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229A -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 - Google Patents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229A
KR20170081229A KR1020177015262A KR20177015262A KR20170081229A KR 20170081229 A KR20170081229 A KR 20170081229A KR 1020177015262 A KR1020177015262 A KR 1020177015262A KR 20177015262 A KR20177015262 A KR 20177015262A KR 20170081229 A KR20170081229 A KR 2017008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gw
mme
sgsn
new
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란다이스
알레시오 카사티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7008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6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상기 UE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요청시, 다운링크(DL) 버퍼링 지속 기간으로 지칭되는 최대 지속 기간 동안, 상기 UE에 대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DL) 패킷들이 서빙 게이트웨이(SGW)에서 버퍼링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SUPPORT OF MOBILE-TERMINATED COMMUNICATION IN AN EVOLVED PACKET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패킷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패킷 모바일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의 설명들은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같은 표준화 기구들에 의해 발표된 기술 명세들과 같은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패킷 모바일 시스템의 예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이다. EPS 네트워크는 E-UTRAN 액세스 또는 GERAN/UTRAN 액세스를 포함하는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액세스될 수 있는 EPC(Evolved Packet Core)로 불리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특히 EPC 노드들은 E-UTRAN 액세스를 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GERAN/UTRAN 액세스를 위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PDN 게이트웨이(PDN GW)를 포함한다. EPS는 특히 E-UTRAN 액세스에 대해서는 3GPP TS 23.401에, GERAN/UTRAN 액세스에 대해서는 3GPP TS 23.060에 규정된다. EPS에 대한 아키텍처의 예는 3GPP TS 23.401에서 취한 도 1에서 상기된다.
EPS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E)는 UE와 액세스 포인트 네임(APN:Access Point Name)과 같은 PDN 식별자에 의해 표현된 PDN 간의 연결성(PDN 연결성 또는 IP 연결성으로 칭해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EPS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외부 네트워크들(또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로 칭해짐)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유휴 모드(idle mode)에서 UE들에 대한 모바일 착신 통신들은 3GPP TS 23.401에 정의된 네트워크 트리거 서비스 요청 절차를 통해 EPS와 같은 시스템에서 지원된다.
사물 인터넷(IoT)라고도 알려진 기계 유형 통신들(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 요구사항들을 가진 새로운 유형들의 통신들의 지원을 위해 이러한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에 최적화들 또는 개선 사항들이 이제 도입된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 요구사항들의 일 예는, 메커니즘들은 네트워크가 MTC 서버로부터 수신된 트리거 표시를 기반으로 MTC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MTC 장치(또는 MTC에 대해 장착된 UE)를 트리거하게 허용하는 MTC 장치 트리거링을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치 트리거링에 대한 메커니즘들은 특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 및 애플리케이션들과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키텍처 향상들을 규정하는 3GPP TS 23.682에 기술된다. DT-AS(장치 트리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자 평면을 통해 UE에 트리거를 전달하는 사용자 평면을 통한 흐름을 트리거링하는 예가 3GPP TS 23.682, 부록 D의 그림D-1에서 상기된다. 제어 평면을 통한(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사용한) 트리거링은 또한 3GPP TS 23.682에 기술된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 요구사항들의 또 다른 예는 메커니즘들이 MTC 장치들의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UE 절전 모드(PSM:Power Saving Mode)라고 불리는 장치들(또는 사용자 장비들)의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한 메커니즘의 예는 특히 3GPP TS 23.682 및 3GPP TS 23.401에 규정된다. UE는 UE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PSM을 쳬택할 수 있다. 그 모드는 전원 끄기(power-off)와 유사하지만, UE가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이므로, PDN 연결들을 다시 연결(re-attach)하거나 다시 설정(re-establish)할 필요가 없다. PSM의 UE는 모바일 착신 서비스들에 대해 즉시 도달할 수 없다. PSM을 사용하는 UE는, 데이터 전송 또는 시그널링과 같은 모바일 발신 이벤트 이후에, 예를 들어, 주기적인 TAU/RAU(추적 영역 업데이트/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절차 이후에, 오직 활성 시간의 기간 동안만 모바일 착신 서비스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확장된 DRX(비연속적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라고 불리는 장치들(또는 사용자 장비들)의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한 메커니즘의 다른 예는 특히 3GPP TR 23.887에서 고려된다. 확장된 DRX를 갖는 UE는 가능한 페이징 발생들을 듣기 위해 일어난 시간들 사이의 최대 수분까지 불연속 수신의 더 긴 기간을 적용한다.
발명자들에 의해 인식되고,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이러한 절전 메커니즘의 예들은 절전 모드 또는 확장된 DRX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에 대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예로서, 장치 트리거링)을 향상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더 높은 레이어들 상에 재전송 방식들에 의한 DL 패킷 재전송들을 야기하는 PSM 모드에서 UE에 대한 DL(다운링크)패킷들의 삭제로 인한 네트워크 부하 증가를 회피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들의 도달 가능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발명가들에 의해 또한 인식되는 바와 같이,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을 개선할 필요가 존재한다.
