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74A -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 Google Patents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74A
KR20170076274A KR1020150186330A KR20150186330A KR20170076274A KR 20170076274 A KR20170076274 A KR 20170076274A KR 1020150186330 A KR1020150186330 A KR 1020150186330A KR 20150186330 A KR20150186330 A KR 20150186330A KR 20170076274 A KR20170076274 A KR 2017007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gram
curation
experien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용
김용빈
김시은
김강미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274A/en
Publication of KR2017007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로 체험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취향이나 목적에 맞는 선별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 다양한 웹 상에 분산되어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속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별 제공하는 큐레이션서버, 상기 큐레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체험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service for providing a user with various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taste or purpose through provision of a career experience, an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career program distributed on various webs, And a user terminal for accessing the curation server and implementing an experience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user's experience and program.

Description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본 발명은 진로 체험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취향이나 목적에 맞는 선별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for providing a user with various content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aste or purpose by providing a career experience.

일반적으로 진로는 자신의 평생 직업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대학에 진학할 때 자신의 적성과 취미 등과 잘 부합되는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학생의 개인적인 장래희망과 부모가 원하는 장래희망 그리고 진학과 관련된 각종 통계를 쏟아내는 교육 풍토 속에서 학생은 자신에게 적합한 학과를 선택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어느 학과가 자신의 적성에 맞는가를 선택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더구나 대학의 학과를 자신의 장래 직업과 관련하여 선택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그 학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게 되지만, 다른 사람의 체험을 글로 읽거나 경험담을 듣는 정도로는 실제로 자신이 선택할 때 문제가 없을지를 판단하는 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 적성검사를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한 조사를 하지만, 그 결과가 막연하고 자신이 전혀 모르는 직업에 대한 결과를 듣게 되는 경향이 많아 거의 대부분의 학생이나 학부모가 적성검사의 자료를 참고로만 이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In general, Jinro is very closely related to his / her lifelong career, so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 department that meets his / her aptitude and hobbies when entering a university. However, in an educational climate where students' individual hopes, future hopes of their parents, and various statistics related to their schooling are poured out, it is difficult for the student to choose the department that suits him or her. It is a very difficult situation. Moreover, in situations where you have to choose a college course in relation to your future career, you will need to know more about the profession associated with that course. However, It was inconceivable to judge whether there was a problem at the time. Therefore, the school conducts an aptitude test to investigate its own career, but the results tend to be vague and the result of a career that they do not know at all, so most students or parents can only use the aptitude test data for reference I can not help it.

이와 관련하여 국내 진로 교육 시장에서 정부 정책 제정 및 예산 증대에 따른 진로 교육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온라인을 통해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는 전무한 실정이다.In this regard, the demand for career education by the government policy formulation and budget increase in the domestic career education market is continuously increasing, but there is no site that can search the career experience program through onli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급자와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참여하는 사용자를 연결시켜 주는 오픈마켓 형태의 진로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고, 프로그램 공급자들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소비자들에게 진로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판매를 통해 현 진로 교육 시장의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수익창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n market type career experience system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providers and programs providing career experience programs, It supports the pioneering, provides the consumers with career program information and sells them, so as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areer education market and realize the profit genera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웹 상에 분산되어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속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별 제공하는 큐레이션서버, 상기 큐레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체험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for distributing a career program distributed on various webs, a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curation server for selectively providing a program suitable for a curation server, and a user terminal for accessing the curation server to implement an experience progr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급자와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참여하는 사용자를 연결시켜 주는 오픈마켓 형태의 진로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고, 프로그램 공급자들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소비자들에게 진로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판매를 통해 현 진로 교육 시장의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수익창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 market type career experience system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providers and programs that provide various career experience programs existing on the Internet, and connecting users to participate, It also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pioneering and providing customers with career program information and sales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current career education market and to realize profit gen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현하는 전체 프로세스 구현예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현 예시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초기 사용자 정보의 입력예와 설문조사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o 5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initial user information and a survey example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다양한 웹 상에 분산되어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100),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속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별 제공하는 큐레이션서버(200), 상기 큐레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체험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100 for distributing a career program distributed on various webs, A curation server 200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atching program, and a user terminal 300 for accessing the curation server to implement an experience program.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100)은 진로 체험과 연관되는 다양한 직업정보나 체험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각종 온라인상의 서버나 SNS 상에 공개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큐레이션 서비스라 함은, 이미 존재하는 막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유용한 정보를 골라내어 수집, 다른 사람에게 배포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이를 테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콘텐츠 큐레이션, 데이터 큐레이션, 큐레이션 쇼핑, 큐레이션 커머스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SNS와 유사하나, 개인/전문가에 의해 필러팅된 정보제공으로 분류, 검색, 열람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The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100 is a concept including a site that provides various on-line servers or SNSs that provide contents including various career information and experience information related to career experienc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ation service is defined as an action of sorting huge information already existing, picking out useful information, collecting it, and distributing it to another person. In other words,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ntent curation, data curation, curation shopping, and curation commerce by providing curation service using social media. It is similar to SNS, And provides services that provide convenience such as sorting, searching, and browsing by providing pillared information.

