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76A -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076A
KR20170076076A KR1020150185880A KR20150185880A KR20170076076A KR 20170076076 A KR20170076076 A KR 20170076076A KR 1020150185880 A KR1020150185880 A KR 1020150185880A KR 20150185880 A KR20150185880 A KR 20150185880A KR 20170076076 A KR20170076076 A KR 2017007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s
control
home applianc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현
홍윤정
김자연
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076A/ko
Publication of KR2017007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술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UMERELECTRONICS}
실시예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상가건물, 오피스 빌딩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실내/외에서는 내부 사용자에 대한 이용상의 편의성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의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종래에 벽에 부착되는 스위치는 단순이 가전기기 중 조명장치의 온/오프만 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기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이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기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들도 통신 이동 단말기기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가전기기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술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서,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가전기기의 제어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본, 방위각, 기울기 값을 통해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통신모듈을 내장한 상태에서 벽의 시공홈에 내장되며, 종래의 조명기기의 스위치와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통시모듈을 내장한 다수의 스위치 장치를 벽에 내장하여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다수의 스위치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가전기기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평면상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 - ?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Ⅱ - Ⅱ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평면상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평면상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 측정 통신모듈(150)과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200),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하고, 이동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 통신모듈(150)들은 실내 또는/및 실외의 다양한 공간에 배치된다. 복수의 측정 통신모듈(150)은 다수의 공간(room)(R1-R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된 공간(room)(R1-R3)에 측정 통신모듈(150)이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측정 통신모듈(150)의 위치정보는 메인 메모리(220) 또는 서버(10)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측정 통신모듈(150)은 스위치 장치(100)에 내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측정 통신모듈(150)이 스위치 장치(100)에 내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 또는 서버(10)에 위치된다. 이하,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200)와, 측정 통신모듈(150)이 내장되는 스위치 장치(1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2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스위치 장치(100) 또는/및 가전기기(7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용기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이동 단말기(200)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단말기(200)는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200)는 빛을 감지하는 카메라(421a), 각종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피커(4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감지장치(421a)는 카메라일 수 있다. 마이크(4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부(26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가전기기(700)로 출력한다.
이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상술한다.
도 5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 - ? 선을 취한 단면도,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Ⅱ - Ⅱ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모듈(120), 입력모듈(120)의 제어신호를 가전기기(700)에 송신하고, 가전기기(700)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며,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측정 통신모듈(150)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100)는 본체(140)와, 커버(110)를 더 포함한다.
본체(140)는 적어도 측정 통신모듈(15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본체(14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40)는 내부에 입력모듈(120)의 일부를 수용한다. 즉, 본체(140)는 입력모듈(120)의 일부를 본체(140)의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입력모듈(120)이 일부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본체(140)는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고, 전방을 제외한 방향이 닫힌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체(140)는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이다. 여기서, 전방은 도 5b에서 좌측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 5b에서 우측방향을 의미한다.
본체(140)는 벽(11)에 형성된 시공홈(12)에 매립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40)는 전방 개구가 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벽(11)의 시공홈(12)에 매립된다.
본체(140)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14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공(141)은 본체(140)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0)의 일면이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10)는 본체(140)의 전방 개구를 커버(한다. 커버(110)는 적어도 본체(140)의 전방 개구와 시공홈(12)을 커버(110)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커버(110)는 본체(140)의 개구와, 시공홈(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40)의 전방 개구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고, 커버(110)의 배면(111)은 시공홈(12)의 주변의 벽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장치(100)는 다수의 공간(room)(R1-R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된 공간(room)(R1-R3)에 스위치 장치(100)가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스위치 장치(100)의 위치정보는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다.
측정 통신모듈(150)은 전자기기와 스위치 장치(100)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측정 통신모듈(150)은 가정에 설치되는 가전기기(700), 인터넷 망과 연결된 서버(10) 또는/및 이동 단말기(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측정 통신모듈(15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측정 통신모듈(15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측정 통신모듈(150)은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다만, 측정 통신모듈(1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곳에 위치된다.
입력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입력모듈(120)은 입력된 제어명령을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입력모듈(120)은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120)의 일부는 본체(140)의 외부에 노출되고, 입력모듈(120)의 일부는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모듈(120)은 입력모듈(120)은 조작유닛(121a)(121b)(121c)과, 접속단자(122a)(122b)(122c)를 포함한다.
