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541A -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 Google Patents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541A
KR20170073541A KR1020160173963A KR20160173963A KR20170073541A KR 20170073541 A KR20170073541 A KR 20170073541A KR 1020160173963 A KR1020160173963 A KR 1020160173963A KR 20160173963 A KR20160173963 A KR 20160173963A KR 20170073541 A KR20170073541 A KR 2017007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device
information
monitoring
at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8416B1 (en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ublication of KR2017007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사용자의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것임 - , 및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or system for monitoring urination or ejaculation of a user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a method for monitoring the urination or ejaculation of a user,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user, comprising: deriv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attitude or attitude change based on motion data of a user device, the motion data being record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Description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or system for monitoring urination or ejacul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a method for monitoring urination or ejaculation, and a computer progra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or system for monitoring urination or ejacul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a method for monitoring urination or ejacul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근래에 들어,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신체 가까운 곳에 붙여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상시적으로 착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스마트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의하여 제공되기 어려웠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by a user or attached to a nearby body has been widely used. Since the wearable device is always worn on the user's body, it provides a new function that is difficult to provide by a conventional smart device (smart phone, tablet, etc.).

웨어러블 장치가 기존의 1세대 스마트 장치와 대비하여 볼 때에 차별화되는 점은 바로, 그 사용자의 동작이나 자세와 밀접하게 연관된 물리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자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동작이나 자세에 부합하는 유용한 정보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이것은 유용할 수 있다.What distinguishes a wearable device from an existing first-generation smart device is that it can have physical values closely related to its behavior and attitude.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r functions that match the user's action or attitud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ction or attitude of the user obtained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this may also be useful.

