블록 사이즈, HARQ 관련 파라미터들(NDI(new data indicator), RV(redundancy version))과 같은 중계 노드에 의한 PDSCH를 수신하거나 PUSCH를 전송하기 위한 다른 파라미터들.
본 실시 예들의 세트에 따라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전송되는 PDCCH의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PDCCH의 내용은 중계 노드에 그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 동작에 대한 다음 가능성 중 하나를 나타내는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A) 무선 백홀 상의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차후의 PDSCH 전송. B) 중계 노드에서 무선 백홀 상의 앵커 기지국으로의 PUSCH 전송 요청. C)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간의 데이터 통신이 없음.
일부 실시 예들에서, Transmission_Code는 각각 위의 가능성 A), B) 또는 C)를 지시하는 값 '00', '01' 및 '11'을 가지는 2비트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PDCCH의 내용은 중계 노드에 Transmission_Code에 의해 지시된 송신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각각 나타내는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각각 PDSCH/PUSCH의 시작 OFDM 심벌 및 종료 OFDM 심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각각 PDSCH/PUSCH의 시작 서브프레임 및 종료 서브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6a를 참고하면, 서브프레임 구간 인덱스 #N에 대응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 내의 PDCCH 3103은 PDSCH 1103을 포함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101의 인덱스 N에 대한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PDCCH는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를 특정 값 Action_Time_Start_Relative 및 Action_Time_End_Relative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서브프레임 시간 인덱스 (N+Action_Time_Start_Relative) 및 (N+Action_Time_End_Relative)에서 시작하고 종료하는 전송 코드에 의해 지시된 전송을 각각 의미한다. i) Action_Time_Start_Relative 및 Action_Time_End_Relative는 각각 0 또는 양의 정수이다. ii) Action_Time_End_Relative가 Action_Time_Start_Relative보다 크거나 같다. ⅲ) Action_Time_Start_Relative = 0은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송신이 현재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시작함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PDCCH는 Action_Time_Start_Absolute 및 Action_Time_End_Absolute와 같이,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절대 시간 인덱스로 지시 할 수 있으며, 이는 서브프레임 시간 인덱스인 Action_Time_Start_Absolute 및 Action_Time_End_Absolute에서 전송 코드에 의해 지시된 전송이 각각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 Action_Time_Start_Absolute 및 Action_Time_End_Absolute 각각은 PDCCH를 포함하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절대 인덱스 N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ii) Action_Time_End_Absolute가 Action_Time_Start_Absolute보다 크거나 같다.
PDCCH가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를 통해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 간의 데이터 통신이 없음을 지시하는 경우,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앵커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이 없는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중계 노드에 지시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중계 노드는 앵커 기지국과의 초기 연결의 일부로서 또는 앵커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통한 후속 정보 교환에서 앵커 기지국에 대한 최소 처리 시간을 앵커 기지국에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중계 노드는 특정 중계 노드 카테고리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시스템 사양은 그러한 중계 노드 카테고리와 연결된 처리 지연을 정의한다. 이러한 경우에, 앵커 기지국은 중계 노드에서의 처리 지연을 고려하여, 즉 중계 노드가 앵커 기지국 PDCCH의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PDCCH의 내용은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중계 노드에게,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송신에 사용될 자원 및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에서 알린다. 지시된 자원은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각각의 지시된 서브프레임 내의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를 구성하는 OFDM 심벌 및 부반송파 인덱스들이다.