조작유닛(121a)(121b)(121c)은 커버(1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조작유닛(121a)(121b)(121c)은 커버(110)에 설치되는 푸쉬버튼이거나, 커버(11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축으로 유동되는 틸트 버튼일 수도 있다. 조작유닛(121a)(121b)(121c)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단자(122a)(122b)(122c)는 조작유닛(121a)(121b)(121c)의 유동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모듈(210)에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접속단자(122a)(122b)(122c)는 조작유닛(121a)(121b)(121c)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설치된다. 접속단자(122a)(122b)(122c)는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커버(110)에는 입력모듈(120)과 상이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입력모듈(130)을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입력모듈(130)은 커버(110)의 전면에 노출된 버튼 또는 틸트버튼으로 구현될수 있다. 보조 입력모듈(130)은 입력모듈(120)과 상이한 제어명령을 제어모듈(210)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보조 입력모듈(130)에 입력된 제어명령 조명기기의 제어에 관한 제어명령이라면, 입력모듈(120)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조명기기를 제외한 가전기기(700)에 제어에 관한 제어명령일 수 있다.
실시예는 측정 통신모듈(150)을 내장한 상태에서 벽의 시공홈(12)에 내장되며, 종래의 조명기기의 스위치와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통시모듈을 내장한 다수의 스위치 장치(100)를 벽에 내장하여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는 환경센서 모듈(170)과, 냉난방 컨트롤러(160)를 더 포함한다.
환경센서 모듈(170)은 스위치 장치(100)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여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환경센서 모듈(170)은 환경센서 모듈(170) 주위의 공기의 오염여부, 습도, 온도, 먼지, 이산화탄소 값을 측정하여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환경센서 모듈(170)은 커버(110)의 측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버(110)의 측면은 커버(110)의 배면과 교차되는 면이다. 환경센서 모듈(170)의 측면은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되고, 환경센서 모듈(170)의 배면은 시공홈(12) 주변의 벽(11)과 접촉된다.
예를 들면, 환경센서 모듈(170)은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6을 참조하면, 환경센서 모듈(170)은 일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되는 공기 유동 공간이 구비된 센서 케이스(171)와, 센서 케이스(171)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유동 팬(178)과, 센서 케이스(171)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고,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72)가 구비되고, 센서 케이스(171)의 타측에는 복수의 센서군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77)가 구비된다. 유입구(172) 및 토출구(177)는 복수의 센서군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료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군의 위치 편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센서 케이스(171)의 배면(179)은 시공홈(12) 주위의 벽(11)과 접촉된다.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면은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된다. 이 때, 센서 케이스(171)의 유입구(172)와, 토출구(177)는 커버(11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센서 케이스(171)의 유입구(172)와 토출구(177)는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되는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173)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온도조절이 용이한 조그 휠로 구현된다.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커버(110)의 측면에 연결된다. 냉난방 컨트롤러의(160)의 배면은 시공홈(12)의 주변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측정 통신모듈(150)들과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가전기기(700)와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에는 가전기기(700) 및 측정 통신모듈(150)의 위치 및 방향(동서남북)이 저장된 맵(map)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40)와, 가전기기(700) 또는/및 측정 통신모듈(150)들과 통신되는 통신모듈(230)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0) 및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210)과,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전원부(280)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모듈(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된 가전기기(700)들과 가전기기(700)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에 의해 가전기기(700)의 정보와 가전기기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표시될 수 있다. 리모트 오브젝트(79)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메인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모듈(210)의 동작 중, 제어모듈(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제어모듈(210)과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제어모듈(210)이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모듈(210)는 메인 메모리(220)가 저장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가전기기(700)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가전기기(700)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기존에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전기기(700)를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보안을 위한 비밀번호와, 측정 통신모듈(150)들의 위치정보 및 가전기기(700)들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측정 통신모듈(150) 및 가전기기(700)가 위치되는 장소의 맵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제어모듈(210)에서 제어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60)는 이동 단말기(200)에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모듈(230)은 측정 통신모듈(150)들(150) 또는/및 가전기기(700)의 통신유닛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30)은 후술하는 보조 통신모듈(153)과 통신할 수 있다.
