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66A -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 - Google Patents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66A
KR20170082566A KR1020177015025A KR20177015025A KR20170082566A KR 20170082566 A KR20170082566 A KR 20170082566A KR 1020177015025 A KR1020177015025 A KR 1020177015025A KR 20177015025 A KR20177015025 A KR 20177015025A KR 20170082566 A KR20170082566 A KR 2017008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hingedly connected
carrier
part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이. 자헐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8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16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a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blank, and provided with vertical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90)가 하나의 일체형 블랭크(10)로부터 형성된다. 이 캐리어는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기본 패널들(14, 16, 18, 20)을 포함한다. 바닥 폐쇄 구조체(30b, 34b)는 관형 구조체의 하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기본 패널들 중 하나 이상(16, 20)은 손잡이(H1, H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보강 패널(30a, 34a)이 기본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칸막이 구조체(P1, P2)가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 연결되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셀로 분할하도록 관형 구조체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CARRIER AND BLANK THEREFOR}
본 발명은 캐리어 및 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더 구체적으로는 그 캐리어를 셀들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 구조체를 갖는 상부 개방된 상자 형태의 접힘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포장 분야에서, 소비자에게 다수의 1차 제품 용기들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이러한 멀티팩(multi-packs)은 선적 및 배포 및 판촉 정보의 표시를 위해 바람직하다. 비용 및 환경적 고려를 위해, 그러한 카톤 또는 캐리어는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한 한 형성되는 재료가 거의 낭비되지 않아야 한다.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포장의 강도와 무거운 물품을 들고 운반하는 데 있어서의 적복합이다.
개개의 1차 제품 용기를 각각 수용하는 셀들로 캐리어를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 구조체를 갖는 캐리어 또는 카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1차 제품 용기는 인접한 이웃들로부터 분리되거나 이격되며, 각 1차 제품 용기는 패키지가 이동될 때 인접한 1차 제품 용기들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소비자가 패키지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손잡이 구조체를 캐리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는 1차 제품 용기의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이러한 캐리어를 접힘 가능한 재료 시트,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재료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크기의 재료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캐리어의 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그러한 재료 시트의 면적 및 점유공간(footprint)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가 제공된다. 캐리어는 하나의 일체형 블랭크로 형성된다. 캐리어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상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힌지식으로(hingedly) 연결되는 복수의 기본 패널들(primary panels)을 포함한다. 바닥 폐쇄 구조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상 구조체의 하측 단부를 폐쇄한다.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면에 손잡이 보강 패널이 고정된다. 칸막이 구조체가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관형상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2 이상의 셀로 분할하도록 상기 관형상 구조체 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손잡이 보강 패널은 손잡이를 갖는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기본 패널들 중 제1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손잡이 보강 패널과,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제2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손잡이 보강 패널은 관형상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은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2 방향에서 분할하는 제3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제3 칸막이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 구조체는 캐리어를 관형 구조체로 세우는 것에 응답하여 캐리어 내에서 자동으로 설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체형 블랭크는 접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칸막이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잡이 보강 패널로부터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 내의 손잡이는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쿠션 플랩(cushioning flap) 및 파손 가능한 라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평면 밖으로 쿠션 플랩의 변위 시 손잡이 개구가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일체형 블랭크가 제공된다. 블랭크는 관형 구조체물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기본 패널들과, 관형 구조체의 하측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바닥 폐쇄 구조체를 포함한다.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손잡이를 갖는다. 블랭크는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 보강 패널을 추가로 포함한다. 칸막이 구조체가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블랭크가 캐리어로 조립될 때 카톤의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2 이상의 셀로 분할하기 위해 관형 구조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 내의 손잡이는 기본 패널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쿠션 플랩 및 취약선에 의해 그리고 기본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평면 밖으로 쿠션 플랩의 변위 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전술한 단락들, 청구범위 및 아래의 설명들 및 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시된 다양한 양태들, 실시예들, 예시들, 특징들 및 대안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는 것이 예상되고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특징의 호환성이 없지 않는 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일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 셀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블랭크의 조립 단계들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일부의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 셀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9의 블랭크의 조립 단계들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일부의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 셀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7의 블랭크의 조립 단계들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일부의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 셀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27 내지 도 31은 도 24의 블랭크의 조립 단계들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정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예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의 철저한 목록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실례, 표본, 모델 또는 패턴으로 기능을 하는 실시예를 언급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은 다양하고 대안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축척이 아니며 일부 특징부는 특정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과장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재료 또는 방법은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은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청구항의 기초로서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교시하는 대표적인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캔 또는 병(이하 물품이라 칭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1차 제품(미도시)을 보유하기 위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리어(카톤이라고도 함)를 형성할 수 있는 블랭크(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용어 "카톤(carton)" 및 "캐리어(carrier)"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비 제한적 목적을 위해, 1차적 제품 용기와 같은 물품을 결합(engaging), 운반 및/또는 분배하기 위한 용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교시는, 테이퍼형 및/또는 원통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양한 1차적 제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시적인 용기는, 병(예를 들어,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캔(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 통조림통(tins), 파우치, 패킷(packets) 등을 포함하지만, 1차적 제품 용기가 유리한 경우 특히 유익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블랭크(10, 110, 210, 310)는 적절한 기재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적절한 기재"는 페이퍼보드(paperboard), 골판지(corrugated board), 카드보드(cardboard), 플라스틱, 이것들의 조합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접을 수 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경우, 하나 또는 다른 수의 블랭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블랭크(10, 110, 210, 310)는 예시적인 물품의 예시적인 배열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배열은 2×2 행렬 또는 어레이이고, 물품(미도시)은 병이다. 대안으로, 블랭크(10, 110, 210, 310)는 다른 유형, 개수 및 크기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및/또는 다른 배열 또는 구성으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랭크(10)는 캐리어(90)(도 2 참조)의 벽들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여 일렬로 힌지식으로 연결된 다수의 기본 패널(12, 14, 16, 18, 20)을 포함한다. 블랭크(10)는 접는선(1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14)에 힌지 연결된 제1 고정 패널(12)을 포함한다. 제1 고정 패널(12)은 옵션이며 대안의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제1 단부 패널(14)은 접는선(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6)에 힌지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16)은 접는선(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18)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단부 패널(18)은 접는선(1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에 힌지 연결된다.
블랭크(10)는 제1 칸막이 구조체(P1)(후술함), 제2 칸막이 구조체(P2)(후술함) 및 제3 칸막이 구조체(P3)를 포함한다.