PDCCH는, PDCCH가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를 통해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간의 데이터 통신이 없음을 지시하는 경우,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경우에, 중계 노드는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를 무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는 모든 지시된 서브프레임들에 공통인 자원 세트를 지시한다. 다시 말하면, 이들 실시 예들에 따르면,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것과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가 지시된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지시된 송신을 위해 이용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PDCCH의 내용은 현재부터 시작하여 중계 노드에 대한 PDCCH를 포함하는 다음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까지의 모든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전송 구조에 대해 중계 노드에게 알리는 ABS_SF_DL_UP_Gap_Struct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특히, 각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에 대해 이 파라미터는 서브프레임의 갭 심벌들뿐만 아니라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내의 기호를 지정한다. 이 정보는 자신이 서비스하고 있는 UE 세트2 내의 UE들과의 통신들에 관한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구조를 결정할 때 중계 노드를 돕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ABS_SF_DL_UP_Gap_Struct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상향링크 및 갭 영역들의 개수 및 심벌 인덱스들의 단일 세트를 특정할 수 있고, 중계 노드를 위한 PDSCH를 포함하는 다음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까지 모든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들에 적용 가능하다. b) 연속적인 심벌들로 구성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상향링크 및 갭 영역을 갖는 일부 실시 예들에서, ABS_SF_DL_UP_Gap_Struct 파라미터는 각각의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을 위한 하향링크, 상향링크 및 갭 영역에 대한 번호 및 시작 및 종료 심벌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 예 세트4: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이 없는 서브프레임 구간들 내의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 구조
실시 예 세트1은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을 갖는 서브프레임 구간에서의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구조를 개시한 반면, 실시 예 세트2는 그러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시간 상 위치에 관한 중계 노드로의 지시에 대한 기술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 세트는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 없는 서브프레임 구간들 내의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에 영역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이 경우에 대한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다.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201은 시간에서 주파수 및 T개 심벌들에서 최대 SRN개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하며, 여기서, T개 심벌은 대응되는 진행중인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시간 점유율이다.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201은 시작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201로부터 시작하는 DDC,RN개의 심벌들의 시간-주파수 그리드 및 SDC,RN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 320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중계 노드에 의해 UE 세트2에 송신된 PDCCH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은 다음의 특정 파라미터 값 설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SDC,RN = SRN 즉,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이 서브프레임의 처음 DDC,RN개의 심벌들 내의 모든 부반송파를 점유하며, DDC,RN = 1,2 또는 3 개의 심벌들을 포함한다.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의 경우에 대한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004의 구조와 비교하면, 본 경우에 대한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201은 RN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갭 영역을 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004의 갭 영역은 중계 노드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도록 허용한다;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201 주기에서 중계 노드로의 앵커 기지국 PDCCH 전송이 없으므로, 현재의 경우에는 이러한 갭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라,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내의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위치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은 PDCCH를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UE 세트2의 UE들로 송신하기 위해 중계 노드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UE는 중계 노드 PDCCH 전송을 검색하고 수신하려고 시도하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내의 영역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다음 세트의 실시 예들은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UE 세트2에서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 세트5: UE 세트2에 의한 중계 노드 하향링크 제어 영역 구조 결정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서, UE는 중계 노드와 연결된 UE들의 세트인 UE 세트2 내의 UE를 지칭한다.
도 28은 중계 노드와의 단말 연결 절차 동안 단말로 지시될 서브프레임의 파라미터를 도시한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의 파라미터들은 시스템 사양에서 정의되거나 중계 노드와의 UE 연결 절차 동안 중계 노드에 의해 UE로 지시된다. 이 파라미터들은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1) 3304에서 파라미터 GRN,Max로 식별되는, 임의의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시작에서의 갭 영역 3303의 최대 길이. 실시 예 세트1의 문맥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RN 서브프레임은 ABS PDCCH 전송의 RN 수신을 허용하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갭 영역을 갖는다. 파라미터 GRN,Max 3304는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갭의 길이의 일정한 값일 수 있는 최대 값을 정의한다. 2) 최대 시간 점유 DDC_ Max,RN개의 심벌들 3305 뿐만 아니라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제어 영역 3302의 주파수 SDC_Max, RN 개의 부반송파들 3306의 최대 점유율.
UE는 검색을 수행하여 (DDC_ Max,RN + GRN,Max)개의 심벌들 및 SDC _ Max,RN 개의 부반송파들에 의해 정의되는 시간-주파수 그리드를 통해 자신에게 전송되는 가능한 PDCCH의 검색을 수행하고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즉, UE는 자신에게 향하는 PDCCH 전송을 포함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그리드의 최대 범위를 검색할 수 있다.
시스템 동작 예들
앞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일체형 무선 백홀 및 액세스 시스템의 동작의 예시적인 몇몇의 예가 다음에 제시된다. 이 예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개시된 파라미터 값들의 특정 설정(setting)들에 대한 동작들을 예시한다. 특히, 이 예들에서, 전술한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되어, 중계 노드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적절한 결정을 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노드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앵커 기지국 PDCCH를 처리할 수 없으며 앵커 기지국에 최소 처리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런 경우, 앵커 기지국은 중계 노드에서의 처리 지연을 고려하여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본 절(section)과 관련된 수치는 중계 노드에서의 처리 갭을 포함하도록 일반화된다.