본 발명자는 이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는 이와 연관된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n apparatus or a related art for monitoring urin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정의 모니터링에까지 확장될 수 있음도 밝히는 바이다.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he monitoring of circumstance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뇨 주기(좀 더 광의적으로는, 배뇨 시점 간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간격), 배뇨량 등을 추정하고, 사용자의 배뇨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nitoring data on the urination of the user by estimating the urination cycle of the user (more broadly, regular or irregular intervals between urination), urination volum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정 주기(좀 더 광의적으로는, 사정 시점 간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간격), 사정 시간, 사정량 등을 추정하고, 사용자의 사정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the user's assessment period (more broadly, the regular or irregular interval between assessment points), the assessment time, the assessment amount, etc.,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monitoring data on the assessment of the user. The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것임 - , 및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user, comprising: deriv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attitude or attitude change based on motion data of a user device, the motion data being record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내지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re is further provide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nother method, another apparatus or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based on a change in the posture or posture of the user.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배뇨 주기, 배뇨량, 사정 주기, 사정량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s urination cycle, urination volume, ejeculation period, ejaculatory volume, and the lik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배뇨 또는 사정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배뇨 또는 사정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idity of the monitoring data on the urination or ej ection of the user can be verifi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data on the urination or ej ection of the user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배뇨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세 또는 자세 변화에 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user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various posture or attitude changes that may occur in a process of urination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user based on a change in posture or postur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모니터링 시스템(200) 및 사용자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00, a monitoring system 200, and a user apparatus 300. As shown in FIG.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WiFi 통신, LTE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out regard to communication modes such as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can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like.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ferred to herein may be the well-known Internet or World Wide Web (WWW).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include, at least in part, a known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or a known wire /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communication, LT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and ultrasonic communic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고, 그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사용자 장치(300)와 협업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Next,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information on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data of the user apparatus, and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monitoring system 200 may derive information about changes in the posture or attitude of the user by collaborating with the user device 300.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는 필요에 따라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스마트 폰, 기타 이동 전화기, PDA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신체 가까운 곳에 붙여 두고 사용할 수 있고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 예를 들면, 동영상이나 이미지의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음향의 제공을 위한 스피커, 진동의 제공을 위한 진동기, 기타 촉각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돌출 요소 및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30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도출하거나, 이러한 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Finally, the user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cessing the monitoring system 200 when necessary and communicating with the user, and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a smart band, A us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digital device that can be worn by a user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mobile phone, a PDA, or the like, Can be adopted. In particular, the user device 30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providing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isplay panel for providing moving images or images, a speaker for providing sound, a vibrator for providing vibration, Other protruding elements and actuators for providing tactile stimulation, and the like. The user device 300 can derive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he attitude or posture of the user or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ystem 200.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us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모니터링monitoring 시스템의 구성 System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자세 정보 도출부(210), 모니터링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 정보 도출부(210), 모니터링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igital device having memory means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capable of computing. This monitoring system 200 may be a server system. 2, the monitoring system 200 may include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 monitoring unit 220, a database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nd a controller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the monitoring unit 220, the database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 control unit 25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device 300 Lt; / RTI > Such a program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or other program module,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well-known storage devices. Such a program module may also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system 200. [ Such program modules, on the other hand, encompass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정보 도출부(210)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함)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에는, 사용자 장치(300)의 속도, 사용자 장치(300)의 가속도, 사용자 장치(300)의 뒤집힘 또는 회전, 사용자 장치(300)의 다른 사용자 장치(미도시됨)에 대한 거리, 사용자 장치(300)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속도, 사용자 장치(300)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가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to be described later) about the motion of the user device 300 from the user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deriving information on a change in posture or attitude of the user using the user device 300. [ The data relat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device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ed of the user device 300, an acceleration of the user device 300, an inversion or rotation of the user device 300, The relative speed of the user device 300 and other user devices,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user device 300 and other user devices, and the like.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정보 도출부(210)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3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된 상황에서 나타내는 궤적에 관한 정보(사용자 장치(300)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절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소정의 가상의 기준점이나 사용자 장치(300)와는 다른 장치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300)의 속도, 가속도, 3축 회전 등에 관한 정보(즉,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300 based on the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Information about an absolute position along the time of the user device 300, information about a relative position based on a predetermined virtual reference point or a time elapsed for a device other than the user device 300, (Which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peed, acceleration, three-axis rotation, and the lik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o derive information on a change in the posture or posture of the us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정보 도출부(210)는 정보 수집과 수집된 정보의 누적을 다수의 사용자 장치(300)에 관하여 수행함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의 특성을 갖는 움직임 궤적을 기존에 알려진 소정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와 매칭시키거나, 소정의 범위 내의 특성을 갖는 움직임 궤적에 기초하여 새로운 자세나 자세의 변화를 특정해낼 수 있다. 또한, 자세 정보 도출부(210)는, 다수의 사용자 장치(300)가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움직임의 궤적이 있다면, 그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움직임을 특정 종류의 움직임(즉, 특정 자세 변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렇듯 결정된 종류의 움직임의 궤적 특성에 대응되는 궤적 특성의 움직임이 별개의 사용자 장치(300)에 관하여 감지되면, 이러한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으로부터 특정 자세나 자세의 변화를 추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300)가 사용자의 신체의 어느 부위에 착용되었는지도 추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300)가 사용자의 손가락, 손목 및 상완 중 어느 부위에 착용되었는지가 추고될 수 있다.For this,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of collecte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user devices 300, thereby obtaining a motion trajectory having characteristic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change in a new posture or attitude based on a motion locus having characteristic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r matching with a change in a predetermined attitude or attitude known in the art.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ma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 trajectory common to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300 to determine the motion as a specific type of motion (i.e., a specific attitude change) have. When the movement of the trajector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trajectory characteristic of the determined kind of motion is detected with respect to the separate user device 300, a change in the specific posture or posture may be sought from the movement of the user device 300 . It is also possible to trace where the user device 300 is worn by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user device 300 may be worn on which part of the user's finger, wrist, and upper arm.

한편, 위와 같이 도출된 자세 정보와 그에 관한 움직임 궤적의 특성은 서로 연관되어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 trajectory related thereto can be stored in a database 230 described later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세 정보 도출부(21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320)에 의하여 그 기능의 전부나 일부가 대체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s described above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is not essential,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attitude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user device 300 All or some of its functions can be replaced by the unit 32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가 배뇨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위와 같이 도출되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를 배뇨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자세나 자세 변화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배뇨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erformed ur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which is derived as described above, with a predetermined attitude or attitude change regarding urination, thereby worn the user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user who has the urine has urinated.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한 결과,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손을 사타구니 근처에 위치시키는 자세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그 손을 털거나 흔드는 동작을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행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그 사용자가 배뇨를 한 것으로(즉, 소변을 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result of deriving information on the user's attitude or attitude chan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olds the attitude for placing the hand wearing the user device 300 near the crotch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at the user has urinated (i.e., has urinated) in the case where the shaking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와 학습된 배뇨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가 배뇨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모니터링부(220)는 공지의 머신 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배뇨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된 배뇨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배뇨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urinat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with the learned urination pattern. 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220 can acquire a urination pattern by applying a known machine learning technique. Nex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00 with the obtained urina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urination.