제2 측면 패널(20)은 제3 칸막이 구조체(P3)에 연결된다. 제3 칸막이 구조체(P3)는 접는선(2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에 힌지 연결된 제2 고정 패널(22)을 포함한다. 제3 칸막이 구조체(P3)는 접는선(23)과 같은 힌지 연결을 따라 제2 고정 패널(22)에 힌지 연결된 제3 칸막이 패널(24)을 포함한다. 제3 칸막이 구조체(P3)는 접는선(25)과 같은 힌지 연결을 따라 제3 칸막이 패널(24)에 힌지 연결된 제3 고정 패널(26)을 포함한다. 접는선(25)은 선택적으로 절단선(severance or cut line)(27)은 선택적으로 방해된다. 절단선(27)은 실질적으로 역 U자형이며, 제3 고정 패널(26)의 일부분이 제3 칸막이 패널(24)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즉 제3 고정 패널(26)의 상기 일부가, 절단선(27)이 생략된다면, 제3 칸막이 패널(24)의 일부를 형성할 재료로부터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제2 고정 패널(22), 제3 칸막이 패널(24) 및 제3 고정 패널(26)은 복수의 기본 패널(12, 14, 16, 18, 20)과 일렬로 이웃하여 힌지 연결된다.
블랭크(10)는 접는선(31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6)에 힌지 연결된 제1 베이스 패널(30b)을 포함한다. 블랭크(10)는 접는선(35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베이스 패널(34b)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패널(30b) 및 제2 베이스 패널(34b)은 셋업 캐리어(90)에서 복합 베이스 벽(30b/34b)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베이스 패널(30b, 34b)은 선택적으로 제1 베이스 패널(30b)을 제2 베이스 패널(34b)에 고정하기 위한 상보적 로킹 메커니즘을(locking mechanism)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 로킹 메커니즘은, 제1 베이스 패널(30b)로부터 돌출되고 그것에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제2 수컷 펀치 탭(M2) 및 제1 수컷 펀치 탭(M1)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 로킹 메커니즘은 또한 제2 베이스 패널(34b)로부터 돌출되고 그것에 힌지 연결된 제1 암컷 탭(F1) 및 한 쌍의 제2 암컷 탭(F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암컷 탭(F1, F2)은 제2 베이스 패널(34b)에 애퍼처들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수컷 펀치 탭(M1, M2)은 각각의 제1 및 제2 암컷 탭(F1, F2)을 카톤(90)의 내측으로 밀도록 카톤(90)의 내측으로 제1 베이스 패널(30b)의 평면 밖으로 변위된다. 제1 및 제2 수컷 펀치 탭(M1, M2)은 실질적으로 화살촉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암컷 탭(F1, F2)의 변위에 의해 제2 베이스 패널(34b) 내에 형성된 각각의 애퍼처들의 폭보다 큰 폭 치수를 갖는 어깨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수컷 펀치 탭(M1, M2)의 어깨부들은 제2 베이스 패널(34b)의 각각의 애퍼처들을 통과할 때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어 제1 및 제2 수컷 펀치 탭(M1, M2)의 각각의 나머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베이스 패널(30b)은 제2 베이스 패널(34b)에 잠금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패널(30b) 및 제2 베이스 패널(34b)은 각각 한 쌍의 애퍼처들(A6)을 포함한다. 애퍼처들(A6)은 복합 베이스 패널(30b/34b)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제1 베이스 패널(30b)과 제2 베이스 패널(34b)을 함께 정렬하고 조이기 위해 도구 또는 도구들이 애퍼처들(A6)과 맞물릴 수 있다.
블랭크(10)는 접는선(2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벽(14)의 상측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을 추가로 포함한다.
블랭크(10)는 접는선(3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벽(18)의 상측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을 포함한다.
제1 측면 패널(16)은 제1 손잡이 구조체(H1)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구조체(H1)는 그로부터 형성된 제1 손잡이 애퍼처(A1)를 갖는다. 제1 손잡이 애퍼처(A1)는 접는선(4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선택적 쿠션 플랩(40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측면 패널(20)은 제2 손잡이 구조체(H2)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 구조체(H2)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2 손잡이 애퍼처(A2)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 애퍼처(A2)는 접는선(41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선택적 쿠션 플랩(40b)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블랭크(10)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접는선(3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은 접는선(35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제3 손잡이 구조체(H3)를 포함한다. 제3 손잡이 구조체(H3)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3 손잡이 애퍼처(A3)를 포함한다. 제3 손잡이 애퍼처(A3)는 접는선(41c)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에 힌지 연결된 선택적인 쿠션 플랩(40c)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은 제4 손잡이 구조체(H4)를 포함한다. 제4 손잡이 구조체(H4)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4 손잡이 애퍼처(A4)를 포함한다. 제4 손잡이 애퍼처(A4)는 접는선(41d)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에 힌지 연결된 선택적인 쿠션 플랩(40d)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접는선(5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에 힌지 연결된 제1 칸막이 패널(52)을 포함한다. 제1 칸막이 패널(52)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로부터 돌출된다.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제4 고정 패널(50)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50)은 접는선(5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칸막이 패널(5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접는선(51)은, 제4 고정 패널(50)의 일부가 제1 칸막이 패널(52)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U"자형의 절단선(53)에 의해 차단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P2)는 접는선(6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에 힌지 연결된 제2 칸막이 패널(56)을 포함한다. 제2 칸막이 패널(56)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로부터 돌출(struck from)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P2)는 제5 고정 패널(54)을 포함하며; 제5 고정 패널(54)은 접는선(5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칸막이 패널(5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접는선(57)은, 제5 고정 패널(54)의 일부가 제2 칸막이 패널(56)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U"자형 절단선(59)에 의해 차단된다.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은 접는선(15)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15)은 애퍼처(A9)에 의해 차단되어, 애퍼처(A9)가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로부터 부분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애퍼처들(A9)은 캐리어(90)가 조립될 때 내부 모서리에 존재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접는선(17)에 의해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17)은 애퍼처(A10)에 의해 차단되어, 애퍼처(A10)가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애퍼처(A10)는 내부 모서리에서 재료가 뭉치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존재하는 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해 제공된다.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은 접는선(19)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19)은 애퍼처(A11)에 의해 차단되어, 애퍼처(A11)가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32)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애퍼처(A1)는 또한 재료의 뭉침을 완화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랭크(10)의 캐리어(90)로의 조립으로 돌아 가면, 캐리어(90)(도 2 및 도 3 참조)는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순차적인 접기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90)는 그 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회전시키거나 거꾸로 할 필요가 없다. 접기 과정은 아래에 설명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특정 제조 요구 사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에 접착제(G1)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적용된다.
블랭크(10)는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는선(29, 31a, 33, 35a)에 대해서 화살표 F1 방향에서 접혀서,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 제1 칸막이 구조체(P1)와 함께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 및 제2 칸막이 구조체(P2)와 함께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이 접는선들에 대해서 각각 접힌다.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은 제1 단부 패널(14)에 고정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제1 측면 패널(16)에 고정되고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그와 중첩 접촉한다.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2)은 제2 단부 패널(18)에 고정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은 제2 측면 패널(20)에 고정되고 제2 칸막이 구조체(P2)는 그와 중첩 접촉한다.
접착제(G2)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 패널(26) 및 제5 고정 패널(54)에 적용된다.
