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331A -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4331A KR20170074331A KR1020150183435A KR20150183435A KR20170074331A KR 20170074331 A KR20170074331 A KR 20170074331A KR 1020150183435 A KR1020150183435 A KR 1020150183435A KR 20150183435 A KR20150183435 A KR 20150183435A KR 20170074331 A KR20170074331 A KR 20170074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adsorption layer
- wall surface
- layer
- adsorp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일면에 흡착층이 구비된 보양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벽면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상물을 보호해줄 수 있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벽면(1a)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상물을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보양재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벽면(1a) 면적에 맞게 재단되며, 상기 내벽면(1a)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복수의 흡착홈부(111)가 구비되는 고무 재질의 흡착층(110); 및 상기 흡착층(110)을 내벽면(1a)에 가압 부착시킬 수 있도록 흡착층(110)의 타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표면층(12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an auxiliary material having an adsorption layer on one surface without physical fixing means such as adhesive or tap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thereby protect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using the elevator as well a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building an elevator for construction of a window.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for an elevator, which is capable of protecting an object to be conveyed by using an elevator and an inner wall surface (1a), is cut to fit the elevator inner wall surface (1a) A rubber adsorption layer 110 having a plurality of absorption grooves 111 on one side so as to be adsorbed on the adsorption layer 1a; And a surface layer 120 integrally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110 so that the adsorption layer 110 can be adhered to the inner wall surface 1a.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양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부 벽면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보양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lift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lifting material for a window construction which can easily install an elevating material without any physical fixing means such as adhesive or tape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일반적으로, 보양 작업이란 사람이 거주 중에 있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리모델링(일례로 낡고 오래된 창호의 개보수 등) 공사시 발생하는 먼지 및 기타 이물질 등에 의해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가구, 전자제품 및 실내 바닥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 등을 이용하여 감싸거나 덮어주는 작업을 말한다.Generally, a restoration work is a restoration work of a house, an electronic product, and an indoor floor (for example, a room, a living room, a living room, etc.) arranged indoors due to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remodeling Is wrapped or covered with vinyl or the like to prevent contamination.
한편, 엘리베이터가 있는 고층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 시 인테리어 자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이 경우 운반 대상인 인테리어 자재의 훼손방지 및 인테리어 자재와의 접촉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벽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내벽에도 보양재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deling high-rise buildings with elevators, they use elevators to easily transport interior materials. In this case, an auxiliary material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to prevent scratches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due to prevention of damage to the interior material to be transported and contact with the interior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용 보양재는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패널을 엘리베이터의 내벽 면적에 맞게 재단한 다음, 테이프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보양재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3919호(발명의 명칭: 승강기용 보양 장치 및 이의 고정 방법)로 선 출원된 바 있다.Specifically, the elevator for the elevator is a method of cutting a panel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according to the inner wall area of the elevator, and then attaching the panel using a tape or another fixing means. This prior art has been previously filed with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43919 entitled " elevator lifting apparatus and its fixing method ".
그러나 종래의 보양재는 반드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보양재를 설치하는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conventional ancillary material necessarily requires a separate fixing means, and thus,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install the ancillary material.
