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545A -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545A
KR20170075545A KR1020150185337A KR20150185337A KR20170075545A KR 20170075545 A KR20170075545 A KR 20170075545A KR 1020150185337 A KR1020150185337 A KR 1020150185337A KR 20150185337 A KR20150185337 A KR 20150185337A KR 20170075545 A KR20170075545 A KR 2017007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lectronic device
user
control mod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902B1 (ko
Inventor
강재은
김경재
김양욱
이창현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02B1/ko
Priority to EP16879399.0A priority patent/EP3355552B1/en
Priority to CN201680075898.6A priority patent/CN108476232B/zh
Priority to JP2018532583A priority patent/JP7073259B2/ja
Priority to PCT/KR2016/015170 priority patent/WO2017111532A1/ko
Priority to US16/061,197 priority patent/US11374782B2/en
Publication of KR2017007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자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또는 스마트 호텔 등을 구성하는 스마트 시스템은 정해진 공간 내에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전자기기들 동작을 제어하고, 전자기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시스템은 전자기기들을 게이트웨이(GW, Gateway)를 통해 통합하여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 예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들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이에 대한 사용자 요구 또한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호텔은 그 특성상 단기간에 객실 사용자가 달라지며, 따라서 사용자는 객실 내에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단기간에 그 이용방법을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용방법을 호텔 직원을 통해 사용자인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별도의 안내 시스템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호텔 직원의 추가 업무 부담으로 추가 인건비가 발생하거나 안내 시스템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번거로운 절차에 따라 고객 만족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용방법을 숙지한다 하더라도 다수의 기기를 각각 제어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절차를 여러 번 수행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 시스템에서 다수의 전자기기들을 그룹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기존에 제안된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상황을 사전에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상황에 해당되는 전자기기들을 일일이 하나씩 선택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제어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상황이 귀가, 외출, 취침, 영화 감상 등 4 개이고, 스마트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개수가 30 개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그룹 제어를 위해 최대 4*30=120 번의 전자기기 설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 그룹 제어 방식은 설정되는 상황과 제어 대상 전자기기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되고, 그룹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한 복잡해진다.
또한 호텔의 경우, 호텔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그룹 제어를 위한 상황이 설정되며, 이렇게 설정된 상황은 객실 사용자인 고객의 취향 및 의도와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은 불편함을 느끼고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황을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향후 스마트 기기 및 시스템 발전으로, 댁 내, 호텔 객실 내 또는 빌딩 사무실 내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되는 전자기기들의 개수는 더욱 증가될 것이고, 설정이 필요한 상황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제어할 기기들을 추천해주고, 기기 제어에 따른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다수의 전자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기기들을 효율적으로 그룹핑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와, 복수 개의 제어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 모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 모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보 제어 모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중 수면 모드에 따른 전자기기들의 상세 설정 값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동작을 위해 스마트 시스템에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가 원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의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시스템은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호텔과 같이 정해진 공간 내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통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시스템은 제어 장치(110), 전자기기(120), 센서(130),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들(120)의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의 상태 등이 포함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서버(140)로부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향 효과, 음성 메시지, 문자 메시지, 아이콘 표시,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장치(110) 는 객실 내에 위치한 모든 전자기기(120), 센서(130) 및 객실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한 서버(14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10)는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객실 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TV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서 객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호텔의 경우, 체크인하는 고객에게 투숙 기간 동안 제공하는 단말이거나, 빌딩 내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 시간 동안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일 예로서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 장치(110)가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어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인 경우, 전자기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자기기(120)는 스마트 가전기기(Smart Appliance), 보안기기(Security devices), 조명기기(Lighting devices), 에너지기기(Energy devices) 등 댁 내, 사무실 내, 객실 내 위치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가전기기는 TV, 냉장고, 세탁기, 진공/로봇청소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에어 컨디셔너, 오븐, 워셔, 드라이어, 공기 청정기, 셋-탑 박스(set-top box),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 게임 콘솔(gaming console), 전자 사전, 캠코더, 전자 사진 프레임, 조명기기, 알람 시계, 전기포트, 전자 샤워기, 전동 블라인드, 전동 커튼 등이 될 수 있다.