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974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974A
KR20170069974A KR1020170072343A KR20170072343A KR20170069974A KR 20170069974 A KR20170069974 A KR 20170069974A KR 1020170072343 A KR1020170072343 A KR 1020170072343A KR 20170072343 A KR20170072343 A KR 20170072343A KR 20170069974 A KR20170069974 A KR 2017006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blowing fan
control memb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0094B1 (en
Inventor
김진백
길성호
전병우
조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094B1/en
Publication of KR2017006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Abstract

실내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유로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한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토출구;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가이드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류팬;과 상기 제1유로가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가이드;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류팬 사이에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유로가이드 및 상기 제2유로가이드 사이에 마련된다.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of an air passage provided inside of an indoor unit is compac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a suction por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discharge po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th guid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at least one cross flow fan, wherein the discharge port includes a first flow path guide and a second flow path guid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guide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팩트하게 개선된 공기 유로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mpactly improved air pass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며, 이 중 실내기는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The indoor unit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a blower fan for sucking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and blowing the sucked air back into the room do.

좀 더 자세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부에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부에 열교환기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배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흡입, 송풍된 공기가 실내기의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로 이동한 공기가 열교환기 및 공기토출구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More specifically, an air blowing fan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and a heat exchanger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ir sucked and blown by the blowing fan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The air that has moved to the upper part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 discharge opening.

이러한 실내기의 경우, 송풍팬 및 열교환기가 각각 상, 하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실내기의 공간활용성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In the case of such an indoor unit, since the air blowing fan and the heat exchanger must be arranged up and down respectively, it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door unit.

또한, 송풍팬을 거친 공기가 실내기의 상부로 이동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되어야 하므로, 실내기의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는 유로가 길어지고,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게 되므로, 에너지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unit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the flow path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unit becomes longer and the load applied to the blowing fan for blowing the inhaled air becomes larger.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energy utilization, and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air volume and wind spe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조, 특히 공기가 흐르는 유로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ternal structure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a structure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compac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air flow rate and the air velocity of the discharged ai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토출구;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가이드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류팬;과 상기 제1유로가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가이드;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류팬 사이에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유로가이드 및 상기 제2유로가이드 사이에 마련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suction por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discharge po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th guid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cross flow fan provided inside the first flow guide and a second flow guid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guide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between the inlet and the at least one cross flow fan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guide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상기 횡류팬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횡류팬 사이에는 구획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The cross-flow fan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units, and a partition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ross-flow fans.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1토출블레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blade for adjust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상기 제1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제1유로가이드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blade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flow guide.

상기 제2유로가이드는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폭이 줄어들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guide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width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상기 횡류팬의 중심 및 상기 구획부재 사이의 거리(H)와 상기 횡류팬의 직경(D)의 길이비는 0.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The ratio of the distance (H) between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partition member to the diameter (D) of the cross-flow fan may be 0.5 or more and 1.5 or less.

상기 토출구의 토출각은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The ejection angle of the ejection opening may be 1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30° 이상 90° 이하일 수 있다.The angl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body may be 30 ° or more and 90 ° or less.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first flow gui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may have a protruding rib and the other may have a receiving groove.

상기 횡류팬은 상기 돌출리브 및 상기 수용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ross-flow fa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rib and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2유로가이드는 제2토출블레이드;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제2토출블레이드를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guide may include a second discharge blade and 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second discharge blade forward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ischarge blade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공기토출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상기 송풍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송풍팬의 외곽에 배치되는 커버;와,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공기가 상기 복수의 송풍팬으로 나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패널 후면에 배치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an air inle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 air outlet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blowing f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bl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air outlet,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ver dispos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a front panel dis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front panel; And a partition memb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blowing fan.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커버의 내측과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outlet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cover and one side of the front panel.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ve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공기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블레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rotating blad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ver to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송풍팬의 중심 및 상기 구획부재 사이의 거리(H)와 상기 송풍팬의 직경(D)의 길이비는 0.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The length ratio of the distance H between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and the partitioning member to the diameter D of the blowing fan may be 0.5 or more and 1.5 or less.

*상기 공기토출구의 토출각은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The discharge angle of the air outlet may be 10 ° or more and 60 °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마련된 돌출리브 및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된 수용홈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부재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blowing fan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rib provided in the first bracket and the receiv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 air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air outlet and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Member.

