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611A -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611A
KR20170081611A KR1020170083160A KR20170083160A KR20170081611A KR 20170081611 A KR20170081611 A KR 20170081611A KR 1020170083160 A KR1020170083160 A KR 1020170083160A KR 20170083160 A KR20170083160 A KR 20170083160A KR 20170081611 A KR20170081611 A KR 2017008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ound
sound signal
comma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호
김경진
서혜경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8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611A/en
Publication of KR2017008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6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A control method of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a content sound according to a content reproduction to the outside; Controlling a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lowe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a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entering a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via the microphon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Description

음성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0002]

본 발명은 음성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콘텐츠가 재생되는 상태에서 음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voic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using voice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content is reproduced.

최근 각종 디바이스의 제어에 있어서 통신 전자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제어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control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lectronic technology in the control of various devices.

즉, 기존의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한 전통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That is, a method of controlling by using voice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away from a conventional control method using an existing infrared remote controller.

그런데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디바이스가 카메라 등과 같이 별도의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장치라면, 외부 소음이 없다는 전제하에 사람의 음성을 판별하여 촬영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However, i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by voice is a device such as a camera which does not have a separate sound output function, it is not difficul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such as shooting by discriminating a person's voice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no external noise.

그러나 라디오를 재생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경우에는 스스로 이미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사람의 각종 음성 명령을 판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that reproduces a radio or reproduces a multimedia file to output a sound, since it outputs a sound by itself, it is very difficult to discriminate a person's various voice commands for device control.

즉, 콘텐츠 재생 장치의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에 따른 사운드가 이미 출력되고 있으므로 일종의 외부 소음이 상존하는 상태라 할 수 있고, 이처럼 외부 소음이 상존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수신 및 판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since a sound according to the content reproduction is already outputt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kind of external noise, and receiving and discriminating th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by voice is possible It is not easy.

특히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 많게는 10개 이상일 수 있는데, 이처럼 많은 명령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소음이 상존하는 상태에서 판별하는 것은 자칫 잘못된 명령 수행을 야기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 device may generally be several or more than ten, and discriminating such a large number of commands in a state in which external noise exists as described above may result in erroneous command execution.

공개특허 제1998-038824호Published Patent No. 1998-0388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re accurately determining and processing a control command of a user in a state in which a content sound due to content reproduction is being output to the outsid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는,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부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부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한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mprising: a sound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ntent sound to be output to the outside; A mode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lowe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a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entering a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a function performing unit f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by the mode switching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a content sound to be output to the outside; Controlling a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lowe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a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entering a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via the microphon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출력되는 상황하에서도 해당 콘텐츠 재생 장치의 특정 기능을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function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an be controlled by voice even in a situation where a content soun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tent reproduction is output.

특히 단일 명령에 해당하는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드(기본 모드)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는 제어 명령 사운드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드(명령 수신 대기 모드)를 구별하고, 명령 수신 대기 모드로 전환할 때는 현재 출력되던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제어 명령 사운드를 보다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mode (basic mode) capable of detecting a wake-up command sound corresponding to a single command and a mode capable of detecting a control command sound capable of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ands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When switching to the reception standby mode,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which is currently output is controlled to be lowered by a predetermined degree, so that the control command sound by the user's voice can be discriminated more accurately.

더 나아가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의 감지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복잡한 제어 명령 사운드의 감지는 외부 서버가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서버 부하를 경감하면서도 제어 명령 사운드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the detection of the wake-up command sound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nd the detection of the complex control command sound is performed by the external server, thereby enabling a more accurate analysis of the control command sound while reducing network and server load There is also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라 볼륨 제어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olume control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flowcharts of control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any one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Hereinafter, each signal referred to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one signal transmitted by one connection or the like, but may also mean a series of signals transmitt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 That is, in each embodiment, a plurality of signals transmit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fte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counterpart device can be represented by a single signal name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소정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장치, 또는 내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여 출력하는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and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type of apparatus for reproducing a predetermined content.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broadcast content, or a device for playing and outputting embedded multimedia content.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마이크(110),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 모드 전환부(130), 기능 수행부(140), 저장부(150), 타이머(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microphone 110, a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a mode switching unit 130, a function execution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 timer 160, As shown in FIG.

마이크(1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장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외장형 마이크(11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microphone 110 converts sound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s the soun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microphone 110 may be an internal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110 connec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동작 중 새로 발생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newly generated data or data set by the user.

