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98A -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98A
KR20170076298A KR1020150186398A KR20150186398A KR20170076298A KR 20170076298 A KR20170076298 A KR 20170076298A KR 1020150186398 A KR1020150186398 A KR 1020150186398A KR 20150186398 A KR20150186398 A KR 20150186398A KR 20170076298 A KR20170076298 A KR 2017007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acrylate
methacrylate
secondary battery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2983B1 (en
Inventor
최철훈
류동조
한선희
강민아
한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8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983B1/en
Publication of KR2017007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9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4Polyadducts obtained by the diene synthe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은 콘쥬게이트 디엔(conjugated dienes)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copolymer)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서로 다른 총 3종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향상된 접착력을 발휘하여 전극 물질의 전극 집전체에의 접착력 및 활물질 상호간의 접착력 등이 향상되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이 보다 안정적인 전기 화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njugated dienes binder (A) and an acrylic copolymer binder (B) together, wherein one of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Or both of them include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Since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in total, the binder composition exhibits improved adhesion, The adhesion to the electrode collector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an exhibit a more st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erefore, th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an be used have.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소듐 이차전지{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a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Binder compositions for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소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종류가 다른 총 3종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여 전극 물질의 접착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a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kinds of binders, And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exhibit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ng potential, long cycle life, Batteri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리튬 재료의 자원적 희소성으로 인해 대규모의 전력 저장용 이차전지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conomically feasible to use it as a large-scale power storage secondary battery due to the scarcity of resources of the lithium material.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도 자원적으로 지구상에 풍부한 소듐을 이차 전지의 재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소듐을 이용한 소듐 이차전지는 제조비용이 낮고, 환경오염의 염려가 적다는 장점을 지니지만, 소듐이 공기에 더욱 민감하고, 리튬에 비하여 이온 부피가 거의 2배에 달하며, 리튬에 비해 전극 포텐셜에 못미친다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Therefore,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pare an alternative thereto, and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tilize sodium rich in resources on the earth as a material for a secondary battery. However, sod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sodium have advantages of low manufacturing cost and low concern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but sodium is more sensitive to air, ion volume is almost double compared with lithium,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reach the potential.

일례로, 미국 공개특허 제20030054255호에는 소듐 이온에 대한 선택적 전도성을 지닌 베타 알루미나를 이용하고, 음극에는 소듐을 양극에는 황을 담지한 형태의 소듐 유황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U.S. Patent Publication No. 20030054255 discloses a sodium sulfur battery in which beta alumina having selective conductivity for sodium ions is used, sodium is used for a cathode, and sulfur is used for a cathode.

소듐 이차전지의 전극은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binder) 수지 성분을 혼합하여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slurry)를 만들고, 이것을 전극 집전체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 후 합제층을 형성시켜 제작된다.The electrode of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is prepared by mix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or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a binder resin component and dispersing the mixture in a solvent to prepare a slurry and applying the slurry to the electrode collector surface to form a mixture layer after drying.

바인더는 활물질과 활물질 간, 활물질과 전극 집전체 간의 접착력 또는 결착력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나, 전극 집전체와 활물질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량의 바인더가 요구된다. 그러나 과량의 바인더는, 전극의 용량 및 전도성을 낮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충분하지 않은 접착력은 전극 건조, 압연(pressing) 등의 공정에서 전극 박리 현상을 유발하여 전극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접착력이 낮은 전극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박리될 수 있고, 이러한 전극 박리는 전극 물질과 집전체 간 접촉 저항을 키워, 전극 출력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binder is used for securing the adhesion or binding for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active material, or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ut an excessive amount of binder is require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However, an excessive amount of the binder has a problem that the capacity and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are lowered. On the other hand, insufficient adhesion causes electrode peeling phenomenon in drying process such as electrode drying and pressing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defect rate of the electrode. In addition, the electrode having low adhesive force can be peeled off by an external impact, and such peeling of the electrode increases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of the electrode output performance.

따라서, 더욱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여 전극 박리, 활물질의 집전체로부터의 탈리, 또는 활물질 간의 접촉 계면 변화로 인한 전기화학적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여, 성능이 향상된 소듐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듐 이차전지용 전극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binder composition capable of providing a sod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performance by solv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due to peeling of the electrode, desorption of the active material from the collector, or change of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develop an electrode for a sod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 2003/0054255 A1US 2003/0054255 A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더욱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전지의 전기 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 battery by providing an excellent adhesive force.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d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콘쥬게이트 디엔(conjugated dienes)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copolymer)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고, (B) a binder (A) and an acrylic copolymer binder together, wherein the binder (A)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Wherein either one or both of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comprises two or more kinds of different bind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other problems,

상기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And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od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서로 다른 총 3종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향상된 접착력을 발휘하여 전극 물질의 전극 집전체에의 접착력 및 활물질 상호간의 접착력 등이 향상되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이 보다 안정적인 전기 화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more kinds of binders in total, the adhesive force of the electrode material to the collector of the electrode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are improved by exhibiting the improved adhesion, And can exhibit a more st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od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콘쥬게이트 디엔(conjugated dienes)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copolymer)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한다.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jugated dienes binder (A) and an acrylic copolymer binder (B) together and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Or both of them contain two or more kinds of different binder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포함하는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 다른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서로 다른 3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together, wherein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The above includes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so that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서로 다른 3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향상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 물질의 전극 집전체에의 접착력 및 활물질 상호간의 접착력 등이 향상되어, 이차전지가 보다 안정적인 전기 화학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서 향상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Since the binder composition includes three or more kinds of different binders, it is possible to exhibit an improved adhesive force. Thus, the adhesion of the electrode material to the collector of the electrode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are improved, and the secondary battery has a more st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can exhibit improved performance.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서로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할 때, 상기 2종류 이상의 바인더는 각각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may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 When the binder is included, the two or more kinds of binders may exist in independent phases.

상기 독립적인 상은 각각의 바인더가 다른 바인더와 응집(agglomeration)하거나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The independent phase refers to a state in which each binder is not agglomerated or chemically reacted with other binder and is not deformed.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라텍스와 같은 탄력성을 가질 수 있고,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입자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may have elasticity like a latex and may be in the form of particles. Accordingly,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particle and an acrylic copolymer-binder (B) particle.

