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570A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570A
KR20170074570A KR1020150184001A KR20150184001A KR20170074570A KR 20170074570 A KR20170074570 A KR 20170074570A KR 1020150184001 A KR1020150184001 A KR 1020150184001A KR 20150184001 A KR20150184001 A KR 20150184001A KR 20170074570 A KR20170074570 A KR 2017007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active set
terminal
signal level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570A/en
Publication of KR2017007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5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핸드오버 수행 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단계 및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기준 서빙 셀의 선택은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단말에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 method for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during handover and a terminal apparatus therefor are disclosed. A method for a soft handover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receiving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instructing to update an active set compris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set in the terminal, Adding or remov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set and selecting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from the updated active set i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removed from the terminal by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a reference of uplink synchronization to the terminal in the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for the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Each serving cell support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port channel.

Description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0001]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0002]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오버 수행 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and a terminal apparatus therefor.

핸드오버란 통화 중 상태인 단말이 해당 기지국 서비스 지역(cell boundary)을 벗어나 인접 기지국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때 단말이 인접 기지국의 새로운 통화 채널에 자동 동조되어 지속적으로 통화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을 말한다. 통화 채널이 자동으로 바뀌는 동안의 통화 단절 시간이 약 15ms 이하로서, 이러한 짧은 시간 동안 기지국과 단말 간에는 메시지 교신을 수행하여 통화 중인 가입자는 순간 통화 두절 상태를 거의 감지하기 어렵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말의 수가 급증하며 서로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이종망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종 망 간 또는 미디어의 핸드오버 기술도 개발되고 실정이다.Handover refers to a function in which a mobile station automatically tunes to a new communication channel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continuously maintains a communication state when a mobile station moves from a cell boundary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service area. The call disconnection time during the automatic change of the call channel is about 15 ms or less.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for the subscriber in the call to perform the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o hardly detect the momentary call disconnection state.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and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re expanding. Heterogeneous network or media handover techniques have also been developed.

핸드오버 방법에는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 HHO)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기법이 있고,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에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핸드오버(Macro Diversity Handover, MDHO)와 고속 기지국 스위칭(Fast Base Station Switching, FBSS)의 기법이 있다. The handover method includes hard handover (HHO) and soft handover. Soft handover techniques include macro diversity handover (MDHO) and fast base station switching Switching, FB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단말은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 네트워크에서 지정한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여 무선 링크를 유지한다. 그러나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되는 경우, 추가된 서빙 셀 중에 어떤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In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when a UE establishes an RRC connection, it selects a serving cell designated by the network as a reference serving cell and maintains a radio link. However, when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removed, there is no clear criterion as to which cell to ad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among the added serving cells.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단계 및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기준 서빙 셀의 선택은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단말에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method for a terminal to perform sof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receiving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instructing to update an active set compris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set in the terminal, Adding or remov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active set based on the message and selecting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from the updated active set i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removed from the terminal by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Wherein the selection of a reference serving cell is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a reference of uplink synchronization to the terminal in an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for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Each of the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mission channel to the ice-cell support.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 중 HS-DSCH 전송채널 및 E-DCH 전송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서빙 셀을 1순위로 결정하며, 그 외의 서빙 셀을 2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The priority determines the serving cell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HS-DS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DCH transmission channel among the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as a first rank, and determines the other serving cells as second rank .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빙 셀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우선 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the serving cell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among the serving cells determined with the same priority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수신 신호 레벨은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일 수 있다. The received signal level may be the 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value o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UE can transmit a measurement report for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전송 채널 정보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전송 채널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upper layer signaling.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은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수신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하고,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되, 기준 서빙 셀의 선택은,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단말에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terminal performing sof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rocessor for receiving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instructing to update an active set includ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set in the terminal , The processor adds or removes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active set based on the received active set update message and if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has removed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from the terminal, Selecting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wherein selection of a reference serving cell is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uplink synchronization criteria to the terminal in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for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The ranking is based on the updated active tax And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each transmission channel for the serving cell is included in the support.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 중 HS-DSCH 전송채널 및 E-DCH 전송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서빙 셀을 1순위로 결정하며, 그 외의 서빙 셀을 2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The priority determines the serving cell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HS-DS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DCH transmission channel among the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as a first rank, and determines the other serving cells as second rank .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빙 셀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우선 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the serving cell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among the serving cells determined with the same priority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수신 신호 레벨은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일 수 있다. The received signal level may be the 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transmit a measurement report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value o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전송 채널 정보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전송 채널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upper layer signa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며, 단말이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네트워크가 지정해준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되었을 때,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무선 링크를 유지하고, 무선 링크 실패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E performs soft handover, when a reference serving cell designated by the network is removed, a method of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is provided to efficiently maintain a wireless link, An effect of preventing link failure can be obtained.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UMTS.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3 and 4 illustrate a control plane and a U-Plane (User-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updating an active set by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and 7 are flow charts for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IEEE 802.16 시스템, 3GPP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For exampl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ssum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system or a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owever, the IEEE 802.16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y oth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S(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UE collectively refers to a mobile stationary or stationary user equipment such as a UE (User Equipment), an MS (Mobile Station), and an AMS (Advanced Mobile Station). It is also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collectively refers to any node at a network end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such as a Node B, an eNode B, a BS (Base Station), and an AP (Access Poin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station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downlink, and the mobile station can also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an uplink. The information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terminal includes data and various control information, and various physical channels exist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terminal.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술 분야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본다.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which is a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related technic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MTS 시스템은 기존 WCDMA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UMTS. In particular, the E-UMTS system has evolved from the existing WCDMA UMTS system, and is currently undergoing basic standardization work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E-UMTS is also called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For details of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UMTS and E-UMTS, refer to Release 7 and Release 8 o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셀(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eNB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 송신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UMTS is an Access Gatew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 located at the end of a UE, a cell (eNB), and a network (E-UTRAN) . Typically, an eNB may simultaneously transmit multiple data streams for broadcast services, multicast services, and / or unicast servic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traffic may be used between eNBs.