또한 이러한 보양재는 일회용이 아닌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게 되는데, 탈부착시 고정수단(테이프의 경우)을 매번 교체해야 함에 따라 번거로우며, 고정수단에 의해 보양재의 표면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uch ancillary materials are reused repeatedly, not in a disposable manner. However,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fixing means (in the case of tape) every time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and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material is easily contaminated by the fixing mea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보양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for construction of a window, which can easily install the elevating material without any physical fixing means such as adhesive or tap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는, 엘리베이터 내벽면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상물을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보양재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벽면 면적에 맞게 재단되며, 상기 내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복수의 흡착홈부가 구비되는 고무 재질의 흡착층; 및 상기 흡착층 내벽면에 가압 부착시킬 수 있도록 흡착층의 타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표면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for use in an elevator for building an elevator, which is capable of protecting an object to be carried by using an elevator or an inner wall of the elevator, A rubber-made adsorption layer having a plurality of absorption grooves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be adsorb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a surface layer integrally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so as to be able to adher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일면에 흡착층이 구비된 보양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벽면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상물을 보호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auxiliary material having the adsorption layer on one side without physical fixing means such as adhesive or tap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It is advantageous to protect the object to be carr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흡착층을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흡착층 표면을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FIG. 1 is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levator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detail view showing an adsorbent layer of an elevator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detail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of the elevator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vator car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vator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unless they are indicated on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양재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양재의 측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vator carc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carc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100)는, 흡착층(110), 표면층(120)을 포함한다.1 and 2, an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흡착층(110)은 별도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엘리베이터(1)의 내벽면(1a)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흡착층(110)은 엘리베이터 내벽면(1a) 면적에 맞게 재단된다. 이 경우 일면에는 내벽면(1a)에 흡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흡착홈부(111)가 구비된다.The
이러한 흡착홈부(111)는 흡착층(110)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격 형성되는 오목형상의 미세실금 형상일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흡착홈부(111)는 흡착층(110)이 가압되는 순간 미세실금이 흡착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내벽면(1a)에 밀착된다. 그리고 밀착된 흡착홈부(111)는 흡착층(110)의 타면에 가해지는 대기압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층(110)의 일면에는 흡착홈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탄성홈부(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one side of the
상기 탄성홈부(113)는 흡착홈부(111)에 비해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따라서 흡착층(110) 자체에 탄성력을 부여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착홈부(111)의 보다 원활한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탄성홈부(113)의 탄성력에 의해 보양재(100)에 운반 대상물이 부딪치더라도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탄성홈부(113)가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격자무늬 또는 기타 다양한 패턴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흡착층(110)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착층(110)은 쿠션은 물론 표면에 마찰력을 가진 아크릴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착층(110)의 원활한 흡착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Th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표면층(120)은 흡착층(11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120)은 보양재(100)의 설치 시 흡착층(110)의 타면을 가압하여 흡착층(110)의 일면에 형성된 흡착홈부(111)를 엘리베이터 내벽면(1a)에 균일하게 가압 부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구체적으로, 표면층(120)은 폴리에스테르 펠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즉 표면층(120)은 흡착층(110)의 재질에 비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흡착층(110)의 전면적에 대하여 골고루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착층(110)의 효율적인 밀착 부착이 가능해진다.Specifically,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 보양재(100)는, 엘리베이터 내벽면(1a)에 설치된 손잡이대(3)(도 1 참조)를 기준으로 상측부재(100a)와 하측부재(10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5, the
즉 엘리베이터 내벽면(1a) 중심부에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 손잡이대(3)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대(3)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벽면(1a)의 상, 하측 전체에 하나의 보양재(100)를 부착시키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보양재(100)를 분할 형성할 수밖에 없다.In other words, at the center of the
따라서, 보양재(100)를 상, 하부로 분할 형성하되, 상측부재(100a)의 하단부에는 하측부재(100b)의 상단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연장부재(100c)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재(100c)를 이용하여 분할 형성된 보양재(100)의 이음매를 은폐시킬 수 있다.The
이 경우 연장부재(100c) 구간에는 흡착층(110)의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또한 연장부재(100c)는 표면층(1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직포, 천,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1) 내벽면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의 물리적인 고정수단 없이 일면에 흡착층(110)이 구비된 보양재(100)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벽면(1a)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상물을 보호해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applied simply to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엘리베이터 1a : 엘리베이터 내벽면
3 : 손잡이대 100 : 보양재
100a : 상측부재 100b: 하측부재
100c : 연장부재 110 : 흡착층
111 : 흡착홈부 113 : 탄성홈부
120 : 표면층1:
3: Handle stand 100:
100a:
100c: extension member 110: adsorption layer
111: suction groove part 113: elastic groove part
120: Surface layer
Claims (8)
상기 엘리베이터 내벽면(1a) 면적에 맞게 재단되며, 상기 내벽면(1a)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복수의 흡착홈부(111)가 구비되는 고무 재질의 흡착층(110); 및
상기 흡착층(110)을 내벽면(1a)에 가압 부착시킬 수 있도록 흡착층(110)의 타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표면층(120);을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An elevator for use in an elevator for protecting an object to be carried by using an elevator inside wall surface (1a)
An adsorption layer 110 made of rub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11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ucked to the inner wall surface 1a and cut to fit the elevator inner wall surface 1a; And
And a surface layer (120) integrally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110) so that the adsorption layer (110) can be adhered to the inner wall surface (1a).
상기 흡착홈부(111)는,
상기 흡착층(110)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격 형성되는 오목형상의 미세실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sorption grooves 111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the concave micro-incontinence is repeatedly spac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adsorption layer (110).
