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715A -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715A
KR20170074715A KR1020150184320A KR20150184320A KR20170074715A KR 20170074715 A KR20170074715 A KR 20170074715A KR 1020150184320 A KR1020150184320 A KR 1020150184320A KR 20150184320 A KR20150184320 A KR 20150184320A KR 20170074715 A KR20170074715 A KR 2017007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tridge body
ultrasound
ultrasound therapy
therap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566B1 (ko
Inventor
이진우
박종철
이성원
손량희
김현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5018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시술자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시술 핸드피스; 일측이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시술 대상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의 외면을 갖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구비되며, 그 초점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치료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인과 질환 치료 및/또는 질 수축 시술이 가능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과 비만 치료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과 비만 치료를 위한 다양한 의료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희망하는 환자를 위한 다양한 피부 미용 의료기기들이 개발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만 환자 치료용 의료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피부 미용 의료기기로써, 피부 조직을 절개하는 침습적인 방식의 의료기기들이 있으나, 시술 안전성 문제와 환자의 거부감 등이 부각되면서, 피부 조직의 절개 없이도 시술이 가능한 비침습적인 방식의 의료기기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피부 미용 및 비만 치료 분야 등에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의료 분야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비침습적 의료기기로써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이용하는 초음파 의료기기가 최근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피부 미용 시술을 위해 집속 초음파를 피부 조직 내부에 조사하여 피부 리프팅 또는 스킨 타이트닝 시술을 비침습적으로 수행하는 초음파 의료기기가 있으며, 비만 치료를 위해 집속 초음파를 피하 지방층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조사하여 지방 조직을 비침습적으로 태우거나 녹여 분해시키는 초음파 의료기기가 있다.
한편, 최근 부인과 질환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인과 질환은 보통 종양성 질환, 염증성 질환, 월경장애, 성병, 그리고 성기능 장애 등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종양으로는 자궁경부암, 난소암 등이 있고, 종양성 질환으로는 자궁근종이 있다. 염증성 질환으로는 냉대하가 있으며, 월경장애는 무월경, 생리통, 월경주기 이상 등이 있다. 그리고, 성기능 장애로는 성욕 장애, 성흥분 장애, 오르가즘 장애, 통증 장애, 그리고 질 수축 장애 등이 있다. 이 중, 성기능 장애는 성행위를 통하여 만족을 얻지 못하거나 어려움이 있는 증상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여성의 성기능 장애는 출산이나 고령화에 따른 자연적인 장애인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연령에서도 성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으나, 과도한 흡연과 음주, 약물남용, 그리고 스트레스 등이 젊은층에서의 성기능 장애 증가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부인과 질환의 치료 방법들은 크게 의약품 치료법과 의료기기를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의료기기를 이용한 치료법은 온열 치료기, 쑥뜸기, 좌욕기, 그리고 레이저 치료기 등을 이용한 치료법을 의미한다. 그러나, 온열 치료기나 쑥뜸기 및 좌욕기 등을 이용한 치료법은 직접적인 치료가 아니며, 그 효과 또한 매우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이저 치료기를 이용한 치료법의 경우, 시술시 강한 통증과 함께 출혈이 발생하고, 시술 후에도 통증과 부작용이 발생하여 일상 생활에 큰 불편함을 준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2329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18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53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69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170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술의 안전성, 효율성, 정확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개선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시술 대상자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시술자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시술 핸드피스; 일측이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시술 대상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의 외면을 갖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구비되며, 그 초점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치료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20도 이상 350도 이하의 범위를 지향하도록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술 대상자의 항문이 상기 시술 대상자의 질구의 6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360도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11시보다 크거나 1시보다 작은 방향을 지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가 집속 초음파를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한 주기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구동수단이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제1 거리만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치료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된 뒤 상기 제2 구동수단이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한 주기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몸체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각각은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공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치료부는, 복수 개의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져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트랜스듀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치료부는,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독립 트랜스듀서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어 다중 초점을 형성하는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투과시키는 윈도우가 구비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30도 이상 330도 이하의 범위만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단면상에서, 상기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30도 미만으로 이격된 영역은 상기 윈도우보다 초음파 투과율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시술시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핸드피스; 및 인체 내부로 삽입되어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조사부를 가지고, 상기 핸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체내 삽입형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내 삽입형 카트리지는,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의 외면을 갖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그 초점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치료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요도 및 음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질 내벽을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의 안전성, 시술의 효율성, 시술의 정확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개선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대상자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교체를 통해 단일 장비로 환자 맞춤형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술 핸드피스 및 제1 카트리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이 수행되는 인체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을 수행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술 핸드피스(210) 및 제1 카트리지(310)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이용하여 시술이 수행되는 인체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이용하여 부인과 질환 치료 및/또는 질 수축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기기일 수 있다.
