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214A -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 - Google Patents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214A
KR20170069214A KR1020177009465A KR20177009465A KR20170069214A KR 20170069214 A KR20170069214 A KR 20170069214A KR 1020177009465 A KR1020177009465 A KR 1020177009465A KR 20177009465 A KR20177009465 A KR 20177009465A KR 20170069214 A KR20170069214 A KR 20170069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video
bitstream
layers
opera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860B1 (ko
Inventor
프누 헨드리
잉 천
예-쿠이 왕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멀티플렉서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PLT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LT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한다.

Description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OPERATION POINT FOR CARRIAGE OF LAYERED HEVC BITSTREAMS}
이 출원은 2014 년 10 월 10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062,681 호 및 2014 년 10 월 15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064,428 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각각의 전체 내용들은 참조로 본원에 편입된다.
이 개시물은 비디오 코딩, 더욱 상세하게는,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기능들은, 디지털 텔레비전들, 디지털 다이렉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개인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들,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전자책 리더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레코딩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임용 디바이스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셀룰러 또는 위성 라디오 전화들, 소위 "스마트폰들", 화상 원격회의 디바이스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들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내에 편입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MPEG-2, MPEG-4, ITU-T H.263, ITU-T H.264/MPEG-4, Part 10, 진보된 비디오 코딩 (Advanced Video Coding; AVC), 고효율 비디오 코딩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에 의해 정의된 표준들, 및 이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비디오 코딩 기법들을 구현한다.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비디오 코딩 기법들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송신하고, 수신하고, 인코딩하고, 디코딩하고, 및/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코딩 기법들은 비디오 시퀀스들에 내재된 중복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공간적 (인트라-픽처 (intra-picture)) 예측 및/또는 시간적 (인터-픽처 (inter-picture)) 예측을 포함한다. 블록-기반 비디오 코딩을 위하여, 비디오 슬라이스 (예컨대, 비디오 프레임 또는 비디오 프레임의 부분) 는 비디오 블록들로 파티셔닝 (partitioning) 될 수도 있으며, 이 비디오 블록들은 또한, 트리블록 (treeblock) 들, 코딩 유닛 (coding unit; CU) 들 및/또는 코딩 노드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픽처의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한 픽처에서의 이웃하는 블록들 내의 참조 샘플들에 대한 공간적 예측을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픽처의 인터-코딩된 (P 또는 B) 슬라이스 내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한 픽처에서의 이웃하는 블록들 내의 참조 샘플들에 대한 공간적 예측, 또는 다른 참조 픽처들에서의 참조 샘플들에 대한 시간적 예측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픽처들은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참조 픽처들은 참조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공간적 또는 시간적 예측은 코딩되어야 할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으로 귀착된다. 잔차 데이터 (residual data) 는 코딩되어야 할 원래의 블록과 예측 블록 사이의 픽셀 차이들을 표현한다. 인터-코딩된 블록은 예측 블록을 형성하는 참조 샘플들의 블록을 지시하는 모션 벡터와, 코딩된 블록 및 예측 블록 사이의 차이를 표시하는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트라-코딩된 블록은 인트라-코딩 모드 및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추가의 압축을 위하여, 잔차 데이터는 픽셀 도메인으로부터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되어 잔차 변환 계수들로 귀착될 수도 있고, 그 후 이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다. 초기에 2 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변환 계수들의 1 차원 벡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캔될 수도 있고, 엔트로피 코딩은 훨씬 더 많은 압축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물은 예컨대, MPEG-2 (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동화상 전문가 그룹) 시스템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설명한다.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은 또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캐리지 (carriage)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시물은 계층화된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고효율 비디오 코딩) 비트스트림들의 계층들 사이의 종속성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이용되는 MPEG-2 전송 스트림 (Transport Stream; TS) 디스크립터의, 개선들일 수도 있는 일 예의 기법들을 설명한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 예컨대, HEVC 표준의 확장에 대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들은 멀티뷰 확장들 (예컨대, MV-HEVC), 스케일러블 확장들 (예컨대, SHVC), 및 3 차원 확장들 (예컨대, 3D-HEVC)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profile), 티어 (tier), 및 레벨 (level)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리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및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들을 저장하였고,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게 하고, 그리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예들의 세부사항들은 첨부한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된다.