AG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G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상기 TA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다. 단말은 특정 TA에서 다른 TA로 이동할 경우, AG에게 자신이 위치한 TA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The AG may be divided into a part for handling user traffic and a part for processing control traffic. At this time, a new interface between the AG for processing new user traffic and the AG for processing control traffic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lso, the AG manages the mobility of the UE in a TA (Tracking Area) unit, and the T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If the terminal moves from one TA to another TA, it informs AG that the TA where it is located has changed.

CN(Core Network)은 AG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N (Core Network) can be configured as a network node for user registration of AG and UE. An interface for distinguishing E-UTRAN and CN may be used.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도 2를 참조하면,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E-UTRAN system is an evolved system in an existing UTRAN system. The E-UTRAN is composed of cells (eNBs), and the cells are connected via the X2 interface. The cel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air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EPC (Evolved Packet Core) through the S1 interface.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EPC is composed of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 (Serving-Gateway) and PDN-GW (Packet Data Network-Gateway). The MME has information o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r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and this information is mainly used for managing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The S-GW is a gateway having an E-UTRAN as an end point, and the PDN-GW is a gateway having a PDN (Packet Data Network) as an end point.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and 4 illustrate a control plane and a U-Plane (User-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Fig.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In particular, the wireless interface protocol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cludes a user plane for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 control plane And a control plane for signal transmission.

또한 도 3 및 4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하위 3개 계층을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tocol layers of FIGS. 3 and 4 are based on an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reference model widely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The lower three layers are referred to as L1 (first layer), L2 (second layer) , And L3 (third layer).

제어 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The control plane is a path through which control messages used by the UE and the network to manage calls are transmitted. The user plane means a path through which data generated in the application layer, for example, voice data or Internet packet data, is transmitted. Hereinafter, the layers of the control plane and the user plane of the wireless protocol will be described.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The physical layer as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n upper layer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of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Data is transferred between the MAC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Data is transferr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physical layer through the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channel is modulated by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and uses time and frequency as radio resources.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 시에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The MAC layer of the second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which is an upp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RLC layer of the second layer supports reliable data transmission. The function of the RLC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 block inside the MAC. In this case, the RLC layer may not exist.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of the second layer performs a header compression function to reduce unnecessary control informat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in an air interface having a narrow bandwidth when transmitting IP packets such as IPv4 or IPv6 .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layer is defined only on the control plane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RBs) And controls the logical channels, the transport channels, and the physical channels. The radio bearer means a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UE and the E-UTRAN. To this end, the RRC layer exchanges RRC messages between the UE and the network.

도 3에서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은 단말 및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존재한다.In FIG. 3, the Non-Access Stratum (NAS) layer at the top of the RRC layer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The NAS layer exists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of the UE and the network.

