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75A -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75A
KR20170073475A KR1020160147370A KR20160147370A KR20170073475A KR 20170073475 A KR20170073475 A KR 20170073475A KR 1020160147370 A KR1020160147370 A KR 1020160147370A KR 20160147370 A KR20160147370 A KR 20160147370A KR 20170073475 A KR20170073475 A KR 2017007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image
analysis
color differenc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권
김상원
정재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07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32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04N5/23222
    • H04N5/235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 영상의 RGB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을 분류하는 분석부, 및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영상 간의 색상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분류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화면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checking the color of multiple imag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를 확인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장면을 복수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 별로 촬영된 영상의 색상(color)의 차이가 크면, 영상의 질이 떨어지며, 특징점이나 특정 물체를 인식하는 등의 이후 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개의 카메라로 하나의 장면을 촬영하는 경우, 대부분 시점간 영상의 색상의 차이를 작게 촬영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같은 모델, 같은 조건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도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획득된 영상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작다고 해도 카메라별 영상의 색상 차이는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시범 촬영된 영상의 색상을 분석하여 그 자리에서 색깔 차이가 큰 영상들을 선별하여 볼 수 있다면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결정을 그 자리에서 바로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 결정이 미루어지게 되면 다시 카메라나 조명의 위치를 옮겨 찍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만약, 실내의 스튜디오 환경이라면 그나마 낫지만, 자연광에 의존하는 실외 촬영의 경우에는 적절한 시간대를 놓쳐서 더 오래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의 문제는 제작비의 증가로 바로 이어지고, 영상의 질 및 이후 연산 작업의 결과의 질을 어느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하드웨어의 특성상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색상을 바로 확인하고 비교하기 힘들기 때문에, 영상의 색상의 질을 어느 수준 이상으로 보장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상황은 복수의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뿐만 아니라, 스테레오 카메라 및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 영상에도 발생 가능한 문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상을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 영상의 RGB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을 분류하는 분석부, 및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영상 간의 색상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분류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화면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촬영시, 영상 간 색상의 차이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영상을 하나하나 확인하여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시 촬영해야 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영상 제작의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은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생성된 영상의 색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색상을 분석할 영상의 수에 구애받지 않아 확장성이 좋다. 이 외에도 센서를 사용하면 카메라와 렌즈 등 획득장치의 모델 및 방법이 다른 경우 실제 영상에서의 색깔의 차이를 알아내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에서 바로 색상을 분석함으로써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적 제약점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방법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이하, "색상 차이 확인 장치"로 총칭)(100)는 획득부(110), 저장부(120), 분석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획득부(1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외부의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 등), 외부의 저장장치(예컨대, USB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이때, 획득부(1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광섬유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획득부(110)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획득된 복수의 영상을 시간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20)는 후술하는 분석부(130)의 동작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은 저장부(120)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분석부(130)는 영상의 내부 픽셀들의 RGB 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각각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때, 분석부(130)는 영상의 RGB값을 이용하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사전에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은 사전에 사용자가 단순한 기작(메커니즘)으로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또는 사전 설정을 통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기준 및 알고리즘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석 기준 및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거나, 사전에 임의로 지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의 평균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의 평균을 구하며, 구해진 복수의 영상 각각의 RGB값 평균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 결과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비교 결과는 저장부(120)와는 별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분석부(130)는 분석(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 기준은 광량, 색상 톤의 차이 등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일 수 있다. 또한, 분석부(130)는 분류 결과를 저장부(120)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분석 결과, 영상의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값 이상의 오차를 갖는지를 확인하고, 설정값을 기준으로 RGB값의 오차가 소정값 이상을 갖는 영상을 별도로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분석부(130)는 복수의 영상의 RGB값의 평균을 구하고, 구해진 RGB값의 평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영상을 별도로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영상 중 분석부(130)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소정값 또는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어 선별된 영상들은 제1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선별 영상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영상들 즉,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소정값 또는 소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들은 제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류된 제1 그룹의 영상들과 제2 그룹의 영상들은 저장부(120)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그룹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복수의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이때, 출력부(140)는 분석부(130)에 의해 선별된 영상(제1 그룹에 포함되는 영상들)을 하나 또는 복수로 모아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40)는 제1 그룹의 영상들과 제2 그룹의 영상들 간의 색상 차이를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제1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제2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4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영상들 중 영상 내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이 설정값 또는 평균에 가장 근접한 영상과 제1 그룹의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촬영 시 영상간 색상의 차이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영상을 하나하나 확인하여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시 촬영해야 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영상 제작의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은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생성된 영상의 색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색상을 분석할 영상의 수에 구애받지 않아 확장성이 좋다. 이 외에도 센서를 사용하면 카메라와 렌즈 등 획득장치의 모델 및 방법이 다른 경우 실제 영상에서의 색깔의 차이를 알아내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에서 바로 색상을 분석함으로써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적 제약점이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먼저,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다(S201). 여기서, 외부의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 등), 외부의 저장장치(예컨대, USB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광섬유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또는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획득된 복수의 영상은 저장매체(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영상의 내부 픽셀들의 RGB 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각각의 특성을 분석한다(S202). 이때,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영상의 RGB값을 이용하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사전에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은 사전에 사용자가 단순한 기작(메커니즘)으로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메모리에는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 또는 사전 설정을 통해 복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기준 및 알고리즘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석 기준 및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거나, 사전에 임의로 지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에로서,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의 평균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영상 각각에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의 평균을 구하며, 구해진 복수의 영상 각각의 RGB값 평균을 비교할 수 있다.
아울러,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단계 S202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S203). 이때,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 기준은 광량, 색상 톤의 차이 등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분석 결과, 영상의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값 이상의 오차를 갖는지를 확인하고, 설정값을 기준으로 RGB값의 오차가 소정값 이상을 갖는 영상을 별도로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의 RGB값의 평균을 구하고, 구해진 RGB값의 평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영상을 별도로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영상 중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소정값 또는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어 선별된 영상들은 제1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선별 영상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영상들 즉, 지정된 영역의 RGB값이 소정값 또는 소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들은 제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단계 S202의 분석 결과 및 단계 S203의 분류 결과를 저장한다(S204). 예컨대,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단계 S203에서 분류된 제1 그룹의 영상들과 제2 그룹의 영상들을 그룹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단계 S201에서 획득된 복수의 영상이 저장된 저장 매체에 분석 및 분류 결과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이 저장된 저장 매체와는 별도의 저장 매체에 분석 및 분류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단계 S203에서 선별된 제1 그룹의 영상들과 제2 그룹의 영상들 간의 색상 차이를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화면 출력한다(S205). 예컨대,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제1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제2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영상들 중 영상 내 지정된 영역의 내부 픽셀들의 RGB값이 설정값 또는 평균에 가장 근접한 영상과 제1 그룹의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는 제1 그룹으로 선별된 영상들을 하나 또는 복수로 모아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촬영 시 영상간 색상의 차이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영상을 하나하나 확인하여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시 촬영해야 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영상 제작의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은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생성된 영상의 색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색상을 분석할 영상의 수에 구애받지 않아 확장성이 좋다. 이 외에도 센서를 사용하면 카메라와 렌즈 등 획득장치의 모델 및 방법이 다른 경우 실제 영상에서의 색깔의 차이를 알아내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에서 바로 색상을 분석함으로써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적 제약점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100)를 통한 다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획득부 120 : 저장부
130 : 분석부 140 : 출력부