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는 일 예의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인코더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디코더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오디오/비디오 (A/V) 소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A/V 목적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일 예의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기초 스트림 (elementary stream) 들 사이의 종속성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 은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의 예를 예시하는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 은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의 예를 예시하는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8 은 비디오 데이터의 다수의 계층들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 는 이 개시물의 기법들에 따라 일 예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물은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동화상 전문가 그룹 (MPEG)-2 시스템들 레벨 데이터에 관련된 기법들을 설명한다. MPEG-2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하여 2 개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어떻게 함께 멀티플렉싱되는지를 설명한다. 이 개시물은 멀티-계층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MPEG-2 시스템들 데이터에 관련된 기법들을 설명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개시물은 계층화된 HEVC 의 계층들 사이의 종속성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MPEG-2 전송 스트림 (TS) 디스크립터를 설명한다 (예컨대, 일부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개선들일 수도 있는,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계층들 사이의 종속성 (또는 관계) 을 설명함). HEVC 표준 문서는 ITU-T H.265, 시리즈 H 로서 발표되어 있다: Audiovisual and Multimedia Systems, Infrastructure of audiovisual services (오디오비주얼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들, 오디오비주얼 서비스들의 기반구조) - Coding of moving video,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동화상의 코딩, 고효율 비디오 코딩), 국제 전기통신 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의 전기통신 표준화 섹터, 2015 년 4월.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 표준에 대한 확장 (예컨대, ITU-T H.265 로서 또한 지칭된 HEVC 표준인,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에 대한 확장) 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캐리지 (예컨대, 전송)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확장들은 멀티뷰, 3 차원, 및/또는 스케일러블 확장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멀티뷰 HEVC (MV-HEVC), 3 차원 HEVC (3D-HEVC), 및 스케일러블 HEVC (SHVC) 에 적용될 수도 있다.
멀티-계층 비디오 데이터, 예컨대, 멀티-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다수의 스케일러블 계층들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는 지정된 동작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작 포인트는 멀티-계층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의 전체 세트의 계층들 (예컨대, 뷰들) 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동작 포인트는 또한, 타겟 출력 계층들, 즉, 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할 계층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부 사례들에서, 계층의 데이터는 참조 계층로서의 이용을 위해서만 동작 포인트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 때문에, 이러한 계층은 타겟 출력 계층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타입의 스케일러블 차원은 시간적 차원이다. 예를 들어, 시간적 스케일러빌러티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세트는 다양한 프레임 레이트들 또는 재생 레이트들, 예컨대, 15 초당 프레임들 (frames per second; FPS), 30 FPS, 60 FPS, 및 120 FPS 를 지원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적 레벨은 그 레벨 및 더 낮은 레벨들에서의 모든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예를 계속하면, 0 의 시간적 레벨은 15 FPS 에 대응할 수도 있고, 1 의 시간적 레벨은 30 FPS 를 지원하기 위하여 시간적 레벨 0 의 픽처들뿐만 아니라 시간적 레벨 1 에서의 픽처들도 포함할 수도 있고, 2 의 시간적 레벨은 60 FPS 를 지원하기 위하여 시간적 레벨들 0 및 1 의 픽처들뿐만 아니라 시간적 레벨 2 에서의 픽처들도 포함할 수도 있는 등등과 같다. 시간적 식별자, 또는 TemporalID 는 특정 픽처가 속하는 시간적 레벨의 대표로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는 디코딩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 (예컨대, 디스플레이) 되어야 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신 시에 뷰들의 전부에 대한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 디바이스는 선택된 동작 포인트의 뷰들만을 비디오 디코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목적지 디바이스는 디코딩되지 않을 뷰들에 대한 데이터를 폐기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컨대, 대역폭을 더욱 양호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요청된 동작 포인트에 대응하지 않는 뷰들에 대한 데이터를 폐기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동작 포인트들 중의 최고 품질 지원된 하나에 기초하여, 및/또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이용가능한 양에 기초하여 동작 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프로파일들, 계층들, 및 티어들에 의해 설명될 수도 있다. "프로파일" 은 적용가능한 비디오 코딩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전체 비트스트림 신택스의 서브세트이다. "레벨" 은 픽처들의 해상도, 비트 레이트, 및 블록 프로세싱 레이트에 관련되는, 예를 들어, 디코더 메모리 및 연산과 같은 디코더 자원 소비의 제한들에 대응한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VC) 및 멀티뷰 비디오 코딩 (MVC) 확장들을 포함하는, ITU-T H.261, ISO/IEC MPEG-1 비주얼,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비주얼, ITU-T H.263, ISO/IEC MPEG-4 비주얼 및 ITU-T H.264 (또한, ISO/IEC MPEG-4 AVC 로서 알려짐) 를 포함한다.