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기는 형광등,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기구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기기는 전력측정기, 전기 콘센트, 멀티탭, 냉난방 조절기, 전력 소켓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호텔의 경우, 제어 장치(110)는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 Do Not Disturb, Make Up Room, 비품 요청, 룸 서비스 등의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기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다수의 전자기기(120)는 제어 장치(1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센서(130)는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130)는 수면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소리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도어 센서, 생체 센서 등 댁 내, 사무실 내 또는 객실 내에 위치한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 중 일부는 제어 장치(110) 또는 전자기기(12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서(130)는 소정 시점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센싱 동작을 수행하고,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된 시점에 제어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는 전자기기들(120)의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상태 등이 포함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130)로부터의 센싱 정보는 제어 장치(110)가 아닌 서버(14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서버(140)는 제어 장치(110)가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일 수 있다. 호텔의 경우에는 호텔 관리 서버일 수 있고, 홈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홈 서버, 빌딩의 경우에는 빌딩 관리 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에 포함되는 빌딩 관리 서버일 수 있다. 서버(140)는 제어 장치(110)의 전자기기(120) 제어를 위한 정보로서, 객실 레벨에 따른 전자기기(120) 리스트, 제어 모드 리스트, 제어 모드별 전자기기 리스트를 제어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실 레벨은 스탠다드 룸, 디럭스 룸, 스위트 룸과 같은 객실 타입이 될 수 있고, 객실 타입에 따라 구비되는 전자기기(120)와 제공되는 제어 모드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어 장치(110)에서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는 입력부(111), 통신부(112), 저장부(113), 출력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제어 모드 선택 또는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으며, 터치스크린, 버튼, 마이크, 카메라,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근접 센서,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스마트 시스템 내의 기기들, 즉 전자기기(120), 센서(130), 서버(1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모듈, Wi-Fi와 같은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3G 통신 모듈, Z-웨이브(Z-Wave) 모듈,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모듈, 와이기그(WiGig) 모듈, 적외선(IR) 모듈 등과 같은 각종 무선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센서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전자기기(12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저장부(113)는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제어 모드 리스트, 전자기기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제어 장치(110)에 미리 저장된 정보로서 성별, 나이, 국적, 취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일 수 있다. 호텔의 경우에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호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여행 목적, 동반자 수와 동반자에 대한 정보, 비행기 스케줄, 이전 투숙기간 동안 이용한 호텔 서비스 및 기기 제어 이력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리스트는 객실 내에 제어 장치(120)로 제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들을 포함한다. 제어 모드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토대로 시스템 관리자 등에 의해 미리 저장된 모드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드 별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들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드는 예를 들어 모닝커피 모드, TV 시청 모드, 세면 모드, 수면 모드, 룸 서비스 모드, 엔터테인먼트 모드, 목욕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드 별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일부의 전자기기들이 중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일 경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부(113)에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114)는 전자기기(12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CPU와, 전자기기(1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거나, 제어 장치(11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10)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 모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의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동작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면(301 단계), 서버(140)는 객실 예약 및 체크인 등을 통해 수집하거나(302 단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 장치(110)로 전송한다(303 단계). 또한 객실 내의 센서(130)는 소정의 시점 및 주기에 따라 센싱 정보를 수집해서(304 단계) 수집한 센싱 정보를 제어 장치(110)로 전달한다(305 단계).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 장치(110)가 서버(140)와 센서(13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센싱 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동작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 장치(110)는 서버(140)와 센서(13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현재 상태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미리 설정된 룰에 따라 선택된 일부의 제어 모드들을 나타내는 후보 제어 모드들을 표시한다(306 단계). 또한 제어 장치(110)는 후보 제어 모드 선택시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날짜, 요일, 시간대, 온도 및 습도, 일조량 등의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혹은 제어 모드 리스트, 전자기기 리스트 등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모드에서의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각 전자기기들의 제어 모드별 설정 값은 시스템 관리자나 제어 장치(11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텔 객실로 들어오면, 도어 센서는 도어락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고 객실 내에 설치된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현재 시간이 취침을 취해야 하는 늦은 시간이고 항공을 이용하여 현지에 도착하자마자 호텔에 체크인을 한 경우에, 제어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룰에 따라 사용자가 샤워를 하거나 TV를 켜거나 취침을 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샤워모드, 음악감상 모드, TV 시청모드, 취침모드 등을 후보 제어 모드로서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취침을 하고 아침 시간에 일어나서 움직이기 시작하면,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제어 장치(110)는 모션 센서의 센싱 정보와 평소 아침 시간에 행하는 사용자의 행동 이력을 토대에 사용자가 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행동들에 해당하는 샤워모드, 음악감상모드, TV 시청모드, 모닝커피 모드, 룸 서비스 모드 등을 후보 제어 모드로서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0)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를 선택하면(307 단계), 제어 장치(110)는 전자기기(120)로부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308 단계), 상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의 목록을 출력부에 표시한다(311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 장치(110)는 온도 조절기, 전등, TV, 오디오, 창문, 도어락, 알람시계, 커튼/블라인드 등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제어 모드 별로 미리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일부 전자기기들에 대해서는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제어 모드를 선택하면(307 단계) 제어 장치(110)는 상기 제어 값이 고정된 일부 전자기기들 중 현재 동작 상태와 설정된 제어 값이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 제어 명령을 해당 전자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309 단계). 