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244A -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244A
KR20170073244A KR1020150181933A KR20150181933A KR20170073244A KR 20170073244 A KR20170073244 A KR 20170073244A KR 1020150181933 A KR1020150181933 A KR 1020150181933A KR 20150181933 A KR20150181933 A KR 20150181933A KR 20170073244 A KR20170073244 A KR 20170073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odule
evaluation
managemen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Priority to KR102015018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244A/ko
Publication of KR2017007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또는 회사의 인트라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라도 교육훈련 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러닝에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평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출제관리부;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응시관리부; 및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결과관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ext E-Learning Test Management System and How it works}
본 발명은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닝서비스 기업, 관공서, 학원, 대학교 등 이 테스트(e-TEST)를 실시하고자 하는 모든 기관에서 문항 제작부터 채점 및 종합성적표까지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과 사용은 사람들의 생활 유형을 많이 변모시키고 있으며 교육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형태가 소개되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이러닝(e-learning)이 있다.
이러닝은 WBT (Web-based training), 즉 웹 기반의 교육훈련으로 WBT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또는 회사의 인트라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라도 교육훈련 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서, 대체로 "e-learn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닝에는 두 가지 기본적인 모델이 있는데, 그 하나는 강사가 개입되는 동기식과, 스스로 학습형이라 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 있다. 교육훈련 내용은 학습 포탈, 하이퍼링크된 웹 페이지, 스크린 캠을 이용한 교재, 스트리밍 오디오나 비디오, 웹캠을 이용한 생방송 등 정적인 모델과, 토론방, 채팅 및 데스크톱 화상 회의 등 상호 작용적인 방법이 상호 결합한 형태로 전달된다.
미국교육훈련개발학회 ASTD에 의하면, 미국 내 약 75%의 근로자가 산업계의 요구 및 점증하는 세계 경쟁에 발맞추기 위해 향후 5년 이내에 재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휴렛팩커드는 공학 분야 학사 학위의 반감기가 18개월 이하로 줄어들 수 있다고 추정한다. WBT 예찬론자들은, WBT가 필요할 때마다 이용할 수 있고,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경제적이라는 측면을 들어, 평생 교육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완전한 해결방안이라고 믿고 있다. 반면 비평적인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WBT가 독립적이고, 스스로 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WBT가 기술적인 문제와 사람 간의 접촉 필요 등의 측면에 있어 다른 교육훈련 형태를 이용하는 학습자들에 비해 제한적이라고 지적한다.
전자학습은 전통적인 교육의 장과 비교할 때 학습공간과 학습경험이 보다 확대되고, 학습자 주도성이 강화될 수 있는 교육으로 ICT 활용교육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ICT 활용교육이 학습 환경과 방법, 내용 측면에서보다 확대되고 발전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형식적 측면: 공간의 확장 (오프라인 → 온라인 / 교실 → 가정, 사회)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기존 교실중심의 ICT 활용교육에서 사이버 공간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장이 가정과 학교 등으로 확장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자기주도적으로 하는 학습체제;
방법적 측면: 학습자 주도성 강화
면대면 학습에서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학습으로 학습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약해짐에 따라 학생의 수준별 또는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이 보다 강화된 학습체제;
이처럼, 멀리 떨어진 교육자에게 효과적으로 강의를 할 수 있는 이러닝은 그 장점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강의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려한 나머지 강의를 들은 수강생에게 이러닝의 효과가 얼마나 있는지 판단의 척도가 되는 시험으로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는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지는 않은 편이다. 