상기 돌출리브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수용홈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rib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the air control member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

상기 송풍팬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fan may be disposed to be deflected toward one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main body.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The angl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body may be 0 ° or more and 60 ° or less.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may extend from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one side surface.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제2회전블레이드;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제2회전블레이드를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제2회전블레이드를 상기 이송부재의 일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trol member includes a second rotating blade, a conveying member that conveys the second rotating blade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hinge coupling unit that rotatably couples the second rotating blade to one end of the conveying memb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팩트한 유로 구조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velocity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mpact flow path structure can be increased, and the cooling ability of the air conditioner is improved.

또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절감된다.Further, since the air volume and the air velocity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the energy required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is reduced.

또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이 줄어들게 되어,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재료비가 절감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re reduced, and the material cost required for production of the product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1토출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4a 내지 도 4b는 송풍팬의 회전수 조절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제2토출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C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discharge blades. FIG.
4A and 4B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discharge blades.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실내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되는 토출구(20) 및 흡입구(30)와, 본체(10)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40)를 포함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송풍팬(50)과 열교환기(60)가 배치된다.1 and 2, an indoor unit 100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an indoor unit 100, And a first flow guide 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blowing fan 50 and a heat exchanging part 40. The main body 10 has a discharge port 20 and a suction port 30, (60) is disposed.

흡입구(3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10) 후면 상부에 위치하여, 흡입구(30) 주위의 공기가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구(30)의 내측으로는 필터(32)가 설치되어 흡입구(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한 불순물 등을 걸러주게 된다.The suction port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ir around the suction port 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100. A filter 32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uction port 30 to filter out fine impurities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30.

흡입구(30)와 인접하는 본체(10) 내부에는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60)가 배치된다.A heat exchanger (60) for heat exchange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30).

열교환기(60)는 흡입구(30)와 대응하도록 상, 하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을 빼앗아 토출구(20)를 통해 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 exchanger 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ction port 30 and takes the heat of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0 to discharge col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사용되는 열교환기(60)로는 PF(Parallel Flow) 방식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A parallel flow (PF) heat exchanger may be used as the heat exchanger 60 used in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열교환기(60)의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시키는 송풍팬(50)이 마련된다.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60), a blowing fan (50)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is provided.

송풍팬(5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흡입구(30) 및 열교환기(60)를 거친 공기를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체(10) 내부의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air blowing fan 5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moothly blow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30 and the heat exchanger 60. The air blowing fan 50 has one And is rotatably installed.

송풍팬(5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52)가 각각 결합되어 송풍팬(50)을 회전시키게 된다.A drive motor 5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lowing fan 50 to rotate the blowing fan 50.

송풍팬(50)의 외주면에는 블레이드들(54)이 송풍팬(5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들(54)을 지난 공기가 슬릿을 통해 송풍팬(50) 내부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된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The blades 5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50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lowing fan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formed with slits (not shown) (See FIG. 3A to FIG. 3C) through the inside of the blowing fan 50 through the slit.

또한, 송풍팬(50)의 회전축(56)과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평면이 서로 수직이므로 송풍팬(50)을 횡류팬(50)이라고 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50 may be referred to as a cross flow fan 50 because the plane where the flow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rotary shaft 56 of the blowing fan 50 and the suction port 30 is generated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체(10)의 양측에는 송풍팬(50)을 통한 공기가 토출구(20)를 통해 원활히 토출될 수 있도록 제1유로가이드(40)가 마련된다.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 first flow guide 40 is provided so that air through the blowing fan 5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20.

제1유로가이드(40)는 송풍팬(50)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가이드(44)와, 후방가이드(42)의 일단과 연결되어 송풍팬(50)을 지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20)를 형성하는 전방가이드(42)로 구성된다.The first flow path guide 40 includes a rear guide 44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50 and a rear guide 4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ar guide 42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50 And a front guide 42 for forming a discharge port 20 for discharging.

전방가이드(42)의 일단에는 제1토출블레이드(90)가 결합된다. A first discharge blade (9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ront guide (42).

제1토출블레이드(90)는 전방가이드(42)의 일단에 힌지장치 등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토출구(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The first discharge blade 9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ront guide 42 via a hinge device or the like so as to control the amount a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 [

제1토출블레이드(90)는 전방가이드(42)의 일단에서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므로 제1회전블레이드(90)로도 칭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blade 9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ng blade 90 because it controls the amount and direction of air by rotating at one end of the front guide 42.

