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460A -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460A
KR20170069460A KR1020150176671A KR20150176671A KR20170069460A KR 20170069460 A KR20170069460 A KR 20170069460A KR 1020150176671 A KR1020150176671 A KR 1020150176671A KR 20150176671 A KR20150176671 A KR 20150176671A KR 20170069460 A KR20170069460 A KR 2017006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hydraulic
oil
switching val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222B1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2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작업기가 작업면의 굴곡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되는 플로팅 기능의 실현을 위해 작업용 차량에 적용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는,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중지를 제어하거나 유압회로를 플로팅 회로로 절환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플로팅 절환 밸브, 플로팅 절환 밸브의 제1 드레인포트(R1)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리턴라인을 플로팅 절환 밸브의 유압실린더 토출 측 제2 드레인포트(R2)에 연결하는 배유라인 및 배유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펌프와 플로팅 절환 밸브 사이의 급유라인에 작동압 공급라인으로 연결된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HYDRAULIC CIRCUIT FOR WORKING MACHINE LIFTING AND FLOATING}
본 발명은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면의 굴곡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되는 플로팅 기능을 위한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라 불리우는 작업차량은 후방 히치(hitch)에 작업기를 장착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유리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레이크(rake), 로터베이터(rotavator), 플로우(plow), 해로우(harrow) 등의 작업기를 히치에 부착하여 경운, 쇄토 작업 및 병해충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히치(hitch)는 트랙터 운전석 주위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로 인해 히치에 장착된 작업기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트랙터 후미에 작업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는, 운전석 주위에 배치된 상기 레버를 적절히 조작하여 작업기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절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기 중에서도 해로우(harrow, 이하 '써레'라 한다)를 이용하는 써레 작업(갈아 놓은 논이나 밭의 흙덩이를 잘게 부수거나 땅바닥을 판판하게 고르는 작업)의 경우, 작업 품질의 균일성 확보를 위해 작업면의 굴곡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써레를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플로팅(floating) 기능이 요구된다.
플로팅 기능의 구현을 위해 스풀형 플로팅 밸브가 작업차에 선택 사양으로 적용된다. 플로팅 밸브는 유압펌프에서 송출되는 작동유의 통로를 변환하여 오일의 흐름을 규제하는 유압밸브이며, 유압밸브는 그 특성상 오일 리크(LEAK)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오일 리크는 실린더의 처짐 또는 들림의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작업 또는 주행 시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오일 리크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플로팅 밸브와 실린더 사이의 유압라인에 체크밸브를 적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구성품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오일 리크 방지와 플로팅 기능이 동시에 발휘되는 유압회로의 구현은 불가능하다. 즉 체크밸브를 사용할 경우 플로팅 전용 별도 구성품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상승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016483호(공개일 2007. 1. 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오일 리크(LEAK)를 방지하면서도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플로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중지를 제어하거나 유압회로를 플로팅 회로로 절환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플로팅 절환 밸브;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제1 드레인포트(R1)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리턴라인을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유압실린더 토출 측 제2 드레인포트(R2)에 연결하는 배유라인; 및
상기 배유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펌프와 플로팅 절환 밸브 사이의 급유라인에 작동압 공급라인으로 연결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절환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플로팅 위치로 절환되면, 플로팅 절환 밸브와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실린더라인의 작동유와 상기 급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리턴라인을 통해 오일탱크로 드레인되는 플로팅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상기 유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위치로 절환되면,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체크밸브가 작동되고 상기 배유라인이 형성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정상적인 유압실린더 승강이 구현되는 승강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중립 위치로 절환되면, 상기 급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는 리턴라인을 통해 오일탱크로 드레인되고,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배유라인이 형성하는 유로가 폐쇄되어 오일 리크(LEAK)가 발생하지 않는 중립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조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타입(SOLENOID TYPE) 또는 스풀 선단의 조작레버를 통해 조작신호를 직접 입력하는 매뉴얼 타입(MANUAL TYP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압펌프와 플로팅 절환 밸브 사이의 상기 급유라인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이동을 단속하는 방향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에 의하면, 오일 리크(LEAK) 방지를 위해 체크밸브를 사용하면서도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도 플로팅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체크밸브를 통해 밸브(플로팅 밸브) 중립 시 오일 리크(LEAK)에 따른 유압실린더(작업기 승강용 리프트 실린더)의 처짐 또는 들림은 방지하면서도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지 않고 플로팅이 구현될 수 있어, 플로팅 구현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부착해야 함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유압회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의 유압회로도.
