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582A - 마이크 - Google Patents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582A
KR20170077582A KR1020150187601A KR20150187601A KR20170077582A KR 20170077582 A KR20170077582 A KR 20170077582A KR 1020150187601 A KR1020150187601 A KR 1020150187601A KR 20150187601 A KR20150187601 A KR 20150187601A KR 20170077582 A KR20170077582 A KR 2017007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andle
microphone unit
coupled
buff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춘
Original Assignee
이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춘 filed Critical 이병춘
Priority to KR102015018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582A/ko
Publication of KR2017007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8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가 되는 중공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과, 상기 완충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이격 구비되는 마이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Microphone}
본 발명은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시 마이크유닛에 전달되는 충격이 억제되는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라고 하면,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리본형의 막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리본 마이크, 영구자석 주위에 감겨진 코일(Coil)이 공기 음압에 의한 진동판의 반응에 따라 움직여 플레밍의 법칙에 의거해 유도전류를 발생하시키는 다이나믹 마이크(Moving-coil), 콘덴서의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음압에 의해 진동판이 반응하면 콘덴서 내의 전류가 변화를 일으키는 콘덴서 마이크, 무지향성의 마이크를 평평한 판위에 설치하여 독특한 지향특성을 띠도록 한 PZM(Pressure Zone Mic)마이크 등을 말한다.
종래의 마이크에는 스위치가 내장된 핸들의 일단에 마이크 유니트가 삽입되고 그릴이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스위치가 장착되는 내부 몸체와 이 내부 몸체 위에 끼워지며 일측에 스냅결합홈이 형성되고 유채색 및 형광색 안료 첨가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로 구성하고, 스위치의 버튼 위에 끼워지는 버튼 커버와 이 버튼 커버 위에 씌워지면서 상기 외피의 스냅결합홈을 통해 내부 몸체와 외피를 스냅결합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식체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종래기술로 예시를 든 마이크의 종류는 유선마이크이면서 외형 디자인상 손 마이크에 속한다.
상기 종래의 마이크 내부 몸체(11)는 알루미늄 계열의 비철금속을 다이케스팅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몸체(11)는 원뿔대 모양의 중공체로서 내외면의 두 구간에 완만한 단차가 형성된다. 내부 몸체(11)에서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쪽에는 외피(12)와 그릴(4)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피(12)와 그릴(4)의 접하는 부위의 외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환테(13)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 몸체(11)의 중간에는 스위치 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끼워진 스위치(15)가 스위치 장착부(14)에서 피스(16)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스위치 장착부(14)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장식체(18)를 실질적으로 스냅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19)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 몸체(11)의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부위에는 외부에서 오는 케이블의 플러그(미도시)를 꽂을 수 있는 케이블 잭(7)이 끼워진 후 피스(20)로 고정된다.
상기 내부 몸체(11)의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쪽 단부에는 나사면(21)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릴(4)이 체결된다. 그릴(4)에 의하여 보호되는 마이크 유니트(3)는 내부 몸체(11)의 확관되는 쪽 단부 내에 일부가 끼워진다. 조립 순서를 설명하면, 마이크 유니트(3)가 먼저 내부 몸체(11)의 확관되는 쪽에 삽입되고, 그릴(4)이 마이크 유니트(3)의 외부에 씌워지면서 내부 몸체(11)의 나사면(21)에 체결된다.