또한, 시험 평가에 출제되는 문항은 문제 은행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의로 선택됨에 따라 용량은 많이 차지하면서도 특정 분야가 많이 출제되고 어느 한 분야는 전혀 출제가 되지 않음으로 해서 평가의 공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었고, 시험 일정 관리나 시험지 관리를 등한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또는 회사의 인트라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라도 교육훈련 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러닝에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평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출제관리부 ;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응시관리부; 및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결과관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제관리부는 문항 템플릿, 문항 포맷, 문항 난이도 및 문항 유형을 선택하여 문항을 저작하고 저작한 문항을 미리 보기 할 수 있는 문항저작도구모듈; 단원별, 답안유형별, 난이도별 및 배점별로 선택하여 문항이 시험지에 출제되도록 작성할 수 있는 시험지저작도구모듈; 및 응시 일시 및 시험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험일정관리모듈; 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응시관리부는 응시 시간이 시작되면 평가 관리 접속 웹브라우저 외에 다른 어떤 웹브라우저 창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의 창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없게 하는 부정응시방지모듈; 응시 도중 네트워크 또는 PC 문제로 인해 응시자가 평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복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응시장애관리모듈; 네트워크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정보량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시험분산처리모듈; 및 전체응시자의 네트워크 접속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응시현황모니터링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과관리부는 응시한 시험지를 자동으로 채점하여 성적을 구하는 채점자동화모듈; 상기 성적을 분석하고 다른 응시자와 비교하여 성적분석통계를 산출하는 성적분석/리포트모듈; 틀린 문항과 정답에 대한 해설을 화면에 표시하고 인쇄를 할 수 있게 하는 오답노트모듈; 및 응시자가 그동안 응시했던 시험 성적과 가장 최근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과 비교하여 성적변화통계를 산출하는 통계관리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제관리부는 응시자가 직접 평가 시험에 출제될 문제를 등록할 수 있는 응시자출제모듈;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단계;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단계;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이러닝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평가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닝 관리자, 문제 출제자 및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수업 범위에서의 난이도에 적절하고 응시 시간, 배점 출제될 문항수가 체계적으로 된 시험을 치르게 할 수 있음으로써 실제 교육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된 차세대 이러닝 시스템의 평가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시관리부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관리부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 문항 및 보기가 이러닝 평가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어 있는 관계를 도시한 데이터베이스 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리를 위한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의 문항저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의 시험지저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험자 응시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순차풀이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험자 응시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일괄풀이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정방지옵션 사용시 응시자 모니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관리부의 성적분석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답노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시현황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된 차세대 이러닝 평가관리시스템(Next E-learning Test Management System:NEL-TMS)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러닝 평가관리시스템은(100)은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평가 관리를 하기 위한 출제관리부(200), 응시관리부(300) 및 결과관리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200)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제관리부(200)는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것으로서 문항저작도구모듈(210), 시험지저작도구모듈(220), 시험일정관리모듈(230) 및 응시자출제모듈(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제관리부(200)를 이루고 있는 각 모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면,
문항저작도구모듈(210)은 문항 저작툴을 이용하여 손쉽게 문항을 저작하는 모듈로서 문항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문항 템플릿을 설정하고 또한, 텍스트, HTML, 이미지, 사운드와 같은 문항에 입력할 포맷을 설정하며, 문항의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문항난이도를 결정하고 문항 유형을 단답형으로 할 것인지, 서술형으로 할 것인지, O·X 형 또는 객관식으로 할 것인지 설정함으로써 문항을 저작하고, 저작한 문항을 미리 보기 할 수 있다.
시험지저작도구모듈(220)은 문항저작도구모듈(200)에서 저작된 문항을 시험지에 단원별, 답안유형별, 난이도별로 랜덤하게 출제하기 위한 모듈로서 단원별, 답안유형별, 난이도별로 문항을 그룹화하여 분류하고 각 그 그룹별 배점을 지정하며 그룹별 랜덤 출제 문항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시험지에 출제한 문항을 미리 보기 하거나 여러 문항이 게재한 시험지를 미리 보기 할 수 있다.
시험일정관리모듈(230)은 응시 일시 및 시험 시간을 설정하는 모듈로서, 시험의 응시일, 시험의 시작 시각, 시험의 종료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응시자는 시험일정관리모듈(230)에서 설정된 응시일과 시험 시간에만 시험지에 응시할 수 있다.