특히 저장부(15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임시 저장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s described later.

타이머(160)는 소정의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구성부의 제어에 따라 리셋되어 새로 시작될 수 있다.The timer 160 counts the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nd can be reset and restarted under the control of a predetermined component.

특히 타이머(1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장치(100)가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에 새로 동작할 수 있고, 기능 수행부(140)의 제어에 따라 리셋되어 새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In particular, the timer 160 can be newly operated at the time whe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enters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can be reset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unction execution unit 1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는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 내에 소정의 스피커(미 도시함)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는 콘텐츠 사운드를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고, 또는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가 외부 스피커 또는 외부 앰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는 콘텐츠 사운드를 해당 외부 스피커 또는 외부 앰프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speaker (not shown) is included in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 Can output the content soun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or when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aker or the external amplifier,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content sound to the external speaker or the external amplifier .

이때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는 다른 구성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출력 크기)을 조절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may adjust the volume (output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ted under the control of the other components.

모드 전환부(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면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the mode switching unit 130 controls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lowered to a predetermined degree, .

예를 들어 모드 전환부(130)는 현재의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에서 기 설정된 단계만큼 낮아지도록 볼륨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MUTE 상태 즉, 콘텐츠 사운드의 출력 볼륨을 0으로 임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mode switching unit 130 may perform volume control such that the volume of the current content sound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ay control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to be lower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further, , The output volume of the content sound may be temporarily set to zero.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 제어를 위해 모드 전환부(130)는 앞서 설명한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de switching unit 130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모드 전환부(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에 의해 외부 출력 제어되는 콘텐츠 사운드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하여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130 may control the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to be externally output by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wake up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und can be filtered to extract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즉,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사운드는 마이크(110)를 통해 다시 입력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예를 들어 "안녕 유비서")는 이러한 콘텐츠 사운드에 섞여서 입력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ound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or the like is input again through the microphone 110, at which time the user's wake-up command sound (e. G.

이때 모드 전환부(130)는 수신되는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에서 현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사운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의 추출에 있어서 기 저장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한 패턴과의 비교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음성 분석 및 비교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unit 130 filter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und being output through the current speaker from the received external sound to extract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of the user. In the extraction of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a process of comparing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with the pattern of the pre-stored wake-up command sound signal may be performed. Since such a voice sound analysis and comparison process corresponds to the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콘텐츠 사운드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모드 전환부(130)는 주파수 대역의 필터링 또는 시간 대역의 변화에 따른 패턴을 고려한 필터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performing the filtering of the content sound signal, the mode switching unit 130 may use filtering of the frequency band or filtering considering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band.

또한 모드 전환부(130)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어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를 낮추는 조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해당 시점의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를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 수행부(140)에 의해 특정 기능이 수행된 이후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재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130 temporarily stores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at the time point in the storage unit 150 before performing the adjustment for lowering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by detecting the wake up command sound signal from the external sound signal And controls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readjusted to a siz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fter a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as described later.

물론 이때 모드 전환부(130)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벗어나 원래의 모드로 복원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가 수신되기 이전의 상태가 기본 모드라 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이 명령 수신 대기 모드라 한다면, 모드 전환부(130)는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의 감지에 따라 기본 모드에서 명령 수신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추후 기능 수행부(140)에 의해 특정 기능이 수행된 경우 기본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unit 130 can recover from the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to the original mode. That is, if it is assumed that the state prior to the reception of the wake-up command sound is the basic mode and that it enters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the mode switching unit 130 switches the mode to the basic mode To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and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function execution unit 140, the system can be switched back to the basic mode.

또한 모든 전환부는 타이머(160)의 동작 결과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명령 수신 대기 모드에서 기본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사용자가 앞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안녕 유비서"라고 말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 이내에 어떠한 음성 명령도 내리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all the switching units may switch from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to the basic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timer 160. [ This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issue any voice comman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user has said "goodbye" as in the foregoing example.

기능 수행부(140)는 모드 전환부(130)에 의한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in the command receiving standby state by the mode switching unit 130. [

이러한 기능 수행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41)와 처리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may include an extracting unit 141 and a processing unit 142 as shown in FIG.

추출부(141)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처리부(142)는 추출부(141)에서 추출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extraction unit 141 extracts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from the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the processing unit 142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음 채널"라고 말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음성 분석을 통해 이를 판단하여 그 대응되는 기능 즉, 라디오 방송의 경우 기 설정된 다음 채널 방송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efers to the "next channel ", the function execution unit 140 can determine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at is, the preset next channel broadcast in the case of radio broadcasting, by determining it through voice analysis.