또한,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할 때, 상기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는 각각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가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1) 및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2)의 2종의 바인더를 포함할 경우,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는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1) 입자 및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2)의 입자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1),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2)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3)의 3종의 바인더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1) 입자,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2) 입자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3) 입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 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includes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the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may be in the form of particles, 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comprises two kinds of binders, that is,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1) and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2) (A-1) particle and a conjugated diene binder (A-2),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copolymer binder (B- (B-1) particles, an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2), and an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Polymer Binder (B-2 ) Particles and acrylic copolymer binder (B-3) particles.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가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때,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입자는 50 nm 내지 20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입자가 50 nm 내지 20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경우, 고온에서 전해액 스웰링 현상이 작고, 적절한 탄력성을 발휘하여 전극의 두께 변화를 수용하고 가스 발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is in the form of particles,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nm to 200 nm. When the particles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nm to 200 nm,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at a high temperature is small and the elasticity exhibits adequate elasticity,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lowered.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때,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입자는 300 nm 내지 70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입자가 300 nm 내지 70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경우, 바인더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입자의 크기가 적정 범위보다 작을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적정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입자 자체가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Whe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in the form of particles,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0 nm to 700 nm. Whe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0 nm to 700 nm, the adhesion of the binder can be improved. Whe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particle size is smaller than the proper range, , And if it is larger than the proper range,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particles themselves may act as a resistor.

한편,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할 때, 상기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가 각각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경우, 상기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바인더는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의 평균 입경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includes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and the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are each in the form of particles, Two or more kinds of binders may have differen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range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70:30 내지 9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80:2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er composition may contain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n a weight ratio of 70:30 to 99: 1, and specifically in a weight ratio of 80:20 to 90:10 .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99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포함될 경우,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7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경우,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의 카보네이트계 전해액과의 친화성으로 인한 고온에서의 팽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하여 바인더 조성물이 전지의 고온 특성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or more based on 99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composition can be improved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70 parts by weight of the gate diene binder (A), the problem of swelling at high temperature due to affinity with the carbonate-based electrolyte of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osition from deteriorating the high-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는 (가) 공액 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및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a conjugated diene monomer or a conjugated diene polymer, (B) an acrylate monomer, a vinyl monomer, a (meth) acrylamide monomer and a nitril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s (C).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는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총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 공액 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를 10 내지 97.9 중량부, 상기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1 내지 60 중량부, 상기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is obtained by polymerizing 10 to 97.9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or conjugated diene polymer (a), (b) 1 to 6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having at least on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group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having at least on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group, Weight part.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또는 피레리덴일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may be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or a pyridene.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레리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중합체, 및 이들이 부분적으로 수소화, 에폭시화, 또는 브롬화된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 polymer may be a polymer of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and pyridene,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 acrylonitrile-butadiene copolymer, Butadiene rubber,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ubber,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and partially hydrogenated, epoxidized, or brominated polymers.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및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a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1) a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ate monomers, (b) acrylate monomers, vinyl monomers, (meth) acrylamide monomers and nitrile monomers A monomer of at least one type, and (C) an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type monomer.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총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10 내지 97.9 중량부, 상기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1 내지 60 중량부, 상기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may contain 10 to 97.9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1 to 6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vinyl monomers, (meth) acrylamide monomers and nitrile monomers,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 (c) .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may be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amyl acrylate, isoamyl acrylate, n- Ethylhex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amyl methacrylate, isoamyl methacrylate, n-hexyl methacrylate, n-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the like.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에 있어서, 다른 성분들은 이하와 같다. I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the other components are as follows.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록시 에틸에틸렌우레아,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모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올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세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세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acrylate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oxyethyl ethylene urea,? -Carboxyethyl acrylate, aliphatic monoacrylate, dipropylene diacrylate, ditrimethylpropane tetra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dipentaerythritol 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cet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And the rate may be one or more.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vinyl-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p-t-butylstyrene and divinylbenzene.

상기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meth) acrylamide-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mide, n-methylol acrylamide, n-butoxymethylacrylamide,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and n-butoxymethylmethacrylamide And the like.

상기 니트릴계 단량체는 알케닐 시아나이드일 수 있고, 상기 알케닐 시아나이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알릴 시아나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nitrile monomer may be alkenyl cyanide, and the alkenyl cyanid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allyl cyanide.

상기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는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글루타르산, 이타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코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및 나딕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cid, fumar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glutaric acid, itacon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and nadic acid .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또는 시드 중합법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can be produc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한편,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필요에 따라 중합개시제, 가교제, 커플링제, 버퍼, 분자량 조절제, 유화제 등의 기타의 성분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or the acrylic copolymer-based binder (B) may conta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uch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rosslinking agent, a coupling agent, a buffer,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an emulsifier.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이 포함하는 바인더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및/또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계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또는 이들이 포함하는 바인더가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바인더가 입자 형상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바인더의 입자 크기를 유화제의 함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화제의 포함량이 증가할 경우 입자의 평균 입경을 작게할 수 있고, 유화제의 포함량이 감소할 경우 입자의 평균 입경을 크게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 or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are produc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inder contained in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or a binder containing them, are produc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binder has a particle shape, the particle size 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is increas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can be decreased, and when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is decreas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can be increased.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은 중합 방법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중합 온도는 50 ℃ 내지 300 ℃일 수 있고, 중합 시간은 1 내지 20 시간일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the polymerization tim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method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from 50 캜 to 300 캜, and the polymerization time may be from 1 to 20 hour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무기 또는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포타슘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개시제, 또는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을 포함하는 유용성 개시제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합개시제의 개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활성화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화제로는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 제1철 및 덱스트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 inorganic or organic peroxide may be used. A water-soluble initiator including, for example, potassium persulfate, sod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the like, or an oil-soluble initiator including cumene hydroperoxide, benzoyl peroxide, . On the other hand, an activator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activator to promote the initi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activato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ferrous sulfate and dextrose One or more species can be mentioned.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바인더의 가교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디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민, 자일렌 디아민, 이소포론 디아민 등의 아민류, 도데실 석시닉 언하이드리드(dodecyl succinic anhydride), 프탈릭 언하이드리드 등의 산무수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설파이드 수지, 페놀수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 메틸롤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 메틸롤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그라프팅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릴 메타크릴레이트(AMA),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TAIC), 트리아릴 아민(TAA), 또는 디아릴 아민(DAA) 등을 들 수 있다.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for promoting crosslinking of the binder,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mines such as di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mine, diethylaminopropylamine, xylenediamine, isophoronediamine, and the like; dodecylsuccinic anhydride dodecyl succinic anhydride and phthalic anhydride, polyamide resins, polysulfide resins, phenol resins,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methane tri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crylate,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grafting agents can be used together,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ryl methacrylate (AMA), triarylisocyanurate (TAIC), triarylamine (TAA), or diarylamine (DAA).