발명가들에 의해 또한 인식되는 바와 같이,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이러한 절전 메커니즘의 예들은 절전 모드 또는 확장된 DRX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을 향상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히 이러한 필요들을 다룬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일 양상에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 내의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UE에 대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 링크(DL) 패킷들이 DL 버퍼링 지속 기간으로 지칭되는 최대 지속 기간 동안, 요청에 따라, 서빙 게이트웨이(SGW)에서 버퍼링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다른 양상에서,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모바일 착신 SMS의 수신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UE가 도달할 수 없음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 즉시 보고하고,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및
-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MME 또는 SGSN가 HSS를 통해 SMSC에게 경고하여 SMS를 재-송신하도록 SMSC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다른 양상에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위해 성취되며, 상기 방법은:
-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로부터 네트워크 개시 위치 요청의 수신시, 이동 관리 엔티티(MME)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와 함께 UE에 대한 최종 알려진 위치를 포함하는 GMLC에 대한 응답을 즉시 리턴하고, UE가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경우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 UE로부터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또는 UE에 대한 다음 시그널링 활동시, MME 또는 SGSN가 GMLC를 향해 가입자 위치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다른 양상들에서, 이러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엔티티들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엔티티들은, 특히 EPS 네트워크에서: 서빙 게이트웨이(SGW),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홈 가입자 서버(HSS)를 포함한다(독점적이지는 않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또는 방법들의 일부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EPS 아키텍처의 예를 상기하도록 의도된 도면.
도 2는 사용자-평면 장치 트리거링을 위한 예시적인 흐름을 상기하도록 의도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에 대한 사용자-평면 장치 트리거링을 위한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하도록 의도된 도면.
도 4는 구 SGW에서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이 새로운 SGW로 포워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해, SGW 변경을 갖는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AU:Tracking Area Update) 절차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하도록 의도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확장된 DRX를 갖는 UE에 대해 모바일 착신 단문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하도록 의도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Mobile Terminating Location Request)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하도록 의도된 도면.
이하의 설명은 3GPP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에 대응하는 모바일 시스템에 대한 예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3GPP EPS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사물 인터넷(IoT)은 많은 사물들(예로서, 장치들)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고 통신될 수 있는 개념이다. 한 연구는 IoT를 대표하는 장치들의 수가 2020년까지 260억 단위로 증가할 것을 예측했다. 이러한 장치들의 상당수는 저-비용, 저-에너지 및 저-비트율의 측면에서 제한적이 될 것이다.
3GPPP는 UE가, UE가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로 있지만 더 이상 도달가능하지 않은 긴 휴면 기간들에 들어가는 릴리스 12(3GPP TS 23.401 및 23.682 참조)에 새로운 절전 모드 기능(PSM:Power Saving Mode)을 규정했다. 3GPP는 또한, 릴리스 13에서 유휴 모드에 있는 UE들의 DRX 주기(불연속 수신기간, 즉, UE가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요청들을 수신할 수 있는 기간)를 몇 분(예로서, 5, 10, 또는 15분)으로 연장하여, 모바일 착신 데이터 통신들을 지원할 것을 요청하는 UE들에 대해 더 많은 배터리 절약 이득들을 제공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문서 3GPP S2-143324를 참조하라.
PSM에 있거나 또는 확장된 DRX 주기를 갖는 UE들에 대한 모바일 착신 데이터 통신들은 현재의 네트워크 동작에 관해 많은 측면들에서 비효율적일 것이고, 이는 다음과 같이 상기된다:
- 다운링크 데이터가 ECM-IDLE 모드에 있는 UE로 송신될 때, 적어도 하나의 IP 패킷이 SGW에서 버퍼링되고, UE는 페이징된다. UE가 페이징에 응답할 때, 버퍼링된 IP 패킷들은 UE로 전송된다.
- 다운링크 데이터가 ECM-IDLE 모드에 있고 슬립 모드 기능, 예로서 PSM을 적용하는 UE로 송신될 때, IP 패킷들은 SGW에서 폐기된다. UE에 대한 어떠한 페이징도 행해지지 않는다.