그러면 해당 전자기기들(120)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10 단계). 상기 제어 명령은 전자기기들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해당 전자기기를 온/오프 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도 있고, 해당 전자기기의 설정 값(레벨)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309 단계 및 310 단계가 311 단계 이전에 일어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309 단계 및 310 단계는 311 단계와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고 311 단계 이후에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값은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의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객실별 등의 설정 조건에 따른 기기 제어 이력 등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모드 별로 미리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수동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120) 중 일부 전자기기가 제어를 위해 선택되면(312 단계), 제어 장치(110)는 선택된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313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120)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314 단계) 제어 장치(110)는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해당 전자기기(120)로 전송하고(315 단계) 해당 전자기기(1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16 단계).
또한 경우에 따라 308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즉, 후보 제어 모드 중 사용자가 하나의 제어 모드를 선택(307 단계)하면 해당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전자기기들은 해당 제어 모드에 따라 바로 제어 동작을 수행(310 단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게이트웨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다른 의미로는 게이트웨이 기능이 제어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가 별도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과 비교할 때,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제어 장치(150)는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게이트웨이(160)가 별도로 구비된다. 전자기기(120), 센서(130), 서버(14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장치(150)는 제어 모드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실질적인 제어 동작은 게이트웨이(160)에 의해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16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들(120)의 상태를 결정하고, 전자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60)는 객실 내에 위치한 모든 전자기기(120), 센서(130) 및 서버(14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160)는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로 구성된 게이트웨이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도 2에서 설명된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의 기능과 유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 모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서 도시 및 설명된 제 1실시 예와 유사하나,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501, 510, 518, 520 단계), 출력(509, 517, 519 단계) 및 정보 송수신(502, 508, 511, 516, 521 단계)을 처리하고, 게이트웨이(160)에서는 서버(140) 혹은 센서(130)로부터 수집(504, 506 단계)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후보 제어 모드 추천(507 단계) 및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른 제어 동작(511 내지 522 단계)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보 제어 모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시간, 행동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 정보들의 조합에 따라 2가지 사용자 상황을 예로 들었으며, 각 사용자 상황별로 후보 제어 모드를 구분하였다. 즉, 사용자가 객실 내 침대에 위치하고 아침 시간이며 잠에서 깬 동작이 감지되는 것을 제1 상황으로 설정하고, 제1 상황에서의 후보 제어 모드는 모닝커피 모드, TV 시청 모드, 세면 모드, 수면 모드, 룸 서비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객실 내 소파에 위치하고 있고 밤 시간대이며 도어 센서를 통해 귀가한 것을 감지하는 것을 제2 상황으로 설정하고, 제2 상황에서의 후보 제어 모드는 수면 모드, 엔터테인먼트 모드, 목욕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중 수면 모드에 따른 전자기기들의 상세 설정 값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수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 각각에 대해 현재 동작 상태와 수면 모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어 값, 그리고 현재 동작 상태와 설정된 제어 값이 달라서 제어가 필요한 다른 전자기기들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전자기기들의 제어 방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기기들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거나, 사용자 제어 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면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제어 방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전자기기들 중 현재 동작 상태와 설정 값이 다른 전자기기들(거실등, 침실등, 커튼/블라인드, 창문)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제어 명령이 전송된다. 또한 제어 방법이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전자기기들 중 현재 동작 상태와 설정 값이 다른 전자기기들(온도 조절기, 알람(시계), 가습기)에 대해서는 수동 제어가 필요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 또는 제어 장치를 통해 해당 기기들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호텔 내의 스마트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체크인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은 호텔 내의 스마트 시스템에 제어 장치로서 등록되며, 따라서 이후 사용자 단말은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개인 단말일 수도 있고 호텔에서 체크인 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용 단말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개인 단말을 제어 장치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전자기기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하여 호텔 내의 스마트 시스템과 공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호텔에서 공용 단말을 제공할 경우, 체크인 시에 호텔 내의 스마트 시스템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공용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는 호텔 관리를 위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또한 호텔 내의 각종 시설들, 즉 객실, 로비, 식당, 피트니스 센터 등에 위치한 전자기기들 및 이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들과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동작을 위해 스마트 시스템에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일 예로, 호텔에 투숙하는 사용자인 고객에게 있어서, 호텔 스마트 시스템에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절차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810)은 체크인 과정에서 객실 내부와 호텔 내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801 단계).