다른 예로써 기능 수행부(140)는 상기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볼륨 조정용 신호인 경우 해당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값으로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볼륨 한 단계 더 높여줘"라고 말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본 모드에서 출력되던 볼륨보다 한 단계가 더 높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모드 전환부(130)의 기본 모드 전환시의 임시 저장된 크기로의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 재조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의 변경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is a volume adjustment signal,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may set the valu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Can be controlled to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says "raise the volume one step higher ",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can control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one step higher than the volume output in the basic mode. In this case, the process of resizing the content sound output to the temporarily stored siz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basic mode of the mode switching unit 130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or may be processed as a change of th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have.

즉, 사용자가 "볼륨 한 단계 더 높여줘"라고 말한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현재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볼륨 크기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볼륨 크기를 다시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할 수 있고, 이때 모드 전환부(130)에 의해 기본 모드로 복구되는 시점에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볼륨 크기가 이용되므로 결국 이전의 기본 모드에서 출력되던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 크기가 한 단계 더 높게 출력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says "raise the volume one step higher ",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may temporarily store the volume size, which is one step higher than the volume siz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t this time, since the volume siz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s used at the time of restoring to the basic mode by the mode switching unit 130,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in the previous basic mode is output one step higher .

이처럼 볼륨 조정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 제어가 있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음성 제어에 따른 결과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만 사용자에게 들려줄 수도 있다.If there is voice control of the user related to the volume adjustment,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may allow the user to listen to the result of voice control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현재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의 용이한 분석을 위해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이 낮춰진 상태인데, 사용자가 "볼륨 한 단계 더 높여줘"라고 발화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 크기에서 한 단계 더 높여진 크기를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그 임시 저장되는 볼륨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가 기 설정된 시간(일 예로 2초)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다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의 용이한 분석을 위해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을 낮춰 대기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urrent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is lowered for easy analysis o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When the user utters "raise the volume one step higher"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nd the content sound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So that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is lowered and waited for easy analysis o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이 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일 예로 5초) 이내에 다시 "볼륨 한 단계 더 높여줘"라고 발화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 크기에서 한 단계 더 높여진 크기를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그 임시 저장되는 볼륨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가 기 설정된 시간(일 예로 2초)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결국 최초 기본 모드 상태에서의 콘텐츠 사운드의 외부 출력 볼륨 크기보다 2 단계 더 높은 값이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될 수 있고, 추후 기본 모드로 최종 복구될 때 해당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된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user utters "raise the volume one more step"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ive seconds),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sets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one step Temporarily stores the increased size in the storage unit 150, and controls the content sound to be output for a preset time (e.g., 2 seconds) to the temporarily stored volume size. In this case, a value two times higher than the size of the external output volume of the content sound in the initial basic mode can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nd when it is finally restored to the basic mode, The content sound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with the temporarily saved size.

외부 사운드 신호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추출부(141)는 앞서 설명한 모드 전환부(13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에 의해 외부 출력 제어되는 콘텐츠 사운드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The extraction unit 141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mode switching unit 130 described above in determining whether a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That is,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und controlled by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is filtered from the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to extract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즉,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사운드는 마이크(110)를 통해 다시 입력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제어 명령 사운드(예를 들어 "채널 변경")는 이러한 콘텐츠 사운드에 섞여 입력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the like is input again through the microphone 110, at which time the user's control command sound (for example, "channel change") can be mixed with the content sound.

이때 추출부(141)는 수신되는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에서 현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사운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xtracting unit 141 extracts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of the user by filter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und being output through the current speaker from the received external sound.

콘텐츠 사운드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추출부(141)는 앞서 설명한 모드 전환부(130)와 같이 주파수 대역의 필터링 또는 시간 대역의 변화에 따른 패턴을 고려한 필터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performing the filtering of the content sound signal, the extraction unit 141 may use filtering such as filtering of a frequency band or a pattern considering a change of a time band, as in the mode switching unit 130 described above.

또한 기능 수행부(140)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 진입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어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타이머(160)를 리셋하여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머(160)는 0으로 초기화된 후 다시 동작하게 된다.Also,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can reset the timer 160 and operate the control unit 160 when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entry of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ly, the timer 160 is initialized to 0 and then operates again.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따라 기능 수행부(14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포함될 수 있다.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may includ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이 경우 현재 실행되던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일시 정지 또는 종료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rrently executed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paused or terminated.