현재 시스템의 패킷 폐기 동작의 문제점들이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 패킷들의 성공적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수송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에 의해 적용된 재전송 방식들에 의해 발생된 네트워크상의 더 높은 부하(예로서, SGW로부터 MME/SGSN으로의 추가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시그널링을 야기하는 것, 송신자/애플리케이션 서버측에서 추가 리소스들을 필요로 하는 것, 송신기 측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부가적인 시그널링 및 처리를 야기하는 재전송 타임아웃 이후, Tsp 인터페이스를 통해 SMS-기반 장치 트리거링으로 되돌아가는 것);
- 사물 인터넷 및 MTC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셀룰러를 덜 바람직한 선택으로 만들 수 있는 절전 메커니즘들을 사용하는 장치들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
이러한 장치들의 매우 많은 수는 3GPP 액세스가 이러한 제한된 장치들에 액세스할 때 효율적이라는 것이 특히 중요하게 한다. 따라서, 3GPP는 장기간(예로서, 수분 이상) 동안 도달가능하지 않은 UE들(장치들)과의 모바일 착신 데이터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EPS에 대한 최적화를 연구하는 과정에 있다. 네트워크 측의 애플리케이션들은 3GPP TS 23.682에 따라 Tsp 참조 포인트(MTC-IWF에 대한) 및 SMS-기반 전달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장치들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시 SMS를 통해 장치를 트리거하기 위해 많은 네트워크 엔티티들(MTC-IWF, HSS, SMS 서비스 센터, MME, SGSN, MSC)에서 과도한 시그널링 및 처리로 인해, 매우 비효율적인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반할 것이다. 최대 5분이 걸리는 확장된 DRX의 경우, 또한, 기본적으로 단지 SMS에 의해 트리거하는 것보다 DL 전달을 위해 SGW에서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상술된 단점들을 회피하는 다른 접근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특히 이러한 필요성들을 다룬다.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예로서, PSM에서 또는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통신의 지원(예로서, 장치 트리거링)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다음의 아이디어들에 기초한다:
UE의 IP 연결성이 확립된 상황들에서(즉, UE는 이미 PDN 연결성을 확립함), UE IP 어드레스가 알려지고, NAT 또는 방화벽이 다운링크 패킷 전송을 차단하지 않고, 네트워크 측의 애플리케이션들은 확립된 IP 연결성(즉, PDN 연결성)을 통해 장치를 트리거하고, SGW는 MME/SGSN에 의해 UE의 하나 이상의 DRX 주기들을 커버링하는 최대 지속 시간 동안 DL 사용자 평면 패킷을 저장하도록(장치 트리거 요청을 캡슐화함) 지시받는다. 또한, 이는 UE로 송신된 PSM 주기적 TAU 또는 RAU 값과 동일한 저장 기간을 표시함으로써 PSM(절전 모드)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예로서, PSM에서 또는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통신의 지원(예로서, 장치 트리거링)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도 3의 예시적 흐름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절전 메커니즘(예로서, PSM 또는 확장된 DRX)을 사용하여 UE와의 데이터 통신을 개시하기를 원할 때, 애플리케이션(네트워크 측)은 장치 트리거 요청을 UE로 송신할 수 있다:
a) IP 연결성이 이용가능한 경우(통상의 경우), 선택적으로, 패킷의 수신을 확인하는 중간 SCS(Service Capability Server)를 통해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 패킷을 UE의 IP 어드레스로 송신함으로써; 3GPP TS 23.682의 그림 D-1에 따라.
b) 또는 Tsp와 SMS 전달 메커니즘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TS 23.682의 하위 절 5.2.1에 따라)
노트 1: 확장된 DRX 모드에서 UE들에 대한 장치 트리거링의 사용은 새로운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의 예시적인 흐름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다음 단계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단계들 중 일부는 네트워크 트리거 서비스 요청 절차에서 도입될 수정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특히, 3GPP TS 23.401에 정의된 바와 같이).
PGW는 기존 절차들에 따라 DL 사용자 평면 패킷을 S5/S8-U 베어러를 통해 SGW로 포워딩한다.
DL 사용자 평면 패킷의 수신시(장치 트리거를 캡슐화함), SGW는 기존 절차에 따라서(UE가 E-UTRAN 또는 UTRAN/GERAN 커버리지 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DDN:Downlink Data Notification) 요청을 MME 또는 SGSN에 송신한다.
운영자 정책들(예로서, 사용자의 가입, DL 패킷이 수신된 APN)을 기반으로, UE가 네트워크와 절전 메커니즘(예로서, PSM, 확장된 DRX)의 사용을 협의한 경우, MME/SGSN은 DDN 요청(정상적인 경우)을 계속할지 또는 이를 거절할지를 결정한다.
요청을 계속할 때, MME 또는 SGSN은 네트워크 트리거 서비스 요청 절차(TS 23.401 하위 절 5.3.4.3 및 TS 23.060에 지정된 대로)를 개시하고, 즉, 원하는 페이징 영역에 속하는 eNB들 또는 RNC들을 향해 페이징 요청을 송신한다. eNB들 또는 RNC들은 UE의 다음 페이징 발생까지 페이징 요청을 저장한다. PSM 모드에서 UE들에 대한 예외로서, MME/SGSN은 UE에 페이징하지 않지만(TS 23.401의 그림 5.3.4.3-1의 단계 3 참조), UE의 다음 업링크 시그널링 활동(예를 들어, 다음 주기적 TAU/RAU 요청)을 대기하여 서비스 요청 절차(단계 5 및 다음 단계들)를 트리거한다.
노트 2 : UE들은 PSM에 있을 때, 페이징 채널들을 듣지 않는다.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수신 확인에서, MME 또는 SGSN은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SGW에게 표시하고(예로서, DDN 확인 메시지의 원인 IE의 새로운 값, 3GPP TS 29.274 하위 절 7.2.11.2 참조), SGW가 그 UE에 대한 다운링크 패킷들을 버퍼링할 수 있는 최대 지속 기간(DDN 수신 확인 메시시에 추가된 새로운 DL 버퍼링 지속 기간 IE를 통해)을 SGW에 제공한다. 이러한 지속 기간은 예를 들어 확장된 DRX를 갖는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DRX 주기들의 지속 기간 또는 PSM에서의 UE에 대한 PSM 특정 주기적 TAU/RAU 값을 커버하도록 설정된다.