상기 부인과 질환 및/또는 질 수축 시술은 종양, 종양성 질환, 염증성 질환, 월경장애, 성병, 그리고 성기능 장애 등의 치료를 위한 시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부인과 질환 치료 및 질 수축 시술을 위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출산이나 노령화에 따른 성기능 감퇴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질벽(28)(도 9의 28)의 피부 표면으로부터 대략 0.5mm 내지 3.0mm 깊이로 이격되어 있는 피부 조직을 의도적으로 손상하거나 자극을 준 후, 피부 조직의 치밀화 또는 재생을 통해서 정상 조직을 회복시키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인과 질환 치료 및 질 수축 시술을 위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출산이나 노령화에 따른 성기능 감퇴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질(20)의 수축 운동을 담당하는 내골 반근박(Endopelvic Fascia:EPF, 도 9의 30)을 치밀화 또는 재생시키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집속 초음파(Focused Ultrasound)는 초음파를 집속시켜 하나의 초점에 모여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집속 초음파의 일 형태로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이하, 'HIFU'라 칭함)는 초음파를 하나의 초점에 고강도로 모여지도록 포커싱하여 열적 초점(thermal focal point, 12)을 형성시킨 것일 수 있다. 집속 초음파의 다른 형태로서, 저강도 집속 초음파(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LIHU)는 초음파를 하나의 초점에 저강도로 모여지도록 포커싱하여 열적 초점(12)을 형성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열적 초점(12)은 대략 60℃ 이상의 고온 상태의 열적 초점(12)으로서, 상기 열적 초점(12)에서는 열적 효과(thermal effect) 또는 캐비테이션 효과(cavitation effect) 등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상기 질의 피부 표면 인근 조직, 예컨대 질 피부 표면으로부터 대략 0.5mm 내지 3.0mm 범위에 있는 피부 조직에 대해 열적 초점(12)을 형성시켜 의도적으로 손상시키거나 자극을 준 후, 이러한 피부 조직의 치밀화 또는 재생을 통해 정상 조직을 회복시키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상기 질벽(28) 표면으로부터 대략 1.0 내지 30.0mm의 깊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내골 반근박(30)에 대해 상기 열적 초점(12)을 형성시켜 의도적으로 상기 내골 반근박(30)을 손상시키거나 자극을 주고, 상기 내골 반근박(30)의 회복 또는 재생을 도모하여, 상기 질의 수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장비 본체(100), 핸드피스 어셈블리(200), 카트리지 세트(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 본체(100)는 시술자(미도시됨)에게 시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시술자가 상기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동작 또는 조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비 본체(100)에는 시술자의 시술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110) 및 시술자가 상기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동작 또는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0)로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는 시술 핸드피스(210) 및 연결 케이블(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는 시술 대상자에게 집속 초음파를 조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핸드-헬드(hand-held)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는 시술자가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12)의 상단에는 시술자가 초음파 조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2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220)은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와 상기 장비 본체(100)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220)의 일단은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비 본체(100)에 커넥팅(connecting) 타입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세트(300)는 복수의 카트리지들로 구성된 세트(se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트리지 세트(300)는 제1 카트리지(310) 및 제2 카트리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310)와 상기 제2 카트리지(320)는 시술 조건이나 시술 목적 서로 상이한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목적의 시술만이 가능한 집속 초음파 의료기기에 비해, 하나의 장비로서 카트리지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목적 초음파 의료기기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조건의 시술만이 가능한 집속 초음파 의료기기에 비해 환자의 상태나 시술 부위별로 최적화된 시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트리지(310)와 제2 카트리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시술시 상기 질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질벽(28)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이격된 피부 조직에 집속 초음파를 조사시키기 위한 집속 초음파 조사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시술대상자의 질 등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내 삽입형 카트리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은 시술 목적과 조건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특정된 집속 초음파 조사 강도, 깊이 및 각도, 그리고 상기 집속 초음파에 의해 형성된 열적 초점(12)의 크기와 형성 위치 등이 동일한 조건으로 셋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시술시 동일하거나 유사한 조건으로서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고, 상기 열적 초점(1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중 제1 카트리지(310)를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에 장착시켜 사용하면서, 상기 제1 카트리지(310)의 사용 주기가 만료되면 상기 제1 카트리지(310) 대신에 상기 제2 카트리지(320)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부인과 질환 치료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은 시술 목적이나 조건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카트리지(310)는 상대적으로 큰 집속 초음파의 열적 초점(12)을 