MME는 LTE 접속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제어-노드이다. MME는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해 트랙킹 및 페이징 과정 등을 담당한다. 또한, MME는 무선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에 관여하고, 'Initial Attach' 시에 또는 핵심망 리로케이션(relocation)을 포함한 인트라-LTE 핸드오버시에 단말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선택을 담당한다. MME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말 인증을 담당한다. NAS 시그널링은 MME에서 종결되고, MME는 임시 식별자를 생성하여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ME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캠프-온(camp-on)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MME는 네트워크에서 NAS 시그널링을 위한 암호화/무결성 보호를 위한 종결점이고 보안키 관리를 담당한다. MME는 LTE와 2G/3G 접속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한다.The MME is a key control-node in an LTE access network. The MME is responsible for the tracking and paging procedures for the idle terminal. In addition, the MME participates in the radio bearer activation / deactivation process and is responsible for selecting a Serving Gateway (SGW) at the time of 'Initial Attach' or during an intra-LTE handover including a core network relocation. do. The MME takes charge of terminal authentic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a Home Subscriber Server (HSS). The NAS signaling is terminated at the MME, and the MME is responsible for creating and assigning a temporary identifier to the terminal. The MME verifies that the terminal has the authority to camp-on the service provider's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MME is the endpoint for encryption / integrity protection for NAS signaling in the network and is responsible for security key management. The MME provides a control plane function for mobility between LTE and 2G / 3G access networks.

NAS 계층에서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EMM(EPS Mobility Management) 등록 상태(EMM-REGISTERED) 및 EMM 미등록 상태(EMM-UN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 미등록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접촉(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접촉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 등록 상태가 된다. In the NAS layer, two states of EMM (EPS Mobility Management) registration state (EMM-REGISTERED) and EMM unregistered state (EMM-UNREGISTERED state) are defined for terminal mobility management, and these states are applied to the terminal and the MME. The initial terminal is an EMM unregistered state, and the terminal performs a process of registering with the network through an initial attach procedure to access the network. When the contact procedure is successfully performed, the terminal and the MME are in the EMM registration state.

또한 NAS 계층에서는 단말과 EPC 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 유휴 상태(ECM_IDLE) 및 ECM 연결 상태(ECM_CONNECTED) 두 가지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 유휴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 연결 상태가 된다. ECM 유휴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을 맺으면 ECM 연결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컨텍스트(context)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 유휴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절차와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 유휴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TA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In the NAS layer, two types of ECM (EPS Connection Management) idle state (ECM_IDLE) and ECM connection state (ECM_CONNECTED) are defined in order to manage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PC, . When an ECM idle terminal establishes an RRC connection with an E-UTRAN, the UE becomes an ECM connected state. ECM An idle MME becomes an ECM connection when it makes an S1 connection with an E-UTRAN. When the UE is in the ECM idle state, the E-UTRAN has no context of the UE. Therefore, the UE in the idle state of the ECM performs a mobility-related procedure based on a terminal such as a cell selection or a cell reselection procedure without receiving a command of the network.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is in the ECM connection stat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s managed by a command of the network.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known by the network in the ECM idle state, the terminal notifies the network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a TA (Tracking Area Update) procedure.

