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736A -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736A
KR20170083736A KR1020160002985A KR20160002985A KR20170083736A KR 20170083736 A KR20170083736 A KR 20170083736A KR 1020160002985 A KR1020160002985 A KR 1020160002985A KR 20160002985 A KR20160002985 A KR 20160002985A KR 20170083736 A KR20170083736 A KR 20170083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information
patient
prescription
t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준
배고은
Original Assignee
배형준
배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준, 배고은 filed Critical 배형준
Priority to KR102016000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736A/ko
Publication of KR2017008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7/30867
    • G06F19/32
    • G06F19/345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질병을 치유하는데 사용되는 의약품 관련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환자 처방전의 처방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하여 다수의 관련 질병 명을 추출해내고, 여기서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해당 질병의 원활한 치유와 재발 방지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customized diseases information from prescription of patient}
이 발명은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 처방전에서 처방된 다수의 의약품에 대해, 단순 복약지도 정보를 넘어,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질병 명을 추출하고 여기서 추출된 질병 명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분업 하에서 환자는,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아 투약이 필요한 경우 처방전을 발급받고 진료비 수납 후 발급받은 처방전을 약국에 제시하여 조제한 처방약을 제공받고 약값을 수납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는 병의원에서 처방한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의약품을 받을 때, 약사로부터 복용 방법 등에 대해 구두로 설명을 듣거나 내용이 인쇄된 형태로 함께 제공받고 있는데, 이와 같이 의약품 조제 및 판매에는 해당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약품의 복약지도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는 의약품의 명칭, 용량용법, 효능효과, 저장방법, 부작용과 부작용 발생 시 조치요령, 상호작용, 복약 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약국에서는 병의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기초로 약 조제를 수행하고, 약 조제 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지도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특허공개 제2012-00084998호(발명의 명칭 :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의료기관 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토대로 약국 측 단말에서 약 조제를 수행하고, 전자 처방 서비스 장치에서 약 조제 정보에 대응하여 복약지도 정보를 환자 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복약지도 정보를 기초로 환자는 조제된 약에 대해 항생제, 해열제, 진통제, 소화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환자가 약을 먹고 나서 병의 증상 호전 정도나 부작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환자 측 단말로 전송된 복약지도 정보를 통해, 환자는 조제된 약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약의 오남용에 따른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약국에서는 약사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복약지도 정보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세밀한 복약지도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약사의 복약지도는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약품에 대한 성상, 작용, 부작용 및 복용 시 주의사항 등에 한정하여 이루어지므로, 환자의 질환에 따른 보다 구체적이면서 질병을 극복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예를 들어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와 같이 질환의 증상 및 이후 진행에 따른 예상과 같은 정보와, 이러한 질환 및 복용 약물로 인해 필요하게 되는 영양소 및 복용 이유, 먹어야할 음식물과 피해야 할 음식물 각각에 대한 이유 등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허공개 제2012-00084998호(발명의 명칭 :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이 발명은 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질병을 치유하는데 사용되는 의약품 관련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환자 처방전의 처방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하여 다수의 관련 질병 명을 추출해내고, 여기서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해당 질병의 원활한 치유와 재발 방지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은,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고려되는 진료 정보는, 환자를 진료한 특정 병원, 특정 과, 특정 의사, 환자의 나이, 성별,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처방일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추출되는 토픽의 순위 값과 출력 순서를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갖는 이 발명의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환자처방전의 처방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하여 다수의 관련 질병 명을 추출해내고, 추출된 다수의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한 우선순위를 설정 및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그에 대한 토픽을 추출 및 출력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인 약사가 단순히 질병을 치유하는데 사용되는 의약품 정보의 제공을 넘어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병을 근거로 해당 질병에 관한 설명, 생활습관, 식이요법, 운동요법, 필요한 영양소 등의 내용이 포함된 토픽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게 하여 해당 질병의 원활한 치유 및 재발을 방지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해결 수단을 갖는 이 발명의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약사)의 의도, 토픽에 대한 선호도, 원하지 않는 토픽들이 있는 경우 등 약사의 목적과 약국의 환경에 따라 다수의 질환 중에서 고도의 설명과 관련 정보제공이 필요한 질환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다수의 질환이 선택될 경우 토픽의 순위 값을 설정하거나 변경함으로써, 환자에게 해당 질환의 설명을 통해 기본적인 질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근거로 필요한 음식, 영양소, 생활요법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도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자처방 서비스 및 복약지도 정보의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에 추출한 질병 명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적용되는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 중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적용되는 해당 질환 별 질병점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우선순위가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위 2개 질환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선택된 해당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상위 2개 질환의 토픽을 추출 및 출력, 순위값과 출력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서 추출 및 출력되는 토픽 정보의 실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포함되고,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와, 모니터 및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를 구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와, 제어부(120)와, 저장부(130) 및 출력부(14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의사의 의료 진단정보로서 처방 의약품, 질병 분류기호, 진료과, 복용법, 환자의 나이, 성별,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처방일수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처방전의 정보를 환자로부터 제공받아 입력하며, 병의원으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해 전송받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환자 처방전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130)의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토픽 정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하여 관련된 다수의 질병 명을 추출해내고,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 및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며, 선택된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0)는,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과 선택 질병 명 토픽추출 및 출력모듈(122)을 포함한다.