전방가이드(42)의 일단은 본체(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C)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실내기(10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데, 이 때, 중심선(C)과 전방가이드(42)의 일단이 이루는 각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각(α)을 형성하게 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각(α)은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front guide 42 extend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center line C across the center of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one end forms the discharge angle alpha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angle alpha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preferably 1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한 편, 제1유로가이드(40)는 본체(10)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 측면을 덮는 커버로써의 역할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low path guide 4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serve as a cover for cover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본체(10)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40) 사이에는 제2유로가이드(70)가 마련된다.A second flow guide 7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guides 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제2유로가이드(70)는 제1유로가이드(40)와 함께 토출구(20)를 형성하게 되는데, 토출구(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forms a discharge port 20 together with the first flow path guide 40. 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has a width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in orde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 [ Is formed in a reduced shap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유로가이드(40)의 전방가이드(42)는 소정 각도의 토출각(α)을 가지고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제2유로가이드(70)는 전방가이드(42)와 대응할 수 있도록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송풍팬(50)을 통과한 공기가 흐르게 되는 유로(72) 및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20)를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guide 42 of the first flow guide 40 is form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with a discharge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flow guide 70 is formed with a front guide The flow path 72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blowing fan 50 flows and the discharge port 20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ort 42 do.

또한, 제2유로가이드(70)는 본체(10)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전면을 덮는 패널로써의 역할도 하게 된다.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also serves as a panel tha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can not be seen.

제2유로가이드(70)의 후방에는 구획부재(80)가 결합된다.A partition member 8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구획부재(80)는 제2유로가이드(7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판(84)과, 결합판(84)과 결합하며, 열교환기(60) 및 결합판(84)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82)으로 구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80 includes an engaging plate 84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flow guide 70 and a partition plate 84 that engages with the engaging plate 84 and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60 and the engaging plate 84. [ And a plate 82.

결합판(84)은 구획판(82)이 제2유로가이드(7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구획판(84)은 열교환기(6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본체(10)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 송풍팬(5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송풍될 수 있도록 송풍팬(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coupling plate 84 allows the partition plate 82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and the partition plate 84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ir exchang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is suppli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serves to divide a space formed between the blowing fans 50 so as to be blown by only one of the blowing fans 50 arranged.

이와 같이 구획부재(80)를 설치하는 이유는 본체(10) 양측에 설치된 송풍팬(50) 사이에 서로 간섭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획부재(80)가 없을 경우, 본체(10) 양 쪽에 위치한 송풍팬(50)의 가운데에 있는 공기는 양 쪽의 송풍팬(50)의 영향을 모두 받아 토출구(20)로 원활히 토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어느 한 쪽에 위치한 송풍팬(50)에 더 가까운 공기라도 다른 쪽에 위치한 송풍팬(50)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송풍팬(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구(20)로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받을 수 있다.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partition member 80 in this way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blowing fans 5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 That is, in the absence of the partition member 80, the air in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5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0 by the influence of both the blowing fans 50 The air blown by the air blowing fan 50 can flow smoothly to the air outlet 20 because air blown by the air blowing fan 50 located on the other side is affected by the air blowing fan 50 located on the other side. Can be interrupted.

따라서 구획부재(80)는 본체(10) 내부의 열교환기(60)를 지난 공기가 유로(72)로 원활히 흐를 수 있게 하는 한 편, 송풍팬(50)의 송풍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The partition member 80 can smoothly fl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in the main body 10 to the flow path 72 while increasing the blowing efficiency of the blowing fan 50.

물론 실내기(10)의 폭이 커서 송풍팬(50) 사이가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송풍팬(50) 사이의 간섭이 거의 없을 정도라면 구획부재(80)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partition member 80 may not be provided if the width of the indoor unit 10 is larg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blowing fans 50 becomes wid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blowing fans 50 is hardly generated .