상기 흡착층(110)은,
상기 흡착홈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흡착층(110)에 탄력성을 부여해주는 탄성홈부(113);를 더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dsorption layer (110)
And an elastic groove part (113)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groove part (111) and repeatedly spaced apart in parallel directions to give elasticity to the adsorption layer (110) .
상기 탄성홈부(113)는,
상기 흡착홈부(111)에 비해 깊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groove portion 1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111) of the elevator car (100).
상기 흡착층(110)은,
마찰력을 가진 아크릴수지인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sorption layer (110)
And an acrylic resin having a frictional force.
상기 표면층(120)은,
폴리에스테르 펠트 재질인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layer (120)
The elevator auxiliary material for window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a polyester felt material.
상기 엘리베이터 보양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벽면(1a) 중심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손잡이대(3)를 기준으로 상측부재(100a)와 하측부재(100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측부재(100a)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측부재(100b)의 상단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연장부재(100c);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The upper member 100a and the lower member 100b are divided and formed with respect to the handle bar 3 horizont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levator inner wall surface 1a,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100a,
And an extension member (100c) arranged to overlap the upper end of the lower member (100b).
상기 연장부재(100c)는,
상기 표면층(120)과 동일한 재질 또는 부직포, 천,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공용 엘리베이터 보양재.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nsion member (100c)
Wherein the surface layer (1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rface layer (120), or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woven fabric, cloth, and syntheti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435A KR102098674B1 (en) | 2015-12-22 | 2015-12-22 |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435A KR102098674B1 (en) | 2015-12-22 | 2015-12-22 |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331A true KR20170074331A (en) | 2017-06-30 |
KR102098674B1 KR102098674B1 (en) | 2020-04-08 |
Family
ID=5927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3435A KR102098674B1 (en) | 2015-12-22 | 2015-12-22 |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67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658A (en) * | 2000-01-19 | 2001-07-24 | Watanabe Kogyo Kk | Mat stuck to inner wall of elevator cage |
KR20070094274A (en) * | 2006-03-17 | 2007-09-20 | 주식회사 효성 |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
KR101306680B1 (en) * | 2012-07-31 | 2013-09-10 | 김수현 | Prote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5
- 2015-12-22 KR KR1020150183435A patent/KR1020986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658A (en) * | 2000-01-19 | 2001-07-24 | Watanabe Kogyo Kk | Mat stuck to inner wall of elevator cage |
KR20070094274A (en) * | 2006-03-17 | 2007-09-20 | 주식회사 효성 |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
KR101306680B1 (en) * | 2012-07-31 | 2013-09-10 | 김수현 | Prote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674B1 (en) | 2020-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15492A4 (en) | Building panel with compressed edges | |
WO2006028807A3 (en) | Dust mop having dust-collecting protrusions | |
DE502004009109D1 (en) | Vacuum cleaner nozzle for smooth floors and textile floor coverings | |
US11412875B2 (en) | Apparatus to prevent curling of a rug corner | |
US20170215619A1 (en) | Apparatus to prevent curling of a rug corner | |
JP2011140793A (en) | Magnetic attachment-type building material and building | |
KR20170074331A (en) |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 |
CN100572721C (en) | Wood floor bolck and packing method thereof | |
JP5645177B1 (en) | Covering gaps in the corners of airtight baseboards | |
ATE444691T1 (en) | BAR COUNTER | |
DE59904769D1 (en) | SELF KLEBEFOLIE | |
KR20120128861A (en) | Mat for Automobile | |
ITRE20040136A1 (en) | CLEANING DEVICE FOR FLAT SURFACES, WHICH FLOORS, CARPETS AND THE LIKE. | |
KR100997737B1 (en) | Washable Antistatic Sticky Mat | |
KR20150002006U (en) |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protective mater | |
KR101711475B1 (en) | Slippers and a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dust suction device | |
CN221489663U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corner curling of carpets away from floor surface | |
JP3111513U (en) | Non-slip mat | |
JP5112207B2 (en) | Curing method and curing tool | |
SE0500854L (en) | Device on a floorboard | |
JP2018071152A (en) | Floor material | |
JP6810449B2 (en) | Underlay pad for furniture, etc. | |
KR200476973Y1 (en) | Disposable Plank Of Sponge | |
KR100697033B1 (en) | A Met | |
DE602006009568D1 (en) | Contamination control mat dressing with adhesive coating films, polystyrene composite frame part and anti-slip support bod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