주목할 점은 이 예들에서,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는 동시에 송신 및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그들은 전송 중이거나 수신 중이다. 이는 기술 분야에서 반-이중 제약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동작은 동일한 엔티티(앵커 기지국, 중계 노드 또는 UE)에서 동시에 하나의 안테나가 송신하고 다른 안테나가 수신할 때 발생하는 안테나 간 누설 간섭을 방지한다.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누설은 수신 안테나에서의 수신 신호에 대해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백홀 데이터 전송의 예시적인 동작 1A
도 29a 내지 도 29c는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 백홀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중계 노드와 연결된 UE 세트인 UE 세트1의 하향링크 상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401은 모든 심벌이 동일한 주파수 점유를 갖는 T개 심벌들이며, 길이가 3개 심벌들인 하향링크 제어 영역 3402를 포함한다. 또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심벌들의 동일한 주파수 점유율을 갖는 모든 심벌들을 갖는 T개 심벌들 길이를 갖는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405는 2개 심벌 길이의 SF 시작에서 갭 영역 3406을 포함하고, 1개 심벌 길이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 3407을 포함한다.
앵커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401의 나머지 (T-3)개 심벌들을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3404, 즉 PDSCH를 전송할 영역으로 구성한다.
앵커 기지국 3409는 3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제어 영역 3402의 제1 심벌의 중계 노드 3411에 PDCCH 3410을 전송한다. PDCCH는 이 동작 예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1)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다가오는 송신이 있는지 중계 노드에 지시한다. 2)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이 현재의 서브프레임 길이 구간에서 시작하고 끝날 것을 중계 노드에 알린다. 3)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3404 내의 자원이 앵커 기지국 전송을 위해 사용될 것임을 중계 노드에 알린다.
중계 노드 3411은 자신의 서브프레임 3405의 갭 영역 3406에서 PDCCH 수신을 시도한다. 성공적인 PDCCH 수신 시, 중계 노드는 자신의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T-3)개 심벌들 동안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PDSCH 전송을 수신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중계 노드는 UE 세트2 내의 임의의 UE들에 대해 PDCCH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 3405 내의 마지막 (T-3)개의 심벌들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PDSCH를 수신할 수 있는 갭 영역 3408이 되도록 효율적으로 구성한다.
앵커 기지국 3409는 중계 노드로 PDCCH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 3403의 외측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 3402내에서 34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UE 세트1 내의 UE들의 세트에 대해 PDCCH 3412를 전송한다. 이 PDCCH는 UE 세트1 내의 관련된 UE들에게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3404내에서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PDSCH 전송을 알린다.
앵커 기지국 3409는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3404의 자원을 통해 UE 데이터를 포함하는 PDSCH 3414를 UE 세트1의 UE 3413로 송신할 뿐만 아니라 백홀 데이터를 포함하는 PDSCH 3415를 중계 노드 1411로 송신한다. PDSCH 수신 동작들은 중계 노드 및 UE 세트1 내의 각각의 UE들에서 발생한다.
본 예에서, 앵커 기지국 3409는 UE 세트1 내의 중계 노드 및 UE들에 대한 동시적인 PDSCH 전송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 영역 3404를 구성한다. 이러한 전송은 예를 들어 앵커 기지국에서 송신 안테나 어레이의 사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 사이의 공간적 분리를 이용하여 UE들과 중계 노드에 동시 전송을 가능하게 하면서, UE와 중계 노드에서 전송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 가능한 수신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한 동시 전송을 위한 앵커 기지국 능력이 없는 경우, 앵커 기지국은 PDSCH를 중계 노드 또는 UE 세트1 내의 UE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9b는 도 29a와 같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노드로의 동일한 백홀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스케줄링 PDCCH에 대응하는 PDSCH와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의 스케줄링 PDCCH에 대응하는 PUSCH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예시 1B: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 백홀 데이터 전송
도 30a 내지 도 30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29a 내지 도 29c의 예시적인 동작과 매우 유사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PDSCH 전송을 통해 백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더하여, 중계 노드는 UE 세트2 내의 UE들, 즉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UE 세트로부터의 상향링크 PUSCH 및 A/N(Ack-Nack) 전송도 수신한다. 여기서, A/N 송신은 중계 노드로부터의 이전 하향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UE로부터 A/N을 전달한다..