한 편, 송풍팬(50)의 중심 및 구획판(82) 사이의 거리(H)와 송풍팬(50)의 직경(D)의 길이비는 0.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송풍팬(50)과 구획판(82)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울 경우 또는 송풍팬(50)과 구획판(82)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 경우, 송풍팬(50)의 송풍 효율이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stance H between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50 and the partition plate 82 and the diameter D of the blowing fan 50 is preferably 0.5 or more and 1.5 or less. This is becau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lowing fan 50 and the partition plate 82 is too clos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lowing fan 50 and the partition plate 82 is too long, the blowing efficiency of the blowing fan 50 is excessively reduced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의 경우, 흡입구(30), 열교환기(60), 송풍팬(50), 토출구(20)가 본체(10)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까지 흐르게 되는 유로의 부피가 작아지고, 흡입구(30) 및 토출구(2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30, the heat exchanger 60, the blowing fan 50, and the discharge port 20 are arrang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he volume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is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ort 30 and the discharge port 20 is shortened.

흡입된 공기는 짧은 유로를 통해 유로 저항을 거의 받지 않은 상태로 송풍팬(50)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되므로 송풍팬(50)의 회전수를 크게 늘리지 않더라도 많은 양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되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sucked air is blown out by the blowing fan 50 in a state in which the passage resistance is hardly received through the short flow path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discharged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50 is not greatly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air volume and wind speed of the discharged ai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과정,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air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내지 도 3c는 제1토출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송풍팬의 회전수 조절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FIGS. 3A to 3C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discharge blades, and FIGS. 4A to 4B are operation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control of the blowing fan.

구동모터(52)에 의해 송풍팬(50)이 회전하면, 흡입구(30) 주위의 공기는 흡입구(30) 및 필터(32)를 거쳐 실내기(100)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60)를 거쳐 열을 빼앗긴 상태로 구획부재(80)에 의해 각각 양쪽의 송풍팬(50)에 이르게 된다. 송풍팬(50) 이르게 된 공기는 송풍팬(50)의 원주면에 마련된 슬릿(미도시)을 통해 송풍팬(50) 내부를 관통한 후, 유로(72) 및 토출구(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blowing fan 5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52, the air around the suction port 30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of the indoor unit 100 via the suction port 30 and the filter 32, The air is led to both the blowing fans 50 by the partition member 80 in a state where the heat is taken away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 The air that has reached the blowing fan 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lowing fan 50 through a slit (not shown)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50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flow path 72 and the discharge opening 20 And is discharged.

도 3a은 본체(10) 양쪽에 배치된 송풍팬(5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고, 본체(10) 전방에 대칭되게 형성된 토출구(20)에 위치한 제1토출블레이드(90)의 회동각이 동일한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discharge blade 90 located at the discharge port 20 formed symmetrically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the same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5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he air is sucked in and discharged.

도 3a의 경우, 본체(10) 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토출블레이드(90)는 전방가이드(42)가 이루는 토출각(α) 및 제2유로가이드(70)의 폭이 줄어드는 경사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로(72)를 지난 좌, 우의 공기는 제1토출블레이드(90)에 의한 저항이 최소가 된 상태에서 토출각(α)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어 제2유로가이드(70)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서로 합쳐지게 되고, 이 때, 좌, 우의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은 동일하므로, 본체(10) 전방과 수직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3A,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have a discharge angle? Formed by the front guide 42 and a slope at which the width of the second flow guide 70 decreases, Are arranged in parallel. Left and right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72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flow path guide 70 at the same angle as the discharge angle a with the resistance of the first discharge blade 90 being minimum, At this time, since the air velocity and the air flow rate of the left and right air are the same, they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도 3b 및 도 3c는 본체(10) 양쪽에 배치된 송풍팬(5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고, 본체(10) 전방에 대칭되게 형성된 토출구(20)에 위치한 제1토출블레이드(90)의 회동각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3B and 3C are views show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e blade 90 located at the discharge port 20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sam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5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at different angles.

도 3b 및 도 3c의 경우, 본체(10) 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토출블레이드(9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본체(10)의 전방으로 더 회동한 상태이므로, 본체(10)의 전방으로 더 회동한 제1토출블레이드(90) 쪽의 유로 저항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더 크게 된다.3B and 3C, since any one of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urther tur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s compared with the other one, The flow resistance on the side of the first discharge blade 90 which is further turned forward is larger than that on the other side.