블랭크(10)는 도 6의 방향 화살표(F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21)에 대해 접혀서, 제3 칸막이 구조체(P3)(이것의 제2 고정 패널(22), 제3 칸막이 패널(24) 및 제3 고정 패널(26)을 포함)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 제2 칸막이 패널(56); 및 제2 칸막이 구조체(P2)의 제5 고정 패널(54)의 외부면들의 영역들과 면 접촉 관계가 된다. 또한, 제3 칸막이 구조체(P3)의 일부는 제2 측면 패널(20) 및 제2 단부 패널(18)의 내부면의 일부와 면 접촉 관계가 된다. 이와 같이, 제3 칸막이 구조체(P3)의 제3 고정 패널(26)은 제5 고정 패널(54)에 고정, 붙임, 또는 부착되며, 제3 고정 패널(26)은 제2 단부 패널(18)에 붙여진다.
접착제(G3)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패널(12)의 내부면에 적용된다.
블랭크(10)는, 제1 고정 패널(12)이 제1 단부 패널(14)과 면 접촉 관계로 부착되도록, 접는선(13)에 대해 도 7의 방향 화살표(F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진다.
선택적으로, 제1 고정 패널(12)은 제1 단부 패널(14)과 동일한 폭이고,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은 접는선(13)에 못미쳐 중지하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단 제1 고정 패널(12)이 접혀서 제1 단부 패널(14)에 고정되면, 제1 고정 패널(12)과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은 겹치지 않는다. 다른 배치에서,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과 제1 고정 패널(12)의 겹침은 다른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고정 패널(12)을 제1 단부 패널(14)과 폭이 같지 않게 하는 방법 및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8)을 제1 단부 패널(14)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게 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접착제(G4)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패널(22) 및 제4 고정 패널(50)의 외부면에 적용된다.
블랭크(10)는 도 8의 방향 화살표(F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17)에 대해 접혀서, 제2 단부 패널(18), 제2 측면 패널(20) 및 제2 베이스 패널(34b)과 함께 제3 칸막이 구조체(P3)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 제1 칸막이 구조체(P1), 제1 단부 패널(14) 및 제1 고정 패널(12)의 상부에 온다. 이와 같이, 제4 고정 패널(50)은 제3 칸막이 패널(24)에 부착되고 제2 고정 패널(22)은 제2 고정 패널(12) 및 제1 단부 패널(14)에 부착된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이 편평한 붕괴된 형태로 운송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예를 들어 제1 측면 패널(16)을 제2 측면 패널(2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 단부 캐리어(90)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베이스 패널(30b, 34b)은 복합 베이스 벽(30b/34b)을 형성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완성된 캐리어(9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90)는 각각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셀을 갖는다. 도시된 캐리어(90)는 4개의 셀을 갖는다.
칸막이 구조체(P1, P2, P3)는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세워질 때 캐리어(90) 내에서 자동으로 세워진다.
캐리어(90)는 세워진 형태에서 캐리어(9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칸막이 구조체(P1, P2, P3)는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셀들로 나눈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2×2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셀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칸막이 패널(24)은 제1 단부 패널(14)과 제2 단부 패널(18) 사이에 연장된다. 제1 칸막이 패널(52)은 제1 측면 패널(16)과 제3 칸막이 패널(24) 사이에 연장된다. 제2 칸막이 패널(56)은 제2 측면 패널(20)과 제3 칸막이 패널(24)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3 칸막이 패널(24)은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고, 제1 및 제2 칸막이 패널(52, 56)은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제2 횡 방향에서 분할한다.
제2 및 제3 고정 패널(22, 26)은 제3 칸막이 패널(24)을 지지한다. 제2 고정 패널(22)은 제3 칸막이 패널(24)을 제2 측벽(20)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제2 고정 패널(22)의 폭 치수(접는선(23)과 접는선(21) 사이의 거리)는 캐리어(90) 내의 제3 칸막이 패널(24)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고정 패널(22)은 제3 칸막이 패널(24)이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거의 이분하도록 구성된다.
제4 고정 패널(50)(도 3에 미도시) 및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제1 칸막이 패널(52)을 지지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0a)은 제1 칸막이 패널(52)을 제2 단부 벽(18)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접는선(55)의 위치는 캐리어(90) 내의 제1 칸막이 패널(52)의 위치를 적어도 어느 정도는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칸막이 패널(52)은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제2 방향에서 거의 이분하거나 분할한다.
제5 고정 패널(54)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도 3에 미도시)은 제2 칸막이 패널(56)을 지지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a)은 제1 단부 벽(14)으로부터 제2 칸막이 패널(56)을 이격시킨다. 접는선(61)의 위치는 캐리어(90) 내에서 제2 칸막이 패널(56)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칸막이 패널(56)은 캐리어(90)의 내부 공간을 역시 제2 방향에서 거의 이분하거나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칸막이 패널(52, 56)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이제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능하다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번호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특징이 제2 실시 예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접두사 "100"이 추가되었다. 추가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공통의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블랭크(1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캐리어(190)의 벽들 및 내부 칸막이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선형 패널 시리즈(126a, 120a, 114, 120b 및 128a) 및, 제1 선형 패널 시리즈의 거울상 이미지로 배치된 제2 선형 패널 시리즈(126b, 122a, 116, 122b 및 128b)를 포함한다.
블랭크(110)의 제1 선형 패널 시리즈는 제1 측면 패널(114)에 접는선(115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 패널(120a)을 포함한다. 제1 측면 패널(114)은 접는선(115b)과 같은 힌지식 연결에 의해 제3 단부 패널(120b)에 힌지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패널(112)은 접는선(11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14)의 바닥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110)의 제2 선형 패널 시리즈는 접는선(117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1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 패널(122a)을 포함한다. 제2 측면 패널(116)은 접는선(117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4 단부 패널(1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고정 패널(118)은 제2 측면 패널(116)의 바닥 에지에 접는선(11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패널(112)은 접는선(11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14)의 바닥 에지에 힌지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고정 패널(118)은 접는선(11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116)의 바닥 에지에 힌지 연결된다.
블랭크(110)는 제1 칸막이 구조체(후술 됨), 제2 칸막이 구조체(후술 됨) 및 제3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3 칸막이 구조체는 제1 단부 패널(120a)에 접는선(12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기립 패널(riser panel)(126a); 및 제3 칸막이 패널(128a)을 포함한다. 제3 칸막이 패널(128a)은 접는선(121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단부 패널(12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칸막이 구조체는 제2 단부 패널(122a)에 접는선(123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기립 패널(126b); 및 제4 칸막이 패널(128b)을 포함한다. 제4 칸막이 패널(128b)은 접는선(123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4 단부 패널(1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기립 패널(126a, 126b)은 접는선(12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그 상측 에지를 따라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및 제4 칸막이 패널(128a, 128b)은 또한 접는선(12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형성된 힌지 연결에 의해 그것들의 공통 상측 에지를 따라 인접되어 있다.
