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04A -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 Google Patents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04A
KR20170073404A KR1020150182286A KR20150182286A KR20170073404A KR 20170073404 A KR20170073404 A KR 20170073404A KR 1020150182286 A KR1020150182286 A KR 1020150182286A KR 20150182286 A KR20150182286 A KR 20150182286A KR 20170073404 A KR20170073404 A KR 2017007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ground anchor
composite ground
tensile
tensi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9100B1 (en
Inventor
신상희
우제윤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100B1/en
Priority to PCT/KR2016/004276 priority patent/WO2017104908A1/en
Publication of KR2017007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는 인장재가 물리는 웨지체와, 웨지체를 견인하는 견인체가 본체 내부에 삽입되고, 본체 상단에 상부캡이 체결되며, 견인체와 상부캡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됨으로 인해 인장재의 인장력 제거시 인장재의 상단이 상부캡 내부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웨지체와 본체 사이에 웨지 분리막이 개재됨으로 인해 웨지체가 본체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fusing element for a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edge body in which a tensile material is wedged, a pulling body for pulling the wedge body is inserted into the body, an upper cap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upper end of the tensile member is prevented from striking the inside of the upper cap when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aterial is remov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wedge separating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wedge body and the body.

Description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fusing device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본 발명은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벽 띠장측에 고정된 인장재의 정착을 해제할 때 반력에 의해 웨지 조립체가 후퇴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웨지 조립체와 정착체 간의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분리막을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에 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which is capable of relieving an impact generated when a wedge assembly is retracted by a reaction force when releasing fixation of a tensile material fixed on a toe- And an inner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including a separator to facilitate separation between the assembly and the fixing body.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보강 정착 장치는 어스 정착 장치(earth anchor)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흙막이부 또는 절개된 비탈면과 같은 곳은 우천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하여 토사가 붕괴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보통 수직으로 천공되어 매립되도록 설치된 정착 장치를 말한다.Generally, the reinforcing fixing device applied to the soft ground means that it includes an earth anchor, and in places such as the earth retaining part or incised slope, the soil may be collapsed due to rain or other causes To prevent this, it refers to a fixing device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여기서 의미하는 통상 정착 장치는 영구식 정착 장치와 제거식 정착 장치로 구분된다. 영구식 정착 장치는 설치된 인장재를 제거하지 않는 방식이고, 제거식 정착 장치는 설치된 인장재를 다시 제거하여 회수하는 방식이다.Conventional fixing devices, which are meant herein, are classified into a permanent type fixing device and a removable fixing device. The permanent type fixing device does not remove the installed tensile material, and the removal type fixing device removes the installed tensile material to recover.

영구식 정착 장치는 타 소유의 인접지까지 연장 설치된 정착 장치가 잔존하게 되므로 민원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 정착 장치 설치 후 인장재를 제거하는 제거식 정착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The permanent type fixing device has a fixing device that extends to the adjacent area of the other ownership,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complaints, and a removable fixing device for removing the tensile material after the fixing device is used.

제거식 정착 장치의 시공을 살펴보면, 지면을 천공하여 형성시킨 천공홀에 어스 정착 장치를 삽입하고 천공홀 내부에 모르타르의 형식인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굳히도록 한다.A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moval type fixing device, an earth fixing device is inserted into a perforation hole formed by perforating the ground, and grout, which is a type of mortar, is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to be hardened.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어스 정착 장치는 시공이 끝난 후, 어스 정착 장치 내부에 설치 고정된 인장재를 제거할 때 웨지조립체와 정착체가 유착되어 인장재가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general earth fix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tensile material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earth fixing apparatus is remov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 wedge assembly and the fixing body are adhered and the tensile material is not easily removed.

그리고,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인장재의 인장력을 제거하면, 정착체 내부에 삽입된 인장재의 선단이 후단으로 후퇴하면서 정착체를 타격하게 됨으로 인해 정착체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aterial is removed in order to remove the tensile material, the tip of the tensile material inserted into the fixing material retreats to the rear end and strikes the fixing body,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fixing body.