형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320)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열적 초점(12)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는 상대적으로 질벽(28) 표면으로부터 얕은 깊이의 피부 조직에 열적 초점(12)을 형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320)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벽(28) 표면으로부터 깊은 깊이의 피부 조직에 열적 초점(12)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세부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나머지 카트리지들에 대한 설명이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트리지(310)는 카트리지 몸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는 대체로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는 여성의 질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 및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의 전단은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고, 둘레는 완곡한 굴곡으로서 라운드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서, 높은 내구성과 내부식성 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의 둘레에는 윈도우(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312a)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에 구비된 초음파 치료부(314)에서 생성된 집속 초음파가 효율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높은 초음파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 중에서 윈도우(312a)를 제외한 영역의 초음파 투과율은 윈도우(312a)의 초음파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카트리지 몸체(312)를 이루는 재료의 초음파 투과율이 윈도우(312a)를 이루는 재료의 초음파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윈도우(312a)는 편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312a)가 원통 형상의 띠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띠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은 편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거나,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쭉한 영역이 있는 편평한 면을 가지도록 윈도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의 둘레에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눈금(미도시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시술자가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가 질에 삽입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카트리지(310)는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212)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카트리지(310)와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부(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손잡이부(212)의 후단 방향으로 함몰된 홀 또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몸체(312) 중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부(미도시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바(bar) 형상의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체결부는 강제 끼움 방식 또는 나사볼트 방식, 또는 회전 가능한 단순 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과 분리, 또는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 내에 상기 체결부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1 카트리지(310)를 상기 시술 핸드피스(2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카트리지(310)에는 초음파 치료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치료부(314)는 상기 HIFU 또는 LIFU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314)는 상기 질벽(28)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집속 초음파의 단일 열적 초점(12)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독립 트랜스듀서는 상기 윈도우(312a)를 따라 이동하면서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314)는 상기 질벽(28)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집속 초음파의 다중 열적 초점(12)을 형성시키는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랜스듀서 어레이는 하나의 트랜스듀서 몸체에서 복수의 열적 초점(12)들이 형성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랜스듀서 어레이는 상기 독립 트랜스듀서에 비해 이동 범위가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2 카트리지들(310, 320) 각각에는 시술 대상 피부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브(미도시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브는 상기 열적 초점(12)이 형성되는 피부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 및 배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는 카트리지 몸체(312) 내부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312) 내부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초음파 치료부(314)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치료부(314)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를 제1 구동수단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부(314)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를 제2 구동수단이라 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에는 커넥팅 로드(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커넥팅 로드(313)의 일측에 초음파 치료부(3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초음파 치료부(314)와 커넥팅 로드(313) 사이에 연결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313)는 제1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제1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로드(313)의 