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122A -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122A
KR20170078122A KR1020150188302A KR20150188302A KR20170078122A KR 20170078122 A KR20170078122 A KR 20170078122A KR 1020150188302 A KR1020150188302 A KR 1020150188302A KR 20150188302 A KR20150188302 A KR 20150188302A KR 20170078122 A KR20170078122 A KR 20170078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er
card
security number
disposabl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희
김혜진
Original Assignee
박승희
김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희, 김혜진 filed Critical 박승희
Priority to KR102015018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122A/ko
Publication of KR2017007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4Self-signed certif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조회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와 연결되고 가입자별 보안번호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서버와 연결된 판독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서버접속단계; 공인 인증서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가입하는 서비스서버가입단계; 서비스서버에 신분증을 등록하는 신분증등록단계; 신분증 조회를 위한 보안번호를 설정하는 보안번호설정단계;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 어플리케이션에 보안번호를 입력하는 보안번호입력단계; 서비스서버가 전송한 보안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데이터베이스조회단계; 보안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보안번호확인단계;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한 일회용 인증번호를 구현하는 일회용인증번호구현단계; 설정된 시간 내에 가입자의 일회용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일회용인증번호입력단계; 일회용인증번호를 조회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일회용인증번호확인단계: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신분증을 구현하는 신분증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Mobile Identification Card Materialization Method Using Mobile Identification and One Time Password}
본 발명은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조회가 가능하게 하고, 일회용 인증번호(OTP: One Time Password)를 이용하여 위조 및 변조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신분증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지갑 등에 항시 휴대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스틱 신분증은 도난 및 분실의 우려가 있어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플라스틱 신분증이 위/변조 및 부정사용에 의해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6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조회가 가능하게 하여 별도로 신분증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신원조회를 하도록 함으로써, 신분증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은, 서비스서버와 연결되고 가입자별 보안번호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서버와 연결된 판독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서버 접속단계; 공인 인증서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본인 인증하여 서비스서버에 가입하는 서비스서버 가입단계; 서비스서버에 신분증을 등록하는 신분증 등록단계; 등록된 신분증 조회를 위한 보안번호를 설정하는 보안번호 설정단계;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 어플리케이션에 보안번호를 입력하는 보안번호 입력단계; 서비스서버가 전송된 보안번호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단계; 서비스서버가 보안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보안번호 확인단계; 보안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한 일회용 인증번호(OTP)를 구현하는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 판독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설정된 시간 안에 해당 가입자의 일회용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 서비스서버가 입력된 일회용 인증번호를 조회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 입력된 일회용 인증번호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신분증을 구현하는 신분증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서버 접속단계, 서비스서버 가입단계, 신분증 등록단계, 보안번호 설정단계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한번 접속하여 신분증을 등록하면, 다음에 다시 등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시, 보안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기본 구성요소 및 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의 단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중 보안번호 입력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중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중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중 신분증 구현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 신분증 등록단계(S13), 보안번호 설정단계(S14),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5), 보안번호 입력단계(S16), 데이터베이스 조회단계(S17), 보안번호 확인단계(S18),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S19),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S20),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S21) 및 신분증 구현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300) 및 컴퓨터 등의 판독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는, 공인 인증서를 통해 인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가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공인 인증은 은행에서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통신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신분증 등록단계(S13)는, 서비스서버(100)에 등록하고자 하는 신분증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신분증을 등록한다.
상기 보안번호 설정단계(S14)는, 등록된 신분증 조회를 위한 보안번호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보안번호 설정단계(S14)는, 등록된 신분증을 조회를 위해 사용자가 자기만이 알 수 있는 보안번호인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이렇게 상기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 상기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 상기 신분증 등록단계(S13), 상기 보안번호 설정단계(S14)를 거치면 서비스서버(100)에 등록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5)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310)을 실행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고유의 어플리케이션(310)을 실행시킨다.
상기 보안번호 입력단계(S1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310)에 보안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보안번호 입력단계(S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310)에 보안번호 즉, 상기 보안번호설정단계(S14)에 설정된 보안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회단계(S17)는,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전송된 보안번호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조회단계(S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번호와 데이터베이스(110)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상기 보안번호 확인단계(S18)는,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보안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보안번호 확인단계(S18)는, 입력된 보안번호가 무엇을 요청하는지 와 유효성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S19)는, 상기 보안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 유효한 일회용 인증번호(OTP: One Time Password)구현한다.
즉, 상기 일회용인증번호구현단계(S19)는, 상기 보안번호가 유효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310)에 고유의 일회용 인증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일회용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는 기수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S20)는, 상기 판독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 가입자의 일회용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S20)는, 컴퓨터 등의 판독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S19)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310)에 표시된 일회용 인증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S21)는,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입력된 일회용인증번호를 조회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S21)는, 일회용 인증번호가 맞는지, 설정된 시간 안에 입력이 되었는지 등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상기 신분증 구현단계(S22)는, 입력된 일회용 인증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등록된 신분증을 구현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신분증 구현단계(S22)는, 입력된 일회용 인증번호가 유효할 경우, 전술한 상기 신분증 등록단계(S13)에서 등록된 신분증을 판독단말기(200)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여 신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 상기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 상기 신분증 등록단계(S13), 상기 보안번호 설정단계(S14)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가입하도록 한다.
그 이후에 신분증이 필요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31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시킨다.
이때,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은, 상기 판독단말기(200)를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31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보안번호를 입력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인증번호를 번호를 받는다.
이렇게 받은 일회용 인증번호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 판독단말기(200)에 입력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이 구현되어 신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 신분증 등록단계(S13), 보안번호 설정단계(S14)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한번 접속하여 신분증을 등록하면, 다음에 다시 등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을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시, 보안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S11: 서비스서버 접속단계 S12: 서비스서버 가입단계
S13: 신분증 등록단계 S14: 보안번호 설정단계
S15: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 S16: 보안번호 입력단계
S17: 데이터베이스 조회단계 S18: 보안번호 확인단계
S19: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 S20: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
S21: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 S22: 신분증 구현단계
100: 서비스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판독단말기 300: 이동통신단말기
310: 어플리케이션