예를 들어 라디오 재생이 수행되던 중에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라디오 재생은 계속 유지되면서 다만 라디오 재생 볼륨이 낮춰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기 저장된 mp3 파일 재생에 해당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라디오 재생을 종료시키고 대신 파일 재생 플레이어를 새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mp3 파일 재생 대신에 외부의 소정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신호 또는 다른 포맷으로 저장된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corresponds to the playback of the pre-stored mp3 file, 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corresponds to the pre-stored mp3 file playback, The execution unit 140 can terminate the radio reproduction and instead can newly operate the file reproduction player. Here, instead of reproducing the mp3 file, it is also possible to reproduce a multimedia signal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or contents stored in another format.

다른 예로써, 특정 콘텐츠(우리집 메시지 녹음 및 재생, 동화재생, 일정 알람 멘트 등)의 동작 중에 소정의 메시지(텍스트 또는 음성 메시지 등)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경우, 기능 수행부(140)는 특정 콘텐츠의 종류에 부합되는 방식으로 현재 재생하고 있는 특정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혹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 동작을 종료시킨 후 순차적으로 메시지 전송 또는 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predetermined message (text or voice message, etc.) during the operation of specific contents (recording and playback of home messages, moving picture playback,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uspend the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or to process the message transmission or reception sequentially after completing the reproduction operation for the specific content.

만일 특정 콘텐츠의 일시 정지 후에 메시지 전송 또는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 메시지 전송 또는 수신이 완료되어 상술한 기본 모드로 복원될 때는 일시 정지되었던 특정 콘텐츠의 재생 동작이 재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f the message transmission or reception is performed after the pause of the specific content, the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that has been paused can be resumed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or reception is completed and restored to the basic mode described above.

상술한 설명에서 콘텐츠 사운드의 볼륨 조정 과정에서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함)에 볼륨 조정과 관련한 정보들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lume adjustment may be displayed in a form of text or image on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not show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ontent sound.

이러한 제어는 상술한 모드 전환부(130) 또는 기능 수행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This control can be perform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130 or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described above, and an examp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hown in FIG.

도 2(a)는 일반적인 볼륨 조절 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볼륨 조절 이미지와 볼륨 크기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FIG. 2 (a) corresponds to a general volume control situation,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image and the volume size is displayed.

도 2(b)는 볼륨 조절 과정에서 최대 볼륨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최대 볼륨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텍스트와 최대 볼륨의 크기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시되고 있다.FIG. 2 (b)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aximum volume is reached in the volume adjustment process, and a text indicating that the maximum volume has been reached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aximum volume are displayed.

이와 반대로 도 2(c)는 볼륨 조절 과정에서 최소 볼륨 즉 무음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최소 볼륨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이미지와 최소 볼륨의 숫자 '0'이 표시되고 있다.In contrast, FIG. 2 (c)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minimum volume, i.e., silence, is reached during the volume adjustment process, and an image indicating that the minimum volume has been reached and a number 0 of the minimum volume are display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었다고 감지하는 경우(단계 S3), 콘텐츠 사운드의 현 시점에서의 외부 출력 볼륨 크기를 저장한다(단계 S5).When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detects that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cludes the wake up command sound signal in the state where the content sound is outpu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tep S1) (step S3) The external output volume size at the present time of the content sound is stored (step S5).

이어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콘텐츠 사운드 외부 출력 볼륨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낮추고(단계 S7) 명령 수신 대기 상태의 진입에 해당하는 명령 수신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9).Subsequently,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lowers the content sound external output volum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lgorithm (step S7) and switches to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the entry of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step S9).

이 상태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 S11), 그 제어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S13).In this state, whe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step S11),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step S13).

이후,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단계 S5에서 임시 저장된 볼륨 크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사운드 외부 출력 볼륨 크기를 원상회복하고(단계 S15), 명령 수신 대기 상태를 해제한다. 즉, 명령 수신 대기 모드에서 기본 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17).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recovers the content sound external volume size by using the temporarily stored volume size in step S5 (step S15), and releases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That is,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to the basic mode (step S17).