전통적으로, 핸드오버 서비스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점차 작아지는 경우, 단말(100)을 타겟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설정하면서, 데이터 단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단말(100)이 단말(100)과 인접한 타겟 기지국으로 통신 타겟을 변경하면서, 단말(100)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가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raditionally, the handover service is intended to prevent data disconnection while setting the terminal 100 to communicate with the target base station in the event that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becomes gradually smaller. 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is expected to be out of coverag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the terminal 100 changes the communication target to the target base station adjacent to the terminal 100, So as to be continuously provid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updating an active set by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예를 들면, 단말은 CDMA 1x, CDMA 1x EVDO, WCDMA,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LTE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망은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ETRAN(Evolved-UTRA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UTRAN는 W-CDMA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UMTS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으로서, 단말과 핵심망 사이에 위치하는 망 구조를 의미한다. UTRAN은 기존의 GSM 무선접속망을 확장시킨 형태 보다 향상된 무선접속 기술 및 망의 관리를 위해 도입되었다. UTRAN은 UE(이동 단말, User Equipment)의 무선접속 및 이동성 지원할 수 있으며, 무선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TRAN 은 여러 개의 RNS(Radio Network Subsystem)으로 구성되며, 각 RNS는 다시 하나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기지국제어기)와 여러 개의 Node B로 구성될 수 있다. E-UTRAN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기존의 UTRAN에서 LTE에서 쓰도록 진화 확장된 무선 접속 망으로서, 복수의 eNodeB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eNodeB 간에 X2 인터페이스로 상호연결 되고, EPC(Evolved Packet Core)와는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E may be a UE supporting at least one of CDMA 1x, CDMA 1x EVDO, WCDMA, 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eHRPD), and LTE communication. Als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may be any one of a 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and an E-ETRAN (Evolved-UTRAN). UTRAN is a UMTS radio access network supporting W-CDMA radio access technology, which means a network structure located between a terminal and a core network. UTRAN has been introduced for improved wireless access technology and network management over the existing GSM radio access network. The UTRAN can support radio access and mobility of UEs (Mobile Terminals, User Equipment) and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radio resources. The UTRA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NSs (Radio Network Subsystems), and each RNS may be composed of one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several Node Bs. The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is an evolved and extended wireless access network for use in LTE in the existing UTRA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odeBs, interconnected by eNodeBs through an X2 interface, Core) to the S1 interface.

본 실시예의 무선 접속 망은 각각 다른 primary scrambling code (psc)를 가지는 3개의 서빙 셀(예를 들어, psc(100), psc(200), psc(300))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셀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그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빙 셀을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primary scrambling code를 이용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기준으로 서빙 셀을 구분할 수 있다. It can be assumed that the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ree serving cells (for example, psc 100, psc 200, and psc 300) having different primary scrambling codes (psc). Here, the number of serving cell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erving cells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using primary scrambling code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a serving cell is merely an example, and different types of serving cell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초기화를 수행한 경우, 무선 접속 망에 RRC 커넥션을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510), 무선 접속 망으로부터 RRC 커넥션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520). 이 때, 무선 접속 망은 단말에게 서빙 셀(psc(1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RRC 커넥션을 설정하면서 무선 접속 망이 설정한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530).Referring to FIG. 5, if the UE performs initialization, it may send a request for an RRC connection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510) and receive an RRC connection setup from a wireless access network (520). At this time, the radio access network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rving cell (psc 100) to the UE, and the UE can select the serving cell set by the radio access network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while setting the RRC connection (530) .

이후, 단말의 이동에 따라 각 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레벨 및 채널 상태 등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psc(100))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이 서빙 셀(psc(200))과 서빙 셀(psc(300)) 근처로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빙 셀(psc(100))로 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낮아지게 되며, 서빙 셀(psc(200))과 서빙 셀(psc(300))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은 증가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level and the channel stat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each cell may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 terminal located near the serving cell psc 100 can move near the serving cell psc 200 and the serving cell psc 300. In this case, the serving cell psc The receiving signal level from the serving cell psc 200 and the receiving signal level from the serving cell psc 300 can be increased.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채널 상태 등이 변화하는 경우, 단말은 무선 접속 망에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 등을 측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or the channel status chang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transmit a measurement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received signal level or the like t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일 예에 따른 측정 보고는 Event 1A, Event 1B, Event 1C 중 하나일 수 있다. Event 1A는 소프트 핸드오버 시 새로운 셀을 액티브 세트에 추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 신호 레벨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수행하는 측정 보고이다. Event 1B는 소프트 핸드오버 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을 제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 신호 레벨이 일정 기준 이하로 되는 경우 수행하는 측정 보고이다. Event 1C는 현재 액티브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셀의 최대 개수만큼 셀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 레벨이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의 수신 레벨보다 좋은 경우,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 중 신호 품질이 가장 좋지 않은 셀을 제거하고 새로운 셀로 교체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측정 보고 이다. The measurement report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be one of Event 1A, Event 1B, and Event 1C. Event 1A is for adding a new cell to the active set at the time of soft handover and is a measurement report performed when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higher than a certain reference level. Event 1B is for removing cells included in the active set during soft handover, and is a measurement report performed when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an adjacent base station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the reception level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better than the reception level of the cell included in the active set in a state where the cell is included in the maximum number of cell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active set, This is a measurement report that is performed to remove the worst cell of the signal quality and replace it with a new cell.