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체크인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810)에만 설치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버는 체크인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810)에게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승인하기 위한 인증 번호를 제공하며, 호텔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는 상기 인증 번호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810)에게만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허용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810)의 허용된 권한 레벨에 따라 제한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830)를 통한 정보 조회, 서버(830)로부터의 알람 정보 수신, 호텔 내의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상기 허용된 권한 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허용된 권한 레벨은 서버(830)를 통해 설정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호텔의 경우 고객이 이용하는 객실 레벨에 따라 이용 가능한 호텔 서비스가 차별화되고 객실 내에 구비된 시설도 다르고, 호텔 내에서 이용 가능한 시설도 다르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030)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802 단계).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810)의 식별자(일 예로, MSID(MS Identifier)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권한 정보, 동작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서버(830)는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810)에 대한 등록 요청을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803 단계) 사용자 단말(810)을 등록한다(805 단계). 또한 선택적인 실시 예로 서버(830)는 사용자 단말(81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또는 스마트 폰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해당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810)을 인증할 수 있다(804 단계). 서버(830)는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810)의 권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830)는 사용자 단말(83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810)로 관리한다(805 단계). 또한 서버(830)는 사용자 단말(810)에 대한 정보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승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810)에게 전송한다(806 단계). 이후 서버(830)는 사용자 단말(810)에게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807 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를 위한 정보는 서버(83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제어 모드 리스트와, 제어 모드별 전자기기리스트와, 제어 모드별 전자기기들 각각에 대한 제어 값 및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텔 내의 각종 편의시설들에 대한 제어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과정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810)은 이후부터 호텔 내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객실로 들어가면, 사용자 단말(810)은 도 3의 제어 동작에 따라 객실 내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 등록 과정을 완료한 사용자가 객실 이외의 호텔 내 공간으로 이동을 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 내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등록 과정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들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룰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주변의 호텔 시설들을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시설 목록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한 가지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시설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 제어 가능한 제어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식당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식당의 예약 서비스나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식당 예약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식당 예약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 받고 이를 식당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이미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예약 정보들 중 일부를 입력 받는 동작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피트니스 클럽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피트니스 클럽 이용 방법, 운동기구별 예약 가능 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객실을 선택한 경우나 사용자가 객실에 입실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스마트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는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미리 정의된 사용자 상황에 따라 선택된 후보 제어 모드들을 원형으로 나열하고, 특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확률이 가장 높은 제어 모드를 원형버튼의 중심축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다음 선택확률이 높은 제어 모드들을 원형버튼의 중심축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될 확률이 높은 모드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우선순위가 매겨질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형버튼의 중앙에는 현재 중심축에 위치한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크기나 색상을 다른 것들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원형버튼의 중앙에는 현재 중심축에 위치한 제어 모드의 제어를 위한 안내 문구가 텍스트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릭 앤 로터리(click and rotary: 클릭은 아이콘 선택 및 제어 입력을 위해, 로터리는 회전을 통해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설정/제어 레벨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입력 방식일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조절기에서 로터리로 온도를 높이거나 낮춘 후, 클릭으로 조정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터치, 호버링, 제스처 등을 통하여 제어 모드들이 표시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위치가 변경된 제어 모드에 따라 원형버튼의 중앙에 표시되는 안내 문구도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형버튼에 표시된 하나의 제어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모드를 상세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어 모드 또는 기기들이 선택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동작으로 제어 장치가 진동하거나 제어 장치에 구비된 LED가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취침을 취해야 하는 늦은 시간이고 사용자가 항공을 이용하여 현지에 도착하자마자 호텔에 체크인을 하여 객실에 들어와서 소파에 앉아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샤워 모드, 음악 감상 모드, TV 시청 모드, 수면 모드, 휴식 모드, Do Not Disturb 모드, 도어 락 잠금 모드 등을 후보 제어 모드로서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회전하여 후보 제어 모드들 중 수면 모드를 선택하였다면, 제어 장치는 수면 모드 진입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회전하여 30분 후에 수면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수면 모드 