도 4는 명령 수신 대기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등에 관한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FIG. 4 is a control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relating to an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mode and the like.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단계 S21),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타이머(160)를 새로 동작시킨다(단계 S23).After entering the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step S21),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newly operates the timer 160 (step S23).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 타이머(160) 동작에 따른 시간 경과 이전(즉,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단계 S25)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를 해제하여 복원한다(단계 S31). 즉, 기본 모드 상태로 전환한다.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not received before the lapse of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mer 160 (tha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entering the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step S25),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waits for the command reception (Step S31). That is, the mode is switched to the basic mode.

만일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25)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함(단계 S27)과 아울러 타이머(160)를 리셋하여 다시 동작하도록 한다(단계 S29).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entering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step S25),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step S27) 160 are reset and operated again (step S29).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가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하지 않는다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기본 모드로 복구되지만,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한다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서 그 발화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수행됨과 아울러 타이머(160)가 리셋되어 다시 동작함으로써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시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utter a voice for a control comman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enters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is restored to the default mode, If the voice for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within the set time,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ttered control command. In addition, the timer 160 is reset and operated again, It is possible to utter the voice for.

일 예로 기 설정된 시간이 5초라고 한다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가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 5초 이내에 사용자는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할 수 있고, 첫 번째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한 이후 다시 5초 이내에 두 번째 제어 명령을 위한 음성을 발화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5 seconds, the user can utter a voice for the control command within 5 seconds 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enters the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and the voice for the first control command It is possible to utter a voice for the second control command within 5 seconds after the speech.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200)(예를 들어 사운드 분석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외부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inafter,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200 (for example, a sound analysis server) as shown in FIG. 5, Analyzes whether or not a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contained in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 and provides a result of the analysi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10'),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 모드 전환부(130'), 기능 수행부(140'), 저장부(150'), 타이머(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he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110', a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 a mode switching unit 130', a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 a storage unit 150', and a timer 16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편의상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기능 수행부(140')는 전송부(143)와 처리부(142')를 포함하고 있는데, 전송부(143)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를 기 설정된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처리부(142')는 외부 서버(200)에서 외부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143 and a processing unit 142'. The transmitting unit 143 is configured to set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0 ' To the external server 200. When the external server 200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the processing unit 142 ' .

즉, 기능 수행부(14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외부 서버(200)에 요청하는 것이다.That i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 execution unit 140 'makes a request to the external server 200 without perform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이때 외부 서버(200)의 분석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능 수행부(140')는 현재 사운드 출력 제어부(120')에 의해 외부로 출력 제어되는 콘텐츠 사운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방송 채널, 콘텐츠 파일명, 또는 해당 콘텐츠의 사운드 신호 그 자체 등)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help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server 200,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ound output by the current sound output control unit 120' (for example, a broadcast channel, , Or the sound signal itself of the content, and the like) to the external server 200.

물론 사용자의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모드 전환부(130') 역시 기능 수행부(140')처럼 외부 서버(200)를 이용하여 외부 사운드 신호에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mode switching unit 13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s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received also includes a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using the external server 200 like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40' You can also check if there is.

그러나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의 판별은 모드 전환부(130') 스스로 처리하고, 제어 명령 사운드의 판별은 외부 서버(200)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e switching unit 130 'itself processes the discrimination of the wake up command sound, and the control command sound is discriminated by the external server 200. [

왜냐하면 모든 음성 분석을 외부 서버(200)에서 처리되도록 하려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동작하는 동안 내내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해야 하는데, 이는 과도한 트래픽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200)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다.This is because, in order to process all the voice analyzes in the external server 200, the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100 'must transmit an external sound signal input during operation to the external server 200, which not only causes excessive traffic The load of the external server 200 is increased.

따라서 외부로부터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 스스로 판단하고, 만일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는 외부 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외부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를 판단하도록 하면 트래픽 문제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200)의 부담 문제까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itself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phone 110' includes a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f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server 200 determines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so as to not only the traffic problem but also the load of the external server 200 The problem does not occur.

이처럼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외부 서버(200)에 의존하는 것은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한 것이다.In this way, whether or not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depends on the external server 200 for more accurate analysis.

즉, 일반적으로 콘텐츠 재생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는 여러 개 많게는 10개 이상일 수 있는데, 이처럼 많은 명령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소음이 상존하는 상태에서 판별하는 것은 자칫 잘못된 명령 수행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처리하기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개별 디바이스(즉,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성능이 부족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in general, the number of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00 'may be several or more, and in order to discriminate such a large number of commands from the state in which external noise is present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device operated by a user (i.e.,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 may be insufficient to process an algorithm for overcoming this.