상기 외피(12)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내부 몸체(11)의 외면에 끼워진 후 스위치 장식체(18)에 의하여 내부 몸체(11)와 결합된다. 외피(12)는 중간에 단차가 없는 원뿔대 모양의 중공체이다. 외피(12)는 내부 몸체(11)의 협관되는 부위의 단부에서 환테(13)까지 이르는 구간에 결합된다. 외피(12)의 중간에는 상기한 내부 몸체(11)의 스위치 장착부(14)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평면상의 모양으로 스냅결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장식체(18)는 합성수지로 사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장식체(18)는 상기 외피(12)의 스냅결합홈(22) 및 내부 몸체(11)의 스위치 장착부(14)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써 스냅결합홈(22)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 장식체(18)의 중심에는 버튼 커버(2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장식체(18)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의 양쪽에는 상기 내부 몸체(11)에서 스위치 장착부(14)에 형성된 결합구멍(19)에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된다. 버튼 커버(23)는 상기한 스위치 장식체(18)의 중간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저면에 홈이 형성되어 스위치(15)의 버튼(17) 위에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마이크가 지면에 낙하 되었을 시 지면과 마이크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내부의 마이크유닛에 전달되어 마이크유닛의 손상되어 성능이 저하되거나 기능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와 접촉되었을 시 발생되는 정전기가 마이크유닛으로 전달되어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1641(1998.12.31)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마이크유닛의 사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시 마이크유닛으로 향하는 충격을 억제하여 마이크의 성능저하 및 기능고장이 방지되는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가 되는 중공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과, 상기 완충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이격 구비되는 마이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손잡이부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수단은 길이 방향 양측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 결합홈은 안착부에 결합되고, 타측 결합홈은 마이크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홈 사이에는, 단면적이 감소한 단면적감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수단은 양측의 결합홈이 연통된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는 손잡이부와 마이크유닛의 사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시 마이크유닛으로 향하는 충격을 억제하여 마이크의 성능저하 및 기능고장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의 안착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의 안착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4의 세로는“길이 방향”이고, 커버을 향하는 방향을“상향”, 그 반대 방향을“하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이하에서 마이크(100)에 구비되는 기본적인 구성 및 형태는 공지기술로써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100)는 몸체가 되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130)과, 상기 완충수단(13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10)로부터 이격 구비되는 마이크유닛(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에는 안착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하단에 케이블잭(117)이 설치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10)는의 일측에는 스위치(115)가 설치되도록 측방으로 스위치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115)는 마이크유닛(120)과 케이블 잭(117)의 사이에 설치되어 마이크(1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킨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상단 외경면에는 커버(111)가 결합되도록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11)는 마이크유닛(120)을 보호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111)의 하부 내면에는 나사부(111a)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면 상부에는 상기 안착부(113)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10a)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유닛(120)은 상기 완충수단(1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유닛(120)은 음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유닛(120)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2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21)는 마이크유닛(120) 하면의 반경 방향 중심에 하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21)에는 상기 마이크유닛(12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결합돌기턱(12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턱(1211)은 상기 결합돌기(1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1)는 완충수단(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재(113)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재(113)의 상면 중심에는 안착돌기(1131)가 상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안착돌기(1131)에는 상기 안착부재(113)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안착돌기턱(1131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턱(1131a)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1131)는 완충수단(130)의 결합홈(131a)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안착부재(113)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돌기(1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선홀(113a)이 하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선홀(113a)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배선홀(113a)은 상기 마이크유닛(120)에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상기 안착부재(113)의 반경 방향 외경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나사부(110a)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부(1133)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은 상기 마이크유닛(120)과 안착부재(113)의 사이에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13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의 예로 고무를 들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130)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의 길이 방향 양 단면에는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홈(13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31a)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31a)에는 상기 결합홈(131a)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결합홈턱(131a-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턱(131a-1)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31a)에는 