측면에 초음파 치료부(314)가 결합되되 초음파 치료부(314)가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한 열적 초점(12)이 제1 회전축의 법선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축의 법선 중의 하나를 제1 가상선이라 칭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도 4에서 커넥팅 로드(313)에서 시작하여 12H 방향을 향하는 선 등이 제1 가상선에 해당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313)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313)는 제1 회전축을 따라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윈도우(312a)는 카트리지 몸체(312)의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대체로 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윈도우(312a)는 제1 회전축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 중 윈도우(312a)가 형성될 부분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이 윈도우(312a)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카트리지 몸체(312)와 윈도우(312a)가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윈도우(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윈도우(312a)가 카트리지 몸체(312)에 구비되고, 제1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다른 윈도우(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의 중심점과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어느 한 윈도우(312a)를 통과하도록 초음파 치료부(314)가 위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과 초음파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부(314)가 초음파를 발생하여 열적 초점(12)을 소정의 시간 동안 형성한 뒤에 초음파 치료부(314)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고, 그 이후에 다시 초음파 치료부(314)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은 커넥팅 로드(313)의 회전에 기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의 중심점과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어느 한 윈도우(312a)를 통과하도록 초음파 치료부(314)가 위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이 수행된 뒤, 초음파 치료부(314)의 중심점과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다른 윈도우(312a)를 통과하도록 초음파 치료부(314)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치료부(314)는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부(314)는 제1 회전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313)가 제1 회전축을 따라 이동되면서 초음파 치료부(3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부(314)가 이동된 뒤 초음파 발생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술 핸드피스(210)에는 구동 로드(2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구동 로드(217)의 적어도 일부는 시술 핸드피스(210)와 카트리지 몸체(312)의 결합면을 관통하여 카트리지 몸체(3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로드(217)는 커넥팅 로드(3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로드(217)와 커넥팅 로드(313) 사이에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C)는 구동 로드(217)와 커넥팅 로드(313)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커넥팅 로드(313)에 암나사가 구비되고 구동 로드(217)에 수나사가 구비되어 커넥팅 로드(313)와 구동 로드(217)가 상호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 로드(217)는 제1 회전축을 따라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팅 로드(313)가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로드(217)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팅 로드(313)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구동 로드(217)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시술 핸드피스(210)에 구비되는 제2 구동부(215)가 구동 로드(21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구동 로드(217)를 전진 및/또는 후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시술 핸드피스(210)에 구비되는 제1 구동부(216)가 구동 로드(217)를 전진 및/또는 후진 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구동부(216)가 제2 구동부(215)와 연결되고, 제2 구동부(215)를 전진 및/또는 후진시킴에 따라 구동 로드(217)가 전진 및/또는 후진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구동부(216)가 구동 로드(217)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313)의 적어도 일부가 시술 핸드피스(210)와 카트리지 몸체(312)의 결합면을 관통하여 시술 핸드피스(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313)와 구동 로드(217)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팅 로드(313)가 시술 핸드피스(210)에 삽입되어 제2 구동부(215)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이 유체는 초음파 치료부(314)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윈도우(312a) 외부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체는 초음파 치료부(314) 등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넥팅 로드(313) 또는 구동 로드(217)가 카트리지 몸체(312)를 관통하는 부위에는 밀봉부재(319)가 구비되어 유체가 카트리지 몸체(312)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술 핸드피스(210)에 구비되는 동작 스위치(212a)를 조작함으로써 초음파 치료부(314)의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 회전운동, 초음파 발생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술 핸드피스(210) 내부에 구비되는 감지부재(212b)와 동작 스위치(212a) 사이의 상호관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조절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지향하는 방향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이 도 3에서 R로 표시된다. 이때, 초음파 치료부(314)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이 도 4에서 R1으로 표시된다.