상기 커플링제는 활물질과 바인더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기능성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컨대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머캅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클로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opropyl triethoxysilane), 또는 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실란계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The coupling agent may be used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and may be a material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For example, 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 Aminopropyltriethoxysilane, chloropropyltri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isoshi A silane coupling agent such as isocyanatopropyl triethoxysilane, or cyanatopropyltriethoxysilane may be mentioned.

상기 버퍼로는, 예컨대 NaHCO3, NaOH, 또는 NH4OH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buffer include NaHCO 3 , NaOH, and NH 4 OH.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예컨대 머캅탄류 또는 터비놀렌, 디펜텐, t-테르피엔 등의 테르핀류나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include mercaptans or terpines such as terpinolene, dipentene and t-terpine,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hloroform and carbon tetrachloride.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또는 이들 모두일 수 있으며, 음이온성 유화제에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 음이온성 유화제의 정전기적 안정화에 더하여 고분자 입자의 반데르발스 힘을 통한 콜로이드 형태의 추가적인 안정화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mulsifier may be an anionic emulsifier, a nonionic emulsifier, or both. When an anionic emulsifi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nonionic emulsifier, in addition to the electrostatic stabilization of the anionic emulsifier, the addition of a colloidal form through the van der Waals force of the polymer particles Stabilization can be provided.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로는, 예컨대 포스페이트계, 카르복실레이트계, 설페이트계, 석시네이트계, 설포석시네이트계, 설포네이트계, 또는 디설포네이트계 유화제를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소듐 알킬 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설페이트, 소듐 로릴 에테르 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 sulfate),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로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로릴 설페이트, 소듐 알킬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리니어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 소듐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설포네이트, 소듐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소듐 퍼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소듐 퍼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아릴 포스페이트, 소듐 알킬 에테르 포스테이트, 또는 소듐 라우오릴 사르코시네이트를 들 수 있다. The anionic emulsifier includes, for example, a phosphate-based, carboxylate-based, sulfate-based, succinate-based, sulfosuccinate-based, sulfonate-based or disulfonate-based emulsifier.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odium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ulfate,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alkylsulfonate, sodium alkyl ether sulfonate,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sodium alkyl sulfate, sodium alkyl sulfate, But are not limited to, sodium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alpha-olefin sulfonate, sodium alcohol polyoxyethylene ether sulfonate, sodium dioctylsulfosuccinate, sodium perfluorooctanesulfonate, sodium perfluorobutanesulfonate, Disulfonate,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sodium alum - there may be mentioned aryl phosphates, sodium alkyl ether four-state, or sodium laurate ohril sarcoidosis upon carbonate.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예컨대 에스테르형, 에테르형, 에스테르-에테르형 유화제를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네오펜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 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nonionic emulsifier include ester type, ether type, and ester-ether type emulsifiers. Specific examples of the nonionic emulsifier include polyoxyethylene glycol, polyox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polyoxyethylene monoallyl ether, poly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dec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 And polyoxyethylene octyl ether.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포함하는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서로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할 때,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므로 상기 입자간 응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의 pH를 조절하여 혼합물에서 상기 각각의 바인더들이 서로 응집되지 않고 독립된 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산성의 pH를 나타내는 경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와 응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염기로 적정하여 pH를 조절함으로써 독립된 상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염기로는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리튬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When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contained in the binder composition exist in mutually independent phase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tergranular agglomeration because they exhibit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For example, the pH of the conjugate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can be adjusted so that the respective binders in the mixture can maintain independent phases without being agglomerated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exhibits an acidic pH, aggregation may occur with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n independent phase by titrating it with a base to adjust the pH. Examples of the base inclu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and the lik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은 소듐 이차전지용 전극일 수 있다. The binder composition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ay be an electrode for a sodium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od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상기 소듐 이차전지는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odium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양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에 용매, 전술한 바인더, 도전재,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한 뒤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The anod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a solvent,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 a dispersant in a cathode active material, coat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with a current collector of the metallic material, compressing it, .

상기 금속 재료의 집전체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으로 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리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집전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집전체는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3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metal material is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is a metal which can easily adhere to the slurry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in the voltage range of the battery But not limited to,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In addition, fine uneven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urrent collector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and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500 μm.