본 예에서의 앵커 기지국 동작들은 이전의 예시 1a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중계 노드 동작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르다.
이 예에서, 중계 노드 3411은 서브프레임의 영역 3404에서 중계 노드에게 PDSCH 전송에 관해 알려주는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된 PDCCH 3403를 수신한 후, UE 세트2의 단말들로부터의 PUSCH 전송을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영역으로서 서브프레임 3405의 마지막 (T-3) 심벌들에 영역 3408을 설정한다. 그 후, 하향링크 제어 영역 3407 내의 PDCCH 3416를 UE 세트2 내의 예시적인 UE 3418로 송신한다. 이 동작은 또한 3417에 의해 도시된다. PDCCH 3417은 영역 3408에서 PUSCH를 송신하도록 단말 3418에 지시한다.
본 예에서, 중계 노드 3411은 동시에 UE 세트2 내의 UE로부터의 PUSCH 전송뿐만 아니라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PDSCH 전송을 수신한다. 앵커 기지국에 의한 UE 세트1 내의 UE뿐만 아니라 중계 노드로의 동시 전송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중계 노드에서의 수신 안테나 어레이의 사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중계 노드에서의 수신 신호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앵커 기지국 및 UE들로부터의 공간적 분리를 이용함으로써 앵커 기지국 및 각각의 UE들로부터의 동시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 2: 중계 노드에서 앵커 기지국으로 백홀 데이터 전송
도 31a 내지 도 31c는 앵커 기지국이 중계 노드로부터 백홀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중계 노드에 연결된 UE들의 세트인 UE 세트1 내의 UE들로 하향링크 상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앵커 기지국 및 RN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도 30a 내지 도 30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앵커 기지국은 3509는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501의 마지막 (T-3)개의 심벌들을 상향링크 영역 3504, 즉 중계 노드로부터뿐만 아니라 UE 세트1 내의 UE들로부터의 전송들을 수신하는 영역으로 구성한다.
앵커 기지국 3509는 3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제어 영역 3502의 첫번째 심벌에서 중계 노드 3511로 PDCCH 3510을 전송한다. PDCCH는 이 동작 예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1) Transmission_Code 파라미터,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다가오는 송신이 있는지 중계 노드에 지시한다. 2) Action_Time_Start 및 Action_Time_End 파라미터는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이 현재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시작하고 끝날 것을 중계 노드에 알린다. 3) Resource_Allocation 파라미터, 상향링크 영역 3504 내의 자원이 앵커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중계 노드에 의해 사용될 것이라는 것을 중계 노드에 알린다.
앵커 기지국 3509는 중계 노드로 PDCCH를 송신하는 영역 3503 외의 하향링크 제어 영역 3502에서 PDCCH 3512를 35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 세트1의 UE 세트 3513로 전송한다. 이 PDCCH는 상향링크 영역 3504에서 앵커 기지국에 대해 PUSCH 및/또는 A/N 전송을 해야 한다는 것을 UE 세트1 내의 관련 UE들에게 알린다.
중계 노드 3511은 자신의 서브프레임 3505의 갭 영역 3506에서 PDCCH 수신을 시도한다. 성공적인 PDCCH 수신 시, 중계 노드는 자신의 서브프레임 3505의 마지막 (T-3)개의 심벌 동안에 상향링크 데이터를 앵커 기지국에 송신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한다; 이 데이터는 UE 세트2의 UE들로부터의 수신 후에 중계 노드에 의해 버퍼링 된다. 중계 노드는 UE 세트2의 UE들에 대해 PDSCH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노드는 자신의 SF 3505의 마지막 (T-3)개의 심벌들을 하향링크 영역으로서 구성하고, UE 세트2 내의 UE로부터의 PUSCH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하향링크 제어 영역 3507에서 PDCCH 3516를 UE 세트2 내의 예시적인 UE 3518로 송신한다. 이 동작은 또한 3517에서 도시되었다. PDCCH 3517는 중계 노드가 영역 3508 내에서 PDSCH를 UE로 전송할 것을 UE 3518에 지시한다.