일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에 따라 새로운 서빙 셀(psc(200), psc(300))의 수신 신호 레벨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단말은 무선 접속 망에 새로운 서빙 셀(psc(200), psc(300))에 대한 Event 1A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540). 반면, 단말의 이동에 따라 기존에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어 있던 서빙 셀(psc(100))의 신호 레벨이 일정 기준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100))에 대한 Event 1B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550). 이러한 경우, 무선 접속 망은 현재 단말의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하여 서빙 셀(psc(200), psc(300))을 액티브 세트에 추가시키고, 서빙 셀(psc(100))을 제거시키기 위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560). 이후, 단말은 이러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의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 한다. For example,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new serving cell psc (200), psc (300)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a certain reference leve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E, the UE transmits a new serving cell psc ), psc (300)) (5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serving cell psc (100) included in the active set has been measur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E, the UE calculates an Event 1B measurement A report may be sent 550. In this case,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dds an active set to the serving cell psc (200), psc (300) to update the active set of the current terminal, and sets an active set An update message may be transmitted (560). T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and updates the active set of the terminal.

이때, 일 예로서, 업데이트 된 액티브 세트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즉,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을 기준으로 동작하며, 그 외의 나머지 서빙 셀에 대한 업데이트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되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maintained in the updated active set (i.e.,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not removed), the UE operates based on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Only the update to the serving cell can be performed. However, as another example, if the reference serving cell previously set by the active set update is removed, the UE needs to select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서빙 셀(psc(100))인 경우, 위에서 설명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560)에 의해 서빙 셀(psc(100))이 제거되면, 단말은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여야 한다(570).For example, i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the serving cell psc 100, if the serving cell psc 100 is removed by the above described active set update 560, (570).

Work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기준  Criteria according to 서빙serving 선택 방법 How to choose

도 6 및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and 7 are flow charts for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서빙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단말은 무선 접속 망으로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접속 망으로부터 액티브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610). 이때, 단말은 업데이트 된 액티브 세트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620),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630). Referring to FIG. 6,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serving cell chang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UE, the UE can transmit the measurement report to the radio access network, receive the active update message from the radio access network, (610). At this time, the UE can determine whether a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has been removed in the updated active set (620). I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removed, the UE can select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for acquiring timing synchronization (630).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서빙 셀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631). 일 예로,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전송 채널 정보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공되거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UE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active set to select a reference serving cell (631). In one example,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port channel supported by each serving cell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At this time,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or may be provided through upper layer signaling.

일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 중 HS-DSCH 전송채널 및 E-DCH 전송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서빙 셀을 1순위로 결정하며, 그 외의 서빙 셀을 2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 psc(300))을 액티브 세트에 추가시키고, 기준 서빙 셀(psc(100))이 제거된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200), psc(300)) 중 하나의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서빙 셀(psc(2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는 경우, 1순위로 결정되며, 서빙 셀(psc(3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서빙 셀(psc(300))은 2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1순위의 서빙 셀(psc(2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ng cell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HS-DS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DCH transmission channel among the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is determined as a first rank, . For example, if the serving cell psc (200), psc (300) is added to the active set and the reference serving cell psc (100) 300) can be selected as the serving cell, and when the serving cell psc 200 supports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the serving cell psc 300 may be determined to be in a second order if the HS-DSCH / E-DCH transmission channel is not supported by the HS-DSCH / E-DCH. In this case, the UE can select the serving cell psc (200) in the first rank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이후, 단말은 1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 판단할 수 있으며(633), 1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1순위 서빙 셀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635). 이때, 일 예로 1순위 서빙 셀이 1개인 경우, 단말은 해당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After that, the UE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rving cell determined as a first rank (633), and if there is a serving cell determined as a first rank, the UE can determine the number of first serving cells (635).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re is one serving cell as the first serving cell, the UE can select the serving cell as a reference serving cell.

그러나, 다른 예로, 1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이 두 개 이상인 경우, 1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을 수신 신호 레벨로 정렬할 수 있으며(637), 이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639).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 psc(300))이 모두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는 경우, 두 셀 모두 1순위로 결정되며, 1순위 서빙 셀 간 경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다른 결정 기준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신호 레벨은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의 RSCP가 -60dB이고, 서빙 셀(psc(300))의 RSCP가 -55dB인 경우, 서빙 셀(psc(3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However, as another example, when there are two or more determined serving cells, the serving cell determined as the first order may be sorted to the received signal level (637), and the serving cell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may be sorted into the reference serving cell (639). For example, when both the serving cells psc (200) and psc (300) support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both cells are determined to be in a first rank, . In this case, the UE may need different decision criteria and can use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each serving cell for this purpose. At this time, the received signal level may be the 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 For example, if the RSCP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60dB and the RSCP of the serving cell psc 300 is -55dB, the serving cell psc 300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