응시자출제모듈(240)은 ERP(전사적 자원 관리) 및 그룹웨어에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임직원 평가를 위한 모듈로서 평가 대상인 임직원, 즉 응시자가 출제될 문제를 등록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기업용 버전에만 포함되어 있어서, 사내 임직원 인사평가 및 직무능력 평가가 필요한 기업, 교육 후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는 오프라인 학원 및 관공서 및 일시적 대규모 집합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는 일반 기업에서 평가 대상인 응시자가 문제를 직접 출제하게 하여 검수를 통해 실제 문항으로 채택함으로써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출제자의 문항 출제 업무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시관리부(300)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시관리부(300)는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부정응시방지모듈(310), 응시장애관리모듈(320), 동시시험분산처리모듈(330) 및 응시현황모니터링모듈(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응시관리부(300)를 이루고 있는 각 모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면,
부정응시방지모듈(310)은 응시 시간이 시작되면 평가 관리 시스템 접속 웹브라우저 외에 다른 어떤 웹브라우저 창 또는 메신저와 같은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창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응시자가 메신저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다른 사람에게 묻거나 검색 사이트로 문항에 관련된 답을 검색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한 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
응시장애관리모듈(320)은 응시자가 응시 도중 네트워크 장애 또는 PC 문제로 인해 평가관리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복구 조치를 취하는 모듈로써, 문제가 생기기 직전까지의 응시자가 풀었던 문항과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시간 중 소모한 시간을 자동 저장되도록 하여 네트워크 장애가 해결되고 PC 가 원활히 동작할 때 이어서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동시시험분산처리모듈(330)은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응시함에 인해 발생하는 네트워크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험 시작 및 종료 프로세스를 분산처리함으로써 전송 경로를 다양화하고 각 응시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정보량을 최소화하게끔 관리하여 데이터 패킷의 양을 최소로 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응시현황모니터링모듈(340)은 전체 응시자의 인원 및 전체 응시자의 네트워크 접속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전체 응시자의 응시율을 알 수 있으며 장애가 발생한 응시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관리부(400)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관리부(400)는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채점자동화모듈(410), 성적분석/리포트모듈 (420), 오답노트모듈(430) 및 통계관리모듈(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과관리부(400)를 이루고 있는 각 모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면,
채점자동화모듈(410)은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응시자가 시험 응시를 종료하게 되면 시험지를 자동으로 채점하여 성적을 산출하는 모듈이다.
성적분석/리포트모듈(420)은 성적을 분석하고 다른 응시자와 비교하여 단원별, 난이도별, 주관식/객관식별 성적분석 통계를 산출하여 리포트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특정 응시자가 시험 응시를 마치게 되면 상기 응시한 시험에 대한 성적, 전체 석차, 단원에 따른 정답 수, 난이도에 따른 정답수, 주관식/객관식 정답 수 등을 산출하여 리포트를 작성하고 응시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다.
오답노트모듈(430)은 틀린 문항과 정답에 대한 해설을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와 화면에 표시한 내용의 인쇄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만약 시험지 인쇄가 문항 저작권 보호로 인해 가능하지 않으면 단지 인쇄가 불가능하고 화면상으로만 정답과 해설을 표시된 시험지를 조회할 수 있다.
통계관리모듈(440)은 응시자가 그동안 응시했던 모든 시험에 대한 시험 성적과 가장 최근에 응시한 시험 성적을 비교하여 단원별, 난이도별, 주관식/객관식별 및 기타 여러 가지 응시자가 참고할 수 있는 성적변화통계를 산출한다. 따라서, 응시자가 보기를 원하는 부분을 조회하여 체계적으로 성적 향상 정도와 수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 문항 및 보기가 이러닝 평가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어 있는 관계를 도시한 데이터베이스 관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제관리부에서 등록된 시험지 DB(510), 문항DB(520) 및 보기DB(530)는 각각 고유의 식별코드(511,521,531)를 가지고 다른 항목과 연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시험 C 는 식별코드 A1301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 출제되는 문항 1, 문항 2 ... 가 갖는 식별코드 B3111, B3112와 연계되어 있다. 또한, 문제 1은 보기 1, 보기 2, 보기 3...와 함께 표시되는데 문제 1이 갖는 식별코드 B3111 은 보기의 식별코드 C171101, C171102, C171103과 연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험지 DB(510)에 있는 정보처리시험 C 는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문항과 보기가 한꺼번에 모든 것이 포함되어 정보처리시험 C로서 시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유의 식별코드를 가지고 각각 따로따로 저장된다.