측정 통신모듈(15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23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션 감지부(290), 나침반 센서(283)와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가속도, 이동 단말기(200)의 가속도의 방향,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인 시간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또한,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가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 값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수평면은 중력방향과 수직인 면을 의미하고, 이동 단말기(200)가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 값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되는 전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200)가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 값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되는 전방면의 하단과 수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면을 연결할 때, 수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면과 이동 단말기(200)의 전방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모션 감지부(29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중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력센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에 연결하고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거나, 중심부에 도전성 물체를 두고, 회전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체가 접촉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각각의 가전기기(7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값에 대한 신호를 제어모듈(210)에 제공하게 된다.
나침반 센서(283)는 이동 단말기(200)에 방위 기준(동서남북)을 제공한다. 또한, 나침반 센서(283)는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모듈(2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은 이동 단말기(200)의 일측(상세히는, 전방면의 상단)이 수평면 상에서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즉,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은 북쪽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일측이 이루는 각도(방위각)이다. 예를 들면, 나침반 센서(283)는 자석계 센서와,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복합센서일 수 있다.
제어모듈(21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210)는 , 나침반 센서(283), 모션 감지부(290)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모듈(210)는 사용자 입력부(260), 관리어플리케이션(27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모듈(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전기기(700)를 검색하면 여러 개의 가전기기(700)가 검색되게 된다. 일반 가정의 경우 가전기기(700) 이외에도 근접한 이웃집의 가전기기(700)가 검색될 수도 있다. 또한 근접통신 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치가 검색되므로, 보안 페어링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페이링을 위해 가전기기(700) 또는/및 스위치 장치(100)에는 보안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보안모듈은 이동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안 페어링을 위한 인증 버튼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보안 페어링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보안모듈은 스위치 장치(100) 또는 가전기기(700)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 방법을 이용한 등록시에는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제어권이 없는 다른 사람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전기기(700)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모듈(210)은 환경센서 모듈(170)에서 입력된 주변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온습도 감지 센서(173)에서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바탕으로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스위치 장치(100)의 온습도 감지 센서(173)에서 감지된 온도, 습도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모듈(210)에 제어신호에 의해 온도 및 습도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주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청정기를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스위치 장치(100)의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세먼지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 또는 매연 감지 센서(175)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또는 매연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장치를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스위치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 또는 매연 감지 센서(175)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값 또는/및 매연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산화탄소 값 또는/및 매연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210)을 통한 가전기기의 제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실내에 다수의 분할공간(R1~R3)에 복수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복수의 가전기기(700)가 배치된다. 여기서, 분할공간은 평면 상에서 공간 벽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물론, 분할공간들은 서로 완벽하게 벽에 의해 구획될 수도 있지마, 분할공간들은 도어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경계의 90% 이상이 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측정 통신모듈(150a)과, 제3측정 통신모듈(150c)은 제1분할공간(R1) 내에 위치되고, 제2측정 통신모듈(150b)은 제2분할공간(R2) 내에 위치되고, 제4측정 통신모듈(150)은 제3분할공간(R1) 내에 위치된다. TV, 에어컨, 오디오는 제1분할공간(R1) 내에 위치되고, 조명기기는 제2분할공간(R2)에 위치되며, 공기청정기는 제3분할공간(R3)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복수의 측정 통신모듈(150)들은 모두 동일한 동일한 레벨(level)에 배치된다. 여기서, 동일한 레벨은 수평면 상에서 수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의 정도를 의미한다.
상술한, 분할공간(R1~R3), 가전기기(700)들, 측정 통신모듈(150)들의 위치정보는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다.
이하,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한다.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들(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 및 확정한다.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클수록 스위치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는 가깝게 위치된다.