또 다른 예로, 1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2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을 수신 신호 레벨로 정렬할 수 있으며(634), 이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639).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 psc(300))이 모두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서빙 셀(psc(200), psc(300))은 모두 2순위로 결정되면,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단말은 기준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서빙 셀(psc(200))의 RSCP가 -60dB이고, 서빙 셀(psc(300))의 RSCP가 -55dB인 경우, 서빙 셀(psc(3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no serving cell determined as a first rank, the second determined serving cell may be sorted to a received signal level (634), and a serving cell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may be selected as a reference serving cell (639). For example, if all the serving cells psc (200) and psc (300) do not support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the serving cells psc (200) and psc (300) The UE can use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each serving cell to determine a reference serving cell, and the RSCP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60 dB, When the RSCP of the cell (psc 300) is -55 dB, the serving cell psc (300)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위와 같이,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은 잡음 및 간섭 등에 강건한 타이밍 신호를 가지는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타이밍 동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보다 좋은 품질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이밍 동기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selecting a reference serving cell based on a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a serving cell, the UE can select a serving cell having a timing signal robust against noise and interference as a reference serving cell, thereby obtaining more accurate timing synchronization . In addition, even when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select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ignal of a better quality, thereby accurately acquiring the timing synchronization.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준 서빙 선택 방법A reference serving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되, 동일한 우선 순위의 서빙 셀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의 증가량을 기초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UE determines a priority based on a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a serving cell, and selects a serving cell having a higher priority as a reference serving cel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The reference serving cell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increase amount of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each serving cell.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 psc(300))이 모두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는 경우, 두 셀 모두 1순위로 결정되며, 1순위 서빙 셀 간 경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각각의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증가량을 기초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의 RSCP 증가가 5dB이고, 서빙 셀(psc(300))의 RSCP 증가가 10dB인 경우, 서빙 셀(psc(3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both the serving cells psc (200) and psc (300) support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both cells are determined to be in a first rank, . In this case, the UE can select the reference serving cell based on the increase amount of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each serving cell. For example, if the RSCP increase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5dB and the RSCP increase of the serving cell psc 300 is 10dB, then the serving cell psc 300 may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 및 각각의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일정 가중치를 두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과 수신 신호 레벨의 가중치를 0.5 : 0.5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는 서빙 셀의 포인트를 '1'로 하며, 지원하지 않는 경우, 포인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포인트를 수신 신호 전력의 역수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레벨이 -10dB인 경우, 1/10 = 0.1 포인트로 계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UE can determine a priority by assign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a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a serving cell and a received signal level of each serving cell, and can select a reference serving cell based on the priority. For example, the weights of the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the serving cell and the reception signal level may be set to 0.5: 0.5. At this time, a point of the serving cell supporting the HS-DSCH / E-DCH transmission channel is set to '1', and if it is not supported, the point can be set to '0'. In addition, the point for the received signal level can be calculated as the reciprocal of the received signal power. 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10 dB, it can be calculated as 1/10 = 0.1 point.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고, 수신 신호 레벨이 -60dB인 경우, 서빙 셀(psc(200))의 포인트는 (1 * 0.5) + (1/60 * 0.5) = 0.5083 가 될 수 있다. 반면, 서빙 셀(psc(3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고, 수신 신호 레벨이 -55dB인 경우, 셀(psc(300))의 포인트는 (0 * 0.5) + (1/55 * 0.5) = 0.0091 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2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if the serving cell psc 200 supports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and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60 dB, the point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1 * 0.5) + (1/60 * 0.5) = 0.5083.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ing cell psc 300 does not support the HS-DSCH / E-D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55 dB, the point of the cell psc 300 is (0 * (1/55 * 0.5) = 0.0091. Therefore, in such a case, the UE can select the serving cell psc (200)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을 1순위로 하여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되, 해당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수신 신호 레벨 기준을 만족하는 2순위의 다른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E selects a reference serving cell by setting a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a serving cell as a first rank, and when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serving cel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Another serving cell of the serving cell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예를 들어, 수신 신호 레벨이 -55dB 이하인 서빙 셀을 선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빙 셀(psc(2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고, 수신 신호 레벨이 -60dB이며, 서빙 셀(psc(3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고, 수신 신호 레벨이 -50dB인 인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200))을 1순위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셀(psc(200))의 수신 신호 레벨이 -55dB 이하인 바, 단말은 서빙 셀(psc(2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서빙 셀(psc(300))은 2순위의 서빙 셀이나, 신호 레벨이 -50dB인 바, 기준 서빙 셀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서빙 셀이 경합하는 경우, 단말은 수신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not to select a serving cell having a received signal level of -55 dB or less. At this time, if the serving cell psc 200 supports the HS-DSCH / E-DCH transmission channel, the reception signal level is -60 dB, and the serving cell psc 300 is the HS- And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50 dB, the UE can prioritize the serving cell psc (200) in order of priority. However, the terminal may not select the serving cell psc (200)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because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55 dB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serving cell (psc 300) may be selected as a second serving cell or a bar serving as a reference serving cell with a signal level of -50 dB. At this time, if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satisfying the same criterion are collided, the terminal can select the reference serving cel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며, 단말은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을 1순위로 하여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되, 해당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에 감소 추세를 가지는 경우, 수신 신호 레벨 기준을 만족하는 2순위의 다른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UE selects a reference serving cell by setting a transmission channel supported by a serving cell as a first priority, and when the UE has a decreasing trend in a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serving cell, Another serving cell of the rank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예를 들어, 서빙 셀(psc(2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고, 수신 신호 레벨이 감소하고 있으며, 서빙 셀(psc(3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고, 수신 신호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단말은 우선 서빙 셀(psc(200))을 1순위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서빙 셀(psc(200))의 수신 신호 레벨이 감소 추세인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200))에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기준 서빙 셀의 변경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서빙 셀(psc(2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rving cell psc 200 supports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decreasing, and the serving cell psc 300 is the HS- When the reception signal level is increased without supporting the transmission channel, the UE can prioritize the serving cell psc (200) in order of priority. However,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serving cell psc 200 is in a decreasing trend, the UE can determine that the UE is moving away from the serving cell psc 200 and minimize the change of the additional reference serving cell The serving cell psc 200 may not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반면, 서빙 셀(psc(300))이 HS-DSCH/E-DCH 전송채널을 지원하지 않고, 수신 신호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단말은 서빙 셀(psc(300))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 서빙 셀의 변경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서빙 셀(psc(300))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ng cell psc 300 does not support the HS-DSCH / E-DCH transport channel and the received signal level increases, the UE determines that it is approaching the serving cell psc 300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low, and the serving cell psc (300) can be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또한,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복수의 서빙 셀이 경합하는 경우, 단말은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좋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거나, 또는 수신 신호 레벨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are in contention, the UE selects a serving cell having the best received signal level as a reference serving cell, or selects a serving cell having a higher received signal level as a reference serving cell .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800)의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따른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800)은 메모리 (8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에 접속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830) 및 통신 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다. 8, a terminal 800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8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810 that can access and execute software codes stored in the memory 850 .