블랭크(110)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은, 그 자체가 접는선(129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칸막이 패널(128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제1 칸막이 구조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은, 그 자체가 접는선(129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4 칸막이 패널(128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제2 칸막이 구조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칸막이 구조체는 접는선(133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칸막이 패널(132a)을 포함한다. 제1 칸막이 패널(132a)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로부터 돌출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제1 칸막이 구조체는 대체로 "U"자형의 절단선(135a)에 의해 차단되는 접는선(133a)에 의해 제1 칸막이 패널(13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고정 패널(T1)을 포함하여, 제2 고정 패널(T1)의 일부가 제1 칸막이 패널(132a)로부터 돌출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접는선(133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칸막이 패널(132b)을 포함한다. 제2 칸막이 패널(132b)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로부터 돌출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제2 칸막이 구조체는 대체로 "U"자형 분리 또는 절단선(135b)에 의해 차단되는 접는선(133b)에 의해 제2 칸막이 패널(13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T3)을 포함하여, 제3 고정 패널(T3)의 일부가 제2 칸막이 패널(132b)로부터 돌출된다.
제1 측면 패널(114)은 접는선(14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140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 손잡이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1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측면 패널(116)은 접는선(141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1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140b)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2 손잡이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2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은 접는선(141c)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140c)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3 손잡이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3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은 접는선(141d)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140d)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4 손잡이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4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170)은 접는선(17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4 칸막이 패널(128b)의 하측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제2 칸막이 패널(132b)과 동일 폭이지만 그것으로부터 절단선(도 9 참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제1 기립 패널(126a)은 제1 리세스(recess)(R1)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이것은접을 수 있는 베이스 벽(112)을 셋업 상태로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되는 제1 기립 패널(126a)의 바닥 에지에 걸쇠(catch)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제2 기립 패널(126b)은 제2 리세스(R2)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이것은 접을 수 있는 베이스 벽을 셋업 상태로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되는 제2 기립 패널(126b)의 바닥 에지에 캐치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제1 기립 패널(126a)은 재료 시트에서 둘 이상의 블랭크(110)의 중첩(nest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3 리세스(R3)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3 리세스(R3)는 인접하여 유사하게 배치된 블랭크(미도시)의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의 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제2 기립 패널(126b)은 재료 시트에서 둘 이상의 블랭크(110)의 중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4 리세스(R4)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4 리세스(R4)는 인접하여 유사하게 배치된 블랭크(미도시)의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의 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10)의 캐리어(190)로의 구성으로 돌아 가면, 캐리어(190)(도 10 및 도 11 참조)는 직선 기계에서의 일련의 순차적 접기 동작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190)는 그 구성을 완성하기 위해 회전되거나 반전될 필요가 없다. 접기 과정은 아래에 설명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특정 제조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접착제(G1)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의 제2 및 제3 고정 패널(T1, T3)과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a, 130b)에 적용된다.
블랭크(110)는 접는선(121b, 123b)에 대해서 도 13의 방향 화살표(F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접혀서, 제3 및 제4 칸막이 패널(128a, 128b)이 제3 및 제4 단부 패널(120b, 122b)의 부분들에 중첩하고; 그리고 제2 및 제3 고정 패널(T1, T3)과 함께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a, 130b)이 각각 제1 및 제2 측면 패널(114, 116)과 면 접촉 관계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a, 130b)은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구조체를 보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패널(114, 116)에 부착된다.
제4 고정 패널(170)은 접는선(171)을 중심으로 접혀서 제2 칸막이 패널(132b)의 일부 및 제4 칸막이 패널(128b)의 일부와 면 접촉 관계가 된다.
접착제(G2)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4 고정 패널(170), 제3 칸막이 패널(128a) 및 제4 칸막이 패널(128b)의 매우 작은 영역들에 적용된다.
블랭크(110)는 도 14의 방향 화살표(F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선(115a 및 117a)에 대해 접혀서, 제1 기립 패널(126a)과 함께 제1 단부 패널(120a)을 제1 측면 패널(114)과 면 접촉 관계로 되게 하고; 제2 단부 패널(122a) 및 제2 기립 패널(126b)을 제2 측면 패널(116)과 면 접촉 관계로 되게 한다.
접착제(G3)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1 기립 패널(126a)에 적용된다.
그 다음, 블랭크(110)는 도 15의 방향 화살표(F3)와 같이 중앙의 접는선(125 및 127)에 대해 접혀서, 제3 단부 패널(120b)을 제4 단부 패널(122b)과 면 접촉 관계가 되도록 하고; 제2 기립 패널(126b)을 제1 기립 패널(126a)과 면 접촉 및 고정된 관계로 되게 한다. 그 다음, 제4 칸막이 패널(128b)은 제3 칸막이 패널(128a) 위에 부착 배치된다. 제4 고정 패널(170)은 제3 및 제4 칸막이 패널(128a, 128b) 사이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다.
접착제(G4)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1 고정 패널(118)에 적용된다.
그 다음 베이스 패널(112)은 도 16의 방향 화살표(F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111)에 대해 접혀서 베이스 패널(112)을 제1 고정 패널(118)에 부착한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이러한 편평한 붕괴된 형태로 운송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제1 측면 패널(114)을 제2 측면 패널(116)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개방된 캐리어(190)가 형성되고 제1 베이스 패널(112)이 자동으로 위치된다. 제1 및 제2 기립 패널(126a, 126b)의 걸쇠는 제1 베이스 패널(112)을 편평한 직립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완성된 캐리어(19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190)는 물품(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셀을 갖는다. 예시된 캐리어(190)는 4개의 셀을 갖는다.
상기 칸막이 구조체들은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세워질 때 캐리어(190) 내에서 자동으로 세워진다.
캐리어(190)는 세워진 형태에서 캐리어(19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칸막이 구조체는 캐리어(190)의 내부 공간을 셀들로 분할하며; 예시된 실시 예에서, 2×2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셀이 있다. 제3 칸막이 패널(128a), 제4 칸막이 패널(128b), 제1 기립 패널(126a) 및 제2 기립 패널(126b)은, 제1 및 제2 단부 패널(120a, 122a)로부터 형성된 제1 단부 벽(120a/122a) 및 제3 및 제4 단부 패널(120b, 122b)로부터 형성된 제2 단부 벽(120b/122b)의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앙 칸막이를 함께 형성한다. 제1 칸막이 패널(132a)은 제1 측면 패널(114)과 상기 중앙 칸막이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칸막이 패널(132b)은 제2 측면 패널(116)과 상기 중앙 칸막이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칸막이 패널(132a)은 일 단부에서 제1 손잡이 보강 패널(130a)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단부에서 제3 칸막이 패널(128a)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칸막이 패널(132b)은 일 단부에서 제2 손잡이 보강 패널(130b)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단부에서 제4 칸막이 패널(128b)에 의해 지지된다.
이제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능한 경우, 유사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이 특징부들이 제3 실시 예에 속함을 나타내기 위해 접두어 "200"의 부가되었다. 추가의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블랭크(210)는 도 18에 도시된 캐리어(290)의 벽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기본 패널(212, 214, 216, 218, 220)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1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2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212)을 포함한다. 제1 단부 패널(214)은 접는선(2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2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216)은 접는선(2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2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단부 패널(218)은 접는선(21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2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2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베이스 패널(222)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2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2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베이스 패널(224)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2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2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베이스 패널(226)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2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4 베이스 패널(228)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베이스 패널(222, 224, 226, 228)은 셋업 카톤(290)의 붕괴될 수 있는 복합 베이스 벽(222/224/226/228)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베이스 패널(222, 224, 226, 228)은 캐리어(290)가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때 복합 베이스 벽(222/224/226/228)으로 자동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고 정렬된다.