따라서 유로(72)를 지난 좌, 우의 공기는 제1토출블레이드(90)를 지나면서 서로 풍속 및 풍량이 달라지게 되고, 각각 제2유로가이드(70)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서로 합쳐지게 될 경우, 전체적으로 제1토출블레이드(90)에 의한 저항을 덜 받은 쪽의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Therefore, when left and right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72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the air velocity and the air flow rat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y ar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flow guide 70 and are merged with each other, The air that has undergone less resistance by the first discharge blade 90 as a whole flows in the discharge direction.

도 4a는 제1토출블레이드(90)의 회동각이 서로 동일한 상태에서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왼쪽에 배치된 송풍팬(50)만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제1토출블레이드(90)의 회동각이 서로 동일한 상태에서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오른쪽에 배치된 송풍팬(50)만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4A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blowing fan 50 disposed on the left side with the center line C interposed therebetween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have the same rotation angle, Only the blowing fan 50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the center line C interposed therebetween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pivoting angles of the pivoting members 90 are equal to each other.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블레이드(90)는 그대로 두고, 양쪽에 위치한 송풍팬(50)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시켜 원하는 풍속 및 풍량, 풍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esired wind speed, air volume and direction by operating only one of the blowing fans 50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out leaving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위와 같은 구조 및 원리를 통해 사용자는 송풍팬(50)의 회전수 및 제1토출블레이드(90) 회동각을 제어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상태의 실내 공기 온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indoor air temperature in a desired stat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5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discharge blades 90 through the above structure and princip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는 실내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되는 토출구(220) 및 흡입구(230)와, 본체(210)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제1유로가이드(240)를 포함하며, 본체(210)의 내부에는 송풍팬(250)과 열교환기(260)가 배치된다.5 and 6, an indoor unit 200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200,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a first flow guide 2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The main body 210 has a blowing fan 250 and a heat exchanging part 250. The main body 210 has a discharge port 220 and a suction port 230, A device 260 is disposed.

흡입구(230)는 본체(210)의 상부 후면 및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230)가 소정 각도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210)의 상부 후면 및 측면에 결합되는 이유는 열교환기(260)가 본체(2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경우, 흡입구(230)를 지난 공기가 열교환기(260)에 이르는 거리를 단축시켜 열교환기(260)와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uction port 2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rea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heat exchanger 260 is disposed at an angl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suction port 230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heat exchanger 260 can be effectively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260 by shortening the distance to the heat exchanger 260.

흡입구(230)와 인접하는 본체(210) 내부에는 흡입구(2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260)가 배치된다.A heat exchanger 260 for heat exchange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30 is disposed in the body 210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230.

열교환기(260)는 상, 하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구(2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을 빼앗아 토출구(220)를 통해 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 exchanger 2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take the heat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30 so that the cold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260)는 본체(210)의 중심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C')과 소정 각도(β)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도(β)는 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26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a with the center line C 'transversely intersecting the center of the body 210 and the angle? Deg.] Or l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에 사용되는 열교환기(260)로는 PF(Parallel Flow) 방식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A parallel flow (PF) heat exchanger may be used as the heat exchanger 260 used in the indoor unit 2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열교환기(260)의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시키는 송풍팬(250)이 마련된다.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260, a blowing fan 250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is provided.

송풍팬(25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흡입구(230) 및 열교환기(260)를 거친 공기를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체(2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본체(210)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ir blowing fan 25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moothly blow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230 and the heat exchanger 260. The center line C ' 'May be defl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송풍팬(25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252)가 각각 결합되어 송풍팬(250)을 회전시키게 된다.A drive motor 25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lowing fan 250 to rotate the blowing fan 250.

송풍팬(250)의 외주면에는 블레이드들(254)이 송풍팬(25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들(254)을 지난 공기가 슬릿을 통해 송풍팬(250) 내부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된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The blades 25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250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lowing fan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formed with slits (not shown) (See Figs. 7A to 7C) through the slit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lowing fan 250. (See Figs.

또한, 송풍팬(250)의 회전축(256)과 흡입구(2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평면이 서로 수직이므로 송풍팬(250)을 횡류팬(250)이라고 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250 may be referred to as a cross flow fan 250 because the plane of the flow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256 of the blowing fan 250 and the suction port 230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체(210)의 양측에는 송풍팬(250)을 통한 공기가 토출구(220)를 통해 원활히 토출될 수 있도록 제1유로가이드들(240)이 마련된다.First flow guides 2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so that ai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through the air blowing fan 250.