최근,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로 명명된 새로운 비디오 코딩 표준, MV-HEVC 로 명명된 HEVC 에 대한 멀티뷰 확장, 및 SHVC 로 명명된 HEVC 에 대한 스케일러블 확장의 설계는 ITU-T 비디오 코딩 전문가 그룹 (Video Coding Experts Group; VCEG) 및 ISO/IEC 모션 픽처 전문가 그룹 (Motion Picture Experts Group; MPEG) 의 비디오 코딩에 관한 합동 협력 팀 (Joint Collaboration Team on Video Coding; JCT-VC) 에 의해 완결되었다.
ITU-T SG 16 WP 3 및 ISO/IEC JTC 1/SC 29/WG 11 18 차 회의: Sapporo, JP, 6 월 30 - 7 월 9 일, 2014 년 (JCTVC-R1013_v6) 의 JCT-VC 에 대한 "Draft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version 2, combined format range extensions (RExt), scalability (SHVC), and multi-view (MV-HEVC) extensions (초안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버전 2, 조합된 포맷 범위 확장들 (RExt), 스케일러빌러티 (SHVC), 및 멀티-뷰 (MV-HEVC) 확장들)" 로 명명된 최신 HEVC 초안 사양은 phenix.int-evry.fr/jct/doc_end_user/documents/18_Sapporo/wg11/JCTVC-R1013-v6.zip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ITU-T SG 16 WP 3 및 ISO/IEC JTC 1/SC 29/WG 11 9 차 회의: Sapporo, JP, 7 월 3 일 - 9 일, 2014 년 (JCT3V-I1002-v7) 의 3D 비디오 코딩 확장들에 관한 합동 협력 팀에 대한 "MV-HECV Draft Text 9 (MV-HEVC 초안 텍스트 9)" 로 명명된 최신 MV-HEVC 초안 사양은 phenix.int-evry.fr/jct3v/doc_end_user/documents/9_Sapporo/wg11/JCT3V-I1002-v7.zip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ITU-T SG 16 WP 3 및 ISO/IEC JTC 1/SC 29/WG 11 18 차 회의: Sapporo, JP, 6 월 30 일 - 7 월 9 일, 2014 년 (JCTVC-R1008v7) 의 JCT-VC 에 대한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scalable extension Draft 7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스케일러블 확장 초안 7)" 로 명명된 SHVC 초안 사양은 phenix.int-evry.fr/jct/doc_end_user/documents/18_Sapporo/wg11/JCTVC-R1008-v7.zip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MPEG-2 시스템들 (동화상 전문가 그룹) 기술들은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도 있다. MPEG-2 시스템들은 때때로 MPEG-2 TS 로서 지칭된다. MPEG-2 TS 의 최신 사양은 자유롭게 www.itu.int/rec/T-REC-H.222.0-201206-I/en 로부터 입수가능한 ITU-T 추천안 H.222.0, 2012 년 6 월 버전이다. 이 사양은 AVC 및 AVC 확장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HEVC 를 위한 MPEG-2 TS 의 보정안이 개발되었다. 최신 문서는 2013 년 7 월의 MPEG 문서 w13656 에서의 "Text of ISO/IEC 13818-1: 2013 / Final Draft Amendment 3 - Transport of HEVC video over MPEG-2 Systems (ISO/IEC 13818-1 의 텍스트: 2013 / 최종 초안 보정안 3 - MPEG-2 시스템들 상에서의 HEVC 비디오의 전송)" 이다. 최근, 계층화된 HEVC 의 캐리지를 위한 MPEG-2 TS 의 보정안이 시작되었다. 최신 문서는 2014 년 7 월의 MPEG 문서 w14562 에서의 "Text of ISO/IEC 13818-1:2013 / Study of PDAM 7 - Carriage of Layered HEVC (ISO/IEC 13818-1 의 텍스트: 2013 / PDAM 7 의 연구 - 계층화된 HEVC 의 캐리지)" 이고, 이 문서에서 L-HEVC TS 초안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HEVC 표준들의 캐리지를 위한 MPEG-2 TS 의 설계의 하나의 예는 2014 년 1 월 8 일자로 출원되고, 참조로 본원에 편입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1/925,191 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HEVC 확장들의 캐리지를 위한 MPEG-2 TS 의 설계의 또 다른 예는 2014 년 7 월 16 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025,432 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MPEG-2 