일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10)은 단말(800)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10)은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무선 접속 망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810 may receive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that instructs the terminal 800 to update the active set tha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rving cells. The communication module 810 may transmit a measurement repor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generated by the processor to the radio access network when th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일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30)는 수신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방법은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processor 830 may add or remove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active set based on the received active set update message, and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may remove ,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may be selected from the updated active set. At this tim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reference serving cell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a reference of uplink synchronization required for uplink transmission of the UE to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port channels supported by each serving cell included in the active set.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와 특징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CPU 등, 이동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섹션(section) 또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CPU 등, 이동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툴(software tool)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섹션(section) 또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and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execut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d by a processor, controller, CPU, etc., mobile terminal and / or network device of a comput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gram code section or module. Likewise, a software tool that perfor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xecuted by a processor, controller, CPU, etc., mobile terminal and / or network device of a comput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gram code section or module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기술 및 표준과 호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3GPP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 LTE, LTE-Advanced, etc.), IEEE 802, 4G와 같은 표준에 연관된다. 그러나, 상기 예시적인 표준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 및 특징에 적용 가능한 다른 연관된 표준 및 기술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mpatible with various types of techniques and standard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relate to standards such as 3GPP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UMTS, LTE, LTE-Advanced, etc.), IEEE 802, However, the above exemplary standards do not limit other related standards and techniques applicable to the various embodiments and feature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MTC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장치(예들 들면, 이동 단말, 핸드셋, 무선 통신 장치 등)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 엔티티, 구성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and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user devices (e.g., mobile terminals, handse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tc.) and / or network devices, entities, components that support MTC and / .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청구항에서 정의된 범위 내에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청구 범위 내로 해석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unless expressly specified otherwise, and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the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all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otherwise expressly stated.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of the elements and / or features.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certain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claims that are not express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be included in a new claim by an amendment after the applica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800: 단말 810: 통신 모듈
830: 프로세서 850: 메모리
800: terminal 810: communication module
830: Processor 850: Memory