일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되더라도,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소정의 영역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초음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는 장비 본체(100)나 시술 핸드피스(2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질구(1)를 기준점으로 가정하면, 항문(2)이 질구(1)의 6시방향에 위치되고, 요도(4)와 음핵(3) 등이 질구(1)의 12시 방향에 위치된다고 볼 수 있다. 질구(1)를 기준으로 요도(4)나 음핵(3) 방향의 인체 부위에는 신경학적으로 민감한 조직들이 다수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조직에 집속 초음파가 인가되거나 열적 초점(12)이 형성될 경우, 신경마비, 신경손상, 조직손상, 무감각증, 성기능 장애, 배뇨장애 등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성이 높으므로 위험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소정의 영역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초음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되므로, 이 소정의 영역이 전술한 위험영역을 포함하도록 할 경우 시술의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위험영역은, 적어도 요도(4)와 음핵(3)이 위치되는 영역인 질구(1)의 12시 방향을 중심으로 시계 “‡항 또는 반시계 방향 약 10도 미만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 중심축인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이 지향하는 방향을 0도 라고 볼 때,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은 20도 이상 350도 이하의 범위를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때, 제1 가상선의 일단은 질구(1)의 12시 방향을 지향한다.
다른 한편으로, 요도(4), 음핵(3) 등 신경학적 민감 조직의 분포는 시술 대상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시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11시부터 1시 사이의 영역(도 4에 예시된 D영역)으로 위험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치료부(314)가 360도 회전되더라도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위험영역(D영역)인 11시 내지 1시 영역을 지향하는 경우에는 초음파가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위험영역(D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안전영역(S영역) 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S영역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초음파가 연속적, 간헐적 또는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1시 방향 까지가 30도, 12 방향을 기준으로 11시 방향 까지가 30도 이므로, 위험영역은 60도의 범위를 갖고, 안전영역은 300도의 범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치료부(314)가 360도 회전되더라도 60도 범위의 구간을 지나는 동안에는 초음파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나머지 300도 범위의 구간을 지나는 동안에만 초음파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위험영역 전체 또는 위험영역의 기준점이 되는 12시 방향을 시술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지표가 카트리지 몸체(312) 및 시술 핸드피스(2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요소로는 눈금이나 돌출부, 오목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 등에 도시된 동작 스위치(212a)를 지표로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는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지향하는 방향이 위험영역에 해당할 때 초음파 치료부(314)가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치료부(314)가 360도 회전하는 것을 한 주기 회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초음파 치료부(314)가 한 주기 회전을 수행하는 동안 초음파가 조사될 수 있다. 특히, 초음파 치료부(314)가 한 주기 회전을 수행하는 중,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위험영역을 지향하는 동안에는 초음파가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한 주기 회전이 완료되면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 만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를 제1 거리라 칭할 수 있으며, 시술의 효율성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한 주기 회전이 완료된 위치의 윈도우(312a)와 인접된 다른 윈도우(312a)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초음파 치료부(314)가 이동한 후 초점이 지향하는 방향과 이동 전 초점이 지향하는 방향 사이의 거리(제1 거리)가 T1으로 예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전술한 위험영역을 제외한 안전영역만을 지향할 수 있도록 초음파 치료부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예컨대,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 범위가 1시 내지 11시 사이의 범위로만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1시 내지 11시 사이의 범위는 12시를 포함하지 않는 범위를 의미한다. 이렇게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범위가 300도로 제한되는 회전이 R2로 예시된다. 이 경우,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음파 조사 여부를 별도로 제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에 구비되어야 하는 제어기의 역할 또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치료부(314)는 시계방향 회전 -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 반시계 방향 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윈도우(도 2 등의 312a)가 카트리지 몸체(312)를 360도 둘러서 형성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위험영역에 대응되는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만 윈도우(312a1)가 구비된다. 즉, 제2 카트리지(320)는 위험영역인 11시 내지 1시 사이의 영역 중 12시를 포함하는 영역에 윈도우(312a) 대신 카트리지 몸체(312) 등이 구비되고, 안전영역인 1시 내지 11시 사이의 영역에만 윈도우(312a1)가 구비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음파 치료부(314)가 360도 회전하면서 초음파 조사를 지속하더라도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위험영역을 지향하는 동안에는 초음파 전달 정도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술 대상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이용하여 시술을 수행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카트리지(320)가 질구(1)를 통해 질(2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위험영역의 중심이 질구(1)를 기준으로 요도(4)나 음핵(3)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스위치(212a) 등의 지표가 위험영역 중 12시를 향하도록 설정된 상태인 경우 해당 지표가 음핵(3) 또는 요도(4)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1 카트리지(310)를 질(2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카트리지가 질(20) 내부로 삽입된 이후에 손잡이부(212)를 회전시켜서 지표가 음핵(3) 또는 요도(4)를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시술 대상자의 불쾌감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2 카트리지 몸체(312)를 질(2)로 삽입하기 전에 지표 등을 통한 정렬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카트리지 몸체(312)의 삽입 및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212a)를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술을 시작할 수 있다. 