그 다음, 중계 노드 3511은 백홀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 3515를 앵커 기지국 3509에 전송하면서, 앵커 기지국 자원 3504 및 3508을 통해 UE 세트2 내의 예시적인 UE 3518에 동시에 전송한다. UE 세트1의 UE, 그 예가 UE 3513인 경우,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 3504의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앵커 기지국 3509로 PUSCH 및/또는 A/N를 송신한다.
본 예에서, 앵커 기지국 3409는 중계 노드로부터 뿐만 아니라, UE 세트1 내의 UE들 모두로부터 PUSCH 전송을 수신하는 반면, 중계 노드 3511은 UE 세트2의 UE들 및 앵커 기지국으로 동시에 PUSCH 및 PDSCH 전송을 수행한다. 실시 예 1a 및 1b에서, 이러한 동시 수신 및 송신은 예를 들어, 각각 앵커 기지국 및 중계 노드에서 수신 및 송신 안테나의 어레이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1b는 도 31a의 서브프레임에서 앵커 기지국에서 중계 노드로의 PDCCH 전송의 일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앵커 기지국 서브프레임의 스케줄링 PDCCH에 대응하는 PUSCH와 중계 노드 서브프레임의 스케줄링 PDCCH에 대응하는 PDSCH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이러한 동시 수신을 위한 앵커 기지국 능력이 없는 경우, 앵커 기지국은 자신의 서브프레임을 중계 노드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앵커 기지국은 UE 세트1에 어떠한 PDCCH 전송도 하지 않으므로, 중계 노드로부터의 PUSCH 수신을 위해 앵커 기지국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영역을 효과적으로 예약(reserve)한다.
유사하게, 이러한 동시 전송을 위한 중계 노드 능력이 없는 경우, 중계 노드에만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중계 노드는 UE 세트2 내의 임의의 UE들에 PDCCH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RN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T-3)개의 심벌들을 앵커 기지국으로 PUSCH를 전송하는 갭 영역이 되도록 효과적으로 구성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중계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타이밍 및 상기 제2 타이밍은 정렬되며,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3 타이밍 및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4 타이밍을 확인하고, 상기 제3 타이밍 및 상기 제4 타이밍은 정렬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3 심벌을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4 심벌을 수신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은, 상기 중계 노드로 다음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들의 발생 주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axcknowledge/no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제어 채널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는, 상기 최소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자원 구성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자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정렬하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중계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송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3 타이밍 및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4 타이밍을 확인하고, 상기 제3 타이밍 및 상기 제4 타이밍은 정렬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3 심벌을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4 심벌을 수신하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은, 상기 중계 노드로 다음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들의 발생 주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axcknowledge/no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제어 채널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는, 상기 최소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중계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밍 및 상기 제2 타이밍은, 정렬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3 타이밍 및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4 타이밍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3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4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타이밍 및 상기 제4 타이밍은, 정렬되는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은, 상기 중계 노드로 다음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들의 발생 주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axcknowledge/no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제어 채널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는, 상기 최소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방법.