시스템들 사양은 디지털 송신 또는 저장을 위하여 적당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하여 압축된 멀티미디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들이 어떻게 다른 데이터와 함께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는지를 설명한다. MPEG-2 시스템들은 (또한, 때때로 철자가 "programme" 으로 된) 프로그램의 단일의 디지털 방식으로 코딩된 (아마도 MPEG-압축된) 컴포넌트인 기초 스트림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코딩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부분은 기초 스트림일 수 있다. 기초 스트림은 프로그램 스트림 또는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기 전에,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 (packetized elementary stream; PES) 으로 먼저 변환된다.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 stream_id 신택스 엘리먼트는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속하는 PES-패킷들을 또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프로그램 스트림 및 전송 스트림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타겟으로 하는 2 개의 대안적인 멀티플렉스 (multiplex) 들이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디지털 저장 서비스로부터의 단일 프로그램의 저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편향되어 있고, 프로그램 스트림이 에러들에 대해 민감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스트림은 무에러 (error-free) 환경들에서의 이용을 위해 의도된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그것에 속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포함하고, 가변 길이 패킷들을 갖는 패킷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프로그램 스트림에서, 기여하는 기초 스트림들로부터 유도되는 PES-패킷들은 '패킷들' 로 편성된다. 팩 (pack) 은 팩-헤더 (pack-header), 임의적인 시스템-헤더와, 기여하는 기초 스트림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임의의 순서로 취해진 임의의 수의 PES-패킷들을 포함한다. 시스템 헤더는 그 최대 데이터 레이트; 기여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초 스트림들의 수; 추가의 타이밍 정보와 같은 프로그램 스트림의 특성들의 개요를 포함한다. 디코더는 디코더가 프로그램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스템 헤더 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송 스트림은 잠재적인 에러-유발 (error-prone) 채널들 상에서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동시 전달을 위해 의도된다. 그것은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 과 같은 멀티-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고안된 멀티플렉스 (multiplex) 이어서, 단일 전송 스트림은 다수의 독립적인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다.
전송 스트림은 일련의 전송 패킷들을 포함하고, 전송 패킷들의 각각은 188-바이트 길이이다. 짧은 고정된 길이의 패킷들의 이용은, 전송 스트림이 프로그램 스트림만큼 에러들에 대해 민감하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188-바이트-길이 (188-byte-long) 전송 패킷은, 리드-솔로몬 인코딩 (Reed-Solomon encoding) 과 같은 표준 에러 보호 프로세스를 통해 그것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추가적인 에러 보호를 용이하게 부여받는다. 전송 스트림의 개선된 에러 내성은, 그것이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환경에서 발견되어야 할 에러-유발 채널들보다 생존할 더욱 양호한 기회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 스트림은 명확히, 그 증가된 에러 내성 및 다수의 동시 프로그램들을 반송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2 개의 멀티플렉스들 중의 더욱 양호한 것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송 스트림은 프로그램 스트림보다 더욱 복잡한 멀티플렉스이고, 결과적으로, 생성하고 디멀티플렉싱하기가 더욱 어렵다.