따라서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의 분석은 외부 서버(200)에서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can be solved by the external server 200 to be processed.

본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기본 모드로 복구되는 것 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외부 서버(200)의 부담도 크지 않다.The restoration to the basic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urden on the external server 200 is not heavy.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와 외부 서버(200)(사운드 분석 서버(200)) 간의 제어 및 신호 흐름이 도 6에 도시되었다.The control and signal flow betwee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server 200 (sound analysis serv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콘텐츠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4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43).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outputs the content sound to the outside (step S41),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0'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cludes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step S43) .

만일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된 경우(단계 S45)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고(단계 S47), 그 이후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분석 서버(200)로 전송한다(단계 S49).If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step S45),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enters the command reception waiting state (step S47), and the external sound signal inputted thereafter is transmitted to the sound analysis server 200 (Step S49).

사운드 분석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외부 사운드 신호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The sound analysis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a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step S51).

판단 결과 수신된 외부 사운드 신호에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S53) 사운드 분석 서버(200)는 제어 명령 신호를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55).If the control sound signal is included in the received external sound signal (step S53), the sound analysis server 2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step S55).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운드 분석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S57).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100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analysis server 200 (step S57).

특정 기능 수행 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기본 모드로 복구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Restoration to the basic mode afte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or an applica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Her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d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Compact Disk).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executed on hardware such as a computer or a smart phone to perform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suc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100' : 콘텐츠 재생 장치 110 : 마이크
120 : 사운드 출력 제어부 130 : 모드 전환부
140,140' : 기능 수행부 150 : 저장부
160 : 타이머 141 : 추출부
142,142' : 처리부 143 : 전송부
200 : 외부 서버
100, 100 ':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110: microphone
120: sound output control unit 130: mode switching unit
140, 140 ': function performing unit 150:
160: timer 141:
142, 142 ': Processor 143:
200: external server

Claims (1)

(a) 콘텐츠 재생에 따른 콘텐츠 사운드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웨이크업 명령 사운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제어하고,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c) 상기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h) 상기 (b) 단계 이전에 해당 시점의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명령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가 볼륨 조정용 신호인 경우 상기 (h) 단계에서 임시 저장된 콘텐츠 사운드 출력의 크기를 해당 제어 명령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값으로 변경시켜 임시로 저장시킴과 아울러 해당 임시로 저장되는 볼륨 크기로 콘텐츠 사운드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다시 명령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하면서 콘텐츠 사운드의 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정도만큼 낮춰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a) controlling a content sound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to be output to the outside;
(b) when the wake-up command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an external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controlling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o be reduced by a predetermined degree, and entering a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c)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h) temporarily storing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at the time point prior to the step (b)
In the step (c), if the control command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command reception standby state is a volume adjustment signal, the size of the content sound output temporarily stored in the step (h) To temporarily store the content sound, and to control the content sound to be output for a preset time with the volume size temporarily stored, and then, when the content sound comes into the waiting state again, When the content is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KR1020170083160A 2017-06-30 2017-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KR201700816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60A KR20170081611A (en) 2017-06-30 2017-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60A KR20170081611A (en) 2017-06-30 2017-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66A Division KR101755120B1 (en) 2015-10-28 2015-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611A true KR20170081611A (en) 2017-07-12

Family

ID=5935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60A KR20170081611A (en) 2017-06-30 2017-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6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1758B2 (en) Voice interaction methods, devices, devices and storage media
RU2653355C2 (en) Volum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RU2666966C2 (en)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0516776B2 (en) Volume adjusting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RU2605361C2 (en) Multimedia playing method and device
CN109473095B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030018479A1 (en) Electronic applianc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in speech recognition and improving the speech recognition rate
US20180253274A1 (en) Method for Muting and Electronic Device
WO2019033986A1 (en) Sound playback device detection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20170126801A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media synchronization
BR102013000553A2 (en) Image display device enabling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voice in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CN104636110B (en) Control the method and device of volume
US20150163610A1 (en) Audio keyword based control of media output
CN101809999B (en) Audio signal controller
CN1041124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data
CN104378715A (en) Device and method for lowering earphone POP sound
US2012028728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voice prompt function and voice prompt method
CN10468290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olume
CN106454507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volume of electronic terminal
CN114125549A (en) Sound field sound effect control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551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CN105635916A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816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CN105430449A (en) Media file 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6132869A (en) Earphone volume adjusting method, earphon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