상기 양극 활물질은, 예컨대 소듐 코발트 산화물[NaxCoO2(0.5<x<1.3)], 소듐 니켈 산화물[NaxNiO2(0.5<x<1.3)], 소듐 크롬 산화물[NaxCrO2(0.5<x<1.3)] 등의 층상 화합물 또는 추가적인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Na1 + xMn2 - xO4(여기서, x는 0 내지 0.33임), NaMnO3, NaMn2O3, 또는 [NaxMnO2(0.5<x<1.3)] 등의 소듐 망간 산화물; 소듐 구리 산화물(Na2CuO2); NaV3O8, NaFe3O4, V2O5, 또는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NaNi1 - xMxO2(여기서, M=Co, Mn, Al, Cu, Fe, Mg, B 또는 Ga이고, x=0.01 내지 0.3임)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소듐 니켈 산화물; 화학식 NaMn2 -xMxO2(여기서, M=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0.01 내지 0.1임) 또는 Na2Mn3MO8(여기서, M=Fe, Co, Ni, Cu 또는 Zn임)으로 표현되는 소듐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Na일부가 알칼리 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Na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일 수 있다.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obalt oxide [Na x CoO 2 (0.5 <x <1.3)], sodium nickel oxide [Na x NiO 2 (0.5 <x <1.3)], sodium chromium oxide [Na x CrO 2 < x < 1.3)] or a compound substituted with a further transition metal; Formula Na 1 + x Mn 2 - x O 4 ( where, x is from 0 to 0.33), NaMnO 3, NaMn 2 O 3, or [Na x MnO 2 (0.5 < x <1.3)] sodium manganese oxide and the like; Sodium copper oxide (Na 2 CuO 2); Vanadium oxides such as NaV 3 O 8 , NaFe 3 O 4 , V 2 O 5 , or Cu 2 V 2 O 7 ; A Ni site-type sodium nickel ox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NaNi 1 - x M x O 2 wherein M = Co, Mn, Al, Cu, Fe, Mg, B or Ga and x = 0.01 to 0.3; Formula NaMn 2 -x M x O 2 (where, M = Co, Ni, Fe , Cr, and Zn, or Ta, x = 0.01 to 0.1 Im) or Na 2 Mn 3 MO 8 (where, M = Fe, Co, Ni, Cu or Zn); NaMn 2 O 4 in which the Na part of the formula is substituted with an alkaline earth metal ion; Disulfide compounds; Fe 2 (MoO 4 ) 3 , and the like.

상기 양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는 NMP(N-메틸 피롤리돈), DMF(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슬러리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Examples of the solvent for forming the anode include organic solvents such as NMP (N-methylpyrrolidone), DMF (dimethylformamide), acetone, and dimethylacetamide, and water.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be mixed and used.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s sufficient to dissolve and dispers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lurry and the production yield.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파네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탄소 나노 튜브 등의 도전성 튜브; 플루오로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슬러리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panes black, lamp black, and thermal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Conductive tubes such as carbon nanotubes; Metal powders such as fluorocarbon,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wt% to 2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상기 분산제는 수계 분산제 또는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유기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dispersing agent may be an aqueous dispersing agent or an organic dispersing agent such as N-methyl-2-pyrrolidone.

상기 양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에 용매, 전술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의 첨가제들을 혼합 및 교반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anod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prepared by prepar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by mixing and stirring additives such as a solvent, the above-mentioned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pply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to an an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비정질 카본 또는 정질 카본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NaxFe2O3(0≤x≤1), Na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소듐 금속; 소듐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Na-Co-Ni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amorphous carbon or regular carbon, and specifically carbon such as non-graphitized carbon and graphite carbon; Na x Fe 2 O 3 (0 ≦ x ≦ 1), Na x WO 2 (0 ≦ x1 ), Sn x Me 1-x Me y O z (Me: Mn, Fe, Pb, , B, P, Si, Group 1, Group 2 and Group 3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Halogen, 0 <x <1> 1 <y> 3, 1 <z <8); Sodium metal; Sodium alloy; Silicon-based alloys; Tin alloy; SnO, SnO 2, PbO, PbO 2, Pb 2 O 3, Pb 3 O 4, Sb 2 O 3, Sb 2 O 4, Sb 2 O 5, GeO, GeO 2, Bi 2 O 3, Bi 2 O 4, And Bi 2 O 5 ;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cetylene; Na-Co-Ni-based material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음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는 NMP(N-메틸 피롤리돈), DMF(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슬러리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음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Examples of the solvent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e organic solvents such as NMP (N-methylpyrrolidone), DMF (dimethylformamide), acetone, and dimethylacetamide, and water.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be mixed and used. The amount of the solvent to be used is sufficient to dissolve and dispers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lurry and the production yield.

상기 바인더는 음극 활물질용 슬러리 전체 중량 중에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바인더의 사용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바인더의 함량 증가에 따른 활물질의 상대적인 함량 감소로 인해 체적당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bind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wt% or less, specifically 0.1 wt%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lurry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f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less than 0.1 wt%, the effect of use of the binder is insufficient, which is not preferable. If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more than 10 wt%, the capacity of the active material may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the relative content of the active material. It is not preferable.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전재의 예로서는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용 슬러리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and 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And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wt% to 9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slurry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음극 집전체는 3 ㎛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구리, 금,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us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500 mu m.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copper, gold,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an aluminum-cadmium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fine unevenness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상기 활물질 슬러리에는 필요에 따라 점도 조절제 및/또는 충진제가 포함될 수 있다.The active material slurry may contain a viscosity adjusting agent and / or a filler as necessary.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또는 폴리아크릴산 등일 수 있으며, 첨가에 의해 상기 활물질 슬러리의 제조와 상기 전극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하도록 활물질 슬러리의 점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carboxymethylcellulose, polyacrylic acid, or the like, and the viscosity of the active material slurry may be adjusted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the active material slurry and the coating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y the addition.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보조성분으로서,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일 수 있다. The filler is an auxiliary component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any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