전송 패킷의 제 1 바이트는 0x47 (즉, 16 진수 값 47, 또는 0100 0111) 인 동기화 바이트이다. 단일 전송 스트림은, 각각이 다수의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프로그램들을 반송할 수도 있다. 13-비트 패킷 식별자 (Packet Identifier; PID) 필드는 하나의 기초 스트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들을, 다른 기초 스트림들의 데이터를 반송하는 것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각각의 기초 스트림이 고유한 PID 값을 수여받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멀티플렉서 (multiplexer) 의 책임이다. 전송 패킷의 최후 바이트는 연속성 카운트 필드 (continuity count field) 이다. 그것은 동일한 기초 스트림에 속하는 연속적인 전송 패킷들 사이에서 증분 (increment) 된다. 이것은 디코더가 전송 패킷의 손실 또는 이득을 검출하고 희망하건대, 이와 다르게 이러한 이벤트로부터 기인할 수도 있는 에러들을 은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PID 값은 전송 패킷이 어느 기초 스트림에 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하지만, 디코더는 또한, 어느 기초 스트림들이 어느 프로그램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프로그램 특정 정보는 프로그램들과 컴포넌트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프로그램 특정 정보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program map table; PMT), 프로그램 스트림 맵 (program stream map; PSM), 프로그램 연관성 테이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network information table; NIT), 및/또는 조건부 액세스 테이블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송 스트림에서 반송된 매 프로그램은 그것과 연관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가진다. 이 테이블은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사항들과,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PID 33 을 갖는 비디오, PID 57 을 갖는 영어 오디오, 및 PID 60 을 갖는 중국어 오디오를 포함하는 번호 3 을 갖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도 있다. PMT 가 하나를 초과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허용된다. 기본적인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MPEG-2 시스템들 사양 내에서 특정된 다수의 디스크립터들 중의 일부로 장식될 수도 있다. 디스크립터들은 프로그램 또는 그 컴포넌트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추가의 정보를 전달한다. 디스크립터들은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딩 파라미터들, 오디오 인코딩 파라미터들, 언어 식별, 팬-앤드-스캔 (pan-and-scan) 정보, 조건부 액세스 세부사항들, 저작권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송국 (broadcaster) 또는 다른 사용자는 요구될 경우에, 추가적인 개인 디스크립터 (private descriptor) 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비디오-관련 기초 스트림들에서는, 또한, 계층적으로 코딩된 비디오, 오디오, 및 개인 스트림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있다.
PSM 은 프로그램 스트림에서의 기초 스트림들의 설명과, 서로에 대한 그 관계를 제공한다. 전송 스트림에서 반송될 때, 이 구조는 MPEG-2 시스템들 사양마다 수정되지 않을 것이다. PSM 은 stream_id 값이 0xBC (16 진수 값 BC, 또는 1011 1100) 일 때에 PES 패킷으로서 존재한다.
전송 스트림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프로그램들의 완전한 리스트는 프로그램 연관성 테이블에서 유지된다. 그것이 PID 값 0 을 항상 가지므로, 이 테이블은 용이하게 구해질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하는 전송 패킷들의 PID 값과 함께 리스트된다. 위에서 언급된 동일한 예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번호 3 의 기초 스트림들을 특정하는 PMT 는 1001 의 PID 를 가지고, 또 다른 PMT 는 1002 의 또 다른 PID 를 가진다. 이 정보의 세트는 PAT 내에 포함된다.