따라서, 단지 식별코드를 연계하여 시험지가 구성되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관리되므로 중복되는 수강 과목이 있는 시험문제에 동일한 시험 문제를 출제하더라도시험지는 문제 및 보기에 해당하는 식별 코드의 정보만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등록되는 시험지마다 문제 및 보기 중복되어 함께 저장되는 일이 없게 되어 저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만큼 시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550)가 특정한 시험을 응시하는 것을 요청하게 되면, 그 시험 데이터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로서 전송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응시자가 시험을 치를 경우, 클라이언트(550)에 해당하는 응시자가 문제 및 보기 식별코드를 갖는 시험지를 XML 파일 형식으로 시험지 정보를 수신하여 XML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시험지, 문제, 보기에 해당하는 각 코드정보만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코드에 해당하는 필요한 시험지, 문제, 보기만 선별하여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제와 보기를 포함한 시험지에 관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단위로 제작하여 클라이언트(550)에 공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많은 부하를 가하여 네트워크의 전송 상태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았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참고로 XML에 대해 살펴보면
XML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다른 특수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용도에서 권장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SGML(Standard Genralized Markup Language)의 단순화된 부분집합이지만, 수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XML은 주로 다른 시스템, 특히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여 HTML의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리를 위한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제자는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을 작성하고 시험지에 게재하여 시험지를 저작(S600)한다. 문항에 대한 템플릿, 포맷, 난이도, 유형을 간편하게 설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문항을 작성하고 시험지에 배치하여 평가 시험의 저작을 하고 나면, 평가 관리 시스템 관리자는 평가 시험 시에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특정 응시자에 이상 발생시 신속히 조치를 취함으로써 응시 장애를 방지하고, 또한 부정 응시를 방지(S602)한다. 그리고 시험이 종료되면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S604)하여 응시자가 자신의 성적을 확인하고 다른 응시자와 비교하여 비교 분석 통계를 통해 자신의 평가 시험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문항 제작부터 최종 시험 평가까지 이러닝을 이용하는 수강자에게 일목요연하게 평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의 문항저작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왼쪽에는 문항에 입력될 지문, 보기 및 해설을 저작할 수 있는 문항저작 툴이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작성한 문항의 문제, 보기가 화면에 실제로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는 미리보기가 표시된다. 출제자가 문항을 제작하려면 먼저 화면 상단에서 일반형, 2단 보기형 또는 우측보기와 같은 문항템플릿을 설정하여 문항이 표기될 유형을 설정한다. 그리고 텍스트, HTML, 이미지, 사운드 등이 문항 지원 포맷으로 지원하므로 원하는 포맷으로 지문과 보기를 출제한다. 또한, 출제한 문항의 난이도를 A부터 E 까지 지정할 수 있고 단답형, 서술형, O·X형, 객관식과 같은 다양한 문항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화면 오른쪽에는 작성 도중에 지문,보기 및 해설을 확인할 수 있는 미리 보기 기능이 있으므로 제출자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편리하게 문항을 저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제관리부의 시험지저작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왼쪽에는 출제자가 작성하여 등록한 문항들이 나열되고 화면 오른쪽에는 출제자는 시험지를 저작하기 위해 설정한 그룹핑에 따라 문항이 표시된다. 