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816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816A
KR20170084816A KR1020160004121A KR20160004121A KR20170084816A KR 20170084816 A KR20170084816 A KR 20170084816A KR 1020160004121 A KR1020160004121 A KR 1020160004121A KR 20160004121 A KR20160004121 A KR 20160004121A KR 20170084816 A KR20170084816 A KR 20170084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etal plate
management unit
battery p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완
스스무 세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816A/ko
Publication of KR2017008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64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ith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Abstract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 및 배터리 관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면에 접합되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금속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접합되되, 상기 제1 금속판의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되는 제2 금속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통신 단자 없이도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모바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PDA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2차 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 이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금속 리튬 전지, 공기 아연 축전지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는 셀 형태로 제작된 후, 충방전 회로와 합쳐져서 배터리 팩을 구성하며, 배터리 팩에 설치되는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 또는 부하에 의한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진다.
2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관리부(Battery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2차 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2차 전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에는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펌 웨어(Firmware)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펌 웨어는 주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펌 웨어 등의 업데이트 등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RS485, RS422 및 RS232 등의 유선 통신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별도의 통신 단자가 구비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통신 단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과 외부의 통신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통신 단자가 시스템의 특성 상 구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팩 케이스를 분리하여 펌 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케이스를 다시 결합하는 작업을 요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팩 케이스의 실링(Sealing)이 나빠지고, 방수 성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통신 단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와 통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 및 배터리 관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면에 접합되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금속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접합되되, 상기 제1 금속판의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되는 제2 금속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접합되어 캐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19.8 μF 이상 24.2 μF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금속판은 상기 배터리 팩 외부의 통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을 통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배터리 관리부 간의 통신 신호는 주기적으로 로우 레벨 (low level)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가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입력단이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노드가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구동 전압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애노드가 접지와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통신 단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와 통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부와 통신 장치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고 완벽해지며,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완벽하게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고, 이에 대하여 중복하여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팩(10)은 배터리(11)와 배터리 관리부(12)를 포함한다. 배터리(11)는 전력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셀은 충전 및 방전 가능하다.
예컨대, 배터리 셀은 니켈-카드뮴 전지(nickel-cadmium battery),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bydride battery), 리튬-이온 전지(lithium-ion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2)는 배터리(11)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증하는 역할을 하며, 배터리 헬의 전압, 출력 전류 및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팩(10)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부(12)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시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며, 배터리 셀 간의 전압을 균일하여 유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및 배터리(11)의 수명을 높여준다.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11)를 형성하는 경우, 그 중 한 개의 배터리 셀이라도 고장이 나거나 열화되면, 배터리 팩(10)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부(12)는 개개의 배터리 셀에 대한 과충전, 과방전, 과열을 막고 이들을 최적화 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팩(10)은 배터리(11)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 스위치(SW1)와 방전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SW1)는 배터리(11)가 과충전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12)에 의해 턴-오프(turn-off)되어 배터리(11)로 공급되는 충전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팩(10) 전체를 과충전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방전 스위치(SW2)는 배터리(1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보호 전압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12)에 의해 턴-오프되어, 배터리(11)로부터 출력되는 방전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팩(10)을 과방전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 스위치(SW1)와 방전 스위치(SW2)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FET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팩 단자(P+, 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 단자(P+, P-)를 통해 배터리 팩(10)은 충전 장치(미도시) 및/또는 부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팩 단자(P+, P-)에 충전 장치가 연결되고, 충전 스위치(SW1)가 턴-온(turn-on)되면,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11)에 저장된다.
또한, 배터리 팩 단자(P+, P-)에 부하가 연결되고, 방전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배터리(11)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부하로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11)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배터리(11)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충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팩(100)이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크기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관리부(110), 하우징(120), 제1 금속판(130) 및 제2 금속판(140)을 포함한다. 배터리 관리부(110)는 배터리(1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11)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팩 단자, 상기 배터리 팩 단자와 배터리(11) 사이에 연결되는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10)는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1)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10)는 배터리(11)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전압, 출력 전류의 크기, 온도 등을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한 정보를 바탕으로 배터리(11)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잔여 수명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배터리(11)와 배터리 관리부(110)를 수용하는 케이스(case)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배터리 팩(100)과 충전 장치 또는 부하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 팩 단자는 하우징(12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판(130)은 하우징(120)의 내측 일면에 접합되며, 배터리 관리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금속판(140)은 하우징(120)의 외측 일면에 접합되며, 제1 금속판(130)의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된다.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은 서로 동일한 두께, 길이 및 넓이를 갖는 동일한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하우징(120)의 내측과 외측에 접합된다. 이때,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하우징(120)에 접합되어,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이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성상, 배터리 팩에 통신 단자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펌 웨어(Firmware)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 팩 케이스, 즉 도 2의 하우징(120)을 분리해야 한다.
이때, 케이스 실링(sealing)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방수 성능 약화 및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턴스는 배터리 팩(100)과 외부의 통신 장치(미도시)의 통신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통신 단자를 포함하지 않는 배터리 팩 환경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이 접합되는 하우징(120)은 부도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약 22 μF 이며, 오차를 고려하여 19.8 μF 이상 24.2 μF 이하의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턴스의 크기를 만족하기 위하여,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 사이에 개재되는 유전체의 유전율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하며,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부와 통신 장치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배터리 팩(100)의 하우징(120), 그리고 하우징(12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접합되는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을 도시하며, 제1 금속판(130)과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부(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10), 제2 금속판(140)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를 도시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배터리 관리부(110)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펌 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 등 통신이 필요한 경우, 배터리 관리부(11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20) 외부에 접합되는 제2 금속판(140)을 통해 배터리 관리부(110)와 외부 통신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을 통하여 배터리 관리부(110)와 통신 장치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부(110)는 통신 장치로부터 펌 웨어 등의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는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는 제1 저항(R1)과 인버터(Inv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되는 통신 회로는 외부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이며, 상기 제1 저항(R1)과 상기 인버터(Inv2)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하우징(120)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R1)은 제1 단자가 제1 금속판(130)과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접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Inv2)는 입력단이 제1 금속판(130)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배터리 관리부(BMS)와 연결된다.
도 4의 회로도에 도시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는 도 2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 금속판(130)과 제2 금속판(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제1 저항(R1)의 제1 단자 및 상기 인버터(Inv2)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면은 제1 금속판(130)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신 장치(Communicatio Device)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의 통신 신호는 인버터(Inv1)에 의하여 교류 신호로 변환되고, 캐패시턴스(Capacitance)에 축적된다. 캐패시턴스(Capacitance)에 축적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는 상기 인버터(Inv2)에 의해 다시 직류 신호로 변환되어 배터리 관리부(BMS)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와 배터리 관리부(BMS) 사이에 전송되는 통신 신호는 주기적으로 로우 레벨(low level)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하이 레벨(high level)의 통신 신호가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저항(R1)은 상기 통신 신호를 주기적으로 로우 레벨로 만들기 위하여 일단이 접지와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는 통신 회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 회로에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가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구동 전압(VDD)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가 접지와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다이오드(D1) 및 상기 제2 다이오드(D2)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인버터(Inv2)와 제1 저항(R1)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팩 내부, 즉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오드(D1)와 상기 제2 다이오드(D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구동 전압에 의해 상기 통신 회로에 역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 전압(VDD)은 배터리 관리부(BMS) 및 인버터(Inv1, Inv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는 통신 회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 회로와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인버터(Inv3, Inv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되는 통신 회로는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관리부(BMS)에서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로 이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부(BMS)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회로는 입력단이 배터리 관리부(BMS)와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1 금속판과 연결되는 제4 인버터(Inv4), 입력단이 제2 금속판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와 연결되는 제3 인버터(Inv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회로는 제1 단자가 제2 금속판 및 상기 제3 인버터(Inv3)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는 제2 저항(R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인버터(Inv4)는 배터리 관리부(BMS)에서 출력되는 직류의 통신 신호를 교류로 변환하고, 상기 제3 인버터(Inv3)는 교류의 통신 신호를 다시 직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저항(R2)은 상기 통신 신호를 주기적으로 로우 레벨(low level)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의 통신 회로에 포함되는 소자 중 상기 제3 인버터(Inv3)와 상기 제2 저항(R2)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과 상기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를 연결하기 위한 회로이며, 상기 배터리 팩 내부, 즉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은 아니므로, 배터리 관리부(BMS)가 상기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로부터 일방적으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6의 통신 회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구동 전압에 의해 역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0: 배터리 팩 11: 배터리
12, 110: 배터리 관리부 120: 하우징
130: 제1 금속판 140: 제2 금속판