PAT 에서 특정된 프로그램 번호 제로 (zero) 는 특수한 의미를 가진다. 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로의 진로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NIT 는 임의적이다. 존재할 때, NIT 는 채널 주파수들, 위성 트랜스폰더 세부사항들, 변조 특성들, 서비스 발신자, 서비스 명칭, 및 이용가능한 대안적인 네트워크들의 세부사항들과 같은, 전송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적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전송 스트림 내의 임의의 기초 스트림들이 스크램블링될 경우, 조건부 액세스 테이블은 MPEG-2 시스템들 사양마다 존재해야 한다. CAT 는 이용 중인 스크램블링 시스템 (scrambling system) (들) 의 세부사항들을 제공하고, 조건부 액세스 관리 및 자격부여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들의 PID 값들을 제공한다. 이 정보의 포맷은 MPEG-2 시스템들 사양 내에서 특정되지 않는다.
MPEG-2 TS 에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상이한 기초 스트림들 내의 서브-비트스트림들의 계층구조를 시그널링하도록 설계된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계층적으로 코딩된 비디오, 오디오, 및 개인 스트림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MPEG-2 시스템들 사양의 표 2-49 는 이하에서 재현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서, 개시물은 개선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와, 바로 이하에 도시된 표 2-49 에 대한 업데이트를 설명한다. 개선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 대한 업데이트된 표 2-49 는 이하에서 추가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Figure pct00001
MPEG-2 시스템들의 표 2-49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 (semantic) 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tempor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spati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공간적 해상도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quality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SNR 품질 또는 충실도 (fidelity) 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hierarchy_type - 연관된 계층구조 계층과 그 계층구조 내장된 계층 사이의 계층적 관계는 표 2-50 에서 정의된다. 스케일러빌러티가 하나를 초과하는 차원에서 적용될 경우, 이 필드는 '8'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조합된 스케일러빌러티"),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이에 따라 설정될 것이다.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9'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15'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hierarchy_layer_index - hierarchy_layer_index 는 코딩 계층 계층구조들의 테이블에서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의 고유한 인덱스를 정의하는 6-비트 필드이다. 인덱스들은 단일 프로그램 정의 내에서 고유할 것이다.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의 부록 G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들의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것은, 동일한 액세스 유닛의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의 연관된 SVC 종속성 표현들이 hierarchy_layer_index 의 증가하는 순서로 재조립될 경우에 비트스트림 순서가 정확할 방식으로 배정되는 프로그램 엘리먼트 인덱스이다.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의 부록 H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들의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것은, 동일한 액세스 유닛의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의 연관된 MVC 뷰-컴포넌트 서브세트들이 hierarchy_layer_index 의 증가하는 순서로 재조립될 경우에 비트스트림 순서가 정확할 방식으로 배정되는 프로그램 엘리먼트 인덱스이다.
tref _present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TREF 필드가 연관된 기초 스트림에서의 PES 패킷 헤더들에서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는, 이 hierarchy_descriptor 와 연관된 기초 스트림의 디코딩 전에 디코딩 순서로 액세스되고 존재할 필요가 있는 프로그램 엘리먼트의 hierarchy_layer_index 를 정의하는 6-비트 필드이다. 이 필드는 hierarchy_type 값이 15 일 경우에 정의되지 않는다.
hierarchy_channel - hierarchy_channel 은 송신 채널들의 순서화된 세트에서의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에 대한 의도된 채널 수를 표시하는 6-비트 필드이다. 가장 강인한 송신 채널은 전체적인 송신 계층구조 정의에 대하여 이 필드의 최저 값에 의해 정의된다. 소정의 hierarchy_channel 은 몇몇 프로그램 엘리먼트들에 동시에 배정될 수도 있다.