또한, 종래 제거식 정착 장치는 웨지조립체의 쐐기가 긴장재를 정착시킬 수 있는 원래 위치(본체의 상부)로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를 다시 설치하여 긴장시키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val type fix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install the tension member and tense it because the wedge of the wedge assembly can 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 the tension member can be fixed.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재의 탈착 및 재정착이 용이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ner fixing body for a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which is easy to be detached and remounted by a tensile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장재의 절단 시 정착 장치 내부에 전달되는 반력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정착 장치의 내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internal damage of the fixing device by minimizing the impact caus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device when cutting the tensil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의 선단에 영구 앵커용 마찰재가 부착된 적어도 2 이상의 복합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재가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인장재의 선단이 물리는 웨지체; 상기 웨지체의 이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재를 분리할 때 상기 웨지체를 상기 본체의 반대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체; 상기 본체와 나사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마찰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캡; 및 상기 견인체와 상기 상부캡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fixing body of at least two composite ground anchors having a friction member for a permanent anchor attached to the tip of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tensile material removing type ground anchor, the internal fixing body comprising: ; A wedge body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dy and having a tip end of the tensile material; A shoulder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edge body and pulling the wedg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ody when the tensile material is separated; An upper cap screw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end to which one end of the friction material is connected; And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s and the upper cap.

본 발명의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는 웨지체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웨지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fixing body for the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edg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wedge body and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웨지 분리막은 상기 본체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둘레에서 수직방향으로 굴곡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측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step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insertion portion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extens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n the inner side of the step, .

본 발명의 상부캡은 상기 웨지체 및 상기 견인체의 이동을 위한 하부 챔버와, 상기 견인체의 상단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삽입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lower chamber for moving the wedge body and the shoulder body, and an insertion chamber for screwing the upper body of the body.

본 발명의 견인체는 상기 삽입챔버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삽입챔버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ou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chamber, and the elastic body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insertion chamb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2 이상이 계단식으로 연결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지중에 매설되는 마찰재; 시공 이후 제거되는 인장재; 및 상기 마찰재와 상기 인장재를 연결하는 상기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anchor for removing tensile material, the ground anchor including at least two friction materials embedded in the ground; A tensile material removed after construction; And the internal fixation member connecting the friction material and the tensile material.

본 발명의 인장재는 중단에 벌빙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tensil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wing structure at the break.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재의 탈착시 웨지 분리막에 의해 웨지체가 본체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장재의 인장력 제거시 정착 장치 내부에 전달되는 반력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정착 장치의 내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dge member from being adhered to the main body by the wedge separating membrane when the tensile material is detached, and to minimize the internal damage of the fixing apparatus by minimizing the impact due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apparatus when removing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웨지 분리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인장재 제거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including an inner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decomposition state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edge separation membrane of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of removing the tensile material of the inner fixing body for the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가 구비되는 그라운드 앵커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분리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인장재 제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ground anchor provided with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paration membrane of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internal fixing body for an anchor dispersion type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nsile material removal process of the siev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100)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10)의 인장재(20)에 마찰재(30)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복합 그라운드 앵커의 길이에 순차적으로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계단식 배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1, an inner fixing body 100 for a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riction material 30 on a tensile material 20 of a tensile material removal type ground anchor 10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stepwise arranged by sequentially forming steps on the lengths of a plurality of composite ground anchors.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10)에서 인장재(20)의 선단에 본 발명의 내부 정착체(100)가 연결되고, 상기 내부 정착체(100)의 선단에 다시 마찰재(30)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인장재(20)에 인장력을 가한 이후에 마찰재(30)와 내부 정착체(100)만 잔류시키고 인장재(20)만 인발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The inner fixing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ensile material 20 in the tensile removing type ground anchor 10 and the friction material 30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inner fixing body 100 After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material 20, only the friction material 30 and the internal fixation body 100 are left, and only the tensile material 20 is pulled out and removed.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10)의 인장재(20)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부재(40)에 의해 연결되어 시공된다. 그리고 마찰재(30) 중단에는 지반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벌빙(Bulbing)구조(50)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ensile members 20 of the tensile removing type ground ancho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40 and are installed. And stopping the friction material 30 may include a bulbing structure 50 for enhancing frictional forces with the ground.