이 때,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값을 삼각측량법과, 미리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상대적으로, 평면 좌표계에서 위치)를 연산한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무선 통신 감도 값(RSI)에 따른 거리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거나,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는 이동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1미터 내지 3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 한다는 것은 이동 단말기(200)가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는,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부(260)를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21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00)가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200)가 서버(10)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받고 이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이 복수인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를 출력한다. 즉,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모든 가전기기(700)에 대한 리모트 오브젝트(79)가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0)은 선택 오브젝트를 통해 선택된 가전기기(700)에 대한 리모트 오브젝트(79)를 제외한 다른 가전기기(700)의 리모트 오브젝트(79)가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서로 다른 분할공간에 위치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연산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가 제2분할공간에 위치되는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되고,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조명기기를 제어대상으로 선택한다. 제어모듈(210)은 조명기기에 대한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 중 나침반 센서(283)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며, 제어대상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와,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의 수평면상의 지시방향(방위각)이 결정되면,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지시방향이 확정되고,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가전기기(700)를 확정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의 수평면상의 지시방향과 가전기기(700)가 일치되는 것은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에서는 일치를 의미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평면상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보조 통신모듈(153)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측정 통신모듈(150)들과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된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동일한 통신방식이 사용된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이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측정 통신모듈(150)들과 평면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통신모듈(153)은 수평면과 수직한 수직면 상에서 제1높이를 가지면, 측정 통신모듈(150)은 제1높이와 상이한 제2높이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모듈(210)은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들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과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에서 위치 및 높이를 연산 및 확정한다.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는 수평면과 수직한 수직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의 레벨(Level)을 의미한다.
이 때,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와 높이를 연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및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값 및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값을 사각측량법과, 미리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상대적으로, 평면 좌표계에서 위치) 및 높이를 연산한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무선 통신 감도 값(RSI) 및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따른 거리 정보가 저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 중 나침반 센서(283)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 값과,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이동 단말기(200)의 기울기 값(θ1, θ2)과, 가전기기(700)들의 높이 값과, 가전기기(700)의 높이 값을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직면 상에서의 지시방향을 연산한다. 이후, 제어모듈(210)은 수평면상의 지시방향 및 수직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고, 제어대상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수평면 상에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방향에 복수의 가전기기(700)가 위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어느 가전기기(700)를 가리키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외출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온시키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조명을 오프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제1감도값을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외출했다고 판단한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가 외출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온시키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조명을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오프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제1감도값을 보다 크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가 실내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감지하여서,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온시키고, 재실공간 외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오프시키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의 지도정보와 비교하여서,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판단한다. 여기서, 재실공간은 실내가 벽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분할공간 중에 이동 단말기(200)기 위치되는 공간이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재실공간을 판단하고,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를 온시키고, 재실공간 외에 위치되는 조명기기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을 환경센서 모듈(17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에 부착된 음향출력모듈(미도시)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지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가전기기의 제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의 등록된 설정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의 지도정보와 비교하여서,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판단한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재실공간을 판단하고,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기 미리 이동 단말기(200)에 등록된 판단기준에 따른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200)가 유동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주변의 가전기기(70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가 유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의 주변(반경 2미터 내지 5미터)에 위치된 가전기기(700)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110),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단계(S120),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정하는 위치확정단계(130) 및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하는 활성화 단계(S140)(S160)를 포함한다.
측정단계(S11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측정한다.
연산단계(S120)는 제어모듈(210)에 의해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연산된다.
위치확정단계(130)는 제어모듈(210)에 의해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들(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 및 확정한다.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제어모듈(210)은 측정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값을 삼각측량법과, 미리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상대적으로, 평면 좌표계에서 위치)를 연산한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무선 통신 감도 값(RSI)에 따른 거리 정보가 저장된다.
활성화 단계는 제어모듈(210)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된다.
활성화 단계는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활성화 단계는 이동 단말기(200)가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활성화 단계는 이동 단말기(200)가 서버로부터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가 서버로부터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활성화 단계는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지 제어대상을 결정하는 제1단계(S140)와, 제1단계(S140)에서 결정된 제어대상의 가전기기(700)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 하는 제2단계(S15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단계(S140)는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 대상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 대상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로, 제1단계(S140)는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 중 이동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700) 중 이동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한다.
제1단계(S140)는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 복수인 경우,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다른 높이에 위치된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보조 무선 통신 값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를 연산하고,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직면 상의 기울기 값과, 가전기기(700)들의 높이 값을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직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 복수인 경우, 3개의 측정 통신모듈(150)과 다른 높이에 위치된 보조 통신모듈(153)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보조 무선 통신 값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를 연산하고,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션 감비부에서 입력된 이동 단말기(200)의 수직면 상의 기울기 값과, 가전기기(700)들의 높이 값을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직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한다.