상기 결합홈(131a)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결합홈턱(131a-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턱(131a-1)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113)의 안착돌기(1131)가 완충수단(13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31a)에 삽입 되었을 시 상기 안착돌기에 형성된 안착돌기턱(1131a)은 상기 하부 결합홈(131a)의 결합홈턱(131a-1)에 걸리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130)은 상기 안착부재(113)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유닛(120)의 결합돌기(121)가 상기 완충수단(13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31a)에 삽입 되었을 시 상기 결합돌기(121)에 형성된 결합돌기턱(1211)은 상기 상부 결합홈(131a)의 결합홈턱(131a-1)에 걸리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유닛(120)은 상기 완충수단(13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홈(131a)은 길이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결합홈(131a)의 길이 방향 사이에는 연통홀(131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131e)에 의하여 완충수단(130)은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130)의 길이 방향 양면에는 배선홈(131c)이 형성된다. 상기 배선홈(131c)은 반경 방향 외측에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선홈(131c)은 반경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선홈(131c)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선홈(131c)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이 안착부재(113)에 결합 되었을 시 상기 배선홈(131c)은 상기 안착부재(113)의 배선홀(113a)과 길이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유닛(120)에 연결된 배선이 상기 배선홈(131c)과 배선홀(113a)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115)까지 간섭없이 연결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제1 완충홈(131f)이 형성되어 단면적이 감소한 단면적감소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완충홈(131f)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단면적감소부(131b)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면적감소부(131b)는 상기 결합홈(131a)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단면적감소부(131b)에는 제2 완충홈(131d)이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완충홈(131d)은 상기 연통홀(131e)과 연통되도록 반경 방ㅎ양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완충홈(131d)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이크(100)가 낙하 되었을 시 완충수단(130)에 형성된 제1 완충홈(131f)과 단면감소부(131b)에 의하여 손잡이부(110)에서 발생한 충격이 흡수 억제되어 상기 마이크유닛(120)의 고장 및 성능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완충홈(131d)에 의하여 충격흡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130) 하면의 결합홈(131a)은 상기 안착부재(113)의 안착돌기(1131)가 삽입되어 안착부재(113)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수단(130) 상면의 결합홈(131a)에는 마이크유닛(120)의 결합돌기(121)가 삽입 결합되어 마이크유닛(120)이 완충수단(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130)은 결합홈(131a)에 의하여 마이크유닛(120)과 안착부재(113)에 결합됨으로 마이크유닛(120)의 고장 발생 시 손잡이부(110)로부터 마이크유닛(1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100)의 수리 및 보수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마이크
110: 손잡이부 113: 안착부재
120: 마이크유닛 130: 완충수단

Claims (5)

  1. 몸체가 되는 중공의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130)과, 상기 완충수단(13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10)로부터 이격 구비되는 마이크유닛(120)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안착부재(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130)은 상기 안착부재(113)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30)은 길이 방향 양측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홈(131a)이 형성되고; 일측 결합홈(131a)은 안착부(113)에 결합되고, 타측 결합홈(131a)은 마이크유닛(1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31a) 사이에는, 단면적이 감소한 단면적감소부(13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30)은 양측의 결합홈(131a)이 연통된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KR1020150187601A 2015-12-28 2015-12-28 마이크 KR20170077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01A KR20170077582A (ko) 2015-12-28 2015-12-28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01A KR20170077582A (ko) 2015-12-28 2015-12-28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82A true KR20170077582A (ko) 2017-07-06

Family

ID=5935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601A KR20170077582A (ko) 2015-12-28 2015-12-28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2394A (zh) * 2020-01-14 2020-05-19 叶惠 一种多功能无线麦克风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2394A (zh) * 2020-01-14 2020-05-19 叶惠 一种多功能无线麦克风
CN111182394B (zh) * 2020-01-14 2021-10-29 宁波爱音美电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无线麦克风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2782S1 (en) Ear bud headset
USD754638S1 (en) Ear cushion for earphone assembly
KR101765378B1 (ko) 골전도 스피커 유닛
US8675897B2 (en) Ear-muff type headset for two-way communication
EP3240298A1 (en) Novel adaptable earpiece
US20110216932A1 (en) Headphone of Convenient Assembly and Package
USD886227S1 (en) Ovate trigger dampening absorber
USD918864S1 (en) Mounting bracket for a communications headset
EP1691571A4 (en) SPEAKER
CN204291298U (zh) 一种入耳式耳机
WO2021218726A1 (zh) 弹珠式伸缩装置及头戴设备
US11724745B1 (en) Integrated bumper
KR20170077582A (ko) 마이크
CN205829955U (zh) 一种入耳式耳机
USD868927S1 (en) Pointed trigger dampening absorber
US9743178B2 (en) Waterproof speaker
WO2009028132A1 (ja) スピーカ
CA2605448A1 (en) Elastomeric spring-damper with integral stops
USD643705S1 (en) Spring loaded shock absorbing wheel
USD868926S1 (en) Triangular trigger dampening absorber
USD897478S1 (en) Cylindrical trigger dampening absorber
CN107192109B (zh) 出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US20080268914A1 (en) Wireless earphone with uni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microphones
USD637177S1 (en) Earmuff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cellular phone earpiece
CN211500104U (zh) 锁具套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