제1 베이스 패널(222)은 접는선(239)과 같은 힌지 연결을 포함하며; 접는선(239)은 접는선(221)과 교차하여 그로부터 멀어지면서 벌어져 연장된다. 접는선(239)과 접는선(221)은 그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접는선(239)과 접는선(221) 사이의 각도는 거의 45도이다.
제3 베이스 패널(226)은 접는선(241)과 같은 힌지 연결을 포함하며; 접는선(241)은 접는선(225)과 교차하고 그로부터 멀어지면서 벌어져 연장된다. 접는선(241)과 접는선(225)은 그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접는선(241)과 접는선(225) 사이의 각도는 거의 45도이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3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벽(216)의 상측 에지를 따라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측벽 보강 패널(232)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3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벽(220)의 상측 에지를 따라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측벽 보강 패널(236)을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은 접는선(23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2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접는선(23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2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패널(214)은 제1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구조체는 그로부터 제1 손잡이 애퍼처(A1)를 갖는다. 제1 손잡이 애퍼처(A1)는 접는선(24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2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240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단부 패널(218)은 제2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 구조체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2 손잡이 애퍼처(A2)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 애퍼처(A2)는 접는선(241b)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2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 쿠션 플랩(240b)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은 제3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3 손잡이 구조체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3 손잡이 애퍼처(A3)를 포함한다. 제3 손잡이 애퍼처(A3)는 접는선(241c)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240c)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제4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4 손잡이 구조체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4 손잡이 애퍼처(A4)를 포함한다. 제4 손잡이 애퍼처(A4)는 접는선(241d)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240d)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블랭크(210)는 제1 칸막이 구조체(P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P2)를 포함한다.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접는선(25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칸막이 패널(250)을 포함한다. 상기 접는선(251)은 절단선(253)에 의해 차단된다. 절단선(253)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의 일부가 상기 제1 칸막이 패널(250)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실질적으로 "U"자형이다. 상기 제1 칸막이 패널(250)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로부터 돌출된다.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접는선(25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칸막이 패널(25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칸막이 패널(252)을 포함한다. 접는선(255)은 절단선(257)에 의해 차단된다. 절단선(257)은, 제1 칸막이 패널(250)의 일부가 제2 칸막이 패널(252)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고 제2 칸막이 패널(252)의 일부가 제1 칸막이 패널(250)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실질적으로 "Z"자형이다. 제1 칸막이 구조체(P1)는 제2 고정 패널(254)을 포함하며; 제2 고정 패널(254)은 접는선(25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칸막이 패널(25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P2)는 접는선(26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칸막이 패널(256)을 포함한다. 접는선(261)은 절단선(263)에 의해 차단된다. 절단선(263)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의 일부가 제3 칸막이 패널(256)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실질적으로 "U"자형이다. 제3 칸막이 패널(256)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로부터 돌출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P2)는 접는선(26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칸막이 패널(25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4 칸막이 패널(258)을 포함한다. 접는선(265)은 절단선(267)에 의해 차단된다. 절단선(267)은, 제3 칸막이 패널(256)의 일부가 제4 칸막이 패널(258)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고 제4 칸막이 패널(258)의 일부분이 제3 칸막이 패널(256)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실질적으로 또는 대체로 "Z"자형이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은 접는선(215)에 의해 제1 측벽 보강 패널(23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215)은 애퍼처(A9)에 의해 차단되고, 애퍼처(A9)는 제1 측벽 보강 패널(232)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접는선(217)에 의해 제1 측벽 보강 패널(23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217)은 애퍼처(A10)에 의해 차단되고, 애퍼처(A10)는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232)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접는선(219)에 의해 제2 측벽 보강 패널(23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접는선(219)은 애퍼처(A11)에 의해 차단되고, 애퍼처(A11)는 제2 측벽 보강 패널(236)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다시, 애퍼처(A9, A10 및 A11)는, 블랭크(210)가 접혀져 캐리어(290)으로 형성될 때 내부 모서리에 존재할 수 있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90)의 구성으로 돌아 가면, 캐리어(290)(도 18 및 도 19 참조)는 직선 기계에서의 일련의 순차적인 접기 동작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290)는 회전시키거나 뒤집을 필요가 없다. 상기 접기 과정은 아래에 설명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특정 제조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접착제(G1) 또는 접착처리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 제1 측벽 보강 패널(232),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 제2 측벽 보강 패널(236) 및 제2 고정 패널(254)에 적용된다.
블랭크(210)는, 접는선(231, 233, 235, 237)에 대해서 방향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서,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 제1 측벽 보강 패널(232),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 및 제2 측벽 보강 패널(236)은 각각 그것들에 대해서 접혀진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은 제1 단부 패널(214)에 고정된다. 제1 측벽 보강 패널(232)은 제1 측면 패널(216)에 고정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제2 단부 패널(218)에 고정된다. 제2 측벽 보강 패널(236)은 제2 측면 패널(220)에 고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P1, P2)는 제1 고정 패널(212), 제1 단부 패널(214), 제1 측면 패널(216) 및 제2 단부 패널(218)의 영역들과 각각 중첩하는 면 접촉 관계에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칸막이 구조체(P1)의 제2 고정 패널(254)은 제1 측면 패널(216)에 부착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베이스 패널(222, 224, 226, 228)은 접는선(221, 223, 225 및 227)을 중심으로 방향 화살표(F2, F3, F4, F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서, 제1 단부 벽(214), 제1 측벽(216), 제2 단부 벽(218) 및 제2 측벽(220)과 각각 면 접촉 관계에 있다. 제1 및 제3 베이스 패널(222, 226)은 접는선(239, 241)을 중심으로 더 접혀진다. 제1 베이스 패널(222)은 방향 화살표(F6)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접힌다. 제3 베이스 패널(226)은 방향 화살표(F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접혀진다.
접착제(G2)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접는선(239, 241)에 대해 접혀지는 제1 및 제3 베이스 패널(222, 226)의 일부에 적용된다.
접착제(G2) 또는 다른 접착 처리는, 절단선(257)에 인접한 제1 칸막이 패널(250) 및 제2 칸막이 패널(252)의 일부, 적어도 제2 칸막이 패널(252)로부터 돌출된 제1 칸막이 패널(250)의 일부에 그리고 제1 칸막이 패널(250)로부터 돌출된 제2 칸막이 패널(252)의 일부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된다.
블랭크(210)는 도 22의 방향 화살표(F8)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선(215)에 대해 접혀서, 제1 단부 패널(214)이 제1 측면 패널(216)과 중첩 관계가 되고 또한 제1 고정 패널(212)이 제2 단부 패널(218)과 중첩 관계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칸막이 패널(250)은 제3 칸막이 패널(256)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며; 제2 칸막이 패널(252)은 제4 칸막이 패널(258)에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접착제(G3)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패널(212)에 적용된다.