한편, 세퍼레이터로는 종래에 세퍼레이터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컨대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컨대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s the separator, a conventional porous polymeric film conventionally used as a separator, for example, a polyolefinic polymer such as an eth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n ethylene-butene copolymer, an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an 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Porous nonwoven fabric such as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nonwoven fabri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질로서 포함될 수 있는 소듐염은 소듐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소듐염의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AsF6 -, SbF6 -, AlCl4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sodium salt that can be used as an electrolyt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f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an electrolyte for a sodium secondary battery. Examples of the anion of the sodium salt include F - , Cl - , Br - , I - , NO 3 -, N (CN) 2 - , BF 4 -, ClO 4 -, PF 6 -, AsF 6 -, SbF 6 -, AlCl 4 -, (CF 3) 2 PF 4 -, (CF 3) 3 PF 3 - , (CF 3) 4 PF 2 -, (CF 3) 5 PF -, (CF 3) 6 P -, C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2 N -, (FSO 2) 2 N -, CF 3 CF 2 (CF 3) 2 CO -, (CF 3 SO 2) 2 CH -, (SF 5) 3 C -, (CF 3 SO 2) 3 C -, CF 3 (CF 2 ) 7 SO 3 - , CF 3 CO 2 - , CH 3 CO 2 - , SCN - and (CF 3 CF 2 SO 2 ) 2 N -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로는 이차 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메틸 설퍼옥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비닐렌 카보네이트, 설포란,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설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고리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d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ethylene carbonate (EC), and the like. ),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ethyl methyl carbonate (EMC), methyl prop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 Vinylene carbonate, sulfolane, gamma-butyrolactone, propylene sulfite, and tetrahydrofuran,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Specifically, ethylene carbonate and propylene carbonate, which are cyclic carbonates in the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can b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have high permittivity as a high viscosity organic solvent and dissociate the lithium salt in the electrolyte well. The cyclic carbonates include dimethyl carbonate and di Low-dielectric-constant linear carbonates such as ethyl carbonate can be mixed in an appropriate ratio to form an electrolytic solution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전해액은 통상의 전해액에 포함되는 과충전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olytic solution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such as an overcharge inhibitor or the like contained in an ordinary electrolytic solution.

본 발명의 소듐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 (pouch)형 또는 코인 (coin)형 등이 될 수 있다.The external shape of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a pouch shape, a coin shape, or the like using a can.

본 발명에 따른 소듐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단위전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sod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of a small device but also as a unit cell in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 바인더의 제조 : Manufacture of binders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1)의 제조>&Lt; Preparation of conjugated diene binder (A1) >

1,3-부타디엔 45 g, 스티렌 50 g, 아크릴산 3 g,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g, 버퍼(buffer)로서 NaHCO3 0.4 g, 소듐 로릴 설페이트 0.4 g, 분자량 조절제로서 도데실 머캅탄 0.5 g을 일괄 혼합하여 80 ℃까지 승온시킨 후, 중합 개시제로서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넣어 반응을 개시한 후, 6 시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를 수득하였다. 중합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의 pH는 4.5였으며, 이를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150 nm였다. 45 g of 1,3-butadiene, 50 g of styrene, 3 g of acrylic acid, 2 g of hydroxyethyl acrylate, 0.4 g of NaHCO 3 as a buffer, 0.4 g of sodium laurel sulfate and 0.5 g of dodecyl mercaptan as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fter the mixture was heated to 80 ° C, potassium persulfate was add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initiate the reaction.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80 ° C for 6 hours to obtain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The pH of the polymerized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was 4.5, which was adjusted to pH 7 using sodium hydroxid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was 150 nm.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2)의 제조>&Lt; Preparation of conjugated diene binder (A2) >

1,3-부타디엔 49 g, 스티렌 40.5 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g, 아크릴산 및 이타콘산 50:50 중량비의 혼합물 5 g,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5 g, 유화제로서 소듐 로릴 설페이트 0.4 g을 일괄 혼합하여 75 ℃까지 승온시킨 후, 중합 개시제로서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넣어 반응을 개시한 후, 7 시간 동안 75 ℃를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를 수득하였다. 이를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150 nm였다.49 g of 1,3-butadiene, 40.5 g of styrene, 5 g of methyl methacrylate, 5 g of a mixture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in a weight ratio of 50:50, 0.5 g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s a crosslinking agent, 0.4 g of sodium royl sulfate as an emulsifie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5 캜. Then, potassium persulfate was add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initiate the reaction,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75 캜 for 7 hours to obtain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This was adjusted to pH 7 using sodium hydroxid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was 150 nm.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1)의 제조>&Lt; Preparation of Acrylic Copolymer Binder (B1) >

부틸 아크릴레이트 70 g, 스티렌 20 g, 아크릴산 5 g,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5 g, 버퍼로서 NaHCO3 0.4 g, 유화제로서 소듐 로릴 설페이트 0.4 g을 혼합하여 75 ℃까지 승온시킨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암모늄 퍼설페이트를 넣어 중합을 시작하였다. 온도 75 ℃를 유지하며 약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를 제조하였다. 라텍스 입자의 pH는 3.5였으며, 이를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460 nm였다.70 g of butyl acrylate, 20 g of styrene, 5 g of acrylic acid, 5 g of hydroxybutyl acrylate, 0.4 g of NaHCO 3 as a buffer, and 0.4 g of sodium roryl sulfate as an emulsifier were mixed and heated to 75 캜. Polysulfate was added to initiate polymerization.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5 캜 for about 6 hours to prepar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The pH of the latex particles was 3.5, which was adjusted to pH 7 using sodium hydroxid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was 460 nm.

<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2)의 제조>&Lt; Preparation of Acrylic Copolymer Binder (B2)

부틸 아크릴레이트 55.5 g, 스티렌 35 g, 아크릴산 및 이타콘산의 50:50 중량비의 혼합물 7.5 g, 가교제로서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 g, 유화제로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의 50:50 중량비의 혼합물 0.7 g, 버퍼로서 NaHCO3 0.4 g을 혼합하여 75 ℃까지 승온시킨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암모늄 퍼설페이트를 넣어 중합을 시작하였다. 온도 75 ℃를 유지하며 약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제조하였다. 이를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460 nm였다.55.5 g of butyl acrylate, 35 g of styrene, 7.5 g of a 50:50 weight ratio mixture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2 g of glycidyl methacrylate as a crosslinking agent, 50 g of sodium lauryl sulfate as an emulsifier, and 50 g of a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 50 weight ratio, and 0.4 g of NaHCO 3 as a buffer were mixed and heated to 75 캜. Then, ammonium persulfate was add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initiate polymerization. And the mixture was reacted for about 5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75 캜 to prepar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This was adjusted to pH 7 using sodium hydroxide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was 460 nm.

실시예 1: 바인더 조성물Example 1: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80:10:1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and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t 80:10:10 (weight ratio).

실시예 2: 바인더 조성물Example 2: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를 40:40:2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and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prepar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 at a weight ratio of 40:40:20.