Claims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서빙 셀의 선택은, 상기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instructing to update an active set includ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set in the terminal;
Adding or remov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active set based o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And
Selecting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from the updated active set if a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s removed from the terminal by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 ≪ / RTI &
Wherein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a reference of uplink synchronization to the terminal in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to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Wherein the priority is determined based on a transport channel supported by each serving cell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 중 HS-DSCH 전송채널 및 E-DCH 전송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서빙 셀을 1순위로 결정하며, 그 외의 서빙 셀을 2순위로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iority order is determined such that the serving cell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HS-DS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DCH transmission channel among the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is determined as a first rank, Determining a ranking.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빙 셀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우선 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are present, selecting a serving cell having a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among serving cells determined to have the same priority as a reference serving ce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레벨은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a 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for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value of the preset reference serving cel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 정보는 상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is provided via upper layer signalin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포함하는 액티브 세트를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하는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브 세트에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하고,
상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이 제거된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기준 서빙 셀을 선택하되,
상기 기준 서빙 셀의 선택은, 상기 액티브 세트 내의 다른 서빙 셀들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상향링크 동기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이 지원하는 전송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1. A terminal performing sof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 active set update message instructing to update an active set includ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set in the terminal; And
A processor; / RTI >
The processor
Adding or remov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to the active set based on the received active set update message,
Selecting a new reference serving cell from the updated active set if the preset serving cell is removed from the active set by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Wherein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performed based on a priority for providing a reference of uplink synchronization to the terminal in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to other serving cells in the active set,
Wherein the priority is determined based on a transport channel supported by each serving cell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업데이트된 상기 액티브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빙 셀 중 HS-DSCH 전송채널 및 E-DCH 전송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서빙 셀을 1순위로 결정하며, 그 외의 서빙 셀을 2순위로 결정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iority order is determined such that the serving cell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HS-DSCH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DCH transmission channel among the serving cells included in the updated active set is determined as a first rank, Determining a ranking of th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빙 셀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우선 순위로 결정된 서빙 셀 중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높은 서빙 셀을 기준 서빙 셀로 선택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selects, as a reference serving cell, a serving cell having a highest received signal level among the serving cells determined to have the same priority, when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ing the same priority exis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레벨은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인, 단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ed signal level is a Receiving Signal Code Power (RSC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의 수신 신호 레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cessor transmits a measurement report for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f the received signal level value o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rving cel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 정보는 상기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ctive set update me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port channel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upper layer signaling.
KR1020150184001A 2015-12-22 2015-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KR20170074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01A KR20170074570A (en) 2015-12-22 2015-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01A KR20170074570A (en) 2015-12-22 2015-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70A true KR20170074570A (en) 2017-06-30

Family

ID=5927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001A KR20170074570A (en) 2015-12-22 2015-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5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620A1 (en) Signaling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CN10930996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asurement processing in RRC idle mode
US1107099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link and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KR10149659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logg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03508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s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20140162658A1 (en) Method for report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20150051124A (en) Method for obtaining System Frame Number in a terminal,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872851B (en) Switching method, system and base station
WO2014017810A1 (en)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combin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13013618A1 (en) Cell changing method and device
KR2011008844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logg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9567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ity for a cell having a small cell service are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6862454B2 (en) Fast cell reselection
WO2014014328A1 (en)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9578581B2 (en)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interrat handover in a radio access system
WO2014017811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s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10827407B2 (en) Handover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GB2512377A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12096A (en) Methods for controlling measurement process in RRC IDLE mode and Apparatuses thereof
WO2014110811A1 (en) Multi-carrier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201700745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ft handover
KR101374202B1 (en) User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inter RATs
JP7276416B2 (en) Cell setting device and method
TW201541995A (en)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JP2020114010A (en) Fast cell re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