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처방전 정보 중에서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정보로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진료과를 주로 고려하여 질병 명을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상기의 진료정보는 사용자(약사)의 판단에 따라 환자를 진료한 특정 병원, 특정 과, 특정 의사, 환자의 나이, 성별,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처방일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은, 다수의 질병 명이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질병 명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에서 우선순위가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하나 이상 선택하는데,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질병 명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 질병 명 토픽추출 및 출력모듈(122)은,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 선택된 질병 명의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약사)에 의해 추출된 질병 별 토픽의 순위 값과 출력 순서를 변경,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게 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토픽은, 사용자인 약사가 환자에게 해당 질환의 설명을 통해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병의 기본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이와 관련하여 해당 질병의 원활한 치유 및 재발을 방지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생활습관, 식이요법, 운동요법, 필요한 영양소 등이 포함된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와 토픽 정보 데이터베이스(132) 그리고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에 따른 질병 명 관련 정보와,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 추출된 다수의 질병 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질환 별 질병점수 그리고 상기 질환 별 질병점수에 따라 선택된 다수의 질병 명을 저장한다.
상기 토픽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는, 상기 선택 질병 명 토픽추출 및 출력모듈(122)에서 출력되게 제공되는 질병 명 관련 토픽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 추출 선택된 다수의 질병 명에 관련되는 질병 별 토픽 정보를 모니터와 프린터 등으로 출력한다.
여기에는 토픽 정보와 관련 있는 의약품 또는 건강 보조식품, 운동 기구 등의 광고를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저장 및 토픽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에 추출한 질병 명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적용되는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 중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적용되는 해당 질환 별 질병점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우선순위가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위 2개 질환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선택된 해당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상위 2개 질환의 토픽을 추출 및 출력, 순위값과 출력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추출 및 출력되는 토픽 정보의 실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는, 도 3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정보를 고려하여 질병 명을 추출한다.(S31)
환자가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받기 위해 약국에 오면 처방전 접수를 하게 되는데, 이 때 입력부(110)를 통해 환자의 나이, 성별과 같은 개인정보, 처방전의 처방의약품, 처방일수, 질병분류기호, 진료과,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부(110)를 통한 처방전 정보의 입력은, 상황에 따라 병의원으로부터 제공받아 인터넷 등을 통해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 추출되는 질병 명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 종합정보센터에서 국내허가 의약품 5만여 개에 대해 성분별로 분류한 코드인 WHO기준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코드 또는 질병 분류기호를 이용하여 처방받은 사용 의약품의 약효에 따른 분류가 가능한 것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의약품이라도 진료과에 따라 질환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정보를 고려하여 질병 명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진료정보로서는 사용자(약사)의 판단에 따라 환자를 진료한 특정 병원, 특정 과, 특정 의사, 환자의 나이, 성별,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처방일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진료과를 고려하여 다수의 질병 명을,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어 있는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에 따른 질병 명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 S31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방 의약품과 관련 진료과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방번호 '6', 처방 의약품 '미카르디스 플러스 정 80/12.5㎎, 로디엔 정 2.5㎎, 마그네스 정, 씬지로이드정 0.1㎎'에 대해 진료과를 '신장내과'로 하여 '신장질환, 신장질환, 마그네슘, 갑상선'의 질병 명을 추출하고, 이후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는,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어 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수의 질병 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추출된 질병 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S32)
상기 단계 S32에서 설정된 질병 명의 우선순위는, '1. 신장질환(150)', '2. 갑상선(30)'그리고 '마그네슘(10)'으로 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수의 질병 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질환 별 질병점수는, 질환의 급만성 여부, 질환의 관심도, 질환의 관리 중요도에 근거하여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121)에서는,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어 있는 질환 별 질병점수에 따라 우선순위가 설정된 다수의 질병 명중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 점수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S33)
상기 단계 S33에서 선택된 상위 2개의 질병 명은, '1. 신장질환(150)'과 '2. 갑상선(30)'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 질병 명 토픽추출 및 출력모듈(122)에서는, 상기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어 있는 상위 점수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질병 명에 대한 토픽 정보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하여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화된 다양한 형태로 환자에게 제공되게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34)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토픽 주제와 출력 순서를 정하는 순위 값은, 환자가 토픽을 연속적으로 접함에 있어 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고유의 숫자로 부여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순위 값이 높을수록 먼저 출력하게 한다.