실시예 3: 바인더 조성물Example 3: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70:10:10:1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and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s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70:10:10:10 Were mixed to prepare a binder composition.

실시예 4: 바인더 조성물Example 4: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40:40:10:1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and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s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40:40:10:10 Were mixed to prepare a binder composition.

실시예 5: 바인더 조성물Example 5: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50:40:5:5(중량비)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and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s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50: 40: 5: Were mixed to prepare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바인더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서브마이크론 파티클 사이저(Submicron particle sizer)(nicomp TM 380)를 이용하여 라텍스 입자의 크기를 분석하여 응집(agglomeration)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Agglomeration phenomenon did not occur in the binder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by analyzing the sizes of the latex particles using a submicron particle sizer (nicomp TM 380) Respectively.

실시예 6 : 음극의 제조Example 6: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음극은 물을 분산매로 하여 천연흑연(입경 20 ㎛, 경도 7 kg/mm2) 96.0 g, 도전재 0.5 g,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듐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2.5 g, 및 증점제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즈 1.0 g을 혼합하고, 전체 고형분 함량이 50 중량%가 되도록 하여 음극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구리 호일의 일면에 120 ㎛의 두께로 코팅하여 활물질 층을 형성하고, 건조한 다음, 상기 활물질 층의 밀도가 1.85 g/cc가 되도록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The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by mixing 96.0 g of natural graphite (particle diameter 20 탆, hardness 7 kg / mm 2 ), 0.5 g of conductive material, 2.5 g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od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and 2.5 g of carboxymethylcellulose And a total solids content of 50% by weight to prepare a slurry for a negative electrode. The slurry was coated on one surface of a copper foil with a thickness of 120 탆 to form an active material layer, followed by drying, and then the density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1.85 g / cc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실시예 7 내지 10: 음극의 제조Examples 7 to 10: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듐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대신하여 각각 상기 실시예 2 내지 5에서 제조한 소듐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2.5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the binder composition for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was replaced by 2.5 g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s 2 to 5, respectively, to prepare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실시예 11: 소듐 이차전지의 제조Example 11: Preparation of sodium secondary battery

<양극의 제조>&Lt; Preparation of positive electrode &

양극 활물질로서 NaCoO2 96 g, 도전재로 덴카블랙(carbon black) 2 g,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2 g을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96 g of NaCoO 2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 g of a conductive carbon black and 2 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a binder were added to a solvent N-methyl-2-pyrrolidone (NMP) After the slurry for the anode mixture was prepared, the slurry of the anode mixture was coated on the aluminum (Al) thin film and dri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followed by a roll press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Lt; Produc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음극을 표면적 13.33 cm2가 되도록 펀칭하고, 상기 양극의 제조에서 제조된 양극을 표면적 12.60 cm2가 되도록 펀칭하여 단일셀(mono-cell)을 제작하였다. 탭(tap)을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상부에 부착하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으로 만들어진 분리막을 개재시켜 상기 결과물을 알루미늄 파우치에 적재한 후 전해액 500 mg을 파우치 내부에 주입하였다. 전해액은 EC(에틸렌 카보네이트):DEC(디에틸 카보네이트):EMC(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 4:3:3(체적비)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NaPF6 전해질을 1 M의 농도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The anode prepared in Example 6 was punched to have a surface area of 13.33 cm &lt; 2 & gt ;, and the anode produced in the production of the anode was punched to have a surface area of 12.60 cm &lt; 2 &gt; A tap wa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resultant was placed on the aluminum pouch with a separator made of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hen, 500 mg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pouch. The electrolytic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NaPF 6 electrolyte at a concentration of 1 M by using a mixed solvent of EC (ethylene carbonate): DEC (diethyl carbonate): EMC (ethyl methyl carbonate) = 4: 3: 3 (volume ratio)

이후,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약 0.05 C 비율로 정전류 충전하고 전류의 약 1/6이 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정접압 충전 과정을 거쳤다. 이때, 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므로 탈가스(degassing)와 재실링(resealing) 과정을 수행하여 소듐 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Thereafter, the pouches were sealed using a vacuum packing machine, kept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charged at a constant current of about 0.05 C, and maintained in a voltage of about 1/6 of the current . At this time, since the gas is generated inside the cell, degassing and resealing are performed to complete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실시예 12 내지 15: 소듐 이차전지의 제조Examples 12 to 15: Preparation of sodium secondary battery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음극을 대신하여, 각각 상기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제조된 음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소듐 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 A sodium secondary battery was comple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athodes prepared in Example 6 were replaced with the cathodes prepared in Examples 7 to 10, respectively.

비교예 1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를 50:5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and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prepar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 at a ratio of 50:50 (weight ratio).

비교예 2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를 70:3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and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t 70:30 (weight ratio).

비교예 3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1)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30:7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butadiene latex particles (A1) and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t a ratio of 30:70 (weight ratio).

비교예 4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4: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를 90:1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and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t a ratio of 90:10 (weight ratio).

비교예 5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5: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2)를 10:90(중량비)으로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bind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and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t a ratio of 10:90 (weight ratio).

비교예 6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6: Preparation of a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부타디엔 라텍스 입자(A2)만을 사용하였다. Only the butadiene latex particles (A2)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ere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 :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 7: Prepa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코폴리머 라텍스 입자(B1)만을 사용하였다.Only the acrylic copolymer latex particles (B1)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ere used.

비교예 8 내지 14: 음극의 제조Comparative Examples 8 to 14: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듐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대신하여 상기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각각의 소듐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2.5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Except that 2.5 g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each of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as used in place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

비교예 15 내지 21: 소듐 이차전지의 제조Comparative Examples 15 to 21: Preparation of sodium secondary battery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음극을 대신하여, 각각 상기 비교예 8 내지 14에서 제조된 음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소듐 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A sodium secondary battery was comple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athodes prepared in Example 6 were replaced with the cathod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8 to 14, respectively.