벌빙 구조(50)는 다수개의 스트랜드를 꼬아서 형성되는 마찰재(30)의 중단을 부풀려서 마찰재(30) 중단 부분을 확장시킴으로 인해 주변 지반과의 마찰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벌빙 구조(50)가 마찰재(3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장재(20)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ulling-out mechanism 50 is configured to expand the interrupted portion of the friction material 30 by inflating the stop of the friction material 30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thereby maximiz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rounding grou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unfolding structure 50 is formed on the friction material 3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ulling material 20 may also be formed.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10)에서 인장재(20)와 마찰재(30)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1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tensile material 20 and the friction material 30 in the tensile removing type ground anchor 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rnal fixing body 100 for the dispersed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10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재(20)가 삽입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중공에 삽입되고 인장재(20) 선단이 물리는 웨지체(120)와; 상기 웨지체(1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장재(20)의 분리시 웨지체(120)를 본체(110)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체(140)와; 상기 본체(110)와 연결되고, 마찰재(30)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캡(150)과; 상기 견인체(140)와 상부캡(15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60)를 포함한다.2 and 3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ternal fixture 100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fixing body 100 for a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tensile member 20 inserted at one end thereof; A wedge body (12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dy (110) and tipped of the tensile material (20); A sucking body 14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edge body 120 to pull the wedge body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110 when the tensile material 20 is separated; An upper cap 15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iction material 30; And an elastic body 160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s 140 and the upper cap 150.

본체(110)는 상하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 또는 장방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111)을 관통하여 인장재(20)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본체(110) 내부의 중공(111)은,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111s)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111s)에 웨지체(120)가 안착된다.The main body 110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mber having a hollow 111 formed therei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tensile material 20 penetrates through the hollow 111 and is fixed. The hollow 111 i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111s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downwar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wedge body 120 is seated on the tapered surface 111s do.

본체(110)의 중공(111)의 상단부에는 상부캡(150)이 연결되기 위한 캡 연결면(111c)이 형성되고, 캡 연결면(111c)과 테이퍼면(111s) 사이에는 단턱(111t)이 형성된다. 상기 캡 연결면(111c)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캡(140)에 형성된 나사부(151s)와 치합하도록 구성된다.A cap connecting surface 111c for connecting the upper cap 15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llow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a step 111t is formed between the cap connecting surface 111c and the tapered surface 111s .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cap connecting surface 111c to engage with a thread 151s formed on the upper cap 140. [

본체(110)의 중공(111)에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웨지체(120)가 삽입되고, 웨지체(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웨지체(12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웨지분리막(130)이 개제된다. The wedge body 120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such that the wedge body 120 is formed to be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he wedge body 12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130 is opened.

웨지분리막(130)은 인장재(20)의 인장력에 의해 웨지체(120)가 본체(110) 내부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채꼴 모양의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비점착성 유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웨지분리막(130)의 내외부면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윤활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The wedge separating film 130 is for preventing the wedge body 120 from being stuck in the main body 110 by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aterial 20 and may be made of a non-adhesive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an-shaped synthetic resin film.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130 may be further coated with a lubricant to facilitate separation.

웨지체(120)는 인장재(20)의 일단을 물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웨지 몸체(121)와 웨지 몸체(121)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분할된 웨지편(122)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웨지편(1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인장재(20)의 일단과 슬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wedge body 120 includes a wedge body 121 and a plurality of divided wedge pieces 122 extending from the wedge body 121. The wedge body 120 is a member for bending and fixing on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20. [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122 so as not to slip with on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20. [

웨지 몸체(121)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통해 인장재(20)의 일단이 관통된다. 웨지 몸체(121)의 외주면 상단에는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외주면보다 내부로 함몰된 제1 링홈(123)과, 웨지 몸체(121)의 내주면에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링홈(124)과, 웨지 몸체(121)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함몰된 제3 링홈(125)과, 웨지 몸체(121)의 내주면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4 링홈(126)이 형성된다.The wedge body 121 also has a hollow therein and on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20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A first ring groove 123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ody 121 so as to be recessed inwardl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upper to lower direction, a second ring groove 124 formed inwardly reces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ody 121, A third ring groove 125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ody 121 and a fourth ring groove 126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ody 121 are formed.

웨지 몸체(121)의 중공 상부에는 인장재(20)의 분리시 웨지체(120)를 본체(110)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체(140)가 삽입된다. 견인체(140)는 웨지 몸체(121)의 중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A needle body 140 for pulling the wedge body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wedge body 121 when the tensile material 20 is detached. The sleeves 14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llows of the wedge body 121.

견인체(140)는 대략 원통형 부재로서, 상부에는 탄성체(160)가 삽입되기 위한 제1 챔버(1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장재(20)의 선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2 챔버(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견인체(140)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43)가 형성되어 상부캡(150)의 나사산과 치합된다.A first chamber 141 for inserting the elastic body 16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40 and a second chamber 142 for inserting the tip of the tensile material 20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40 . A threaded portion 143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body 140 to engage with the thread of the upper cap 150.