그룹핑으로 문항을 분류하고 속성을 지정함으로써 시험지를 저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핑으로 문항을 분류하여 문항들의 속성을 화면에 표시하고 랜덤 출제 문항수와 그룹별 배점과 같은 문항의 속성을 지정하여 단원별, 답안유형별, 난이도별로 시험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문항 미리 보기, 시험지 미리 보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험자 응시화면으로 순차풀이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풀이 방식은 한 문제씩 풀이하며 문항을 이동하는 방식으로서 화면에는 한 문항이 표시되고 화면 상단에는 남은 시간이 나오고 'PREV', 'NEXT'를 이용하여 이전 문제나 다음 문제로 이동할 수 있다. 화면 오른쪽에는 문항이 표시되어 정답을 기재한 문항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문제 이동 간 딜레이 시간은 응시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뒷문항으로 이동방지 옵션, 잠시 멈춤 허용 및 제출 후 다시 보기 허용 옵션, 부정방지 가동 옵션 기능이 있으며, 또한, 답안 복원 및 지연제출을 할 수 있는 장애복구와 문항이동, 나중에 풀기 같은 스마트 답안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주로 IT 시험 및 공인 자격증 CBT 평가 방식에 사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험자 응시화면으로 일괄풀이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괄풀이는 모든 문제를 한 화면에 노출한 방식으로서 화면에는 문항들이 일괄적으로 모두 표시되고 화면 오른쪽에는 문항번호와 정답이 표시된다. 이외에도 잠시 멈춤 허용 옵션, 제출 후 다시 보기 허용 옵션 및 제출 후 다시 보기 허용 옵션, 부정방지 가동 옵션 기능이 있다. 순차풀이와 마찬가지로 장애복구, 스마트 답안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주로 국내 자격증 및 대부분의 학원 모의 평가 방식에 사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정방지옵션 사용시 응시자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지에 관한 웹브라우저 창 외의 모니터 영역은 검은색 백그라운드로 처리되어 메신저, 웹브라우저 및 기타 프로그램 창이 표시될 수 없어서 평가 시험에 관한 자료를 다른 창에 띄어 놓거나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만약 응시자가 듀얼 모니터를 가지고 응시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시험지 창 외의 모든 영역은 비 활성화되어 검은색 백그라운드로 표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관리부의 성적분석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적분석표는 상단에 응시자와 응시정보, 응시번호 및 제출일시가 표시되고 응시자가 응시한 시험에 대한 통계로서의 종합결과, 취약분석, 답안분석이 표시된다. 이러한 단원별 취약분석, 난이도별 취약 분석, 문항별 답안 분석이 제공되므로 응시자는 상세하고 면밀하게 자신의 성적을 확인 할 수가 있다. 또한,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기업용 버전에서는 지점별/부서별/팀별 석차 및 평균 분석표와 같은 기타 분석 통계 패키지를 지원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답 노트는 응시한 시험에서 틀린 문항과 정답 및 해설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험지를 전체 보기와 틀린 문항만 보기가 가능하고 틀린 문항에는 해설이 지원되며, 필요에 따라 문항 저작권 보호에 따라 시험지 인쇄를 허용할 것인지 그리고 시험지 인쇄가 허용되었을 시에 시험지 원본만 인쇄할지 또는 정답 및 해설을 포함하여 인쇄할지를 선택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시현황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상단에는 접속률, 진행률, 제출자가 비율로서 표시되고 응시자들의 정보가 표기되며, 그림 하단에는 응시자의 진행사항이 표시되므로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응시자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응시예정인원에 대한 현재응시자의 비율인 응시율과 응시자에 대한 시험지 제출자의 비율인 제출률과 같은 정보와 응시자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에 이상이 있는 응시자의 지연 제출을 허용할 수 있고 오조작으로 인한 제출에 문제가 생긴 응시자에 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서 부정 응시와 이용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NEL-TMS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 관리를 할 수 있다.