Claims (1)

  1.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
    영상의 RGB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 및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을 분류하는 분석부; 및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영상 간의 색상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분류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화면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KR1020160147370A 2015-12-18 2016-11-07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3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2021 2015-12-18
KR1020150182021 2015-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75A true KR20170073475A (ko) 2017-06-28

Family

ID=5928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70A KR20170073475A (ko) 2015-12-18 2016-11-07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800B2 (en) * 2018-05-08 2022-11-01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800B2 (en) * 2018-05-08 2022-11-01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4692B (zh) 车辆定损图像获取方法及装置
KR20170019359A (ko) 국부적 적응형 히스토그램 등화
CN103609102A (zh) 高分辨率多光谱图像捕捉
US8189942B2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focus quality of image pickup device
CN104519271B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和程序
US20170280130A1 (en) 2d video analysis for 3d modeling
US86997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840944B1 (ko) 영상 분석 기반의 불량 판별 장치 및 방법
CN102333174A (zh) 一种视频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113086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80167609A1 (en) Camera Testing Using Virtual Images
US9230188B2 (en) Objective metric relating to perceptual color differences between images
KR20170073475A (ko) 복수의 영상의 색상 차이 확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55567A (ko) 영상의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54196B2 (en) Adjusting length of living images
US20150002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through installation of external camera
US11508143B2 (en) Automated salience assessment of pixel anomalies
TW201404120A (zh) 測試系統、成像裝置以及測試方法
US10885343B1 (en) Repairing missing frames in recorded video with machine learning
KR101836768B1 (ko) 물체 인식 기반의 자동 영상 컬러 밸런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US20150116552A1 (en) Digital camer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camera system
US201600712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of 3d image data
KR20140105279A (ko) Led 모니터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의 얼굴 인식 기능에 대한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969B1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인식이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53918B1 (ko) 감정 분석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