그리고, 견인체(140)의 외주면 중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44)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부(144)는 웨지 몸체(121)의 제2 링홈(124)에 삽입된다.The flange portion 14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ing groove 124 of the wedge body 121. The flange portion 144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yoke body 140. [

한편, 견인체(140)와 웨지체(120)와 상부캡(150) 사이에는 제1링, 제3링, 및 제4링이 개재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first ring, the third ring, and the fourth ring are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s 140, the wedge body 120, and the upper cap 15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웨지체(120)와 견인체(140)가 본체(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10) 상단에 상부캡(150)이 끼워진다. 상부캡(150)은 본체(110)와 마찰재(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upper cap 15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with the wedge body 120 and the sleeper body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upper cap 150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friction material 30 to each other.

상부캡(150)의 하부에는 하면 방향으로 개방된 하부챔버(151)가 형성되고, 하부챔버(151)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나사부(151s)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51s)는 캡 연결면(111c)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한다.A lower chamber 151 is formed in a lower side of the upper cap 150 and a thread 151s is formed in an outer side of a lower end of the lower chamber 151. The threaded portion 151s is engaged with a thread formed on the cap connecting surface 111c.

하부챔버(151)의 상면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더 함몰된 삽입챔버(15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챔버(152)에는 견인체(14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챔버(152)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견인체(14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43)와 치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151, an insertion chamber 152 further recessed upward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ratchet body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chamber 152.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chamber 152 so as to engage with the threaded portion 1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body 140.

한편, 상부캡(150)의 상면에는 하부로 함몰된 상부 챔버(15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챔버(153)에는 마찰재(3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 챔버(153) 내부의 압착 슬리브(154)에 의해 마찰재(3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챔버(153)와 삽입챔버(152)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p 150, an upper chamber 153 recessed downward is formed. One end of the friction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hamber 153 and one end of the friction material 30 can be fixed by the compression sleeve 154 inside the upper chamber 153.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hamber 153 and the insertion chamber 152 are not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부캡(150)의 삽입챔버(152)의 내측 상면과 견인체(140)의 제1 챔버(141) 사이에는 탄성체(160)가 삽입된다. 탄성체(160)는 인장재(20)의 인장력을 해제할 때, 그 반동에 의해 견인체(140)의 상단이 상부캡(150)을 타격하지 않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The elastic body 16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chamber 152 of the upper cap 150 and the first chamber 141 of the ratchet body 140. The elastic body 160 serves to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s 140 does not hit the upper cap 150 due to the recoil when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aterial 20 is releas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부캡(150)과, 본체(110)와, 견인체(140)와, 웨지체(120)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상부캡(150)과 웨지체(120) 사이에는 제1링(R1)이 개제되고, 본체(110)와 웨지체(120) 사이에는 제3링(R3)이 개제되고, 견인체(140)와 웨지체(120) 사이에는 제4링(R4)이 개제된다.The upper cap 150, the main body 110, the slewing body 140 and the wedge body 12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upper cap 150 and the wedge body 120, A third ring R3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wedge body 120 and a fourth ring R4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60 and the wedge body 120. [ ) Is established.

제1링(R1)은 웨지체(120)의 제1 링홈(123)에 안착되어 상부캡(150)과 웨지체(120) 사이에 개재된다. 제3링(R3)은 웨지체(120)의 제3 링홈(125)에 안착되어 본체(110)와 웨지체(120) 사이에 개재된다. 제4링(R4)은 웨지체(120)의 제4 링홈(126)에 안착되어 웨지체(120)와 견인체(140) 사이에 개재된다.The first ring R1 is seated in the first ring groove 123 of the wedge body 120 an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ap 150 and the wedge body 120. The third ring R3 is seated in the third ring groove 125 of the wedge body 120 and inter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wedge body 120. The fourth ring R4 is seated in the fourth ring groove 126 of the wedge body 120 and interposed between the wedge body 120 and the ratchet body 140.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웨지 분리막(1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분리막(130)의 상단부에는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11t)과 대응되도록 연장부(131)가 형성되고, 연장부(131)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부(132)가 형성된다.4, another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1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with an extension 131 corresponding to the step 111t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 insertion portion 132 is formed.