블랭크(210)는 도 23의 방향 화살표(F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선(217)에 대해 접혀서, 제2 측면 패널(220)이 제1 고정 패널(212)에 면 접촉 관계로 부착된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이 편평한 붕괴된 형태로 운송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제1 단부 패널(214)을 제2 단부 패널(218)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개방된 캐리어(290)가 형성되고 복합 베이스 벽이 자동으로 세워진다. 완성된 캐리어(290)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290)는 각각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셀을 갖는다. 도시된 캐리어(290)는 4개의 셀을 갖는다.
칸막이 구조체(P1, P2)는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세워질 때 캐리어(290) 내에 자동으로 세워진다.
캐리어(290)는 세워진 형태에서 캐리어(29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칸막이 구조체(P1, P2)는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을 셀로 분할하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2x2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셀이 있다.
제1 칸막이 패널(250)은 제2 단부 패널(218)로부터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까지 연장된다.
제2 칸막이 패널(252)은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제1 측면 패널(216)까지 연장한다.
제3 칸막이 패널(256)은 제1 단부 패널(214)로부터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까지 연장된다.
제4 칸막이 패널(258)은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 패널(220)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칸막이 패널(250)과 제3 칸막이 패널(256)은 함께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제1 방향에서 연장된다. 제2 칸막이 패널(252)과 제4 칸막이 패널(258)은 함께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제2 횡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230)은 제3 칸막이 패널(256)을 제1 측벽(216)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접는선(261)의 위치는 캐리어(90) 내의 제3 칸막이 패널(256)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칸막이 패널(256)은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제1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이분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234)은 제1 칸막이 패널(250)을 제2 측벽(22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접는선(251)의 위치는 캐리어(290) 내의 제1 칸막이 패널(250)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칸막이 패널(250)은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제2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이분한다.
제2 칸막이 패널(252)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는 제1 칸막이 패널(250)의 일부는 제2 칸막이 패널(252)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고 제1 칸막이 패널(250)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칸막이 패널(25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패널(214)로부터 제1 방향에서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넘어 연장된다.
제4 칸막이 패널(258)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는 제3 칸막이 패널(256)의 일부는 제4 칸막이 패널(258)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고 제3 칸막이 패널(256)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칸막이 패널(256)은 제2 단부 패널(218)로부터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지나서 제1 방향에서 연장한다.
제1 칸막이 패널(250)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는 제2 칸막이 패널(252)의 일부는 제1 칸막이 패널(250)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고 제2 칸막이 패널(252)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칸막이 패널(252)은 제1 측면 패널(216)로부터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지나서 제2 방향에서 연장한다.
제3 칸막이 패널(256)로부터 돌출된 제4 칸막이 패널(258)의 일부는 제3 칸막이 패널(256)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고 제4 칸막이 패널(258)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4 칸막이 패널(258)은 캐리어(2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제1 측면 패널(216) 및 제2 측면 패널(220) 모두를 향해 연장한다.
이제 도 24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의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능하다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특징이 제4 실시 예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접두사 "300"이 부가되었다. 추가 실시 예는 제1, 제2 및 제3 실시 예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블랭크(310)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캐리어(390)의 벽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기본 패널들(312, 314, 316, 318, 320, 322, 324, 326)을 포함한다. 기본 패널(312, 314, 316, 318, 320, 322, 324, 326)은 서로 연속해서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제3 칸막이 패널(312)은 접는선(31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단부 패널(3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패널(314)은 접는선(3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316)은 이미 전술한 것과 유사한 제1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측면 패널(316)은 접는선(3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단부 패널(3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단부 패널(318)은 접는선(31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4 단부 패널(3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함께, 제3 및 제4 단부 패널(318, 320)은 캐리어(390)의 제2 단부 벽(318/320)을 형성하며, 제2 단부 벽(318/320)은 접을 수 있으므로, 블랭크(310)는 부분이 조립, 접힘 및 접착될 때 편평한 형태로 붕괴될 수 있다.
제4 단부 패널(320)은 접는선(32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32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322)은 이미 전술한 것과 유사한 제2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측면 패널(322)은 접는선(32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32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함께, 제1 및 제2 단부 패널(314, 324)은 캐리어(390)의 제1 단부 벽(314/324)을 형성하며, 제2 단부 벽(314/324)은 접을 수 있으므로, 블랭크(310)는 부분이 조립, 접힘 및 접착될 때 편평한 형태로 붕괴될 수 있다. 블랭크(310)는 또한 접는선(32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단부 패널(32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326)을 포함한다.
블랭크(310)는 접는선(32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6)의 바닥 또는 하부 에지에 힌지 연결된 베이스 패널(328)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328)은 부분 형성된 블랭크(310)가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붕괴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접는선(329)과 같은 힌지 연결를 다시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330)은 제2 측면 패널(322)의 하부 에지에 접는선(33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고정 패널(330)은 베이스 패널(328)을 제2 측면 패널(322)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블랭크(31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단부 벽 보강 패널(340, 350, 344, 34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40, 350)은 접는선(339, 349)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단부 패널(314, 324)의 상측 에지를 따라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및 제4 단부 벽 보강 패널(344, 346)은 조립 시 캐리어(390)의 모서리 부분에 존재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공된 애퍼처(A1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제3 및 제4 단부 벽 보강 패널(344, 346)은 또한 선택적인 절단선에 의해 제3 및 제4 단부 패널(318, 320)의 상측 에지로부터 분리된다.
블랭크(310)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은 접는선(34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6)의 상측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은 접는선(34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측면 패널(322)의 상측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316)은 제1 손잡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구조체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1 손잡이 애퍼처(A1)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애퍼처(A1)는 접는선(341a)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340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2 측면 패널(322)은 제2 손잡이 구조체(341b/340b/A2)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은 접는선(341c)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에 힌지 연결되는 선택적인 쿠션 플랩(340c)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3 손잡이 애퍼처(A3)을 포함하는 제3 손잡이 구조체(341c/340c/A3)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은 제4 손잡이 구조체(341d/340d/A4)를 포함한다.
