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393A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393A
KR20170082393A KR1020160001724A KR20160001724A KR20170082393A KR 20170082393 A KR20170082393 A KR 20170082393A KR 1020160001724 A KR1020160001724 A KR 1020160001724A KR 20160001724 A KR20160001724 A KR 20160001724A KR 20170082393 A KR20170082393 A KR 20170082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packet
information
user interfa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겸
서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0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393A/ko
Publication of KR2017008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0Network management software pack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04L67/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플랫폼 장치가 사물단말과 서버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플랫폼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METHOD AND PLATFORM APPARATUS FOR INTERLOCKING WITH IoT TERMINAL AND SERVICE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라 통칭함) 단말과 IoT 서버 사이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정한 프로토콜(또는 규약)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토콜은 IoT 단말을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들 간에 서로 협의하여 생성 및 관리된다. IoT 단말과 IoT 서버 측에서 모두 같은 버전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에 관리 및 배포에 관련된 많은 솔루션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인 IoT 단말 연동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IoT 단말 연동 프로세스는 IoT 단말 및 플랫폼 서버 담당자간 연동 프로토콜을 협의(S11)하고, 협의된 사항에 따라 통신 서버 모듈을 구동(S13)하며, 협의된 프로토콜 기반으로 패킷 조정 모듈을 개발해야 한다(S15).
패킷 조정(Mediation) 모듈은 형상 관리(S17)가 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변경된 사항들이 서버에 디플로이(deploy) 되어야 한다(S19). 프로토콜 변경시에는 조정 모듈 개발(S15), 형상 관리(S17), 변경 사항 디플로이(S19)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SVN(Subversion)과 Git처럼 파일의 형상 관리를 하는 솔루션이 많이 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솔루션들은 프로그래밍 기본 지식이 없이 사용하기 힘들다. 프로토콜 변경시 형상 관리 및 디플로이 또한 수동적으로 해당 담당자들이 직접 수행하여야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따라서, IoT 플랫폼 서버에 신규 IoT 단말 연동시, 서버 측에서 지원하는 표준 프로토콜 외 플랫폼 사용자가 보유한 사설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연동하는 케이스(case)의 경우 IoT 단말 측에서 송신한 데이터의 조정을 위한 사설 프로토콜 처리 로직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비표준 프로토콜 기반 단말 연동의 경우 IoT 플랫폼 내 해당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별도의 패킷 변환 처리 로직을 작성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개발 공수가 추가로 요구되며, 추가된 처리로직의 디플로이를 위해 기동 중인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oT 플랫폼 기반 신규 사업 기획시 기본적인 단말연동 테스트를 사전 진행해보고자 하는 고객 니즈가 빈번하므로, 장비 인증/데이터 수집 등의 기본 기능만을 간편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토콜을 손쉽게 정의하고 그에 필요한 패킷 처리 모듈을 동적으로 생성 및 로딩함으로써, IoT 단말 연동을 구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플랫폼 장치가 사물단말과 서버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플랫폼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처리하도록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 포맷 별로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의 헤더 및 바디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는,
식별자, 통신 서버 유형, 통신 서버의 송수신 패킷 암호화 여부,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 송수신 암호화 키(key) 및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다.