상기 삽입부(132)는 본체(110)의 단턱(111t)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11p)에 삽입되어 웨지 분리막(130)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웨지체(120)에 인장재(20)가 물린 상태에서 인장력을 가할 때, 웨지 분리막(130)이 내측으로 말려서 찢어지거나 손상됨으로 인해 분리막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p formed inside the step 111t of the main body 110 to fix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130 so as not to move. This is to prevent the wedge separator 130 from functioning as a separator because the wedge separator 130 is curled inward and torn or damag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wedge body 120 while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는 인장재(20) 및 마찰재(30)가 양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앵커공을 시공하여 앵커공 내부에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를 삽입하고,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장착한 후, 인장재(20)에 인장력을 형성하여 토류벽에 정착시켜 필요한 공사를 한 후, 인장재(20)를 제거한다.In the inner fixing body for the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holes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tensile material 20 and the friction material 30 are connected to both ends, and the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s After the grout material is charged, the tensile material is formed on the tensile material 20, and the tensile material 20 is removed.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를 제거하는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S. 5A to 5C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removing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including an inner fixing body for a dispersion type composit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정착체(100)의 웨지체(120)에 의해 고정된 인장재(20)를 인장시키면, 웨지체(120)가 본체(1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웨지편(122)이 테이퍼면(111s)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장재(20)를 강하게 물게 된다. 이때, 웨지체(120)와 연결된 견인체(140)의 상단은 상부캡(150)의 삽입챔버(152)로부터 거의 이탈하게 된다.5A, when the tensile material 20 fixed by the wedge body 120 of the internal fixing body 100 is pulled, the wedge body 12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tensile member 122 is strongly moved along the tapered surface 111s.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ucking body 140 connected to the wedge body 120 is almost deviated from the insertion chamber 152 of the upper cap 150.

도 5a와 같이 인장재(20)를 인장한 상태에서 필요한 공사를 시공한 후에 인장재(20)에 가해진 정착을 해제한다. 인장재(20)의 정착이 해제되면, 도 5b와 같이 인장력과 동일한 반력이 인장재(20)에 가해짐으로써 인장재(20)를 물고 있던 웨지체(120)가 상부캡(150) 방향으로 튕겨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웨지체(120)와 연결된 견인체(140)가 상부캡(150)의 삽입챔버(152) 내부로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5A,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le material 20 is released after the necessary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material 20 is pulled. 5B, the sam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material 20 so that the wedge body 120 holding the tensile material 20 is repelled toward the upper cap 150 and moves At this time, the needle body 140 connected to the wedge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chamber 152 of the upper cap 150.

이때, 견인체(140)와 삽입챔버(152)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탄성체(160)가 반발력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견인체(140)에 의해 상부캡(15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body 160 interposed between the needle body 140 and the insertion chamber 152 generates a repulsive force, the impa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upper cap 150 by the ratchet body 140 .

이와 같이 인장재(20)에 인장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인장재(20)를 회전시키면, 인장재(20)를 물고 있던 웨지체(120)와 견인체(14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삽입챔버(152) 내부로 삽입되고 웨지체(120)의 웨지편(12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게 됨으로 인해 인장재(20)와의 고정력이 해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인장재(20)를 내부 정착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tensile material 20 is rotated while the tensile force is removed from the tensile material 20, the wedge body 120 having the tensile material 20 attached thereto and the needle body 140 rotate integral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edge pieces 122 of the wedge body 120 is increased, so that the fixing force with the tensile material 20 is released. The tensile material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fixing body 100 by the above process.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20 : 인장재
30 : 마찰재 50 : 벌빙구조
100 : 내부 정착체 110 : 본체
120 : 웨지체 130 : 웨지 분리막
140 : 견인체 150 : 상부캡
160 : 탄성체
10: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20: Tension material
30: friction material 50:
100: internal fixing body 110:
120: wedge body 130: wedge separator
140: yoke 150: upper cap
160: elastomer