진입 예약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 장치는 수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기기들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온도 조절기를 선택하면 제어 장치는 객실 내의 희망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세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음성안내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는 원형버튼을 돌릴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였으나, 도 10에서는 원형버튼에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미리 설정된 룰에 따라 선택된 후보 제어 모드들을 원형으로 나열하고, 특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확률이 가장 높은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크기나 색상을 다른 것들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기 이전에는 가장 선택될 확률이 높은 제어 모드에 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안내와 함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문구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형버튼에 표시된 하나의 제어 모드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모드를 상세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음성 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는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미리 정의된 사용자 상황에 따라 선택된 후보 제어 모드들을 일렬로 나열하고, 특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확률이 가장 높은 제어 모드를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다음 선택확률이 높은 제어 모드들을 순서대로 양쪽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화면 중앙에 위치한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크기나 색상을 다른 것들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아이콘이 작아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중앙에 위치한 제어 모드의 제어를 위한 안내 문구가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텍스트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아이콘들을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 중앙에 위치한 제어 모드도 변경되고, 또한 변경된 제어 모드에 따라 안내 문구도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모드를 상세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수면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예로 들었다. 수면 모드가 선택되면, 수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을 나열한 화면으로 전환되고, 이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1에서는 온도 조절기를 선택하였고, 온도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패드를 화면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제어 장치를 원형과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별 모양, 다이아몬드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손가락 터치를 통해 화면을 전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각 제어 모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방법 이외에 탭 메뉴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가 원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사용자 입력이 버튼 클릭과 로터리로 입력되고 제어 장치의 중앙 원형 영역에 선택된 제어 모드에 대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사용자 입력이 버튼 클릭과 로터리로 입력되고 사용자 입력을 돕기 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c는 사용자 입력이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고 중앙 원형 영역에 선택된 제어 모드에 대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d는 사용자 입력이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고 사용자 입력을 돕기 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 a 내지 도 12d의 각각의 경우에 대해, 제어 모드별 아이콘은 크기와 색상을 동일하게 표시하거나, 크기는 다르게 하고 색상은 동일하게 표시하거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색상만 다르게 표시하거나, 크기와 색상을 모두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어 모드별 아이콘을 흑백으로 표시할 경우, 색상을 다르게 하는 대신에 아이콘별로 명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호텔 체크인을 수행한 후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인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은 호텔 내의 스마트 시스템에 등록되며, 따라서 이후 사용자 단말은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체크인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이 기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13의 첫 번째 그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객실에 도착하기 전에 객실 내의 기기들을 미리 설정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Room, GYM, Restaurant, Lounge 중 "Room"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두 번째 그림과 같이 화면 하단에 복수의 추천 제어 모드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 가능한 기기들을 화면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등"을 선택한 경우,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객실 내의 제어 가능한 전등들을 표시하고, 화면 하단에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하러 가거나 식사를 하러 가거나 라운지를 방문하려고 한다면 해당 이미지를 터치하고 이후 각 장소에 적절한 제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수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호텔 내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로부터 가까운 곳의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 편의를 도울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제어 장치에 의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서버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는, 전자기기 리스트와, 제어 모드 리스트와, 제어 모드별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중 상기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7.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와,
    복수 개의 제어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모드 중 하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는, 전자기기 리스트와, 제어 모드 리스트와, 제어 모드별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한 이후에,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제어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할 때,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중 상기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20150185337A 2015-12-23 2015-12-23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337A KR102487902B1 (ko) 2015-12-23 2015-12-23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16879399.0A EP3355552B1 (en) 2015-12-23 2016-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1680075898.6A CN108476232B (zh) 2015-12-23 2016-12-23 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和装置