도 2는 도 1에서 체크밸브가 배치된 'Ⅰ'부 상세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는, 써레(harrow)와 같은 작업기가 작업면(경작면)의 굴곡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되는 플로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작업차량에 적용되는 유압회로로서, 유압실린더(30), 플로팅 전환 밸브(20), 배유라인(T), 작동압 공급라인(S) 및 파일럿 압력으로 작동되는 체크밸브(40)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30)는 유압펌프(10)와 연결되며, 유압펌프(10)가 공급하는 작동유(압력유체)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유압실린더(30)는 작업차의 차체 후미부(또는 전방)의 견인장치와 작업기 예컨대, 써레(harrow)를 연결하며, 상기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작동유 흐름 제어에 따라 신축 구동되면서 상기 작업기(미도시)를 승강시킨다.
유압실린더(30)는 피스톤을 경계로 대향된 두 개의 유압실(302, 304)을 구비한 공지의 복동형 실린더(Double acting cylinder)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유압실린더(30)가 하나만 적용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둘 이상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 유압실린더(30)에 대응하는 개수로 플로팅 전환 밸브(20)가 추가될 수 있다.
플로팅 전환 밸브(20)는 상기 유압펌프(10)와 유압실린더(30) 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유압펌프(10)에서 송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규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작동/중지를 제어하거나 유압회로를 플로팅이 구현될 수 있는 플로팅 회로로 절환시킨다.
플로팅 전환 밸브(20)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조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타입(SOLENOID TYPE)일 수 있다. 또는 스풀 선단의 조작레버를 통해 조작신호를 직접 입력하는 매뉴얼 타입(MANUAL TYPE)의 방향전환밸브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력포트(P1, P2)와 드레인포트(R1, R2), 출력포트(A, B)를 각각 두 개씩 구비한 6PORT 4WAY 밸브일 수 있다.
플로팅 전환 밸브(20)는 조작신호(또는 조작력) 입력에 따른 내부 스풀(SPOOL)의 위치에 따라, 유압실린더 상승 측 절환(작업기 상승), 유압실린더 하강 측 절환(작업기 하강), 중립(작업기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시킨 채 주행 또는 작업할 경우 사용) 및 플로팅 기능(작업면 굴곡에 맞춰 작업기를 승각시키는 기능) 실행 측 절환 등 총 4개 방향으로 절환될 수 있다.
플로팅 전환 밸브(20)가 유압실린더(30) 상승 측으로 절환되면 유압펌프(10)가 공급하는 작동유는 P1포트에서 A포트를 거쳐 유압실린더(30) 상승 측 유압실로 이동되고 반대편 유압실의 작동유는 B포트에서 R2포트를 거쳐 오일탱크(50)로 귀환하게 되며, 반대로 유압실린더(30) 하강 측으로 절환되면 작동유는 P1포트에서 B포트로 공급되어 유압실린더(30)로 이동된다.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중립 위치로 절환시킨 경우에는, 유압펌프(10)가 공급하는 작동유는 P2포트에서 R1포트를 거쳐 그대로 오일탱크(50)로 귀환되며, 플로팅 위치로 절환시킬 경우 P1포트, R1포트, 실린더 측 A포트와 B포트가 서로 연통되어 작동유가 실린더의 유압실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플로팅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플로팅 전환 밸브(20) 절환에 따른 유압실린더(30) 승강 및 중립, 플로팅 기능의 실행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내지 도 5의 작동 상태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플로팅 전환 밸브(20)는 유압펌프(10)와 급유라인(P)으로 연결된다. 급유라인(P)은 중간에 두 갈래로 분기되어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상기 입력포트(P1, P2)에 각각 연결되며,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드레인포트 중 R1포트가 리턴라인(T1)을 통해 오일탱크(50)에 연결되어 R1포트를 빠져 나온 작동유는 리턴라인(T1)을 통해 오일탱크(50)로 드레인된다.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제1 드레인포트(R1포트)와 오일탱크(50)를 연결하는 상기 리턴라인(T1)에 제2 드레인포트(R2포트)가 상기 배유라인(T)을 통해 접속된다. 배유라인(T)에는 배유라인(T)이 형성하는 유로를 개폐시켜 작동유의 흐름을 단속하는 상기 체크밸브(40)가 설치되며, 이때 체크밸브(40)는 급유라인(P)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작동압 공급라인(S)으로 급유라인(P)과 연결된다.