Claims (7)

  1.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 및 배터리 관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면에 접합되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금속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접합되되, 상기 제1 금속판의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되는 제2 금속판;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접합되어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19.8 μF 이상 24.2 μF 이하인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판은 상기 배터리 팩 외부의 통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을 통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배터리 관리부 간의 통신 신호는 주기적으로 로우 레벨 (low level)을 갖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자가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입력단이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상기 제1 금속판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구동 전압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애노드가 접지와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60004121A 2016-01-13 2016-01-13 배터리 팩 KR20170084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21A KR20170084816A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21A KR20170084816A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816A true KR20170084816A (ko) 2017-07-21

Family

ID=5946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21A KR20170084816A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48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464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RE42592E1 (en) Battery pack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312196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3102496U (ja) 二次電池回路装置
US9917451B2 (en) Battery pack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72472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관리부, 및 배터리 시스템
JP3572793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該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H04331425A (ja) 過充電防止装置、過放電防止装置、過充電・過放電防止装置、プリント基板並びにバッテリーパック
EP2317597B1 (en) Battery pack
JP7130907B2 (ja) メインバッテリー及びサブバッテリー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バッテリ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75393B1 (ko) 외장 배터리
CN103580096B (zh) 用于电池的直接电池单元连接的系统和方法
EP2947470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50057732A (ko)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KR20150116269A (ko)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JP2013162597A (ja) 組電池放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組電池放電制御方法
KR20150107032A (ko) 배터리 팩
US20200185784A1 (en) Battery pack
TWI801484B (zh) 鋰離子電池系統與功率控制系統
US20210043914A1 (en) Battery pack
EP3928409A1 (en) Reverse polarity protected battery module
EP1391021B1 (en) Power supply
KR20170084816A (ko) 배터리 팩
KR101925843B1 (ko) 배터리팩의 용량을 가변하는 시스템
KR102161289B1 (ko) 외장 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