실험예 1 : 접착력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adhesion force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8 내지 14에서 제조된 음극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슬라이드 글라스에 고정시킨 후, 집전체를 벗겨 내며 180°벗김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개 이상의 벗김 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정하였다. The negative electrodes prepared in Examples 6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8 to 14 wer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fixed to a slide glass. The current collector was peeled off and the 180 ° peel strength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evaluation was made by measuring the peel strengths of 5 or more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접착력 (gf/cm)Adhesion (gf / cm) 실시예 6Example 6 102.2102.2 실시예 7Example 7 105.5105.5 실시예 8Example 8 103.0103.0 실시예 9Example 9 106.9106.9 실시예 10Example 10 112.1112.1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65.965.9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87.287.2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60.360.3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90.590.5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57.057.0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90.890.8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57.257.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된 음극은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면서, 상기 바인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이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총 3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여 현저히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1,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s 6 to 10 contains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together, and at least one of the binders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three or more kinds of binders were included and exhibited remarkably excellent adhesion.

실험예 2 : 전기 화학적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Electrochemical Experiment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5 내지 21에서 제조된 소듐 이차전지를 충방전 전류 밀도 0.2 C으로, 충전 종지 전압을 4.5 V, 방전 종지 전압을 2.5 V로 한 충방전 시험을 2회 시행하였다. 뒤이어, 충방전 전류 밀도를 1 C로, 충전 종지 전압을 4.5 V, 방전 종지 전압을 2.5 V로 한 충방전 시험을 48회 시행하였다. 모든 충전은 정전류/정전압으로 행하고, 정전압 충전의 종지 전류는 0.05 C로 하였다. 총 50 사이클의 시험을 완료한 후 첫번째 사이클의 충방전 효율(초기효율 및 50 사이클 용량 유지율)을 구하였다. 그리고 50 사이클의 충전 용량을 첫 사이클의 충전 용량으로 나누어 용량 유지율(50회/1회)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Discharge tests were carried out twice at a charging / discharging current density of 0.2 C, a charging end voltage of 4.5 V and a discharge end voltage of 2.5 V at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density of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manufactured in Examples 1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5 to 21 . Subsequently, charge and discharge tests were performed 48 times at a charging / discharging current density of 1 C, a charging end voltage of 4.5 V, and a discharge end voltage of 2.5 V. All charging was performed at a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and the end current of the constant voltage charging was 0.05 C. After completing a total of 50 cycles, the charge / discharge efficiency (initial efficiency and 50 cycle capacity retention rate) of the first cycle was obtained. The capacity retention rate (50 times / once)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harge capacity of 50 cycles by the charge capacity of the first cycl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초기효율(%)Initial efficiency (%) 50 사이클 용량 유지율(%)50 cycle capacity retention rate (%) 실시예 11Example 11 99.899.8 97.297.2 실시예 12Example 12 99.799.7 97.597.5 실시예 13Example 13 99.999.9 98.098.0 실시예 14Example 14 99.899.8 97.397.3 실시예 15Example 15 99.899.8 98.298.2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99.799.7 93.093.0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99.299.2 96.896.8 비교예 17Comparative Example 17 99.799.7 92.792.7 비교예 18Comparative Example 18 99.899.8 95.595.5 비교예 19Comparative Example 19 99.699.6 91.591.5 비교예 20Comparative Example 20 99.399.3 94.994.9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99.899.8 90.190.1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5에 따른 소듐 이차전지는 비교예 15 내지 21의 소듐 이차전지에 비해 우수한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활물질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의 향상이 용량 유지율의 향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면서, 상기 바인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이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은 우수한 용량 유지율을 나타낼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2,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amples 11 to 15 exhibited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ratios as compared with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15 to 21,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t least one of the binders includes two or more kinds of bind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exhibits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실험예 3 : 두께 변화율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thickness change rate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5 내지 21에서 제조된 소듐 이차전지의 두께를 측정한 후, 충방전 전류 밀도 0.2 C으로, 충전 종지 전압을 4.5 V, 방전 종지 전압을 2.5 V로 한 충방전 시험을 2회 시행하였다. 뒤이어, 충방전 전류 밀도를 1 C로, 충전 종지 전압을 4.5 V, 방전 종지 전압을 2.5 V로 한 충방전 시험을 298회 시행하였다. After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manufactured in Examples 1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5 to 21,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density was set to 0.2 C, the charging end voltage was set to 4.5 V, the discharge end voltage was set to 2.5 V, The test was performed twice. Subsequently, a charge / discharge test was performed 298 times at a charging / discharging current density of 1 C, a charging end voltage of 4.5 V, and a discharge end voltage of 2.5 V.

모든 충전은 정전류/정전압으로 행하고, 정전압 충전의 종지 전류는 0.05 C로 하였다. 총 300 사이클의 시험을 완료한 후 전지의 두께를 측정하여 전지의 두께 변화율을 계산한 다음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All charging was performed at a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and the end current of the constant voltage charging was 0.05 C. After a total of 300 cycles were tested, the cell thickness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rate of cell thickness chang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실험 전 두께(㎛)Experimental thickness (㎛) 실험 후 두께(㎛)The thickness after the experiment (탆) 두께 증가(%)Thickness increase (%) 실시예 11Example 11 80.580.5 90.290.2 12.012.0 실시예 12Example 12 81.781.7 91.091.0 11.411.4 실시예 13Example 13 80.980.9 89.989.9 11.111.1 실시예 14Example 14 81.181.1 92.192.1 13.613.6 실시예 15Example 15 80.880.8 90.290.2 11.611.6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80.480.4 100.7100.7 25.225.2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81.281.2 95.295.2 17.217.2 비교예 17Comparative Example 17 79.979.9 94.294.2 17.917.9 비교예 18Comparative Example 18 80.480.4 92.192.1 14.514.5 비교예 19Comparative Example 19 80.680.6 110.8110.8 37.537.5 비교예 20Comparative Example 20 80.380.3 92.292.2 14.814.8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80.880.8 118.2118.2 46.346.3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5에 따른 소듐 이차전지는 비교예 16 내지 21의 소듐 이차전지에 비해 낮은 두께 변화율을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 11 내지 15에 따른 소듐 이차전지가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활물질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의 향상되어 전극 두께 변화가 억제됨으로써, 이차전지의 두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3,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amples 11 to 15 exhibited a lower rate of change in thickness than the sodium secondary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16 to 21, whereby the sod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s 11 to 15 Since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ed in the battery contains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Examples 1 to 5, it i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suppressed by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I could.