도면부호 15는 상기 유압펌프(10)와 플로팅 전환 밸브(20) 사이의 상기 급유라인(P)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이동을 단속하는 방향제어밸브이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향하는 작동유의 이동을 단속하는 동시에, 전술한 유압실린더(30)와는 기능이 다른 유압실린더(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풀밸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은 회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통상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로서, 회로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유체의 일부 또는 전량을 드레인 측으로 배출시켜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 값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 기능한다.
도 2는 도 1에서 체크밸브가 배치된 'Ⅰ'부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40)는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S)과 통하는 유압실(401)을 형성한 압력체크밸브(4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압 공급라인(S)을 통해 상기 유압실(401)에 스프링(404) 반력보다 큰 파일럿 압력이 작용할 경우 스풀(402)이 축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스풀(402)에 형성된 유로가 밸브 바디(400)의 입력 측과 출력 측을 작동유 이동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밸브 절환 상태에 따라 체크밸브(40)의 상기 유압실에는 스프링(404) 반력보다 큰 압력이 작용하거나, 스프링(404) 반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진 압력이 작용한다. 즉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밸브 절환 상태에 따른 스프링(404) 반력과 유압실에 작용하는 압력의 대소 관계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40)는 개방되거나 닫힘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유압실린더(30) 승강 위치로 절환 시 상기 체크밸브(40)의 유압실(401)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이 스프링(404) 반력보다 커서 체크밸브(40)가 개방위치로 전환되고, 중립 또는 플로팅 위치로 절환 시에는 작동유가 오일탱크(50) 측으로 드레인됨으로써 상기 유압실(401)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은 상대적으로 스프링(404) 반력보다 작아져 체크밸브(40)가 닫힘 위치로 전환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플로팅 전환 밸브 절환에 따른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 작동 상태 유압회로도로서, 도 3은 플로팅 전환 밸브가 유압실린더 상승(도 3의 (a))과 하강(도 3의 (b)) 측에 절환된 때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플로팅 기능 사용 시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플로팅 전환 밸브를 중립 위치에 절환한 경우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유압실린더(30) 상승(1) 측에 절환하면, 급유라인(P)을 통해 작동압 공급라인(S)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하여 체크밸브(40)가 개방 측에 전환되며, 따라서 유압펌프(10)가 공급하는 작동유는 P1포트와 A포트를 거쳐 유압실린더(30)의 상승 측 유압실(302)로 이동되고 반대편 유압실(304)의 작동유는 B포트와 R2포트를 거쳐 오일탱크(50)로 귀환하게 된다.
반대로,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유압실린더(30) 하강 측에 절환하면(도 3의 (b)), 급유라인(P)을 통해 작동압 공급라인(S)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하여 체크밸브(40)가 개방 측에 전환되는 것은 유압실린더(30) 상승 측 절환과 동일하며, P1포트와 B포트, A포트와 R2포트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작동유는 유압실린더(30)의 하강 측 유압실(304)에 공급되고. 반대편 작동유는 A포트와 R2포트를 거쳐 오일탱크(50)로 이동된다.