  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지원하는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1 타이밍 및 억세스 링크(access link)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타이밍을 정렬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중계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심벌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심벌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3 타이밍 및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4 타이밍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3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4 심벌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타이밍 및 상기 제4 타이밍은, 정렬되는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은, 상기 중계 노드로 다음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들의 발생 주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링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axcknowledge/no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제어 채널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자원 위치는, 상기 최소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8.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의 송신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001977A 2016-01-14 2017-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1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276 WO2017122977A1 (en) 2016-01-14 2017-01-0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fied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780011334.0A CN108702199B (zh) 2016-01-14 2017-01-09 支持无线通信系统中的统一无线回程和接入网络的设备和方法
EP17738606.7A EP3403340A4 (en) 2016-01-14 2017-01-09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UNIFORM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8594P 2016-01-14 2016-01-14
US62/278,594 2016-01-14
US201662334001P 2016-05-10 2016-05-10
US62/334,001 2016-05-10
US15/335,346 US10440688B2 (en) 2016-01-14 2016-10-26 Frame structures and signaling techniques for a unified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network
US15/335,346 2016-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436A true KR20170085436A (ko) 2017-07-24
KR102613675B1 KR102613675B1 (ko) 2023-12-14

Family

ID=5931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977A KR102613675B1 (ko) 2016-01-14 2017-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0688B2 (ko)
EP (1) EP3403340A4 (ko)
KR (1) KR102613675B1 (ko)
CN (1) CN10870219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540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 액세스 및 백홀 노드의 송수신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KR20200052885A (ko) * 2017-09-15 2020-05-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제어 리소스 세트 멀티플렉싱
KR20200082319A (ko) * 2018-12-28 2020-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직교 다중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48549A (ko) * 2018-08-31 2021-05-03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US11425629B2 (en) 2018-04-06 2022-08-23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7520A1 (en) * 2015-08-11 2017-02-16 Kyocera Corpor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unconnected base stations
US9986458B2 (en) * 2015-08-27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constrained backhaul availability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core network
GB201520008D0 (en) * 2015-11-12 2015-12-30 Telens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network
WO2017150944A1 (ko) * 2016-03-03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681633B2 (en) * 2016-04-05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subframe struct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8008878A1 (ko) * 2016-07-04 201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식 릴레이 노드를 위한 동기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28852B2 (en) 2016-07-18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ower utilization for enhanced component carriers
US10631329B2 (en) * 2016-08-12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Non-coherent joint transmission techniques
US10334533B2 (en) * 2016-11-02 2019-06-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on-orthogonal desig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for a 5G air interface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faces
US11283575B2 (en) 2016-11-10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generation for systems supporting mixed numerologies
US10098138B1 (en) * 2016-12-06 2018-10-09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scheduler
US11601820B2 (en) * 2017-01-27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control channel for shared spectrum
BR112019021979A2 (pt) * 2017-04-20 2020-05-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aparelho de transmissão de sinais/informações de link superior periódicos
CN108811097B (zh) * 2017-05-02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指示方法及通信设备
US11528749B2 (en) * 2017-06-08 2022-12-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backhaul network
US11102785B2 (en) * 2017-10-12 2021-08-24 Airspan Ip Holdco Llc Apparatus and method selecting a base station in a network
US10708854B2 (en) 2017-10-12 2020-07-07 Airspa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nfigur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US10616824B2 (en) 2017-11-03 2020-04-07 Airspa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nfigur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DE102017127469B4 (de) * 2017-11-21 2019-09-05 Hytera Mobilfunk Gmbh Kommunikationssystem, Master-Basisstation, Relais-Basisstation und leitungsgebundene Schnittstelleneinheit für ein digitales Funknetz
US11523388B2 (en) * 2017-11-30 2022-12-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haul in 5G networks
GB2568943B (en) * 2017-12-01 2022-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and non terrestrial networks
TWI661740B (zh) * 2017-12-01 2019-06-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多基站協調系統和方法
EP4236568A3 (en) * 2018-02-22 2023-10-25 KDDI Corporation Control device for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relay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program
US11064392B2 (en) * 2018-03-15 2021-07-1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between access and backhaul communication links
CN110418413B (zh) * 2018-04-28 2022-09-23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中继技术的信号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US10700775B2 (en) 2018-05-11 2020-06-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source coordination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WO2019222945A1 (en) * 2018-05-23 2019-11-28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haul link selection
CN110691416B (zh) * 2018-07-05 2023-06-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和装置