그리고 하나의 처방전 내에 다수 의약품이 혼재되어 있고 여기서 추출된 질환들이 다수 혼재할 경우에 질환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 중에서 상위 몇 개의 토픽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질환이 선택될 경우 그 중에서 고도의 설명과 관련 정보 제공이 필요한 질환을 사용자(약사)의 의도, 토픽에 대한 선호도, 원하지 않는 토픽들이 있는 경우와 같이 약국의 환경과 목적에 맞춰 선택할 수 있게 순위 값을 설정하여 토픽의 순서를 정할 수 있는데, 일부 순위값 변화에 따라 신장질환 토픽1이 우선 출력되지 않고 갑상선 토픽3이 우선 출력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추출되는 토픽의 일부 또는 전체 순위 값을 변경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출력의 순서 변화를 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토픽에 대한 순위 값을 최대값으로 하여 우선 출력하게 하여 환자에게 해당 질환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는데 있어 기본적인 질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근거로 필요한 음식, 영양소, 생활요법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환자에게 하단 또는 적당한 위치에 관련되는 광고를 포함시켜 의약품 관련 홍보 마케팅이 절실한 제약회사 또는 도소매업자들이 질병 관련 토픽 정보와 함께 효과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 있는 광고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서 추출 및 출력되는 토픽 정보의 실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으며, 제공하는 정보가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에 그치지 않고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병을 근거로 빠른 치유와 재발을 방지하면서 그 이후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21 : 질병 명 추출 및 선택모듈
122 : 선택 질병 명 토픽추출 및 출력모듈
130 : 저장부
131 : 질병 정보 데이터베이스
132 : 토픽 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 출력부

Claims (3)

  1. 환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에 대해 진료 정보를 고려한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질병 명에 대해, 해당 진료 정보의 질환 별 질병점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질병 명중에서 상위 점수부터 질병 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질병 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명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고려되는 진료 정보는, 환자를 진료한 특정 병원, 특정 과, 특정 의사, 환자의 나이, 성별, 처방 의약품의 보험급여 여부, 처방일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추출되는 토픽의 순위 값과 출력 순서를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60002985A 2016-01-11 2016-01-11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70083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85A KR20170083736A (ko) 2016-01-11 2016-01-11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85A KR20170083736A (ko) 2016-01-11 2016-01-11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36A true KR20170083736A (ko) 2017-07-19

Family

ID=5942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985A KR20170083736A (ko) 2016-01-11 2016-01-11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89B1 (ko) * 2020-09-24 2021-05-14 주식회사 라이프템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20117012A (ko) * 2021-02-16 2022-08-23 양은영 인공지능 기반의 약품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89B1 (ko) * 2020-09-24 2021-05-14 주식회사 라이프템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20117012A (ko) * 2021-02-16 2022-08-23 양은영 인공지능 기반의 약품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omon et al. Compliance with osteoporosis medications
Williams et al. Effective interventions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Jaarsma et al. Components of heart failure management in home care; a literature review
Kuehn SAMHSA: pain medication abuse a common path to heroin: experts say this pattern likely driving heroin resurgence
CN104584021A (zh) 一种智能选药的方法、系统和设备
KR101920466B1 (ko)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Lauffenburger et al. A call for a systems-thinking approach to medication adherence: stop blaming the patient
Ozgul et al. Opioids for cancer pain: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regulatory barriers in Turkey and Pallia-Turk Project
Davoodi et al. Mobile phone based system opportunities to home-based managing of chemotherapy side effects
Torpy et al. Energy drinks
CN111933247A (zh) 一种药物相互作用智能管理的方法、系统和设备
Schaffer et al. Comparison of prescrib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policy to reduce inappropriate alprazolam prescribing in Australia
Choi et al. Mobile-application-based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ischemic heart disease: a systematic review
Bachhuber et al. Effect of 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opioid analgesic dispense quantity defaults on the quantity prescribed: a clus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Phillips et al. A steep increase in domestic fatal medication errors with use of alcohol and/or street drugs
Mason et al. A concept analysis of oral anticancer agent self-management
CN112233765A (zh) 一种重复用药智能分析的方法、系统和设备
KR20170083736A (ko)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04503B1 (ko)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관련 질병의 추출 및 추출된 질병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Goemaere et al. Do patents prevent access to drugs for HIV in developing countries?
Forma et al. Impact of treatment-related discussions on healthcare resource use and costs among pat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Gould et al. Adherence devices in a community sample: how are pillboxes used?
EP40165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based digital therapeutic devices to predict food-drug constituent interaction
JP7412916B2 (ja) 服薬支援システム
Bhardwaj et al. Associations between the use of a real-time benefit tool and measures related to prescription obtainment found in order type sub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