상기 큐레이션서버(200)는 온라인 사이트에 등록되는 많은 체험 프로그램들의 정보를 분석,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취향/특성 등의 기준에 맞게 분류하고, 재가공하여 이를 접속하는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curation server 200 analyzes information of many experiential programs registered on an online site, classifies it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general taste /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re-processes th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accessing the program do.

이를 위해, 상기 큐레이션서버(200)는 체험프로그램에 산재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210), 수집도니 정보를 가공하는 정보가공모듈(220),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uration server 20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10 for collecting contents scattered in an experience program,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20 for processing collected information,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30).

상기 정보수집모듈(210)은 다양한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100)에 산재된 체험 프로그램의 시간/지역/체험 컨텐츠/사용자 흥미/대상/성별 등의 속성 기준을 수립하여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테면, 체험 프로그램 콘텐츠 수집 시, 데이터 큐레이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큐레이션은 사업자가 콘텐츠의 속성과 고객의 선호도 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10 performs functions of establishing and collecting attribute criteria such as time, area, experiential content, user interest, object, and sex of the experiential programs scattered in various experience-program providing modules 100. For example, when collecting experiential program content, data curation techniques can be utilized. Herein, the data curl means that a service provider provides a personalized contents curation service by utilizing contents attribute and customer's preference information.

상기 정보가공모듈(220)은 정보 수집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해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 기술로, 컴퓨터가 스스로 각종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처리 방식을 구비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이후 가공된 데이터는 자체 DB에 저장하여 제공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2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obtained through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Machine learning i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means that a computer has algorithms and processing methods that can learn and judge itself through various data. The processed data is stored in its own DB.

상기 정보제공모듈(230)은 상기 정보가공모듈(220)에서 가공된 정보는 1차적으로 사이트 내에서 소셜 큐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소셜 큐레이션 기법은 콘텐츠 필터링의 주체가 사용자라는 것이 특징이며, 별도로 마련되는 서비스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추천 기능 구현할수도 있다. 나아가, 지역/인기/가격 별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정기구독의 형태로 소비자들에게 메일링 서비스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30 performs a function of primarily providing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20 using a social curation technique in the site. Here, the social curation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ject of content filtering is a user, and a program recomme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separately provided service content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iling service function to consumers in the form of a regular subscription program with a high preference by region / popularity / price.

도 2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현하는 전체 프로세스 구현예시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큐레이션서버의 기능은 정보수집모듈에 해당하는 정보수집파트(Context Monitor), 정보가공모듈에 해당하는 정보혼합(Context Mixer)파트, 정보융합파트(Contents Fusioner), 그리고 정보 제공모듈의 기능을 구현하는 파트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unctions of the curation server of the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formation collection part (Context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Mixer part, Information fusion part, and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도 3은 정보 수집파트의 아키텍쳐로, 이를 참조하여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FIG. 3 shows an architecture of an information collecting part. Referring to FIG. 3,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 Context Collector ○ Context Collector

- 새로운 사용자의 초기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 It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initial information of new users.