노트 3 : "더 많은 DRX 주기들"은 그의 제 1 DRX 발생시 UE에 페이징 하는 것이 실패할 경우들(예로서, 도달가능하지 않거나 채널 과부하를 페이징하는 UE)을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트 4 : PSM에서 UE들에 대해, MME/SGSN은 주기적인 TAU/RAU 타이머 및 마지막 UE 시그널링 절차 이후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SGW에서 더 짧은 버퍼링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SGW에 대한 DDN 수신 확인 메시지는 또한 PDN 연결 당 또는 UE에 대한 UE 당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수에 대한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UE 당 또는 버퍼링에 대한 APN 가입 당 존재할 수 있다 - APN이 버퍼링을 위해 0 세트를 갖는 경우, SGW는 장치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을 때, 이러한 APN PDN 연결에 대한 DL 데이터를 폐기한다). 이 통지 이후 후속 DL 데이터가 도착하면, 더 이상 DDN은 트리거되지 않고, 데이터는 표시된 패킷들 한도까지 저장된다.
노트 5 : SGW는 대안으로 APN당 및/또는 UE당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수에 대한 제한으로 구성될 수 있다.
MME/SGSN은 SGW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확장들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구성에 의해 또는 예로서, SGW에 의해, GTP-C 시그널링을 통해 이러한 특징/확장들의 지원을 MME/SGSN으로 통지한다(기존의 특징 발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3GPP TS 29.274 절 11 참조).
그 응답의 수신시, 기존 서비스 요청 절차(TS 23.401 하위 절 5.3.4.3 및 23.060 참조) 또는 MME/SGSN에 의해 제공된 지속 기간(SGW가 그 UE에 대한 DL 패킷들을 드롭하는 경우)에 따라, 먼저 발생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UE가 페이징 요청(확장된 DRX를 갖는 UE)에 응답하거나 임의의 업링크 시그널링(확장된 DRX 또는 PSM을 갖는 UE)을 트리거하고, 다운링크 사용자 라디오 및 S1-U 베어러들을 확립할 때까지, SGW는 그 UE에 대해 수신된 다운링크 패킷들을 버퍼링한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 평면 교환들은 UE와 네트워크 측의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요청을 거절할 때, MME 또는 SGSN은 UE가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를 갖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수신 확인을 송신한다(기존 절차에 따라). 이후 SGW은 다운링크 패킷들을 드롭하고 주어진 기간 동안 수신된 후속 DL 사용자 패킷들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요청들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UE(예로서, PSM에서 또는 확장된 DRX를 사용중인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통신의 지원(예를 들어, 장치 트리거링)을 위한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또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절차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TAU 절차에 대한 예시로서, 도 4의 예시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특정 예시적인 흐름에 의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또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AU) 절차에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의 예시적인 흐름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다음 단계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 중 일부는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AU) 절차(특히, 3GPP TS 23.401에 정의된 바와 같이)에서 도입될 수정들을 요구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수정들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AU) 절차(특히 3GPP TS 23.401 또는 3GPP TS 23.06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에서 도입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페이징에 응답하기 전에, UE가 인트라 MME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AU) 또는 인트라 SGSN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AU)를 개시(즉, UE가 새로운 트래킹 영역/라우팅 영역으로 이동)하면, MME 또는 SGSN은 TAU/RAU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된 시그널링 연결을 레버리지하여 DL 연결성을 확립하고 그 때 DL 패킷들을 전송한다(기존 절차에 따라 - TS 23.401 하위 절 5.3.4.3: "MME가 이미 UE를 향한 S1-MME를 통한 시그널링 연결을 가지고 있지만, S1-U터널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경우, 수행된 메시지 시퀀스가 MME가 베어러(들)를 확립하는 단계부터 시작한다." ).
인터-MME TAU 또는 인터-SGSN TAU시, 즉, UE가 상이한 CN 노드로 이동할 때, 새로운 MME 또는 SGSN은 기존 TAU 또는 RAU 절차에 따라 행동한다(예로서, TS 23.401 하위 절 5.3.1 참조); 그 절차 동안, 새로운 MME 또는 SGSN은 SGW로 GTP-C 수정 베어러 요청을 송신함으로써(예로서, TS 23.401 그림 5.3.3.1-1 단계 9 참조) SGW의 제어를 인수한다. 이후 SGW는, DL 데이터가 그 UE에 대한 SGW에서 여전히 버퍼링되는 경우, 새로운 MME/SGSN로 새로운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를 송신한다.
UE가 SGW 변경을 요구하는 TAU/RAU를 수행하는 경우, MME/SGSN이 일부 데이터를 버퍼링할 것을 구 SGW(old SGW)에 요청한 경우, MME/SGSN은 DL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GTP-U IP@/TEID를 제공할 것을 새로운 SGW에 요청하여 구 SGW가 버퍼링된 DL 패킷들을 새로운 SGW로 포워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SGW 변경을 갖는 TAU(TS 23.401 하위 절 5.3.3.1 참조)의 예를 취하면, MME는 새로운 SGW가 생성 세션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단계 11 - 새로운 IE)에서 제공하는 DL 데이터 포워딩을 위해 IP@ 및 TEID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단계 8, 새로운 IE)에서 새로운 SGW를 요청한다. MME는 새로운 SGW의 IP@ 및 TEID를 삭제 세션 요청(Delete Session Request)(단계 18, 새로운 IE들)에서 구 SGW로 패스한다. 구 SGW는 임의의 DL 버퍼링된 패킷들을 새로운 SGW로 전달하고, 일단 완료되면, 하나 이상의 GTP-U 종료 마커들 패킷들(End Markers packets)(기존 메시지, TS 29.281 참조)을 송신하여 새로운 SGW에게 어떠한 새로운 DL 패킷들도 전송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린다. 인터-MME/SGSN 인터-SGW 이동성 시나리오에서, 구 MME/SGSN은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에서 DL 데이터가 타깃 SGW로 포워딩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필요하다고 나타낸 경우, 새로운 MME/SGSN은 콘텍스트 확인(예로서, TS 23.401 하위 절 5.3.1의 단계 7, 이후 단계 11 이후에 수행됨)에서 DL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새로운 SGW IP@ 및 TEID를 패스한다.