위와 같은 획득된 배뇨 패턴에는, 그룹화(예를 들면, 성별, 연령대 등에 따른 그룹화)에 따라 같은 그룹에 속하게 된 다른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배뇨 패턴 또는 해당 사용자에 관하여 개인화된 배뇨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Such acquired urination patterns may include a general urination pattern of other use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ccording to grouping (for example, grouping according to gender, age group, etc.) or a personalized urination pattern with respect to the user.

모니터링부(220)는, 위와 같은 머신 러닝을 위해, 예를 들면,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s) 알고리즘,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알고리즘,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220 may use the K-Nearest Neighbors (KNN) algorithm,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lgorithm, the composite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모니터링의 대상의 되는 사용자가 두 번 이상 배뇨한 것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배뇨 주기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estimating the urination period of the user based on the urination of the user who is the subject of monitoring twice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배뇨 시간 또는 배뇨량을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estimating the urination time or the urination amount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예를 들면, 배뇨 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가 그 배뇨 행위를 마치기 전에(즉,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손을 털거나 흔드는 동작을 행하기 전에)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손을 20초 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었던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그 사용자가 20초 동안 배뇨 행위를 했다는 점과 그 사용자가 20초라는 배뇨 시간에 부합하는 양의 소변을 보았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device 300 may be worn before the user determined to have performed the urination action finishes the urination (i.e.,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haking or shaking the hand wearing the user device 300)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 urination action for 20 seconds and the user has met the urination time of 20 seconds The amount of urine that can be estim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 기간에 관하여 생성된 배뇨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device 300 is worn, there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urination monitoring data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monitoring peri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장치(300)가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획득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 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지문, 서명 등)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그 사용자 장치(300)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획득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whether a user to be monitored is wearing the user device 300 when the user device 300 is not moving at all for a predetermined time , And the monitoring data obtained in this case can be treated as invalid.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fingerprint, signature, etc.)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300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be monitored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device 300 is worn by a user other than the user to be monitored, and the monitoring data obtained in this case can be treated as invalid.

한편, 모니터링 기간 전체에 걸쳐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야만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도출될 수 있는 모니터링 항목(예를 들면, 배뇨 주기, 총 배뇨량, 총 배뇨 횟수 등)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는, 모니터링 기간 중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던 시간이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 모니터링 기간 전체에 걸쳐서 생성된 배뇨 모니터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을 취급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따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monitoring items (for example, a urination cycle, a total amount of urine, a urine volume, a urine volume, etc.) The monitor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time during which the user who is the target of monitoring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is not wearing the user device 30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t is possible to handle the urinalysis monitoring data generated over the entire monitoring period as invalid or to separate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is not wearing the user device 3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부(22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니터링부(330)에 의하여 그 기능의 전부나 일부가 대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unit 220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is not essential but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33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user equipment 300, All or some of its functions may be replac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에 따라 도출된 자세 정보 그리고/또는 자세 정보의 해당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 추정 또는 검증되는 사용자의 배뇨 활동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30)가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는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가 될 수 있다.Next, the database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data such as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determination of attitud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such data, and / Monitoring data on the urination activity of the user to be estimated or verified may be stored. Although the database 230 is shown in FIG. 2 as being comprised and configur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the database 23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onit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Meanwhile, the database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a broad database including not only a consultation database but also a data record based on a file system, Even if a set can retrieve it and extract data, it can be a database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자세 정보 도출부(210), 모니터링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 from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the monitoring unit 220, and the database 230 .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자세 정보 도출부(210), 모니터링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자세 정보 도출부(210), 모니터링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the monitoring unit 220, the database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ta flow from / to the outside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or the data flow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thereby obtaining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the database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respectively.