상기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는,
패킷의 헤더(Header) 및 바디(Body)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및 기능 별 패킷 변환에 필요한 디바이스 ID, 패킷 유형 정보 각각의 위치, 길이, 자료형을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유형,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유형값, 프로토콜명, 프로토콜의 바디 및 응답구조에 맞는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는,
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응답 구조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좌측에 나열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좌측에 나열된 컴포턴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캔버스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우측 캔버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클릭되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과 서버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장치로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가 입력 또는 선택받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의 포맷을 분석하는 프로토콜 분석부,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플랫폼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식별자, 통신 서버 유형, 통신 서버의 송수신 패킷 암호화 여부,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 송수신 암호화 키(key) 및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패킷의 헤더(Header) 및 바디(Body)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및 기능 별 패킷 변환에 필요한 디바이스 ID, 패킷 유형 정보 각각의 위치, 길이, 자료형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기본 정보 및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유형,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유형값, 프로토콜명, 프로토콜의 바디 및 응답구조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상세 정보를 화면 상에서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응답 구조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좌측에 나열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좌측에 나열된 컴포턴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캔버스에 표시하며, 상기 우측 캔버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클릭되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 포맷 별로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 연동시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에 기반한 패킷에 대한 서버측 조정(Mediation) 모듈의 동적 생성과, 프로토콜 변경시 동적으로 IoT 플랫폼에 반영되어 IoT 단말과 서버간 싱크(Sync)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을 간단한 UI 조작만으로 서버와 연동할 수 있고, 별도의 소스 코딩이나 디플로이 없이 동적으로 통신 서버 및 조정 모듈이 로딩되어 IoT 단말 연동과 관련하여 IoT 플랫폼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비표준 IoT 단말 연동시 요구되던 추가 개발이 불필요하므로 다양한 사용자가 손쉽게 IoT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의 편의성은 다양한 분야의 사업 적용시 이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비표준 프로토콜 기반 IoT 단말 연동의 경우, 해당 처리 로직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는데, 프로토콜 복잡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 2~3 MD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던 점을 개선한다.
또한, 그리고 프로토콜 기본정보 입력 및 사용자 프로토콜 상세 구조를 GUI를 통해 편리하게 등록하여 사용자 어댑터(Adaptor) 및 통신서버가 자동으로 기동되게 하여 비표준 프로토콜을 수용함에 있어 요구되던 추가 개발 공수 및 디플로이(deploy) 없이 IoT 플랫폼 서버와 단말 간 손쉬운 연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는 처리 로직이 자동 생성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패킷 송/수신 서버가 플랫폼 내에 자동으로 기동되므로(지원서버 : TCP / HTTP) 추가 개발인력의 투입이나, 신규 어댑터 구현으로 인한 플랫폼 디플로이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서비스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GUI 기반 사용자 어댑터는 비표준 프로토콜(서버 측에서 사전 인지하지 못하는 단말 측 고유 프로토콜) 사용자가 별도의 소스 코딩 없이 GUI를 통한 프로토콜 기본정보 설정만으로 IoT 플랫폼에 손쉽게 단말을 연동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인 IoT 단말 연동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동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플랫폼 내 통신 서버를 동적 기동하기 위한 설정 사항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계한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사항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계한 프로토콜의 상세구조를 입력받기 위한 GUI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방법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하는 각 항목에 대한 타입 구성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라 통칭함)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동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통칭함)를 통해 통신 서버 정보 및 연동 프로토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또는 입력받는다(S101). 그리고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통신 서버 모듈 및 패킷 조정(Mediation)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한다(S103).
따라서, 연동 프로토콜 변경시에도 GUI를 통한 간단한 수정만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도 1과 비교해보면, S15, S17, S19의 절차가 하나의 단계로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 장치(100)는 GUI 화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보 입력 또는 선택만으로 IoT 서버 구동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정의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패킷 분석 모듈을 동적으로 생성해주는 복합적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동작한다.
플랫폼 장치(100)는 GUI 기반 사용자 어댑터(Adaptor)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어댑터는 비표준 프로토콜 즉, 플랫폼 장치에서 사전 인지하지 못하는 단말 측 고유 프로토콜을 사용자가 별도의 소스 코딩 없이 GUI를 통한 프로토콜 기본 정보 설정만으로 IoT 플랫폼에 손쉽게 단말을 연동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플랫폼 장치(100)는 사용자 또는 단말 업체가 보유한 비표준 프로토콜의 처리 로직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IoT 플랫폼과의 간편한 연동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IoT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 자체의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사용가능하게 변환하고, 바로 사용자의 변경 사항이 디플로이(deploy)될 수 있도록 변경 사항을 동적으로 실시간 반영한다.