○ Context Change Detector○ Context Change Detector

- 새로운 사용자의 정보 생성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에 따라 기록- Judge whether new user's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record it according to time

- 기록된 정보는 Context Collector 에게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체크- Recorded information is sent to Context Collector to check information in real time

○ Context Arranger○ Context Arranger

-획득정보를 재구성- Reconstruction of acquisition information

-의미 구조를 갖는 정보묶음으로 구성, DB에 저장- Consists of information bundle with semantic structure, stored in DB

○ Structured User Contextual Information○ Structured User Contextual Information

-Context Arranger에 의해 구조를 갖은 정보의 묶음을 Context Cluster 라고 표현-Context Arranger refers to a set of information structured as Context Cluster

-Context Cluster의 집합체를 저장하는 DB-Context A cluster that stores the cluster

-다음 단계에서의 사용자 패턴과 행동을 예측하는 시나리오의 기준자료로 사용- Used as a reference for scenarios that predict user patterns and behaviors in the next step.

도 4는 정보혼합파트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FIG. 4 shows the architecture of the information mixing part.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 User Identifier○ User Identifier

-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접근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사용자를 인지- When an event for content access is detected by the user,

- 인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 Get th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 Context Selector○ Context Selector

-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보관된 DB에서 Context Cluster를 조회- Query Context Cluster from archived DB based on user information

○ Context Aggregator○ Context Aggregator

-조회한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추측- Guess the behavior of the user in the inquired user information

-시나리오로 생성 가능한 요소를 분리하여 재정리- Reorganize elements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scenario

-요소들은 시간, 현재 위치, 접속기기 정보, 사용자 신상정보, 서비스 사용내역로 구성- Elements consist of time, current location, connected devic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service usage history

○ Knowledge Generator○ Knowledge Generator

-시나리오 형태의 사용자 지식을 생성 - Generate user knowledge in the form of scenarios

-생성된 시나리오는 Knowledge DB에 저장- Generated scenarios are stored in Knowledge DB

-지속적으로 축적된 우선순위가 높은 시나리오로 판단 및 예측을 실행- Execute judgments and forecasts with consistently accumulated high-priority scenarios

[표 1: 사용자지식으로 형성된 시나리오 데이터 구조의 일예][Table 1: An example of scenario data structure formed by user knowledg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5는 정보 융합부의 아키텍처로,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Fig. 5 shows the architecture of the information fusion unit.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 Context Analyzer ○ Context Analyzer

-시나리오를 전달받아 내용을 분석- Receive scenarios and analyze content

○ Contents Adaptor○ Contents Adapter

-어떤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지, 어떤 주제의 콘텐츠에 흥미를 느낄지 주제를 결정- Decide what content you need and what topics you'll be interested in.

○ Device AdaptorDevice Device

-콘텐츠 범위내에서 다양한 접속기기의 형식에 맞추어 최적화- Optimiz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various connected devices within content range

○ Contents Maker○ Contents Maker

-Adaptor 들에 의해 결정된 요소를 최종적으로 합쳐 콘텐츠를 생성-Add the elements determined by the Adaptors to finally create the content

[표 2. 시나리오 기반의 콘텐츠 추천청보의 예][Table 2. Scenario-based Recommendation of Contents Recommend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1 내지 도 5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레이션 서버에서는, 제공자 집단에서 제공되는 방대한 콘텐츠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고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Needs을 고려한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ur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need for quick and accurate confirmation of desired information among vast contents provided by a group of providers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초기 사용자 정보의 입력예와 설문조사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initial user information and a survey example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사용자가 초기 입력가능한 성별, 지역, 비용등의 정보들뿐만 아니라, 기존 오프라인에서 프로그램 진행 후 산출된 설문조사 또한 데이터화하여 시나리오 영역을 ??히고 신뢰성을 가중하여 의사결정을 폭넓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This enables users to input not only information such as gender, region, and cost that can be initially input but also the questionnaires calculated after the program is executed in the existing offli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upport a wide range of decision making by increasing the scenario area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

나아가, 지식 기반 시나리오를 축적하며, 각 시나리오가 선택되어 큐레이션이 발생할때마다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시나리오 갱신여부를 판단하고 실행할 수 있다.Furthermore, knowledge-based scenarios can be accumulated and each scenario can be selected and executed to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scenario to increase reliability each time a curation occurs.