사용자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user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300)는 센서부(310), 자세 정보 도출부(320), 모니터링부(330), 저장부(335), 통신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10), 자세 정보 도출부(320), 모니터링부(330), 저장부(335), 통신부(340) 및 제어부(3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3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user device 300 includes a sensor unit 310,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a monitoring unit 330, a storage unit 335, a communication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50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unit 310,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the monitoring unit 330, the storage unit 335, the communication unit 340 and the control unit 350 And may be a program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nitoring system 200. Such a program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user device 3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or other program module,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well-known storage devices. Such a program module may also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device 300. [ Such program modules, on the other hand, encompass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0)는 사용자나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는,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3축 회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이러한 공지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300)의 속도, 가속도, 3축 회전 등에 관한 물리 값일 수 있다. 움직임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저장부(335)에 저장될 수 있다.First, the sensor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such as a mo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three-axis rotation sensor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a user's or a user's body part . The sensor unit 31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se known sensors. The sensor unit 310 senses the movement of the user device 300 and can output (record) data according to the time. Such motion data may be a physical value relating to the velocity, acceleration, three-axis rotation, etc. of the user device 300. The motion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5 as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정보 도출부(320)는, 센서부(310)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출력 값(즉,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부(310)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의 궤적, 나아가 이러한 궤적으로부터 추정되는, 사용자가 장치(300)를 착용한 신체 부위, 사용자가 장치(300)를 착용하고 취한 자세, 또는 이러한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장치(300)에 있어서 자세 정보 도출부(32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210)에 의하여 그 기능의 전부나 일부가 대체될 수 있다.Next,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ttitude information based on the output values (i.e., the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The position of the user 300 wearing the device 300 estimated by the trajectory of the movement of the user device 300 including the part 310, It is possible to derive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posture. However,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is not essential in the user device 300, and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may be replaced by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includ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배뇨 주기, 배뇨 시간, 배뇨량 등을 추정할 수 있으며, 배뇨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monitoring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urinating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the posture or the posture of the user, and determines the urination frequency of the user, the urination time, And can perform the function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urination monitoring data.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300)에 있어서 모니터링부(33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니터링부(220)에 의하여 그 기능의 전부나 일부가 대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unit 330 of the user device 300 is not essential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monitoring unit 220,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Can be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300)의 자세 정보 도출부(320)또는 모니터링부(330)의 구성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자세 정보 도출부(210)또는 모니터링부(220)의 그것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or the monitoring unit 330 of the user device 300 may include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Or may b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monitoring unit 22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35)에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에 따라 도출된 자세 정보, 배뇨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규칙 그리고/또는 자세 정보의 해당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 추정 또는 검증되는 사용자의 배뇨 활동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35)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공지의 기억 장치일 수 있다.Next, in the storage unit 3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attitud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such data, rules relating to monitoring urination activity and / Monitoring data regarding the urination activity of the user to be judged, estimated or verified based on the posture or attitude change may be stored. The storage unit 335 may be a known storage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40)는 센서부(310), 자세 정보 도출부(320), 모니터링부(330) 및 저장부(335)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 from the sensor unit 310,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the monitoring unit 330, and the storage unit 3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50)는 센서부(310), 자세 정보 도출부(320), 모니터링부(330), 저장부(335) 및 통신부(3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50)는 사용자 장치(3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사용자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센서부(310), 자세 정보 도출부(320), 모니터링부(330), 저장부(335) 및 통신부(3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310,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a monitoring unit 330, a storage unit 335, and a communication unit 340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ta flow from / to the outside of the user device 300 or the data flow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user device 300, thereby detecting the sensor unit 310, The control unit 320, the monitoring unit 330, the storage unit 335, and the communication unit 340, respectively.

자세 정보의 도출Derivation of attitude informa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시스템(200)이나 사용자 장치(300)가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에 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nitoring system 200 or the user device 300 derives information on a change in the posture or attitud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배뇨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세 또는 자세 변화에 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various posture or attitude changes that may occur in a process of urination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른쪽 손목에 사용자 장치(300)(전형적으로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소변을 보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도 4의 (a) 참조).4, it can be assumed that the user is urinating while wearing the user device 300 (typically, a smart watch) on the right wrist (see FIG. 4A).

도 4의 실시예에서, 남자들이 안정적으로 소변을 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취하는 자세와 같이, 사용자는 소변을 보는 동안에 사용자 장치(300)가 착용된 오른손을 수 초 내지 수십 초 동안 사타구니 근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위와 같은 자세를 취함에 따라, 사용자 장치(300)의 센서부(310)에 의해 획득되는 움직임 데이터는 소정의 특징적인 패턴을 갖게 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In the embodiment of Figure 4, the user may place the worn right hand of the user device 300 near the groin for a few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while urinating, such as the posture that men typically take to urinate stably As the user takes the above attitude, the motion data obtained by the sensor unit 310 of the user device 300 may have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pattern (see FIG. 4B).