노트 6 : 핸드 오버 시나리오들은 이미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 DL 패킷들의 전송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TS 23.401 하위 절 5.5.1.2.2 단계들 6 및 8을 참조. 또한, TS 29.281 하위 절 13.2를 참조. DL 데이터 포워딩은 현재 TAU/RAU에 대해 지원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의 일부로서 추가된다.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도 5의 예시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MME에서의 SMS"를 통해 지원되는 EPS 네트워크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도 5에서 예시로서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빙 노드 MME 또는 SGSN은 하나 이상의 다음 단계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들에 대해 SMS의 전달을 지원하도록 향상된다.
모바일 착신 SMS의 수신시(단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E 또는 SGSN은 UE를 한번에 페이징하고(단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도달가능하지 않으며, SMSC가 UE의 다음 활동에서 경고를 받을 것임을 SMSC에 응답한다(단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러한 응답은 기존 절차들을 사용할 수 있다, MME가 Mobile-Not-Reachable 플래그 설정한 TS 23.272 Annex C.6 참조).
eNB는 이후 단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UE의 페이징 발생시에 UE에 페이징한다.
단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서비스 요청 절차 동안), 또는 업링크 시그널링 활동시, MME 또는 SGSN은 단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S를 통해 SMSC에게 경고하여 SMSC가 SMS를 재-송신하도록 트리거한다(기존 절차들에 따라, 즉, MME가 HSS에 SM 메시지에 대한 준비(Ready)를 송신하고, HSS가 TS 23.040에 정의된 바와 같이 SMS 경고 절차를 트리거하는, TS 23.272 Annex C.6을 참조).
절전 메커니즘(절전 모드(PSM) 또는 확장된 DRX와 같은)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UE(여기서, UE는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음)에 대한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도 6의 예시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들 단계들 중 일부는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 절차에서 도입될 수정들을 필요로할 수 있다(3GPP TS 23.271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MME 또는 SGSN은 다음 단계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UE들에 대한 EPC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TS 23.271, 하위 절 9.1.15 참조)을 지원하도록 향상된다.
GMLC로 부터 네트워크 개시 위치 요청(가입자 위치 제공 요청을 제공)의 수신시, MME 또는 SGSN은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선택적 표시와 함께 마지막으로 알려진 위치를 포함하는 응답을 GMLC에 즉시 리턴(가입자 위치 응답을 제공)한다. 이 선택적 표시가 설정되면, MME 또는 SGSM은 또한 GMLC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UE가 확장된 DRX를 사용한다면, MME/SGSN은 또한 UE에 페이징한다.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또는 UE(확장된 DRX 또는 PSM을 사용하는 UE들)에 대한 다음 업링크 시그널링 활동시, MME 또는 SGSN은 가입자 위치 보고(UE의 현재 위치를 갖는)를 GMLC로 송신한다(이것이 EPC 네트워크 유도 위치 요청인 것처럼, TS 23.271 하위 절 9.1.17; 또는 TS 29.172 하위 절 6.3.2 참조). 이는 GMLC가 원래의 제공하는 가입자 위치 요청에서 이러한 새로운 절차("지연된 위치 보고 지원"(deferred location report supported))를 지시했다고 가정한다.
GMLC에 위치를 보고하기 전에 UE가 다른 MME/SGSN 변경으로 이동하면, 구 MME/SGSN은 UE 이동성의 결과로서 요청을 계속할 수 없다는 표시와 함께 가입자 위치 보고를 GMLC에 송신한다. GMLC는 새로운 MME/SGSN에 대한 그의 요청을 이후 반복할 수 있다.
절전 메커니즘들로 구성된 UE들은 전용 EPS 베어러들(예로서, MTC 통신들의 경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러한 UE들에 대한 MME 또는 SGSN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PGW 개시 시그널링(예로서, GTP-C 생성 베어러 요청)은 거부된다고 가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MME/SGSN이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와 함께 요청을 거절하고, UE가 페이징 요청에 응답할 때 수정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PGW를 웨이크 업(wake up)하여 PGW가 UE가 도달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UE들 또는 절전 메커니즘들, 예로서, 절전 모드 또는 확장된 DRX 주기로 구성된 장치들에 대한 EPS에서 효율적인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비용 및 낮은 운영자 ARPU에 의해 속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다수의 MTC 장치들에 대한 SMS 기반 장치 트리거링의 높은 사용을 피하는 것이 우선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은 다음 주요 이점들을 나타낸다:
- 제 3자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EPS에 대한 최소 영향들
- 애플리케이션이 UE로부터 트리거 응답을 얻을 때까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들을 시작하지 않기 때문에, EPC에서 최소 버퍼링을 요구(단지 장치 트리거들)
- 어떻게 해서든 버퍼로 사용할 수 없는 다른 적용 가능한 패킷들의 버퍼링 없음(예로서, TCP)
일 양상에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의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조합들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상기 UE에 대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DL) 패킷들이 DL 버퍼링 지속 기간으로 지칭되는 최대 지속 기간 동안, 요청시, 서빙 게이트웨이(SGW)에서 버퍼링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가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수신 확인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실패 표시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요청을 상기 SGW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 상기 요청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 UE에 대한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수에 대한 제한 또는 UE에 대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연결마다의 제한.