제1유로가이드들(240)는 본체(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242)과 본체(210) 타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244)으로 구분되며, 제1브라켓(242)은 돌출리브(248)와, 돌출리브(248)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249)를 포함하고, 제2브라켓(244)은 수용홈(246)과, 수용홈(246)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247)를 포함한다.The first flow guides 240 are divided into a first bracket 242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a second bracket 244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first brackets 242 And includes a protruding rib 248 and a first extending portion 249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rib 248. The second bracket 244 includes a receiving groove 246 and a receiving groove 246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246 And a second extension 247.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리브(248) 및 수용홈(246) 사이에는 송풍팬(250)이 배치되고, 제1연장부(249) 및 제2연장부(247)에 의해 유로(288) 및 토출구(220)가 형성된다.A blowing fan 250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ed ribs 248 and the receiving grooves 246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low path 288 and the discharge port 220 are formed by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49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47, Is formed.

제2유로가이드(270)는 전면케이스(280)에 결합되어, 제1연장부(249) 및 제2연장부(247) 사이에 마련되며, 제2회전블레이드(272), 이송부재(274), 힌지결합부(276)를 포함한다.The second flow guide 270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28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xtended portion 249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47 and includes a second rotating blade 272, a conveying member 274, And a hinge engaging portion 276. As shown in Fig.

이송부재(274)는 전면케이스(280)에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단은 힌지결합부(276)를 통해 제2회전블레이드(272)와 결합된다.The conveying member 274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280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rearward and one end of the conveying member 274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through the hinge engaging portion 276.

제2회전블레이드(272)는 힌지결합부(276)를 통해 이송부재(274)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veying member 274 through the hinge engaging portion 276. [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유로가이드(270)의 제2회전블레이드(272)는 실내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본체(210)의 전, 후방으로 진퇴운동을 하게 된다.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of the second flow path guide 27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moves back and forth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210 depending on whether the indoor unit is operating or not.

즉, 실내기(2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부재(274)가 본체(210) 쪽으로 후퇴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본체(210)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220)를 막게 된다.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200 is not operated, the conveying member 274 is retracted toward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rotates the discharge port 2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

실내기(20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이송부재(274)가 본체(21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하여 토출구(220)를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토출구(220)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며, 토출되는 공기는 제2회전블레이드(27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When the indoor unit 200 is operated, the conveying member 274 moves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open the discharge port 220,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opened discharge port 220 , And the air to be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by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see Figs. 7A to 7C).

한 편, 제2유로가이드(270)는 토출구(220)를 개폐하는 역할 및 제2회전블레이드(272)를 회동시켜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기제어부재로써의 역할을 한다.The second flow path guide 27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220 and to control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by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As an air control memb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의 경우, 흡입구(230), 열교환기(260), 송풍팬(250), 토출구(220)가 본체(210)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까지 흐르게 되는 유로의 부피가 작아지고, 흡입구(230) 및 토출구(22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In the indoor unit 2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230, the heat exchanger 260, the air blowing fan 250, and the discharge port 220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210 The volume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is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ort 230 and the discharge port 220 is shortened.

흡입된 공기는 짧은 유로를 통해 유로 저항을 거의 받지 않은 상태로 송풍팬(250)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되므로 송풍팬(250)의 회전수를 크게 늘리지 않더라도 많은 양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되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sucked air is blown out by the blowing fan 250 in a state in which the passage resistance is hardly received through the short channel,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air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250 is not greatly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air volume and wind speed of the discharged ai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과정,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air through the above structure and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air to be discharged will be described.

도 7a 내지 도 7c는 제2토출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따른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FIGS. 7A to 7C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discharge blades.

구동모터(252)에 의해 송풍팬(250)이 회전하면, 흡입구(230) 주위의 공기는 흡입구(230) 및 필터(미도시)를 거쳐 실내기(200)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60)를 거쳐 열을 빼앗긴 상태로 송풍팬(250)에 이르게 된다. 송풍팬(250) 이르게 된 공기는 송풍팬(250)의 원주면에 마련된 슬릿(미도시)을 통해 송풍팬(250) 내부를 관통한 후, 유로(288)를 거쳐 제2유로가이드(270)에 의해 개방된 토출구(2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blowing fan 25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252, the air around the suction port 230 flows into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suction port 230 and a filter (not shown) The air is led to the blowing fan 250 in a state in which heat is taken through the heat exchanger 260. [ The air that has reached the blowing fan 2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lowing fan 250 through a slit (not shown)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250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flow guide 270 through the flow path 288. [ And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opened by the discharge port.