JP2018532583A JP7073259B2 (ja) 2015-12-23 2016-12-23 電子機器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PCT/KR2016/015170 WO2017111532A1 (ko) 2015-12-23 2016-12-23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6/061,197 US11374782B2 (en) 2015-12-23 2016-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337A KR102487902B1 (ko) 2015-12-23 2015-12-23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545A true KR20170075545A (ko) 2017-07-03
KR102487902B1 KR102487902B1 (ko) 2023-01-12

Family

ID=5908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337A KR102487902B1 (ko) 2015-12-23 2015-12-23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4782B2 (ko)
EP (1) EP3355552B1 (ko)
JP (1) JP7073259B2 (ko)
KR (1) KR102487902B1 (ko)
CN (1) CN108476232B (ko)
WO (1) WO20171115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4402A (ja) * 2017-09-14 2019-04-0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移動端末及び電動遮蔽装置
KR102012933B1 (ko) * 2018-02-22 2019-08-2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092300B1 (ko) * 2019-09-16 2020-03-23 주식회사 블루티움 멀티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5133A (zh) * 2017-04-13 2021-10-08 江森自控科技公司 具有空间简档的建筑物管理系统
US11025563B2 (en) 2017-04-13 2021-06-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pace-aware network switch
US10742441B2 (en) 2017-04-13 2020-08-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Unifi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EP3583770B1 (en) 2018-05-07 2020-10-28 Google LLC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various connected devices
JP6814770B2 (ja) * 2018-07-04 2021-01-20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室内管理システム、室内管理装置、室内管理方法および室内管理プログラム
CN110944028A (zh) * 2018-09-21 2020-03-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客房管理方法、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EP4033311A1 (en) * 2018-10-08 2022-07-27 Google LLC Summarily conveying smart appliance statuses
USD916099S1 (en) * 2019-04-04 2021-04-13 Ansys, Inc. Electronic visual display with structure modeling too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020157A (zh) * 2020-08-18 2020-12-01 上海冷溪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与预警系统交互的方法和手持设备
CN112306364B (zh) * 2020-11-19 2023-0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IoT设备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860164B (zh) 2021-01-22 2022-02-08 璞真生活有限公司 香薰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068A (ja) * 2010-11-02 2012-05-24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50067528A1 (en) * 2012-12-28 2015-03-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 method
US20150082225A1 (en) * 2013-09-18 2015-03-19 Vivi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scen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260A (ja) * 2002-03-20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信号変換装置
KR101545582B1 (ko) * 2008-10-29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6972B1 (ko) 2009-05-1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85723B1 (ko) * 2011-09-30 2018-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 접근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8972065B2 (en) * 2012-04-05 2015-03-03 Google Inc. Distribution of call-home events over time to ameliorate high communications and computation peaks in intelligent control system
WO2014066879A2 (en) 2012-10-28 2014-05-01 Hillcrest Laboratories, Inc. Context awareness for smart televisions
US20140244001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KR102233602B1 (ko) 2013-09-05 2021-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디바이스 동작의 설정 및 추천 방법 및 장치
US10181960B2 (en) 2013-09-05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recommending device action using user context
KR102114219B1 (ko) * 2013-10-10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그리고 스피커 장치
US9930519B2 (en) 2013-11-21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US9989942B2 (en) * 2013-12-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KR101554188B1 (ko) * 2014-06-0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097743A1 (en) * 2015-10-05 2017-04-06 Quixey, Inc. Recommending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068A (ja) * 2010-11-02 2012-05-24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50067528A1 (en) * 2012-12-28 2015-03-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 method
US20150082225A1 (en) * 2013-09-18 2015-03-19 Vivi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scene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4402A (ja) * 2017-09-14 2019-04-0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移動端末及び電動遮蔽装置
KR102012933B1 (ko) * 2018-02-22 2019-08-2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092300B1 (ko) * 2019-09-16 2020-03-23 주식회사 블루티움 멀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7973A (ja) 2019-03-22
KR102487902B1 (ko) 2023-01-12
CN108476232A (zh) 2018-08-31
EP3355552A1 (en) 2018-08-01
CN108476232B (zh) 2021-10-01
US11374782B2 (en) 2022-06-28
WO2017111532A1 (ko) 2017-06-29
US20180367330A1 (en) 2018-12-20
EP3355552B1 (en) 2021-07-28
EP3355552A4 (en) 2018-09-05
JP7073259B2 (ja)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902B1 (ko)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6903713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サーモスタット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KR10214673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3829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CN111613001B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US9930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JP6301829B2 (ja) 制御方法
EP30722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2344021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03955B2 (en) Video integration with home assistant
WO20152003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JP5875625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1004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宅内装置及び遠隔操作端末
KR20240063131A (ko) 계층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런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