플랫폼 장치(100)는 연결된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을 플랫폼이 지원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플랫폼에 쉽게 연결되도록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플랫폼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을 플랫폼이 지원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플랫폼이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데, 이때 변환은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토콜에 적합한 패킷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구동한다.
플랫폼 장치(100)의 구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 프로토콜 분석부(103) 및 구동부(105)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사용자가 통신 서버 모듈 정보 및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은 프로그래밍을 모르는 일반 사용자가 체크 박스와 체크 리스트를 통하여 통신 서버 모듈을 구동하고 IoT 단말과 서버간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은 사용자가 단순한 클릭만으로 서버 및 프로토콜에 대한 모든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로토콜 분석부(1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가 입력 또는 선택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의 포맷을 분석한다.
구동부(105)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신 서버 모듈(107, 109)을 구동하고 프로토콜을 정의 및 관리하며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구동부(105)는 프로토콜 분석부(103)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은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 정보를 동적으로 로딩하여 인입된 패킷 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선택된 항목에 따라 정의되는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은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은 플랫폼 장치(100)가 지원하지 않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구동부(105)는 프로토콜 분석부(103)가 분석하는 프로토콜 포맷 별로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사전에 저장하고, 이러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프로토콜에 적합한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구동한다.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은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플랫폼 장치(100)에서 지원되는 경우,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은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플랫폼 장치(100)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 포맷 별로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구동된다. 매핑 테이블은 다양한 프로토콜 포맷 별로 플랫폼에서 인식하기 위한 변환 정보가 수록되어 있거나, 다양한 프로토콜 포맷 별로, 플랫폼에서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을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플랫폼 내 통신 서버를 동적 기동하기 위한 설정 사항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200)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기본 정보(200)는 식별자(201), 통신 서버 유형(203), 통신 서버의 송수신 패킷 암호화 여부(205),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207), 송수신 암호화 키(key)(209) 및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별자(201)는 IoT 서버, 즉 통신 서버 모듈(107, 109)에 연동할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어댑터 ID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이다.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207)은 송수신 패킷에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적용할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이다. 지원 암호화 유형의 예시로서, AES 128/192, DES 128, DES-EDE 192, SEED 128, ARIA 128/192/25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211)는 구동할 통신 서버 모듈(107, 109)이 HTTP 서버일 경우, 입력받기 위한 항목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계한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사항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정보(300)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프로토콜 정보(300)는 패킷의 헤더 및 바디(Header/Body)를 구분하기 위한 기본 정보, IoT 단말의 인증 처리 및 기능 별 패킷 변환에 필요한 디바이스 ID, 패킷 유형 정보 각각의 위치, 길이, 자료형,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ETX 방식을 사용할 경우, ETX 문자를 입력한다.
세부적으로, 바디(Body) 유형(301), 바디 길이(Length) 위치(303), 인코딩 타입(305), 디바이스(Device) ID 위치(307), 패킷 유형 위치(309), 헤더(Header) 타입(311), 바디 길이(Length) 길이(313), ETX(315), 디바이스(Device) ID 길이(317), 패킷 유형 길이(319), 헤더 길이(Header Length)(321), 바디 가감(323), 디바이스 ID 자료형(325), 패킷 유형 자료형(327)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계한 프로토콜의 상세 구조를 입력받기 위한 GUI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토콜의 상세 구조(400)는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 유형(401),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 유형 값(403), 프로토콜명(405), 바디 구조에 대한 컴포넌트(component)(407) 및 응답 구조에 대한 컴포넌트(409)를 포함한다.
좌측에 나열된 컴포넌트들(407, 409)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우측 캔버스에 선택된 컴포넌트들(411)이 표시된다. 그리고 각 컴포넌트(411)를 클릭하여 상세정보 입력,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이처럼, 입력된 프로토콜 전문구조를 기반으로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이 동적으로 로딩된다. 간단한 클릭만으로 IoT 단말 연동을 위한 통신 서버 모듈(107, 109) 및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이 동적으로 구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방법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GUI 기반 사용자 어댑터(Adaptor) 생성 절차는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해당 구성의 동일 기능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다(S201).