블랭크(310)는 제1 칸막이 구조체, 제2 칸막이 구조체 및 제3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칸막이 구조체는 접는선(351)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칸막이 패널(352)을 포함한다. 제1 칸막이 패널(352)은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제1 칸막이 구조체는 제3 고정 패널(354)을 포함하며; 제3 고정 패널(354)은 접는선(353)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칸막이 패널(35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접는선(359)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칸막이 패널(360)을 포함한다. 제2 칸막이 패널(360)은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로부터 효과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애퍼처(A9)에 의해 차단되는 제4 고정 패널(358/356)을 포함하여, 제4 고정 패널(358/356)이 캐리어(390)의 내부 모서리 주위로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26 참조). 제4 고정 패널(358/356)은 두 부분, 즉 제1 부분(358) 및 제2 부분(356)을 갖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은 접는선(35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칸막이 패널(36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접는선(357)은 실질적으로 "U"자형인 절단선(358/356)에 의해 차단되어,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의 일부 또는 탭(T2)이 제2 칸막이 패널(360)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제2 부분(356)은 절단선(361)에 의해 인접한 제3 고정 패널(354)로부터 분리된다. 제4 고정 패널(356, 358)의 제1 및 제2 부분(358, 356)은 애퍼처(A9)에 의해 차단되는 접는선(355)에 의해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칸막이 구조체는 제5 고정 패널(T2)로서 작용하는 탭(T2); 및 제3 칸막이 패널(312)을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애퍼처(A5, A6, A7, A8, A9 및 A10)는 모두 내부 모서리에 있는 재료의 양을 줄여 재료의 묶음이나 주름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랭크(310)의 캐리어(390)로의 구성으로 돌아 가면, 캐리어(390)(도 25 및 도 26 참조)는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순차적인 접기 동작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390)는 그것의 구성을 완료하기 위해 회전되거나 반전될 필요는 없다. 접기 과정은 아래에 설명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특정 제조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G1)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1, 제2, 제3 및 제4의 단부 벽 보강 패널(340, 350, 344, 346) 및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2, 348)에 적용된다. 또한, 접착체(G1)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제3 단부 패널(318)의 영역에 적용된다.
블랭크(310)는 방향 화살표(F1)에 의해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는선(339, 341, 347 및 349)에 대해 접혀서, 제1 단부 벽 보강 패널(340)이 제1 단부 패널(314)과 면 접촉 관계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 및 제1 칸막이 패널(352)은 제1 측면 패널(316)과 면 접촉 관계에 있게 되고,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은 그에 고정된다. 제3 및 제4 단부 벽 보강 패널(344, 346) 및 제3 및 제4 고정 패널(354, 358/356)은 제3 또는 제4 단부 패널(318, 320)의 내부면과 각각 면 접촉 관계로 되고, 제3 및 제4 단부 벽 보강 패널(344, 346)은 각각 제3 또는 제4 단부 패널(318, 320)에 고정된다.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2 부분(356)은 제3 단부 패널(318)에 부착된다.
또한,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 및 제2 칸막이 패널(360)은 제2 측벽(322)과 면 접촉 관계가 되고,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이 그에 고정된다. 제2 단부 벽 보강 패널(350)은 제2 단부 패널(324)에 면 접촉 관계로 고정된다.
접착제(G2) 또는 다른 접착처리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T2) 및 제3 고정 패널(354)의 외부면의 영역에 적용된다.
블랭크(310)는 도 29의 방향 화살표(F2, F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323, 315)에 대해서 접힌다. 이 방식으로, 제2 단부 패널(324) 및 제1 고정 패널(326)은 제2 측면 패널과 중첩 관계로 되며; 제1 단부 패널(314) 및 제3 칸막이 패널(312)은 제1 측면 패널(316)과 중첩 관계로 된다.
접착제(G3)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패널(326)의 외부면의 영역에 적용된다.
블랭크(310)는 도 30의 방향 화살표(F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선(319)을 중심으로 다시 접혀져서, 탭(T2)이 제3 칸막이 패널(312)에 고정되며; 제1 고정 패널(326)이 제1 단부 패널(314)에 부착된다.
접착제(G4)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패널(330)에 적용되고, 베이스 패널(328)은 도 31의 화살표(F5)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329)을 중심으로 접힌다.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이 편평한 붕괴된 형태로 선적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는 제2 측면 패널(322)을 제1 측면 패널(316)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390)가 형성되고 베이스 벽이 자동으로 세워진다. 완성된 캐리어(390)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390)는 다시 물품(도시 생략)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셀을 갖는다. 도시된 캐리어(290)는 4개의 셀을 갖는다.
제1, 제2 및 제3 칸막이 구조체는 편평한 붕괴된 캐리어가 세워질 때 캐리어(390) 내에서 자동으로 세워진다.
캐리어(390)는 직립된 형태에서 캐리어(39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칸막이 구조체는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을 셀들로 분할하며; 예시된 실시 예에서, 2×2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셀이 있다(도 26 참조).
캐리어(390)가 관형 구조체로 세워질 때, 절단선(361)은 세우기 과정의 결과로서 절단된다. 절단선(361)은 제3 고정 패널(354)의 단부 에지(E1)를 따르는 제1 찢어진 에지와 제4 고정 패널(356)의 제2 부분의 단부 에지(E2)를 따르는 제2 찢어진 에지를 생성하도록 찢어지거나 분리된다.
제1 칸막이 패널(352)은 제1 측면 패널(316)로부터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의 중심까지 연장된다.
제2 칸막이 패널(360)은 제2 측면 패널(322)로부터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의 중심까지 연장된다.
제3 칸막이 패널(312)은 제1 단부 벽(314/324)으로부터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다.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은 제2 단부 벽(318/320)으로부터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의 중심까지 연장된다.
제3 고정 패널(354)은 제1 칸막이 패널(35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접히고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에 고정된다.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은 제2 칸막이 패널(36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접힌다.
탭(T2)은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과 동일 평면이도록 제2 칸막이 패널(360)의 평면 밖으로 변위된다. 탭(T2)은 제3 칸막이 패널(312)에 고정된다. 제4 고정 패널(358/356)의 제1 부분(358) 및 탭(T2) 및 제3 칸막이 패널(312)은 제3 칸막이 패널(354)과 함께 제1 방향에서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칸막이 패널(352) 및 제2 칸막이 패널(360)은 제2 횡 방향에서 캐리어(39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제1 칸막이 패널(352)은 일 단부에서 제1 손잡이 보강 패널(342)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칸막이 패널(360)은 일 단부에서 제2 손잡이 보강 패널(348)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는 칸막이 구조체를 갖는 편평하고 접을 수 있는 상자형 캐리어의 추가 실시 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및 애퍼처의 크기 및 형상은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바닥", "베이스", "전방", "후방", "단부", "측면", "내측", "외측 ","상측" 및 "하측"은 반드시 각각의 패널을 그러한 방향에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들 패널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힌지 연결" 및 "접는선"이라는 용어는 각각, 서로에 대해 기재의 부분들의 접기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기재 내의 최적의 접기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트 재료의 기재 내의 힌지 특징들을 정의하는 모든 방식의 선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힌지 연결"은 반드시 단 하나의 접는선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실제로 힌지 연결은 하나 이상의 접는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는선"은 하나의 새김눈 선(score line), 하나의 하프-컷(half-cut),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즉, 단속된 슬릿), 하프-컷들의 선, 컷들의 선(즉, 단속된 절단선), 일련의 짧은 새김눈 선들(즉, 단속된 새김눈 선), 또는 상기 언급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절단선(severance line)" 및 "취약선(frangible line)"은 각각 기재의 부분들을 서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기재 상에서 최적의 분리 위치를 나타내는 시트 재료의 기재 상에 형성된 모든 종류의 선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시트 재료의 기재 내의 절단선 및 취약선은 그것을 따라 찢어짐이 전파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미리 배치된다. 절단선 및 취약선은 단일 컷, 단일 슬릿, 하나의 하프-컷,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즉, 단속된 슬릿), 하프-컷들의 선, 컷들의 선(즉, 단속된 절단선), 일련의 짧은 새김눈 선들(즉, 단속된 새김눈 선), 또는 상기 언급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약화된 선일 수 있다. 접는선 또는 절단선의 요소들(예컨대, 컷, 새김눈 및 하프-컷)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치수 조정되고 배치된다.