시술이 시작되면 초음파 치료부(314)가 제1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조사를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조사와 동시에 초음파 치료부(314)의 회전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주기 회전을 완료하면 초음파 치료부(314)가 카트리지 몸체(312)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다. 다음으로 초음파 치료부(314)가 초음파 조사 및 회전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술 대상자의 질(20) 주위의 타겟 조직(내골 반근박(30) 등) 전반에 열적 초점(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몸체(3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몸체(312)가 이동하거나 회전되지 않더라도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초음파 조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시술 과정에서 시술 대상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이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술자 입장에서도 카트리지 몸체(312)를 정위치 시킨 상태에서 시술을 개시하면 초음파 치료부(314)가 자동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열적 초점(1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 입장에서도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몸체(312)의 삽입 깊이나 지향 방향 등을 시술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술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카트리지 몸체(312) 자체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인데, 이 경우 카트리지 몸체(312)가 질 내부에 상당한 압력으로 밀착된다면 카트리지 몸체(312)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카트리지 몸체(312)와 질벽(28) 사이의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몸체(312)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카트리지 몸체(312) 내부에서 초음파 치료부(314)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요구되는 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등의 회전력 요구수준이나 전력소모량 등이 낮아질 수 있고, 초음파 치료부(314)의 초점이 지향하는 방향을 더욱 정밀하게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 : 질구
2 : 항문
3 : 음핵
4 : 요도
12 : 열적 초점
20 : 질
28 : 질벽
30 : 내골 반근박
100 : 장비 본체
110 : 표시기
120 : 조작부
200 : 핸드피스 어셈블리
210 : 시술 핸드피스
212 : 손잡이부
212a : 동작 스위치
215 : 제2 구동부
216 : 제1 구동부
217 : 구동 로드
220 : 연결 케이블
300 : 카트리지 세트
310 : 제1 카트리지
312 : 카트리지 몸체
312a, 312a1 : 윈도우
313 : 커넥팅 로드
314 : 초음파 치료부
315 : 연결부
320 : 제2 카트리지

Claims (14)

  1. 시술자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시술 핸드피스;
    일측이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시술 대상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의 외면을 갖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구비되며, 그 초점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치료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20도 이상 350도 이하의 범위를 지향하도록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술 대상자의 항문이 상기 시술 대상자의 질구의 6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360도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11시보다 크거나 1시보다 작은 방향을 지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가 집속 초음파를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한 주기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구동수단이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제1 거리만큼 직선이동시키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된 뒤 상기 제2 구동수단이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한 주기 만큼 회전시키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각각은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공용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술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는, 복수 개의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져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트랜스듀서 모듈을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치료부는,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독립 트랜스듀서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어 다중 초점을 형성하는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투과시키는 윈도우가 구비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띠로 이루어지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투과시키는 윈도우가 구비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30도 이상 330도 이하의 범위만에 구비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투과시키는 윈도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의 법선 중 하나인 제1 가상선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단면상에서, 상기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30도 미만으로 이격된 영역은 상기 윈도우보다 초음파 투과율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3. 시술시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핸드피스; 및
    인체 내부로 삽입되어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조사부를 가지고, 상기 핸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체내 삽입형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내 삽입형 카트리지는,