또한, 도 4의 실시예에서, 남자들이 깔끔한 뒤처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행하는 동작과 같이, 사용자는 소변을 보고 난 후에 사용자 장치(300)가 착용된 오른손을 반복적으로 흔들거나 터는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위와 같은 동작을 행함에 따라, 사용자 장치(300)의 센서부(310)에 의해 획득되는 움직임 데이터는 소정의 특징적인 패턴을 갖게 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of repeatedly shaking or knocking the user's right hand worn by the user device 300 after urinating, as is the case for men in general, As the user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the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unit 310 of the user device 300 may have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pattern (see (c) of FIG. 4).

위에서 설명한 경우들에 있어서, 센서부(310)의 움직임 데이터는 자세 정보 도출부(320)에 의하여 소정의 정해진 시간 동안 분석되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시간의 길이는 당업자의 소정의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 정보 도출부(320)는 기저장된 움직임 데이터의 특징적인 패턴과 새로이 감지된 움직임의 데이터의 특징적인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의 자세 또는 자세 변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한 부위가 나타내는 자세나 그러한 자세의 변화에 관한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ses, the motion data of the sensor unit 310 may be analyzed by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for a predetermined fixed time, and the length of such time may be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t; / RTI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may comprehend a predetermined attitude or attitude change information by comparing a characteristic pattern of previously stored motion data with a characteristic pattern of newly detected motion data . This may be related to the attitude indicated by the user or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00 or a change in such attitude.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300)의 자세 정보 도출부(320)가 자세 정보를 도출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자세 정보 도출부(210)가 이러한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310)의 움직임 데이터는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4,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of the user device 300 derives the attitude information. However,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of the monitoring system 200 may obtain at least a part . In this case, the motion data of the sensor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ystem 200.

본 발명의 일 The invention 활용예Examples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하여 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배뇨에 관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사정(ejaculation)에 관한 모니터링도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사정 시점, 사정 시점 간의 간격, 사정량 등을 추정하거나, 사용자의 사정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 내지 장치의 구성을 그다지 변경하지 아니 하고, 비교 대상이 되는 패턴만을 조율함으로써 손쉽게 실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inly made on the monitoring of the urination based on the change in the posture or attitude of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urin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ejaculation based on the user's attitude or attitude chang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user's ejaculation point, the interval between the ejaculation points, the ejaculation amount, May b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nitoring data. Such a function may be realized easily by not only mod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r apparatus described above, but by adjusting only the pattern to be compar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니터링부(220)가 역시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21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320)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정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링부(220)는 위와 같이 도출되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사정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사정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한 결과,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손을 사타구니 근처에서 왕복하는 동작 또는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한 채로 사타구니를 왕복하는 동작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그 몸을 떨거나 흔드는 동작을 기설정된 횟수 이상 행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가 사정을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unit 220,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may include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nd / or a user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made an assess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the attitude change of the user derived from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that can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220 compa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posture change of the user derive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the posture change determined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judgment is made. For example, as a result of deriving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the user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reciprocating the hand wearing the user device 300 near the crotch, or the operation of reciprocating the crotch while wearing the user device 300 The monitoring unit 22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made a decision when the operation for trembling or shaking the user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한편, 모니터링부(220)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사정 패턴을 획득한 후에,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된 사정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사정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머신 러닝은 해당 사용자 본인이나 다수의 다른 사용자에 관하여 미리 획득된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220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acquire an assessment pattern and then compar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with the assessment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ing the user equipment 300 Or not. Such machine learning can be applied to data obtained in advance for the user himself or for a number of other users.