즉, 도 4에서 설명한 기본 정보와, 도 5에서 설명한 프로토콜 기본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다. S201 단계를 통해 사용자 보유 프로토콜의 통신 바인딩 타입, 인코딩 타입 등 프로토콜 기본 정보 설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랫폼에서 수행할 기능 및 연동 패킷의 바디(Body) 구조(Binary, Json) 선택 또는 입력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사용자가 기본 정보를 설정하면, 통신 서버 모듈(107, 109) 구동에 필요한 필수 필드가 모두 입력되었는지 체크한다(S203). 이때, 체크가 완료되지 않으면, S201 단계를 재시작한다. 즉, 다음 단계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 체크가 완료되면, 구동부(105)는 S201 단계에서 입력받은 기본 정보에 적합한 통신 서버 모듈(107, 109)을 구동한다(S205).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구조를 입력받는다(S207). 즉, 도 6에서 설명한 프로토콜 상세 구조 입력이 이루어진다. GUI를 통해 사용자 보유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를 가이드에 따라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유형(401),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 유형값(403), 프로토콜명(405)을 선택 또는 입력받는다. 그리고 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컴포넌트(407)와 응답 구조를 나타내는 컴포넌트(409)를 좌측에 나열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좌측에 나열된 컴포턴트들(407, 409)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411)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캔버스에 표시한다. 우측 캔버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411)가 클릭되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01)는 패킷 조정 모듈(111, 113) 로딩을 위한 필수필드가 모두 입력되었는지 체크한다(S209). 이때, 체크에 실패하면, S207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모든 필드가 입력되었을때까지 S207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 체크에 성공하면, S207 단계에서 입력받은 프로토콜 구조에 적합한 패킷 조정 모듈(111, 113)을 동적으로 생성한다(S211).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프로토콜 정보가 저장되고 해당 정보에 따른 패킷 조정 모듈이 생성된다.
이처럼, S201 단계 ~ S211 단계가 모두 완료되면, IoT 플랫폼 장치(100) 내 사용자 어댑터 및 사용자가 등록한 통신 서버 모듈(107, 109)이 자동으로 생성 또는 구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등록 완료 후 바로 IoT 단말 연동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하는 각 항목에 대한 타입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항목 타입은 바디 컴포넌트(Body Component)(501), 응답 컴포넌트(Response Component)(503), 크립토 타입(Crypto Type)(505), 서버 타입(Server Type)(507), 프로토콜 타입(Protocol Type)(509), 헤더 타입(Header Type)(511), 데이터 타입(Data Type)(513) 및 인코드 타입(Encode Type)(515)을 포함한다.
그러나, 명시되어 있는 타입들보다 많은 타입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프로토콜 정의 및 서버 구성은 구체적 실시예와 IoT 단말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네트워크 기반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플랫폼 장치가 사물단말과 서버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플랫폼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동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처리하도록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 포맷 별로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의 헤더 및 바디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는,
    식별자, 통신 서버 유형, 통신 서버의 송수신 패킷 암호화 여부,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 송수신 암호화 키(key) 및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연동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는,
    패킷의 헤더(Header) 및 바디(Body)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및 기능 별 패킷 변환에 필요한 디바이스 ID, 패킷 유형 정보 각각의 위치, 길이, 자료형을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유형,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유형값, 프로토콜명, 프로토콜의 바디 및 응답구조에 맞는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는,
    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응답 구조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좌측에 나열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좌측에 나열된 컴포턴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캔버스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우측 캔버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클릭되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제공 방법.