힌지 연결, 절단선, 취약선 및 접는선은 각각, 천공,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 하프-컷들의 선, 하나의 하프-컷, 절단선, 단속된 절단선, 슬릿들, 새김눈들,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블랭크의 기재 내에 형성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들의 선은 접는선 및/또는 절단선을 형성하는 취약 정도로 치수가 정해지거나 설계될 수 있다. 천공들의 선은 접는선을 제공하기 위해 접기를 용이하게 하고 파손에 저항하도록 설계되거나, 절단 가능한 또는 취약한 접는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으로 파손을 촉진하거나 접기를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거나, 절단선을 제공하기 위해 더 적은 노력으로 파손을 촉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어구 "정렬하여(in alignment with)"는 세워진 캐리어에서 2개 이상의 요소들, 예컨대 중첩하는 패널들 중 하나에 형성된 애퍼처와 2개의 중첩 패널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애퍼처의 정렬을 지칭한다. 서로 정렬한 요소들은 중첩하는 패널들의 두께의 방향에서 서로 절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널의 애퍼처가, 제1 패널과 중첩 정렬하여 배치되는 제2 패널의 제2 애퍼처와 "정렬"하는 경우, 상기 애퍼처의 에지는 제2 애퍼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패널의 두께의 방향에서, 제2 애퍼처와 정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애퍼처"는 원형, 직사각형, 캡슐형, 불규칙형, 및 미리 성형되거나 미리 정의된 많은 다른 형상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형상, 오목부(recess), 노치(notches), 개구, 컷(cuts), 슬롯, 구멍 및 갭을 지칭한다.

Claims (20)

  1. 하나의 일체형(unitary)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복수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에 있어서,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본 패널들;
    상기 관형 구조체의 하단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바닥 폐쇄 구조체;
    상기 복수의 기본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의 내부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셀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은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은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제1 패널 및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은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상기 제1 및 제2 패널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칸막이 구조체는 제1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2 방향에서 분할하는 제3 칸막이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제3 칸막이 구조체에 고정되는, 캐리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캐리어를 관형 구조체로 세움으로써 상기 캐리어 내에서 자동으로 세워지는, 캐리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블랭크는 접을 수 있는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캐리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캐리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의 평면 밖으로의 쿠션 플랩의 변위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로부터 돌출되고 힌지식으로 연결된 상기 쿠션 플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캐리어.
  12.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일체형 블랭크에 있어서,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본 패널들을 포함하고 신장 축을 갖는 신장 중간 섹션(elongate medial section);
    상기 중간 섹션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제1 외측 섹션; 및
    상기 중간 섹션에 나란히 배치된 제2 외측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제1 외측 섹션과 제2 외측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외측 섹션은 상기 복수의 기본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 및 상기 블랭크가 캐리어로 조립될 때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셀들로 분할하도록 상기 관형 구조체 내의 배치를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블랭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의 손잡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들의 평면 밖으로의 쿠션 플랩의 변위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로부터 돌출되고 힌지식으로 연결된 상기 쿠션 플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블랭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블랭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은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패널은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제1 패널 및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은 각각 상기 기본 패널들 중 상기 제1 및 제2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블랭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제1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블랭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제2 손잡이 보강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1 방향에서 분할하는, 블랭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관형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제2 방향에서 분할하는 제3 칸막이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블랭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칸막이 구조체는 상기 제3 칸막이 구조체에 고정되는, 블랭크.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칸막기 구조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손잡이 보강 패널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블랭크.
KR1020177015025A 2014-11-12 2015-11-11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 KR20170082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8720P 2014-11-12 2014-11-12
US62/078,720 2014-11-12
PCT/US2015/060135 WO2016077450A1 (en) 2014-11-12 2015-11-11 Carrier and blank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66A true KR20170082566A (ko) 2017-07-14

Family

ID=5478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25A KR20170082566A (ko) 2014-11-12 2015-11-11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73804B2 (ko)
KR (1) KR20170082566A (ko)
CN (1) CN107207141A (ko)
WO (1) WO2016077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7725C (en) * 2015-03-25 2023-09-05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Carton and carton blank
CA3038105A1 (en) * 2016-09-30 2017-09-28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Carton and carton blank
USD980069S1 (en) 2020-07-14 2023-03-07 Ball Corporation Metallic dispensing li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181A (en) * 1976-01-21 1976-11-02 Inland Container Corporation Partitioned container having self locking top and bottom forming flaps
US4148427A (en) * 1978-01-19 1979-04-10 Chase Gardens Wholesale, Inc. Flower container
US4179061A (en) * 1978-10-05 1979-12-18 Westvaco Corporation Partitioned container
US4293091A (en) * 1980-01-02 1981-10-06 Weyerhaeuser Company Reinforced container with integral divider
FR2718716B3 (fr) * 1994-04-13 1996-06-28 Socar Nouveau conditionnement pour bouteilles, en un matériau semi-rigide tel que le carton ondulé.
US5938109A (en) * 1997-02-26 1999-08-17 Sainz; Raymond Carton and one-piece production blank therefor
US6112977A (en) * 1999-02-03 2000-09-05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Bottle carrier with dividers
GB0318421D0 (en) * 2003-08-06 2003-09-10 Meadwestvaco Packaging Systems Basket carrier for bottles and blank therefor
GB0326435D0 (en) * 2003-11-13 2003-12-17 Graphic Packaging Int Inc Dispensing package
US7854371B2 (en) * 2007-03-27 2010-12-21 Chris Mittelstaedt Storage container
US8720770B2 (en) * 2011-03-01 2014-05-13 The Golden Box, Inc. Box partition set
US10543952B2 (en) * 2013-02-05 2020-01-28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Two cell chambered container with improved flow pouring system
US9540132B1 (en) * 2015-09-18 2017-01-10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tackable receptacle for the shipment of g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7450A1 (en) 2016-05-19
CN107207141A (zh) 2017-09-26
US20170327266A1 (en) 2017-11-16
US10173804B2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268B2 (en) Package with strap handle
US11479394B2 (en) Basket sty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40002122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KR20170082566A (ko)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
KR20170039193A (ko) 카톤 및 카톤 블랭크와 이를 위한 손잡이 구조
US10377523B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EP3222552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11932472B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11192702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11891226B2 (en) Basket style carrier, shipping carton and package system
US20190300256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10279951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0220297911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JP2019089599A (ja) カートンおよびカートン用のブランク
US20160122070A1 (en) Carton, carton blank and handle structure therefor
US20220119177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11993439B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30032095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170217630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