제2단계(S150)는 제1단계(S140)에서 결정된 제어대상의 가전기기(700)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제1단계(S140)에서 결정된 제어대상의 가전기기(700)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이동 단말기(200)에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단계(S150)는 제1단계에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 복수인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복수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제1단계에서,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 복수인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이동 단말기(200)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복수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2단계(S150)는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오브젝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10)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7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 통신모듈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단계;
    상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정하는 위치확정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활성화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전기기를 상기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지 제어대상을 결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제어대상의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활성화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제어 대상으로 결정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 중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 복수인 경우,
    상기 3개의 측정 통신모듈과 다른 높이에 위치된 보조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보조 무선 통신 값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높이를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모션 감지부에서 입력된 이동 단말기의 수직면 상의 기울기 값과, 상기 가전기기들의 높이 값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직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 복수인 경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측정 통신모듈;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상기 측정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통신모듈들은 동일한 레벨(level)에 배치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무선통신 감도 값을 바탕으로 연산된 각각의 측정 통신 모듈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활성화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이 복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상기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가전기기 및 측정 통신모듈들의 맵(map)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상기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방위의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측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을 감지하는 나침반 센서와,
    복수의 가전기기 및 측정 통신모듈들의 맵(map)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상기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 중 상기 나침반 센서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방위의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측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을 감지하는 나침반 센서와,
    복수의 가전기기 및 측정 통신모듈들의 맵(map)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평면 과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통신모듈들과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된 보조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된 가전기기들 중 상기 맵(map)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분할공간에 위치된 가전기기 중 상기 나침반 센서에서 제공된 이동 단말기의 수평면 상의 지시방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평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보조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보조 무선 통신 감도 값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높이 값을 연산하고,
    상기 모션 감지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 값과, 상기 가전기기들의 높이 값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리키는 수직면 상에서의 지시방향을 연산하고,
    상기 수평면상의 지시방향 및 수직면상의 지시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전기기를 제어대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KR1020150185880A 2015-12-24 2015-12-24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076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0A KR20170076076A (ko) 2015-12-24 2015-12-24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0A KR20170076076A (ko) 2015-12-24 2015-12-24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76A true KR20170076076A (ko) 2017-07-04

Family

ID=5935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80A KR20170076076A (ko) 2015-12-24 2015-12-24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0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3444A (zh) * 2018-07-25 2018-11-13 北京小米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90123359A (ko) * 2018-04-06 2019-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의 위치를 데이터화하여 it 기기와 가전기기를 연동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7264A (ko) * 2019-03-07 2020-09-16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 기기와 전력선의 매핑 시스템 및 방법
EP4130896A4 (en) * 2020-04-02 2024-04-10 Shenzhen chuangwei rgb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ENE SWITCHING METHOD, INTELLIGENT DISPLAY SCREEN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359A (ko) * 2018-04-06 2019-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의 위치를 데이터화하여 it 기기와 가전기기를 연동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8803444A (zh) * 2018-07-25 2018-11-13 北京小米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07264A (ko) * 2019-03-07 2020-09-16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 기기와 전력선의 매핑 시스템 및 방법
EP4130896A4 (en) * 2020-04-02 2024-04-10 Shenzhen chuangwei rgb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ENE SWITCHING METHOD, INTELLIGENT DISPLAY SCREEN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372B1 (en)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KR102607554B1 (ko) 제어될 기기를 결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들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용도 및 시스템
KR102269035B1 (ko) 서버 및 서버의 그룹 액션 제어방법
KR102231105B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133214A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geo-fencing
EP283029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KR20170076076A (ko)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US9921557B2 (en)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EP2645699B1 (en) Communication device
JP4122779B2 (ja) 家電制御システム、家電制御装置、並びに家電機器
EP3082115B1 (en) Guided installation feedback for an opening sensor
US20180351758A1 (en) Home Automation System
WO20161091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WO2016034880A1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TWI581641B (zh) 家電設備控制系統及方法
US20110037608A1 (en) Multi-dimensional controlling device
KR20200094738A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KR2016010569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675566B (zh) 空调器的共享方法、终端、共享空调器和存储介质
KR102533497B1 (ko) 스위치 장치
US10389149B2 (en) Sensory and control platform for an automation system
KR20160041242A (ko)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127201A (zh) 具有查找定位手机功能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