Claims (1)

  1. 서비스서버(100)와 연결되고 가입자별 보안번호 정보 및 신분증이 수록된 데이터베이스(110)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00)와 연결된 판독단말기(200) 및 이동통신단말기(3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310)으로 구성되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는 서비스서버 접속단계(S11);
    공인 인증서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본인 인증하여 서비스서버(100)에 가입하는 서비스서버 가입단계(S12);
    서비스서버(100)에 신분증을 등록하는 신분증 등록단계(S13);
    등록된 신분증 조회를 위한 보안번호를 설정하는 보안번호 설정단계(S14);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310)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5);
    어플리케이션(310)에 보안번호를 입력하는 보안번호 입력단계(S16);
    서비스서버(100)가 전송한 보안번호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단계(S17);
    서비스서버(100)가 보안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보안번호 확인단계(S18);
    보안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한 일회용 인증번호(OTP)를 구현하는 일회용인증번호 구현단계(S19);
    판독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설정된 시간 안에 해당 가입자의 일회용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일회용인증번호 입력단계(S20);
    서비스서버(100)가 입력된 일회용인증번호를 조회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일회용인증번호 확인단계(S21):
    입력된 일회용 인증번호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100)에 등록된 신분증을 구현하는 신분증 구현단계(S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KR1020150188302A 2015-12-29 2015-12-29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KR20170078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02A KR20170078122A (ko) 2015-12-29 2015-12-29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02A KR20170078122A (ko) 2015-12-29 2015-12-29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22A true KR20170078122A (ko) 2017-07-07

Family

ID=5935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02A KR20170078122A (ko) 2015-12-29 2015-12-29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1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4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전자여권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전자여권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20028836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를 이용한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20028870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WO2024005295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애니싸인 Otac 기반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및 이용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4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전자여권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전자여권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20028836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를 이용한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20028870A (ko)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WO2024005295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애니싸인 Otac 기반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및 이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1477A1 (en) Anonymous authentication and remote wireless token access
US20210266318A1 (en) Authenticator centralization and protection based on authenticator type and authentication policy
US964784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oft toke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ervice computer system
US20170076293A1 (en) Creating, verification, and integration of a digital identification on a mobile device
JP2019519827A (ja) アプリの偽変造が探知可能な2チャンネル認証代行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TW201741922A (zh) 一種基於生物特徵的安全認證方法及裝置
US20160224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rd payment in which confirmation is available before transaction
KR101724401B1 (ko) 생체 정보 인식과 키 분할 방식을 이용한 공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60155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using a physical financial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078122A (ko) 모바일 신분증 및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구현방법
CN110826043A (zh) 一种数字身份申请系统及方法、身份认证系统及方法
CN104361491A (zh) 一种移动支付方法及系统
US11455621B2 (en) Device-associated token identity
US11620650B2 (en) Mobile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20070079A (ko)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단말 장치, 조회 장치, 인증 서버 및 그 사용자 인증 방법
JP6553810B2 (ja) モバイル端末のための支払い認証方法及び装置並びにモバイル端末
KR101660674B1 (ko) 에이치씨이 기능이용 앤에프씨 모바일폰 아이디카드인증 시스템
WO2017076202A1 (zh) 智能卡、移动终端及利用智能卡进行网络身份认证的方法
US20140150116A1 (en) Controlling release of secure data
CN1416073A (zh) 自主身份认证方法
KR20150050280A (ko) 지문 정보 및 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금융사 서버
KR101294805B1 (ko) 2-채널 앱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06779672A (zh) 移动终端安全支付的方法及装置
KR20160100192A (ko) Rf 카드와 스마트 폰의 페어링을 이용한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스마트 인증 방법
CN104113417A (zh) 一种基于nfc的动态口令身份认证方法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