Claims (18)

콘쥬게이트 디엔(conjugated dienes)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copolymer) 바인더(B)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2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B) a binder (A) and an acrylic copolymer binder together, wherein the binder (A)
Wherein one or both of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comprises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bind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및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서로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and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are present in independent ph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 이상의 바인더는 각각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wo or more kinds of binders are present in independent phases,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전체 고형분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를 1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es 1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는 (가) 공액 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및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a conjugated diene monomer or a conjugated diene polymer, (B) an acrylate monomer, a vinyl monomer, a (meth) acrylamide monomer and a nitril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s (C).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는 상기 콘쥬게이트 디엔 바인더(A) 총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를 10 내지 97.9 중량부, 상기 (나)를 1 내지 60 중량부, 상기 (다)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jugated diene binder (A) preferably comprises 10 to 97.9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1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B), and 1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binder )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we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또는 피레리덴이고,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레리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중합체, 및 이들이 부분적으로 수소화, 에폭시화, 또는 브롬화된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The conjugated diene polymer may be a polymer of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and pyridene,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 acrylonitrile-butadiene copolymer, Which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polymer, an acrylate-butadiene rubber,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ubber, an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and a partially hydrogenated, epoxidized or brominated polymer. Binder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는 (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 및 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및 (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a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1) a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ate monomers, (b) acrylate monomers, vinyl monomers, (meth) acrylamide monomers and nitrile monomers A monomer of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ic acid monomers, and (C)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가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 바인더(B) 총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를 10 내지 97.9 중량부, 상기 (나)를 1 내지 60 중량부, 상기 (다)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is used in an amount of 10 to 97.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acrylic copolymer binder (B), 1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B) )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weigh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may be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amyl acrylate, isoamyl acrylate, n- Ethylhex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amyl methacrylate, isoamyl methacrylate, n-hexyl methacrylate, n-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the like.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록시 에틸에틸렌우레아,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모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올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세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세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The acrylate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oxyethyl ethylene urea,? -Carboxyethyl acrylate, aliphatic monoacrylate, dipropylene diacrylate, ditrimethylpropane tetra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dipentaerythritol 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cet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Wherein the binder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alcohol.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Wherein the vinyl-based mon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pt-butylstyrene, and divinylbenzene.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The (meth) acrylamide-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mide, n-methylol acrylamide, n-butoxymethylacrylamide,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and n-butoxymethylmethacrylamide Wherein the binder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inder resin and a binder resin.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계 단량체는 알케닐 시아나이드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Wherein the nitrile monomer is an alkenyl cyanid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 시아나이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알릴 시아나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lkenyl cyanid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allyl cyanide.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량체는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글루타르산, 이타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코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및 나딕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Wherein th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nom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cid, fumar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glutaric acid, itacon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cho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and nadic acid A binder composition for a battery.
제 1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제 17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소듐 이차전지.A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7.
KR1020150186398A 2015-12-24 2015-12-24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102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98A KR102102983B1 (en) 2015-12-24 2015-12-24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98A KR102102983B1 (en) 2015-12-24 2015-12-24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98A true KR20170076298A (en) 2017-07-04
KR102102983B1 KR102102983B1 (en) 2020-04-22

Family

ID=5935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398A KR102102983B1 (en) 2015-12-24 2015-12-24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9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16A1 (en)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Silicon electrode binder
KR20190030982A (en)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Silicone Electrode Binder
US11031598B2 (en) 2017-07-26 2021-06-08 Lg Chem, Ltd. Binder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using same
WO2023195744A1 (en) * 2022-04-04 2023-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Manufacturing method of positive electrode binder or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positive electrode binder or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solution prepared there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214767A (en) * 2020-07-07 2022-04-16 馬來西亞商昕特瑪私人有限公司 Polymer latex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255A1 (en) 2001-09-20 2003-03-20 Ngk Insulators, Ltd. Current collector of positive electrode and sodium-sulfur battery using the same
KR20040078927A (en) * 2003-03-05 2004-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 cell property, adhesive property and coating property-controlled bin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2 or more phases
KR20150021004A (en)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50037276A (en)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50132156A (en) * 2013-03-22 2015-11-25 제온 코포레이션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255A1 (en) 2001-09-20 2003-03-20 Ngk Insulators, Ltd. Current collector of positive electrode and sodium-sulfur battery using the same
KR20040078927A (en) * 2003-03-05 2004-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 cell property, adhesive property and coating property-controlled bin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2 or more phases
KR20150132156A (en) * 2013-03-22 2015-11-25 제온 코포레이션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20150021004A (en)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50037276A (en)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1598B2 (en) 2017-07-26 2021-06-08 Lg Chem, Ltd. Binder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using same
WO2019054816A1 (en)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Silicon electrode binder
KR20190030983A (en)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Silicone Electrode Binder
KR20190030982A (en)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Silicone Electrode Binder
US11611080B2 (en) 2017-09-15 2023-03-21 Lg Energy Solution, Ltd. Silicon electrode binder
WO2023195744A1 (en) * 2022-04-04 2023-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Manufacturing method of positive electrode binder or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positive electrode binder or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solution prepa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983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673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15940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10044041B2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9054382B2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xhibiting excellent adhesion force
KR101953765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111076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113043B1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Copolymer of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N109716566B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2102983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22638B1 (en) Binder Composition Having Higher Performanc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10017818A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xhibiting excellent adhesive force
KR101640109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Providing Improved Adhesion Strength,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076296A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mployed with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126793B1 (en) Binde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5869A (en)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the same
KR20150037276A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444278B1 (en)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the same
KR101143307B1 (en) Bilayer Binder Based upon Polyvinyl Acetate-Polyvinyl Alcohol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KR20160084053A (en) Binde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743623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5176361A (en) Binder for anode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