일 실시예에서:
- 상기 버퍼링은 홈 가입자 서버(HSS)에 저장된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통해 또는 상기 서빙 MME 또는 SGSN에 구성된 서빙 MME 또는 SGSN의 운영자의 정책을 통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old SGW)로부터 새로운 SGW(new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구 SGW에서 버퍼링된 상기 하나 이상의 DL 패킷들이 새로운 SGW로 포워딩되도록 허용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서빙 MME, SGSN 각각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Create Session Request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새로운 SGW를 요구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SGW는 서빙 MME, SGSN 각각으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Create Session Response message)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은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서빙 MME, SGSN 각각이 구 SGSW로 삭제 세션 요청 메시지(Delete Session Request message)에서와 같은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구 SGW가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을 새로운 SGW로 포워딩하고, 일단 완료되면, 하나 이상의 GTP_U 종료 마커들 패킷들(GTP_U End Markers Packets)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SGSN으로의 서빙 노드의 각각의 변경을 각각 요구하는 단계로서, 구 MME 또는 구 SGSN이 각각 새로운 SGSN에 대한 새로운 MME를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Context Response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포워딩이 요구된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상기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TAU시, RAU 각각이,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SGSN으로의 서빙 노드의 각각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MME, 새로운 SGSN 각각이,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Context Acknowledge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패스하는, 상기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GTP-C 시그널링을 통해서와 같이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에 상기 버퍼링의 지원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이 서빙 게이트웨이(SGW)가 상기 버퍼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이, 운영자의 정책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에 기초하여,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UE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GW)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요청을 거절할지 안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확장된 DRX에 대응하는 절전 메커니즘의 경우,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상기 UE가 페이징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또는 하나 이상의 DRX 주기들을 커버링하는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버퍼링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절전 모드(PSM:Power Saving Mode)에 대응하는 절전 메커니즘의 경우,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상기 UE가 임의의 업링크 시그널링을 트리거할 때까지 또는 UE의 주기적인 TAU 또는 RAU 타이머를 커버링하는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이 최종 UE 시그널링 절차 이후 경과된 시간만큼 선택적으로 감소될 때까지 상기 버퍼링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은 이러한 방법의 관련 단계(들)를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엔티티들은, 특히(독점적이지는 않음), EPS 네트워크에서 서빙 게이트웨이(SGW),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홈 가입자 서버(HSS)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Serving GPRS Support Node)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상기 서빙 GPRS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상기 MME 또는 상기 SGSN에 의해 서빙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다는 표시, 상기 UE에 대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DL) 패킷들이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까지의 지속 기간 동안 상기 SGW에 버퍼링되어야 하는 다운링크(DL) 버퍼링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수신 확인 메시시와 같이 서빙 게이트웨이(SGW)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각각의 서빙 GPRS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포워딩이 요구된다는 표시를 서빙 게이트웨이(SGW)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서빙 게이트웨이(SGW)가 제공되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는,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 지칭되는 상기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로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서빙 GPRS 지원 노드 각각은,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 삭제 세션 요청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서빙 게이트웨이(SGW)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서빙 게이트웨이(SGW)가 제공되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는,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 지칭되는 상기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는,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을 상기 새로운 SGW로 포워딩하고, 일단 완료되면, 하나 이상의 GTP_U 종료 마커들 패킷들을 송힌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서빙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및 구 MME 또는 SGSN으로 지칭되는 상기 MME 또는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 새로운 SGSN 각각으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포워딩이 요구된다는 표시를 새로운 MME, 새로운 SGSN에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TAU, RAU 각각 동안,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구 MME 또는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 새로운 SGSN 각각으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절차는, 컨텍스트 수신 확인 메시지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상기 구 MME 또는 SGSN으로 패스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홈 가입자 서버가 제공되며,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일 실시예에서:
- 상기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해 수신된 다운링크(DL) 패킷들의 DL 버퍼링 지속기간으로 지칭되는 최대 지속 기간 동안 및 요청시에, 서빙 게이트웨이에서의 버퍼링의 제어를 허용하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상기 모바일 착신 SMS의 수신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re)를 향해 UE가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즉시 보고하고,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 UE로부터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MME 또는 SGSN은 HSS를 통해 SMSC에 경고하여 SMSC가 SMS를 재-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은 이러한 방법의 관련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들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엔티티들은, 특히(독점적이지는 않음) EPS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상기 MME 또는 상기 SGSN에 의해 서빙되는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모바일 착신 SMS의 수신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re)를 향해 UE가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즉시 보고하고, UE에 페이징하고,