도 4와 같이,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플로팅 위치로 절환한 경우에는, P1포트, R1포트, 실린더 측 A포트와 B포트가 서로 연통되어 작동유가 실린더의 유압실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플로팅 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 배유라인(T)에 설치된 체크밸브(40)에는 작동유가 오일탱크(50) 측으로 드레인됨으로써 스프링(404) 반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파일럿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체크밸브(40)는 닫힘 위치에 고정된다.
체크밸브(40)가 닫힘 위치에 고정되고 급유라인(P)과 실린더라인(C1, C2)의 작동유가 리턴라인(T1)을 통해 드레인되는 플로팅(floating) 회로에서는, 플로팅 전환 밸브(20)의 위치를 실린더 승강이나 중립에 절환시키지 않는 이상 작업면의 굴곡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작업기 예컨대, 써레(harrow)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플로팅이 구현된다.
한편 도 5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전환 밸브(20)를 중립 위치로 절환시키면, P2포트가 R1포트에 접속되어 급유라인(P)과 리턴라인(T1)이 연통되며, 이에 따라 급유라인(P)의 작동유는 리턴라인(T1)을 통해 오일탱크(50)로 그대로 드레인되고, 체크밸브(40)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이 스프링(404) 반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져 배유라인(T)의 유로가 폐쇄되고 오일 리크(LEAK)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에 의하면, 체크밸브를 통해 밸브(플로팅 밸브) 중립 시 오일 리크(LEAK)에 따른 유압실린더(작업기 승강용 리프트 실린더)의 처짐 또는 들림은 방지하면서도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지 않고 플로팅이 구현될 수 있어, 플로팅 구현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부착해야 함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유압회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압유의 이동을 단속하고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서 플로팅 절환기능을 갖춘 플로팅 전환 밸브가 적용된 유압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플로팅 전환 밸브 대신 일반 복동식 방향제어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팅 전환 밸브를 복동식 방향제어밸브로 대체한 변형 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유압펌프
15 : 방향제어밸브
20 : 플로팅 전환 밸브
30 : 유압실린더
40 : 체크밸브
50 : 오일탱크
60 : 릴리프밸브
P : 급유라인
S : 작동압 공급라인
T : 배유라인
T1 : 리턴라인

Claims (9)

  1.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중지를 제어하거나 유압회로를 플로팅 회로로 절환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플로팅 절환 밸브;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제1 드레인포트(R1)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리턴라인을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유압실린더 토출 측 제2 드레인포트(R2)에 연결하는 배유라인; 및
    상기 배유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펌프와 플로팅 절환 밸브 사이의 급유라인에 작동압 공급라인으로 연결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의 절환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플로팅 위치로 절환되면, 플로팅 절환 밸브와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실린더라인의 작동유와 상기 급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리턴라인을 통해 오일탱크로 드레인되는 플로팅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상기 유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위치로 절환되면,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체크밸브가 작동되고 상기 배유라인이 형성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정상적인 유압실린더 승강이 구현되는 승강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가 중립 위치로 절환되면, 상기 급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는 리턴라인을 통해 오일탱크로 드레인되고,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배유라인이 형성하는 유로가 폐쇄되어 오일 리크(LEAK)가 발생하지 않는 중립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절환 밸브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조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타입(SOLENOID TYPE) 또는 스풀 선단의 조작레버를 통해 조작신호를 직접 입력하는 매뉴얼 타입(MANUAL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과 통하는 유압실을 형성한 압력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작동압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실에 스프링 반력보다 큰 파일럿 압력이 작용하면 스풀이 축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스풀에 형성된 유로에 의해 밸브 바디의 입력 측과 출력 측이 작동유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플로팅 절환 밸브가 유압실린더 승강 위치로 절환 시 상기 체크밸브의 유압실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이 체크밸브의 스프링 반력보다 크고,