또한, 시나리오는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지표에 따라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재고하고 개발목표치 이하의 시나리오는 신뢰성 향상을 위한 재작성 대상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scenarios rethink reliability issues based on evaluation indexes for service satisfaction, and scenarios below development goals are judged to be rewritten to improve reliability.

[표 3.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표][Table 3.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Service Satisfac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모듈을 통해 구현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각 구성모듈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시스템과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제작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online education system implemented through the various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functions of each configuration module through softwar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system and method can be manufactured as a program that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in a software configuration.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term 'portion' us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or an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
200: 큐레이션서버
300: 사용자단말
100: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200: Curation server
300: user terminal

Claims (4)

다양한 웹 상에 분산되어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100);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속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별 제공하는 큐레이션서버(200); 및
상기 큐레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체험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n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100 for distributing a career program distributed over various webs;
A curation server (200)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experience program providing module to selectively provide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user 's taste and attributes; And
And a user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uration server to implement an experience progr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서버는,
체험프로그램에 산재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210);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는 정보가공모듈(220); 및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30);
을 포함하는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ation server comprises: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10 for collecting contents scattered in the experience program;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20 for proces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30 for providing processed information;
And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험프로그램제공모듈(100)에 산재된 체험 프로그램의 시간/지역/체험 컨텐츠/사용자 흥미/대상/성별 등의 속성 기준을 수립하여 수집하는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establishes and collects attribute criteria such as time / area / experiential content / user interest / object / gender of the experiential program scattered in the experiential program providing module 1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공모듈(220)은 정보 수집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해 가공하는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20 is an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cesses data obtained through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KR1020150186330A 2015-12-24 2015-12-24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KR20170076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30A KR20170076274A (en) 2015-12-24 2015-12-24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30A KR20170076274A (en) 2015-12-24 2015-12-24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74A true KR20170076274A (en) 2017-07-04

Family

ID=5935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330A KR20170076274A (en) 2015-12-24 2015-12-24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27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92B1 (en) 2020-07-15 2021-03-23 이종열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education content using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20097841A (en) * 2020-12-31 2022-07-08 원종규 Experience recommendation system to complement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38189A (en) 2021-04-05 2022-10-12 한국과학기술원 Career plan platform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92B1 (en) 2020-07-15 2021-03-23 이종열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education content using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20097841A (en) * 2020-12-31 2022-07-08 원종규 Experience recommendation system to complement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38189A (en) 2021-04-05 2022-10-12 한국과학기술원 Career plan platform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a et al. Assessing learners’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online courses through a big data approach
US11100523B2 (en) Determining relationship values
Gensler et al. Listen to your customers: Insights into brand image using online consumer-generated product reviews
US8341101B1 (en) Determin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items and individuals, and dynamically calculating a metric score based on groups of characteristics
US20170011413A1 (en) Tool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lationship values
US201700529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data in large data sets using relevant metadata
KR101646312B1 (en) Personal Action-Based Interest and Preference Analysis Method and System
CN103455522A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of application extension tools
US20130035996A1 (en) Social advertising technology (so-ad-te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for and in documents, and other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tructuring, and evaluating documents
US20170255997A1 (en) Social Investing Software Platform
US8478702B1 (en) Tool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mantic relationship indexes
Adhikary et al. Micro-modelling of individual tourist’s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a heterogeneity-specific study
CN105023214B (en) A kind of topic knowledge point intelligent recommendation method
KR20170076274A (en) Development Of Intelligent Curation Service
CN117114939A (en) Multiuser cooperative pre-school intelligent classroom management system
Sathick et al. A generic framework for extraction of knowledge from social web sources (social networking websites) for an online recommendation system
US20200160359A1 (en) User-experience development system
KR20160143393A (en)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result about target of evaluation
Poitras et al. Mining the edublogosphere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Kurniawan et al. Analysis and Redesign of the Website User Interface of Universitas Faleteha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US201902951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driven bilayer graph model
WO2013119798A1 (en) Tool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lationship values
Su et al. A Cluster-based Personalized Item Recommended Approach on the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Barbosa et al. A social network to provide free internet access for public schools’ communities
JP74221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