또한, 모니터링부(220)는, 모니터링의 대상의 되는 사용자가 두 번 이상 사정한 것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사정 주기 내지는 사정 시점 간격을 추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사정 시간 또는 사정량까지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와 같은 정보를 자세히 분석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정 전에 행하는 전위 동작(예를 들면, 손의 사타구니 근처에서의 왕복, 또는 사타구니의 왕복)을 구분할 수 있고, 사정 후에 행하는 후희 동작(예를 들면, 몸을 떠는 행위 등)을 구분할 수 있는데, 이로부터 사정 시간과 그에 따라 예상되는 사정량도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20 can estimate the estimation period or the estimation timing interval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user who is the target of monitoring twice or more, The estimation time or the estimation amount of the user can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is.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above information in detail,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dislocation motion (for example, a round trip near the groin of the hand or a round trip of the groin) performed before the ejaculation, , Etc.), from which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ejaculation time and the expected ejaculation amount.

한편,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정에 관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링 기간에 관하여 생성된 사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데이터의 유효성이 낮으면, 해당 데이터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거나 사용자 장치(300) 미착용 기간에 관한 보고를 관리자에게 따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unit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who is the object of monitoring regarding the condition continues to perform the monitoring for the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user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device 300 is worn and thu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monitoring data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monitoring perio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f the validity of the data is low, the reliability of the data may be degraded or the report on the non-use period of the user device 3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에 따라 도출된 자세 정보 그리고/또는 자세 정보의 해당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 추정 또는 검증되는 사용자의 사정 활동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23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monitoring system 200 may also inclu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attitude information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and / 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assessment activity of the user being verified may be sto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니터링부(330)는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210) 및/또는 역시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자세 정보 도출부(32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정 시점 간격, 사정 시간, 사정량 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사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335)에는, 사용자 장치(300)의 움직임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에 따라 도출된 자세 정보, 사용자의 사정 여부에 관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규칙 그리고/또는 자세 정보의 해당 자세나 자세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 추정 또는 검증되는 사정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30 included in the user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10 and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ejaculat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obtained from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that can be included in the attitude information obtaining unit 320, And the validity of the monitoring data can be verified.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335,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user device 300, may store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300, attitude information derived therefrom, rules for monitoring the user's assessment, and / Or ejaculation monitoring data to be judged, estimated, or verified based on the posture or attitude change of attitude information may be stored.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

100: 통신망
200: 모니터링 시스템
210: 자세 정보 도출부
220: 모니터링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사용자 장치
310: 센서부
320: 자세 정보 도출부
330: 모니터링부
335: 저장부
340: 통신부
350: 제어부
100: Network
200: Monitoring system
210: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220: Monitoring section
230: Database
240:
250:
300: User device
310:
320: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330: Monitoring section
335:
340:
350:

Claims (19)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것임 - , 및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Deriving information on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the motion data being recorded by the sensor included in the user device over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가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뒤집힘 또는 회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대한 거리,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속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on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ed of the user device, an acceleration of the user device, an inversion or rotation of the user device, a distance to another user device of the user device, And relative acceleration of another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도출 단계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관하여 수집되어 누적된 움직임 궤적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riving information is performed based on accumulated motion trajectory information collected and accumulated for a plurality of different user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도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riving information is performed based on a location of the user device worn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량 또는 사정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ermining step comprises estimating a urination volume or an amount of urination of said user based on said deriv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에 관하여 생성된 배뇨 모니터링 데이터 또는 사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include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urination monitoring data or the assessment monitoring data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continues to wear the user apparatus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Methods of inclu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장치를 착용하고 않은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time during which the user is not wearing the user equipment during the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자세 정보 도출부 -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것임 - , 및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information on the attitude or attitude change of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data of the user device, the motion data being recorded by the sensor included in the user device over time, and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a monitor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 RTI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가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뒤집힘 또는 회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대한 거리,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속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otion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ed of the user device, an acceleration of the user device, an inversion or rotation of the user device, a distance to another user device of the user device, And a relative acceleration of another user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 도출부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관하여 수집되어 누적된 움직임 궤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도출을 수행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performs the information deriving based on the accumulated motion trajectory information collected and accumulat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other user devic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 도출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도출을 수행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derives the information based on a position of the user device worn by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량 또는 사정량을 추정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nitoring unit estimates the amount of urination or the amount of urin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에 관하여 생성된 배뇨 모니터링 데이터 또는 사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nitoring unit validates the urination monitoring data or the assessment monitoring data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based on whether the user continues to wear the user apparatus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기설정된 모니터링 기간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장치를 착용하고 않은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nitoring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a time during which the user does not wear the user equipment during the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는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자세 정보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sensor,
An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attitude or attitude change based on the motion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by the sensor,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a monitor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rinating or not,
/ RTI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가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뒤집힘 또는 회전, 상기 사용자 장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대한 거리,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속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의 상대적인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tion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ed of the user device, an acceleration of the user device, an inversion or rotation of the user device, a distance to another user device of the user device, And a relative acceleration of another user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 도출부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관하여 수집되어 누적된 움직임 궤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도출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performs the information deriv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motion trajectory information collected and accumulat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other user devic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 도출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도출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ttitude information deriving unit derives the information based on a position of the user device worn by the user.
KR1020160173963A 2015-12-18 2016-12-19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KR1020184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71 2015-12-18
KR20150182171 201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41A true KR20170073541A (en) 2017-06-28
KR102018416B1 KR102018416B1 (en) 2019-09-05