100: 차세대 이러닝 평가관리 시스템 200: 출제관리부
210: 문항저작도구모듈 220: 시험지저작도구모듈
230: 시험일정관리모듈 240: 응시자출제모듈(기업용버전)
300: 응시관리부 310: 부정응시방지모듈
320: 응시장애관리모듈 330: 동시시험분산처리모듈
340: 응시현황모니터링모듈 400: 결과관리부
410: 채점자동화모듈 420: 성적분석/리포트모듈
430: 오답노트 모듈 440: 통계관리모듈
500: 시험관리 DB 510: 시험지 DB
511: 시험지 식별코드 520: 문제 DB
521: 문제 식별코드 530: 보기 DB
531: 보기 식별코드 540: XML 파일
550: 클라이언트 PC

Claims (6)

  1.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출제관리부 ;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응시관리부; 및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결과관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제관리부는
    문항 템플릿, 문항 포맷, 문항 난이도 및 문항 유형을 선택하여 문항을 저작하고 저작한 문항을 미리 보기 할 수 있는 문항저작도구모듈;
    단원별, 답안유형별, 난이도별 및 배점별로 선택하여 문항이 시험지에 출제되도록 작성할 수 있는 시험지저작도구모듈; 및
    응시 일시 및 시험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험일정관리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관리부는
    응시 시간이 시작되면 평가 관리 접속 웹브라우저 외에 다른 어떤 웹브라우저 창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의 창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없게 하는 부정응시방지모듈;
    응시 도중 네트워크 또는 PC 문제로 인해 응시자가 평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복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응시장애관리모듈;
    네트워크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정보량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시험분산처리모듈; 및
    전체응시자의 네트워크 접속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응시현황모니터링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관리부는
    응시한 시험지를 자동으로 채점하여 성적을 구하는 채점자동화모듈;
    상기 성적을 분석하고 다른 응시자와 비교하여 성적분석통계를 산출하는 성적분석/리포트모듈;
    틀린 문항과 정답에 대한 해설을 화면에 표시하고 인쇄를 할 수 있게 하는 오답노트모듈; 및
    응시자가 그동안 응시했던 시험 성적과 가장 최근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과 비교하여 성적변화통계를 산출하는 통계관리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제관리부는 응시자가 직접 평가 시험에 출제될 문제를 등록할 수 있는 응시자출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6.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및 시험지를 저작하는 단계;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응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용 장애, 부정 응시를 방지하는 단계;
    응시한 시험지를 채점하여 성적을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방법.
KR1020150181933A 2015-12-18 2015-12-18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3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33A KR20170073244A (ko) 2015-12-18 2015-12-18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33A KR20170073244A (ko) 2015-12-18 2015-12-18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244A true KR20170073244A (ko) 2017-06-28

Family

ID=592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33A KR20170073244A (ko) 2015-12-18 2015-12-18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991B1 (ko) 2022-02-11 2022-12-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기반 시험 및 평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991B1 (ko) 2022-02-11 2022-12-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기반 시험 및 평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raim Online examination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earners’ perspectives
Somyürek et al. Board’s IQ: What makes a board smart?
Williams An Examination of Technology Training Experiences from Teacher Candidacy to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Adedokun-Shittu et al. Assessing the impacts of ICT deploy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Using ICT impact assessment model
Halbherr et al. Making examinations more valid, meaningful and motivating: The online exams service at ETH Zurich
Efend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uter Based Test (CBT) in vocational education
Achacoso Evaluating technology and instruction: Literature review and recommendations
Greller et al. Using learning analytics to investigate student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courses
Trenholm Adaptation of tertiary mathematics instruction to the virtual medium: approaches to assessment practice
Ogunlade et al. Lecturers’ perceptions of computer-based test in Nigerian Universities
KR20170073244A (ko) 차세대 이러닝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eiro-Rodríguez et al. Introducing BeA into self-regulated learning to provide formative assessment support
Bertuzi et 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distance accounting learning in covid19 context
Sedivy-Benton et al. Emergence of successful online courses: A student and faculty shift
Stobaugh et al. Student teacher use of technology to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Chigbuson et al.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factors affec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urses in the polytechnics
Bakeer Innovative Pedagogies: The Impact of Interactive Learning on EFL Students’ Attitude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Opportunities in HE
Jones et al. A Case Study of a Multi-Faceted Approach to Evaluating Teacher Candidate Ratings
Davis Enhancing graph production skills via programmed instruction: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effect of guided-practice on data-based graph production
Ololube Evaluating the usage and integration of ITs and IS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a sprouting nation
McAllister et al. Key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mputing science
Amadi-Iwai et al. Awareness, Competence and Utilization of Google Document for Improved Job Performance by Business Educators in Universities in South-South Nigeria
Weng et al. An IMS-QTI Compliant Multimedia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with SPC and Student Response Time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Smith Faculty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undergraduate courses at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Tassell et al. Math and Science Teacher Candidates' Use of Technology to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Student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