Claims (7)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의 선단에 영구 앵커용 마찰재가 부착된 적어도 2 이상의 복합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재가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인장재의 선단이 물리는 웨지체;
상기 웨지체의 이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재를 분리할 때 상기 웨지체를 상기 본체의 반대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체;
상기 본체와 나사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마찰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캡; 및
상기 견인체와 상기 상부캡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An inner fixing body of at least two or more composite ground anchors having a permanent anchor friction member attached to the tip of an inner fixing body for a tensile removing type ground anchor,
A body formed with a hollow therein and having a tension member inserted at one end thereof;
A wedge body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dy and having a tip end of the tensile material;
A shoulder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edge body and pulling the wedg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ody when the tensile material is separated;
An upper cap screw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end to which one end of the friction material is connected; And
And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s and the upper cap
Internal Fixture for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체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웨지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edg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wedge body and the main body
Internal Fixture for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분리막은
상기 본체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둘레에서 수직방향으로 굴곡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측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edge separation membrane
An extens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step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extende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t the inner side of the step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upper end
Internal Fixture for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웨지체 및 상기 견인체의 이동을 위한 하부 챔버와,
상기 견인체의 상단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삽입챔버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ap
A lower chamber for moving the wedge body and the shoulder body,
And an insertion chamber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upper end of the sleeves
Internal Fixture for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체는
상기 삽입챔버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삽입챔버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개재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oulder
And a first chamber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chamber,
Wherein the elastic body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insertion chamber
Internal Fixture for Dispersion Composite Ground Anchor.
적어도 2 이상이 계단식으로 연결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지중에 매설되는 마찰재;
시공 이후 제거되는 인장재; 및
상기 마찰재와 상기 인장재를 연결하는, 제1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At least two of which are connected in a stepped manner,
Friction material embedded in the ground;
A tensile material removed after construction; And
And an inner fixing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ich connects the friction material to the tensile material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comprising an internal fixture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중단에 벌빙구조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를 포함하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riction material
Including a blowing structure at break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comprising an internal fixture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KR1020150182286A 2015-12-18 2015-12-18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KR101839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286A KR101839100B1 (en) 2015-12-18 2015-12-18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PCT/KR2016/004276 WO2017104908A1 (en) 2015-12-18 2016-04-25 Internal fixture for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286A KR101839100B1 (en) 2015-12-18 2015-12-18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04A true KR20170073404A (en) 2017-06-28
KR101839100B1 KR101839100B1 (en) 2018-03-15

Family

ID=5905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286A KR101839100B1 (en) 2015-12-18 2015-12-18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9100B1 (en)
WO (1) WO201710490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04U (en) 2019-11-22 2021-06-01 배경철 A Removable anchor bod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069B1 (en) * 2001-12-17 2004-06-0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inner fixing device for a tension member removetype ground anchor
KR200375568Y1 (en) * 2004-11-11 2005-03-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Frictional force and tension dispersed composite ground anchor
KR200443047Y1 (en) * 2006-11-08 2009-01-07 임대순 Anchoring element for ground anchor
KR101241403B1 (en) * 2012-05-02 2013-03-11 주식회사 대성방재기술 Removal anchor
KR101471487B1 (en) * 2014-02-27 2014-12-24 삼진스틸산업(주) multipurpose load dispersion style ground anch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100B1 (en) 2018-03-15
WO2017104908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378B2 (en) Flush mount screw anchor
KR101839100B1 (en) Inner fixing device for dispersed compositeground andchor
KR100825484B1 (en) Fixing type nail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200093381A (en) Set anchor bolt
US9810254B2 (en) Expansion bolt
JP5399216B2 (en) anchor
KR20140067787A (en) Removable tendon cable type anchor
KR20090080917A (en) Nail device for obtaining pre-tention
KR101774869B1 (en) Removable anchor fixing device
KR20150073587A (en) Anchor bolt
KR101640150B1 (en) Anchorage for ground anchor
KR100483011B1 (en) locking and dismantling equipment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KR200403638Y1 (en) Ground anchor of removal wire
KR102288507B1 (en) strand joint structure for safe disassembly
KR20090019189A (en) A extension anchor
KR100447996B1 (en) dismantling method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JP2014237988A (en) Post-construction anchor and post-construction anchor system
KR101691770B1 (en) Anchor for architectural
KR200419243Y1 (en) Removal anchor
KR100447967B1 (en) dismantling equipment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KR200485838Y1 (en) Anchor Bolt for Fixing Wall
KR200344958Y1 (en) Tension member removable anchoring apparatus with wedge spring and wedge-cone spring
US20120282058A1 (en) Anchor Rod
KR200240313Y1 (en) Removable anchor with wedge for removable anchor
KR100494011B1 (en) anchor for elimination equipment of te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