도 7a는 제2유로가이드(270)의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10)의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b 및 도 7c는 제2유로가이드(270)의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본체(210)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of the second flow guide 270 is moved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not rotated. FIGS. 7B and 7C show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low guide 27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of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moved forward of the main body 210. [

도 7a에서와 같이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1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부재(274)의 일측과 제1연장부(249) 및 이송부재(274)의 타측과 제2연장부(247)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구(220)를 통해 공기가 본체(21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7A, when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not rotate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49 and the feeding member 274,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form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47.

도 7b 및 도 7c에서와 같이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본체(210)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회전블레이드(272)가 회전한 방향의 토출구(220)는 막히게 되고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토출구(220)는 개방되므로 개방된 한 쪽의 토출구(220)를 통해 공기가 편향되어 토출된다.As shown in FIGS. 7B and 7C, when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lade 272 is moved forward of the main body 210, The discharge port 220 is blocked and the discharge port 2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is opened so that air is deflected and discharged through one discharge port 220 that is opened.

10, 210: 본체, 20,220: 토출구,
30,230: 흡입구, 40,240: 제1유로가이드,
50,250: 송풍팬, 60,260: 열교환기,
70,270: 제2유로가이드, 80: 구획부재.
10, 210: main body, 20, 220:
30,230 suction port, 40,240 first flow guide,
50,250 blowing fan, 60,260 heat exchanger,
70, 270: second flow guide, 80: partition member.

Claims (10)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마련된 돌출리브 및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된 수용홈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therein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nd an air blow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blow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air outlet, 1.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an,
A first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blowing fan disposed between a protruding rib provided in the first bracket and a receiv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an air control member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forward or rearward of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trol member moves forward of the main body to open the air outlet,
And the air control member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close the air outle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양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air control member moves forward of the main body to open the air outlet,
And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is discharged from both sides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ntrol memb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a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토출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air control member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is discharged from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en the air control member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수용홈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rib;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air control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ir blowing fan is deflected toward one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main bod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s 0 DEG or more and 60 DEG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inlet extends from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one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제2회전블레이드;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제2회전블레이드를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제2회전블레이드를 상기 이송부재의 일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ntrol member comprises:
A second rotating blade;
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second rotating blade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hinge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second rotary blade rotatably at one end of the conveying member.
KR1020170072343A 2017-06-09 2017-06-09 Air conditioner KR101880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43A KR101880094B1 (en) 2017-06-09 2017-06-09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43A KR101880094B1 (en) 2017-06-09 2017-06-09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39A Division KR101749658B1 (en) 2010-09-01 2010-09-0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974A true KR20170069974A (en) 2017-06-21
KR101880094B1 KR101880094B1 (en) 2018-07-20

Family

ID=5928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43A KR101880094B1 (en) 2017-06-09 2017-06-09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0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963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4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62A (en) * 2002-12-18 200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70060877A (en)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70073142A (en) * 2006-01-03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80044039A (en) *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00085428A (en) * 2009-01-20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62A (en) * 2002-12-18 200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70060877A (en)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70073142A (en) * 2006-01-03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80044039A (en) *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00085428A (en) * 2009-01-20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963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4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094B1 (en)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8B1 (en) Air conditioner
KR100755139B1 (en) Air conditioner
US11041643B2 (en) Air conditioner
KR101606006B1 (en) Air conditioner
EP2208942A2 (en) Air conditioner
CN106225070B (en) Air duct machine
KR101880094B1 (en) Air conditioner
KR20160044998A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03443554A (en) Bathroom dryer
EP2821717B1 (en) Wind direction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KR20150077776A (en) Dehumidifier
CN110914599A (en) Air conditioner
JP2000111131A (en) Air blowoff port structure of blower device
CN111380106A (en) Cabine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2009006753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12682850A (en) Air conditioner
KR20070033531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90052387A (en) Air Conditioner
CN114087754A (en) Air duct component,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11575272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209558529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209558640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outlet grat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2451313B1 (en) Air Conditioner
KR101899659B1 (en) Air conditioner
CN100425921C (en) Floor stand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