US11197246B2 (en) 2018-08-02 2021-12-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wer control enhancements for multi-hop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CN112235751A (zh) * 2018-08-31 2021-01-1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KR20200032560A (ko) *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345322A1 (en) * 2018-09-27 2021-11-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US10757700B2 (en) 2018-10-07 2020-08-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rame structur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links in advanced networks
WO2020091650A1 (en) * 2018-10-30 2020-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transmit timings
US11330639B2 (en) * 2018-11-01 2022-05-10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backhaul random access channel
WO2020112811A1 (en) * 2018-11-29 2020-06-04 Intel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in iab networks
CN111432500B (zh) * 2019-01-10 2023-12-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信号的传输方法、用户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491387B (zh) * 2019-01-28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数据传输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WO2020221562A1 (en) * 2019-05-02 2020-11-05 Sony Corporation Method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10805876B1 (en) * 2019-05-24 2020-10-13 Sprint Spectrum L.P. Selecting a backhaul carrier for a relay node
CN112751593B (zh) * 2019-10-29 2022-08-0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US11019542B1 (en) * 2020-02-13 2021-05-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dynamic spectrum aggreg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20046618A1 (en) * 2020-08-04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ime and/or frequency domain reconfiguration of a forwarded signal using a repeater node
CN114244636A (zh) * 2020-09-09 2022-03-25 艾锐势企业有限责任公司 网关设备、无线扩展器、方法、装置和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0139A1 (en) * 2008-09-30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299614A1 (en) * 2008-06-15 2011-12-08 Hak Seong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221A2 (ko) * 2009-02-16 2010-08-19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326347B (zh) 2009-02-20 2016-07-06 Lg电子株式会社 在中继通信系统中分配回程链路的参考信号的方法和使用该方法发送/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KR101750371B1 (ko) * 2009-12-24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tdd 통신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을 정의하는 방법
WO2011112015A2 (en) * 2010-03-11 201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ceiving signal at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8744340B2 (en) * 2010-09-13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timing in a repeater
CN102685755B (zh) * 2011-03-07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频谱资源共享使用的方法及系统
CN103609056A (zh) * 2011-03-08 2014-02-26 阿尔卡特朗讯公司 减少异构网络中的断网的方法
US9094119B2 (en) 2011-07-06 2015-07-28 Huei Meng Chang Communications network for retransmission of signals
WO2013023093A2 (en) 2011-08-11 2013-02-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le-input and multiple-ouptut (mimo) enhancement for backhaul relays
US9515799B2 (en) 2011-09-29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low-cost machine typ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AU2012369545B2 (en) * 2012-02-09 2016-08-04 Nfluids Inc. Novel nanoparticle-containing drilling fluids to mitigate fluid loss
CN104219716B (zh) * 2013-05-31 2018-05-04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异构tdd中继网络中基于asa辅助的干扰协调方法
US9722720B2 (en) * 2014-07-29 2017-08-01 Nec Corporation Scaling wireless full duplex in multi-cell networks with spatial interference alignment
US9621294B2 (en) * 2014-10-02 2017-04-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ment of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with adaptive reduced-power almost blank subframes based on neighbor cell profile data
US10383136B2 (en) * 2015-08-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 apparatus for backhaul and access link scheduling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and synchronized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9614A1 (en) * 2008-06-15 2011-12-08 Hak Seong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80139A1 (en) * 2008-09-30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885A (ko) * 2017-09-15 2020-05-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제어 리소스 세트 멀티플렉싱
US11425629B2 (en) 2018-04-06 2022-08-23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729705B2 (en) 2018-04-06 2023-08-15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210048549A (ko) * 2018-08-31 2021-05-03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WO2020091540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 액세스 및 백홀 노드의 송수신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KR20200082319A (ko) * 2018-12-28 2020-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직교 다중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3340A4 (en) 2019-01-09
EP3403340A1 (en) 2018-11-21
US10440688B2 (en) 2019-10-08
CN108702199A (zh) 2018-10-23
US20170208574A1 (en) 2017-07-20
CN108702199B (zh) 2021-07-20
KR102613675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6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49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in advanced MIMO communication systems
US11252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resource set configuration for common control
US10652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 mapping and rate matching for 5G next radio system
US10200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5103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90194B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09131A1 (en) Beam indication channel in a multi-beam system
US10142068B2 (en) Methods and device for communications of OFDM signals over wideband carrier
TWI479908B (zh) 無線通訊系統中細胞間干擾協調技術
US9794968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pparatus, local area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201208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mary uplink shared channel hopping in a wireless network
WO202000389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90622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50651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71736A (ko)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전용 레퍼런스 신호
CN112913284A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20210307037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40039601A1 (en) Iterative precoder computation and coordination for improved sidelink and uplink coverages
US1167752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RU27732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язи
US20230396347A1 (en) Delay pre-compens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24072A1 (e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to repeater conversion
WO20230921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dm-rs ports for 5g mu-mimo transmission
KR202300733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