Family

ID=5905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63A KR102018416B1 (en) 2015-12-18 2016-12-19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8416B1 (en)
WO (1) WO2017104970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07A (en) 2017-12-05 2019-06-13 김계환 Female urination detection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reof
KR20200053108A (en) 2018-11-08 2020-05-18 (의료)길의료재단 Dysuria diagnosis medic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85B1 (en) 2020-03-05 2022-05-02 림헬스케어 주식회사(RIM Healthcare Co., Ltd.) Urinatio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CN113633278A (en) * 2021-07-20 2021-11-12 深圳市爱都科技有限公司 Motion monitor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506A (en) * 2012-10-18 2014-05-08 Fujitsu Ltd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apparatus,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method, and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program
CN105395305A (en) * 2015-11-12 2016-03-16 陈汝霖 Condom with induction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ata coll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31B1 (en) * 2004-08-27 2007-03-12 송철규 Urethra catheter and apparatus for ambulatory urodynamic monitoring
KR200374034Y1 (en) * 2004-11-04 2005-01-27 (주)에스와이하이테크 System for sensing feces and urine
KR101827885B1 (en) * 2010-08-06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user`s action using mobile terminal
JP5941304B2 (en) * 2012-03-08 2016-06-29 Toto株式会社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506A (en) * 2012-10-18 2014-05-08 Fujitsu Ltd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apparatus,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method, and intravesical urine volume estimation program
CN105395305A (en) * 2015-11-12 2016-03-16 陈汝霖 Condom with induction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ata collec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07A (en) 2017-12-05 2019-06-13 김계환 Female urination detection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reof
WO2019112319A1 (en) 2017-12-05 2019-06-13 김계환 Female urination detection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same
US11944438B2 (en) 2017-12-05 2024-04-02 Khaehawn Kim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53108A (en) 2018-11-08 2020-05-18 (의료)길의료재단 Dysuria diagnosis medic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416B1 (en) 2019-09-05
WO2017104970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 et al. User verification leveraging gait recognition for smartphone enabled mobile healthcare systems
CN107209807B (en) Wearable equipment of pain management
Ren et al. Smartphone based user verification leveraging gait recognition for mobile healthcare systems
CN105792740B (en) The detection and calculating that heart rate in non-clinical restores
KR1018278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user`s action using mobile terminal
KR20170073541A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based on user's posture or change in posture, method of monitoring micturition or ejacu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JP2018506773A5 (en)
US20190384901A1 (en)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with neuromuscular signatures
KR101495044B1 (en)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CN105263411A (en) Fal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151301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human motor activity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08192004A (en) Input information processor,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hereof
JP2016513999A5 (en)
US107964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layer location determination in gameplay with a mobile device
WO2021115064A1 (en) Fitness exercis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wearable sensor
US20160256078A1 (en) Specifying apparatus and specifying method
Pan et al. Using accelerometer for counting and identifying swimming strokes
Hemmatpour et al. Nonlinear Predictive Threshold Model for Real‐Time Abnormal Gait Detection
KR102539215B1 (en)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stimating information about golf swing
Kothamachu et al. Real time gait based person authentication using deep hybrid network
EP3679567B1 (en) Sensor-derived swing hit and direction detection
Alqarni Error-less data fusion for posture detection using smart healthcare systems and wearable sensors for patient monitoring
Sharma et al. AgriAcT: Agricultural Activity Training using multimedia and wearable sensing
Wang Data feature extraction method of wearable sensor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KR102324546B1 (en) Analysis method of the motion of cat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