    원기둥 또는 바(bar) 형상의 외면을 갖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그 초점에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치료부;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 치료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초음파 치료부, 상기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치료부의 초점이 요도 및 음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질 내벽을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상기 제2 구동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0150184320A 2015-12-22 2015-12-22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59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20A KR102591566B1 (ko) 2015-12-22 2015-12-22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20A KR102591566B1 (ko) 2015-12-22 2015-12-22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15A true KR20170074715A (ko) 2017-06-30
KR102591566B1 KR102591566B1 (ko) 2023-10-19

Family

ID=5927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20A KR102591566B1 (ko) 2015-12-22 2015-12-22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17B1 (ko) * 2021-04-23 2021-09-24 텐텍 주식회사 복수 영역에 대한 동시 조사가 가능한 멀티 하이푸 장치
US11628035B2 (en) 2018-09-20 2023-04-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Endoscope surgery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32A (ko) 2004-09-24 2007-06-22 가이디드 테라피 시스템스, 엘.엘.씨. 조합식 초음파 치료 방법 및 시스템
US20070232913A1 (en) 2006-01-13 2007-10-04 Mirabilis Medic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nometrorrhagia, endometrial pathology, and cervical neoplasia us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nergy
US20100036293A1 (en) * 2008-08-05 2010-02-11 Scott Isola HIFU treatment probe
KR20110091831A (ko) 2004-10-06 2011-08-12 가이디드 테라피 시스템스, 엘.엘.씨. 피부 표층조직의 제어된 열치료 시스템
KR20110121701A (ko) 2009-03-04 2011-11-08 메디시스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복수의 깊이에서의 지방 조직의 초음파 치료
KR20120116908A (ko) 2009-09-29 2012-10-2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초음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는 가변 처리 사이트 몸 윤곽성형
KR101372494B1 (ko) * 2013-09-17 2014-03-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초음파도자를 이용한 질치료 장치
KR20150108801A (ko) * 2015-07-14 2015-09-30 주식회사 하이로닉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을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32A (ko) 2004-09-24 2007-06-22 가이디드 테라피 시스템스, 엘.엘.씨. 조합식 초음파 치료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1831A (ko) 2004-10-06 2011-08-12 가이디드 테라피 시스템스, 엘.엘.씨. 피부 표층조직의 제어된 열치료 시스템
US20070232913A1 (en) 2006-01-13 2007-10-04 Mirabilis Medic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nometrorrhagia, endometrial pathology, and cervical neoplasia us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nergy
US20100036293A1 (en) * 2008-08-05 2010-02-11 Scott Isola HIFU treatment probe
KR20110121701A (ko) 2009-03-04 2011-11-08 메디시스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복수의 깊이에서의 지방 조직의 초음파 치료
KR20120116908A (ko) 2009-09-29 2012-10-2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초음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는 가변 처리 사이트 몸 윤곽성형
KR101372494B1 (ko) * 2013-09-17 2014-03-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초음파도자를 이용한 질치료 장치
KR20150108801A (ko) * 2015-07-14 2015-09-30 주식회사 하이로닉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을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8035B2 (en) 2018-09-20 2023-04-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Endoscope surgery device
KR102305017B1 (ko) * 2021-04-23 2021-09-24 텐텍 주식회사 복수 영역에 대한 동시 조사가 가능한 멀티 하이푸 장치
WO2022225140A1 (ko) * 2021-04-23 2022-10-27 텐텍 주식회사 복수 영역에 대한 동시 조사가 가능한 멀티 하이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566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7845B1 (en)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peration device
US10639006B2 (en) Focused ultrasound operation apparatus
KR20160080892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그 시술 방법
WO2007143281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nometrorrhagia, endometrial pathology, and cervical neoplasia us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nergy
KR101886673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896565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591570B1 (ko)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620271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KR102591566B1 (ko)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620159B1 (ko)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을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KR101644011B1 (ko) 듀얼 트랜스듀서를 채용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의료장치
KR20140138030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20150060644A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의료장치
KR102151264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878729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20150111769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그 시술 방법
KR101772293B1 (ko) 프로브 내의 기체를 분리 수집하는 초음파 치료 장치
KR102119237B1 (ko) 다기능 초음파 물리치료기
KR20140118383A (ko) 전립선액 추출장치
KR101732649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043455B1 (ko) 집속 초음파 장치
KR20160075388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그 시술 방법
KR20150108798A (ko)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을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KR102180969B1 (ko) 초음파 집속술 장치
KR100624161B1 (ko) 혈관 압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