- UE로부터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HSS를 통해 SMSC에게 경고하여 SMSC가 SMS를 재-송신하도록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re),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net Entity)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로부터 네트워크 개시 위치 요청의 수신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와 함께 UE에 대한 최종 알려진 위치를 포함하는 GMLC에 대한 응답을 즉시 리턴하고, UE가 확장된 DRX를 사용한다면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및
-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또는 UE에 대한 다음 시그널링 활동시, MME 또는 SGSN은 GMLC를 향해 가입자 위치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은 이러한 방법의 관련 단계(들)를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들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엔티티들은, 특히(독점적이지는 않음), EPS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re)로부터 네트워크 개시 위치 요청의 수신시,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와 함께 상기 MME 또는 SGSN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최종 알려진 위치를 포함하는 GMLC에 대한 응답을 즉시 리턴하고, UE가 확장된 DRX를 사용한다면 UE에 페이징하고,
-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또는 UE에 대한 다음 시그널링 활동시, GMLC를 향해 가입자 위치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들의 단계들이 프로그램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본원에서,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기계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지시들의 기계-실행가능한 또는 컴퓨터-실행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지시들은 상기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장치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상술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7)

  1. 사용자 장비(UE:User Equipment)가 일시적으로 도달 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상기 UE에 대해,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UE에 대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DL:Downlink) 패킷들이, DL 버퍼링 지속 기간(DL buffering duration)으로 지칭되는 최대 지속 기간 동안, 요청시, 서빙 게이트웨이(SGW:Serving Gateway)에서 버퍼링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이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수신 확인 메시지(Downlink Data Notification Acknowledge message)에서와 같은 상기 요청을 상기 SGW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요청은: 상기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 상기 UE에 대한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수에 대한 제한 또는 상기 UE에 대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Packet Data Network) 연결마다의 제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버퍼링은 홈 가입자 서버(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저장된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통해 또는 상기 서빙 MME 또는 SGSN에서 구성된 상기 서빙 MME 또는 SGSN의 운영자의 정책을 통해 제어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old SGW)로부터 새로운 SGW(new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 SGW에서 버퍼링된 상기 하나 이상의 DL 패킷들이 상기 새로운 SGW로 포워딩되도록 허용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서빙 MME, 각각 SGSN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Create Session Request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새로운 SGW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새로운 SGW는 서빙 MME, 각각 SGSN으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Create Session Response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서빙 MME, 각각 SGSN이 상기 구 SGSW로, 삭제 세션 요청 메시지(Delete Session Request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 SGW가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을 상기 새로운 SGW로 포워딩하고, 일단 완료되면, 하나 이상의 GTP_U 종료 마커들 패킷들(GTP_U End Markers Packets)을 송신하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SGSN으로의 서빙 노드의 각각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 MME 또는 구 SGSN이 상기 새로운 MME, 각각의 상기 새로운 SGSN으로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Context Response message)에서와 같이, 상기 구 SGW로부터 상기 새로운 SGW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포워딩이 요구된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상기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TAU, 각각 RAU 시에, 구 SGW로부터 새로운 SGW로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MME로의 서빙 노드의 변경,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부터 새로운 SGSN으로의 서빙 노드의 각각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새로운 MME, 각각 상기 새로운 SGSN이, 상기 구 MME 또는 구 SGSN으로,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Context Acknowledge message)에서와 같은, 상기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DL 패킷들의 상기 새로운 SGW로의 포워딩을 위한 어드레싱 정보를 패스하는, 상기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서빙 MME 또는 서빙 SGSN이, 운영자의 정책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에 기초하여,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UE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GW)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요청을 거절할지 안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확장된 DRX에 대응하는 절전 메커니즘의 경우,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상기 UE가 페이징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또는 하나 이상의 DRX 주기들을 커버링하는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버퍼링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절전 모드(PSM:Power Saving Mode)에 대응하는 절전 메커니즘의 경우,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상기 UE가 임의의 업링크 시그널링을 트리거할 때까지 또는 상기 UE의 주기적인 TAU 또는 RAU 타이머를 커버링하는 상기 DL 버퍼링 지속 기간이 최종 UE 시그널링 절차 이후 경과된 시간만큼 선택적으로 감소될 때까지 상기 버퍼링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방법.
  15.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모바일 착신 SMS의 수신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re)를 향해 상기 UE가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즉시 보고하고, 상기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및
    - 상기 UE로부터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상기 MME 또는 상기 SGSN은 상기 HSS를 통해 상기 SMSC에 경고하여 상기 SMSC가 상기 SMS를 재-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모바일 착신 SMS의 지원을 위한 방법.
  16. 사용자 장비(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상기 UE에 대해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re),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net Entity) 또는 상기 UE를 서빙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로부터 네트워크 개시 위치 요청의 수신시, 상기 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다는 표시와 함께 상기 UE에 대한 최종 알려진 위치를 포함하는 GMLC에 대한 응답을 즉시 리턴하고, 상기 UE가 확장된 DRX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UE에 페이징하는 단계, 및
    - 상기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의 수신시, 또는 상기 UE에 대한 다음 시그널링 활동시, 상기 MME 또는 상기 SGSN은 상기 GMLC를 향해 가입자 위치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절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상기 UE에 대해 모바일 착신 위치 요청의 지원을 위한 방법.