  7.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과 서버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장치로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가 입력 또는 선택받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의 포맷을 분석하는 프로토콜 분석부,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통신할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조정 모듈을 동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버 모듈 및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플랫폼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식별자, 통신 서버 유형, 통신 서버의 송수신 패킷 암호화 여부, 송수신 패킷 암호화 유형, 송수신 암호화 키(key) 및 서브 유알엘(SubUrl)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패킷의 헤더(Header) 및 바디(Body)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및 기능 별 패킷 변환에 필요한 디바이스 ID, 패킷 유형 정보 각각의 위치, 길이, 자료형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기본 정보 및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토콜의 유형, 분기 처리를 위한 패킷유형값, 프로토콜명, 프로토콜의 바디 및 응답구조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상세 정보를 화면 상에서 입력받는 플랫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응답 구조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좌측에 나열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좌측에 나열된 컴포턴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캔버스에 표시하며, 상기 우측 캔버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클릭되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를 제공하는 플랫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패킷 조정 모듈은,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 포맷 별로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상기 플랫폼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구동되는 플랫폼 장치.


KR1020160001724A 2016-01-06 2016-01-0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KR20170082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724A KR20170082393A (ko) 2016-01-06 2016-01-0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724A KR20170082393A (ko) 2016-01-06 2016-01-0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93A true KR20170082393A (ko) 2017-07-14

Family

ID=5935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724A KR20170082393A (ko) 2016-01-06 2016-01-0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23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418A (ko) * 2017-12-28 2019-07-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1029B1 (ko) * 2019-11-25 2020-07-07 한국인터넷진흥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3510A (ko) * 2019-04-16 2020-10-3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을 위한 IoT 프로토콜 빌더 시스템
CN112042213A (zh) * 2017-12-12 2020-12-04 贝斯特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基于iot设备的信息系统和方法
KR102346793B1 (ko) * 2021-07-16 2022-01-06 (주)네오비 IoT 기반의 디바이스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컨버터 및 그 프로토콜 변환 방법
CN115086444A (zh) * 2022-06-02 2022-09-20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2213A (zh) * 2017-12-12 2020-12-04 贝斯特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基于iot设备的信息系统和方法
KR20190080418A (ko) * 2017-12-28 2019-07-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23510A (ko) * 2019-04-16 2020-10-3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을 위한 IoT 프로토콜 빌더 시스템
KR102131029B1 (ko) * 2019-11-25 2020-07-07 한국인터넷진흥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346793B1 (ko) * 2021-07-16 2022-01-06 (주)네오비 IoT 기반의 디바이스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컨버터 및 그 프로토콜 변환 방법
CN115086444A (zh) * 2022-06-02 2022-09-20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2393A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IoT 단말 및 서버 간 연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플랫폼 장치
Hillar MQTT Essentials-A lightweight IoT protocol
CN106533669B (zh) 设备识别的方法、装置和系统
US20050096870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target device in a network
CN107070768A (zh) 用于创建服务账户和配置设备的设备和方法
CN106921716B (zh) 调试嵌入式设备的网络通信过程的方法及装置
JP6880040B2 (ja) 暗号化展開発見
US20190272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pi devlopment code for integrating platforms
EP3196747A1 (en) User interfaces in a computer system
CN113992514B (zh) 一种零代码快速实现数采仪协议的方法及数采仪终端
CN104506580A (zh) 一种统一客户端版本的方法和系统
US10666683B2 (en) User interface for low-touch security policy provisioning
US20180032578A1 (en) Using Metadata To Take Action On An SMS Message On A Proprietary System
JP2011118853A (ja) モバイル標準テンプレートデータを提供するサーバ
US20150095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dminist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WO2007064103A1 (en) Error tes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ased on automatic generation of test scenario files and system for the same
CN109298869A (zh) 一种目标渠道包的生成方法及相关装置
CN107273398B (zh) 人机接口系统和用于操作其的方法
KR20190080418A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867878A (zh) 一种工程部署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07872595B (zh) 图像处理装置、方法和系统、服务器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20170567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90753B2 (ja) 簡易OpS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489147B (zh) 建立总管系统的方法
JP5171300B2 (ja) 仕様適合性検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