    플로팅 절환 밸브가 중립 또는 플로팅 위치로 절환 시 상기 유압실에 작용하는 파일럿 압력이 상대적으로 상기 스프링 반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와 플로팅 절환 밸브 사이의 상기 급유라인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이동을 단속하는 방향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KR1020150176671A 2015-12-11 2015-12-11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KR10249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671A KR102491222B1 (ko) 2015-12-11 2015-12-11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671A KR102491222B1 (ko) 2015-12-11 2015-12-11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60A true KR20170069460A (ko) 2017-06-21
KR102491222B1 KR102491222B1 (ko) 2023-01-25

Family

ID=5928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671A KR102491222B1 (ko) 2015-12-11 2015-12-11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83A (ko) * 2018-01-25 2019-08-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량 분배 시스템이 구비된 농작업차량
CN113357209A (zh) * 2021-04-22 2021-09-07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石油钻机的升降液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02A (ja) * 1993-06-22 1995-01-17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KR970000247A (ko) * 1995-06-30 1997-01-21 윤보현 산전 자궁내 감염과 주산기 이환진단을 위한 진단시약 및 진단키트
KR20020063689A (ko) * 2001-01-30 2002-08-05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승용 이앙기용 수평제어장치
JP2007016483A (ja) 2005-07-07 2007-01-25 Nabtesco Corp ローダ用油圧制御装置
KR100928801B1 (ko) * 2007-12-03 2009-11-25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KR20150092168A (ko) * 2012-12-20 2015-08-1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플로팅 기능이 구비된 건설기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02A (ja) * 1993-06-22 1995-01-17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KR970000247A (ko) * 1995-06-30 1997-01-21 윤보현 산전 자궁내 감염과 주산기 이환진단을 위한 진단시약 및 진단키트
KR20020063689A (ko) * 2001-01-30 2002-08-05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승용 이앙기용 수평제어장치
JP2007016483A (ja) 2005-07-07 2007-01-25 Nabtesco Corp ローダ用油圧制御装置
KR100928801B1 (ko) * 2007-12-03 2009-11-25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KR20150092168A (ko) * 2012-12-20 2015-08-1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플로팅 기능이 구비된 건설기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83A (ko) * 2018-01-25 2019-08-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량 분배 시스템이 구비된 농작업차량
CN113357209A (zh) * 2021-04-22 2021-09-07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石油钻机的升降液压系统
CN113357209B (zh) * 2021-04-22 2023-09-1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石油钻机的升降液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222B1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439B2 (en) Valve control valve circuit for operating a single acting hydraulic cylinder
US9683587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20160061228A1 (en) Valve Arrangement for the Hydraulic Circuit of a Work Machine
CN107250563B (zh) 用于建筑机械的流量控制阀
EP1764339B1 (en) Hydraulic arrangement for a lifting arm pivotably mounted on a vehicle
EP2909484B1 (en) System preventing pressured oil leakage to cylinder line in control valve systems with flow divider
KR102491222B1 (ko)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US9347200B2 (en) Flui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US10820470B2 (en) Hydraulic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incorporating implement-based hydraulic load sensing
JP4763365B2 (ja) ローダ用油圧制御装置
US7036421B2 (en) Driving device, particularly lifting device for a working vehicle
JP6650863B2 (ja) 制御弁及びこの制御弁を備えた作業車
US7076896B2 (en) Control for an operating arm of an earthmoving vehicle
KR20220011516A (ko) 유압 취출용 유로 전환 장치
KR20120072519A (ko) 가변 유량 제어 장치
US10125797B2 (en) Vent for load sense valves
KR20200047934A (ko) 외부 작업기 구동을 위한 작동유 취출 유압회로
JP7399133B2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ユニット
US11053958B2 (en) Regeneration valve for a hydraulic circuit
US11371537B2 (en) Hydraulic machine
US20050092169A1 (en) Control device for a hydraulic lifting arrangement
JP2004350514A (ja) 作業車輛における外部油圧取出装置
KR20230149623A (ko) 밸브 오조작 경고기능을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
JP5105845B2 (ja) 油圧制御装置
JPH0655302U (ja) 移動農機の油圧コントロー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