  17.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련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엔티티.
KR1020177015262A 2014-11-04 2015-11-02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 KR20170081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6767.6A EP3018945B1 (en) 2014-11-04 2014-11-04 Support of mobile-terminated communication in an evolved packet system
EP14306767.6 2014-11-04
PCT/EP2015/075468 WO2016071280A1 (en) 2014-11-04 2015-11-02 Support of mobile-terminated communication in an evolved packe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229A true KR20170081229A (ko) 2017-07-11

Family

ID=5199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262A KR20170081229A (ko) 2014-11-04 2015-11-02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서 모바일-착신 통신의 지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84817B2 (ko)
EP (1) EP3018945B1 (ko)
KR (1) KR20170081229A (ko)
CN (1) CN107113598B (ko)
DK (1) DK3018945T3 (ko)
ES (1) ES2869935T3 (ko)
WO (1) WO2016071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90A1 (ko) * 2014-08-11 2016-02-1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91723B2 (en) * 2015-04-03 2018-10-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 enhancements for using extended DRX
US10117280B2 (en) * 2015-10-23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ceiving packets over aggregated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7135702A1 (en) * 2016-02-02 2017-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on-integrity protected message
CN107241369B (zh) * 2016-03-28 2020-06-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会话管理功能实体设备
US10616854B2 (en) * 2016-03-31 2020-04-07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hanging a tracking area when a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are separated
JP6360853B2 (ja) * 2016-05-16 2018-07-18 株式会社Nttドコモ 交換機、管理サーバ及び通信方法
CN107666708B (zh) * 2016-07-27 2019-12-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10764863B2 (en) * 2016-09-01 2020-09-01 Parallel Wireless, Inc.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paging
US11405863B2 (en) 2016-10-05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JP2018074522A (ja) * 2016-11-02 2018-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管理装置、基地局、通信方法、制御方法、ページ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87034A1 (en) * 2016-11-11 2018-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frequent small data for battery saving wireless devices
FR3063197A1 (fr) * 2017-02-20 2018-08-24 Orange Procede de changement de reseau mobile en configuration multi-terminaux
US20180270896A1 (en) * 2017-03-20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ession and mobility management interaction for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user equipments
US10212690B1 (en) * 2017-10-16 2019-02-19 Verizon Patenting and Licensing Inc. Mobility management entity support of user equipment using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and power saving mode
EP3698600B1 (en) * 2017-10-20 2023-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a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PL3496468T3 (pl) * 2017-12-08 2020-07-13 Deutsche Telekom Ag Jednostka sieciowa do tworzenia sesji transmisji za pośrednictwem systemu sieci, zapora sieciowa roamingu, system sieci, sposób i produkt programu komputerowego
CN109996197B (zh) * 2018-01-02 2021-08-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短信息传输的方法和设备
CN110139264B (zh) * 2018-02-09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NB-IoT网络的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785721B1 (en) * 2019-05-10 2020-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saving control of mobile equipment
CN111800882B (zh) * 2020-06-18 2023-12-05 武汉慧联无限科技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发送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9785A1 (en) * 2008-09-18 2011-06-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service request
KR20130090831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휴면 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3177992A1 (zh) * 2012-05-29 2013-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电模式下控制信令发送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2712B1 (en) * 2011-04-29 2019-06-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US20130107863A1 (en) * 2011-10-28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handle bearers dur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operation
IN2015DN00465A (ko) * 2012-07-20 2015-06-26 Ericsson Telefon Ab L 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9785A1 (en) * 2008-09-18 2011-06-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service request
EP2339785B1 (en) * 2008-09-18 2013-06-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service request
KR20130090831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휴면 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3177992A1 (zh) * 2012-05-29 2013-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电模式下控制信令发送的方法和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T, "TAU procedure", 3GPP TSG SA WG2 Architecture S2-071772, 23 - 27 April 2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3598B (zh) 2021-03-30
US20170339611A1 (en) 2017-11-23
DK3018945T3 (da) 2021-05-17
CN107113598A (zh) 2017-08-29
ES2869935T3 (es) 2021-10-26
US11184817B2 (en) 2021-11-23
EP3018945B1 (en) 2021-03-10
WO2016071280A1 (en) 2016-05-12
EP3018945A1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817B2 (en) Support of mobile-terminated communication in an evolved packet system
US10945300B2 (en) Method for (re)selection of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US20200322777A1 (en) Method for tracking area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736072B2 (en) De-registr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631266B2 (en) Mobile-terminated data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373620B1 (en) Serving node reloca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7371215B (zh)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US11617072B2 (en) Reliable data delivery over non-access stratum
US1021914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terminal
US10602380B2 (en) Method for selecting data transmiss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6817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resu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2634B2 (en) Node and method for connection re-establishment
EP3451733A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same
WO2014148795A1 (ko)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005838B (zh) 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WO2017000312A1 (zh) 一种处理下行数据的方法和设备
WO2022268478A1 (en) Notification of sgw change for one or more pdn connections when combined sgw/pgw/smf set is deploy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3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07

Effective date: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