MPEG-2 시스템들 사양의 표 2-50 은 바로 이하에서 재현된다. 일부 예들에서, 개시물은 표 2-50 에 대한 업데이트들을 개선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의 설명의 일부로서 설명한다. 업데이트된 표 2-50 은 이하에서 추가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Figure pct00002
MPEG-2 TS 에서, 2 개의 디스크립터들은 SVC 및 MVC 에 대한 서브-비트스트림들의 특성들을 각각 시그널링하도록 설계된다: SVC 확장 디스크립터 및 MVC 확장 디스크립터. SVC 및 MVC 는 ITU-T H.264/AVC 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및 멀티뷰 비디오 코딩 확장들이다. 게다가, MPEG-2 TS 에서는, 동작 포인트들의 특성들을 설명하는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가 있다. 3 개의 디스크립터들의 신택스 및 시맨틱들은 이하에서 제공된다.
이하의 표 2-96 은 MPEG-2 시스템들의 SVC 확장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예시한다. Rec. ITU T H.264 | ISO/IEC 14496-10 의 부록 G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들의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표 2-96 의 SVC 확장 디스크립터는 (최대한으로)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을 재조립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의 스케일러빌러티 및 재조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의 부록 G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 중의 임의의 것과 연관된 하나의 SVC 확장 디스크립터가 있을 수도 있다.
Figure pct00003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른 표 2-96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최대 이미지 폭 해상도를 픽셀들로 표시한다.
높이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최대 이미지 높이 해상도를 픽셀들로 표시한다.
frame_rate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최대 프레임 레이트를 프레임들/256초로 표시한다.
average_ bitrate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평균 비트 레이트를 초당 킬로비트 (kbit per second) 로 표시한다.
maximum_ bitrate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초당 킬로비트로 표시한다.
dependency_id - 이 3-비트 필드는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과 연관된 dependency_id 의 값을 표시한다.
quality_id_start - 이 4-비트 필드는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quality_id 의 최소 값을 표시한다.
quality_id_end - 이 4-비트 필드는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quality_id 의 최대 값을 표시한다.
temporal_id_start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temporal_id 의 최소 값을 표시한다.
temporal_id_end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temporal_id 의 최대 값을 표시한다.
no_ sei _ nal _unit_present - 이 1-비트 플래그는, '1' 로 설정될 때, SEI NAL 유닛들이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no_sei_nal_unit_present 플래그가 모든 S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해 '1' 로 설정되고, SVC 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 대해 '1' 로 설정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임의의 SEI NAL 유닛들은 존재할 경우, SVC 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다. SVC 확장 디스크립터가 모든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해 존재하지 않을 경우, SEI NAL 유닛들은 S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의 임의의 SVC 종속성 표현에서 존재할 수도 있고, 액세스 유닛 재조립 전에,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액세스 유닛 내의 NAL 유닛들의 순서에 대한 재순서화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하의 표 2-97 은 MPEG-2 시스템들 사양의 MVC 확장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를 제공한다. Rec. ITU T H.264 | ISO/IEC 14496-10 의 부록 H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들의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MVC 확장 디스크립터는 (최대한으로)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을 재조립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포함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 대한 정보 및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의 재조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Rec. ITU-T H.264 | ISO/IEC 14496 10 의 부록 H 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을 준수하는 AVC 비디오 스트림의 (0x20 과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 중의 임의의 것과 연관된 하나의 MVC 확장 디스크립터가 있을 수도 있다.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이 MVC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일 때, MVC 확장 디스크립터는 0x1B 와 동일한 stream_type 에 대한 연관된 PMT 또는 PSM 에서 존재할 것이다.
Figure pct00004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른 표 2-97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average_ bitrate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평균 비트 레이트를 초당 킬로비트 (kbit per second) 로 표시한다. 0 으로 설정될 때, 평균 비트 레이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maximum_ bitrate - 이 16-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초당 킬로비트로 표시한다. 0 으로 설정될 때, 최대 비트 레이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view_order_index_min - 이 10-비트 필드는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뷰 순서 인덱스의 최소 값을 표시한다.
view_order_index_max - 이 10-비트 필드는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뷰 순서 인덱스의 최대 값을 표시한다.
temporal_id_start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temporal_id 의 최소 값을 표시한다.
temporal_id_end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모든 NAL 유닛들의 NAL 유닛 헤더 신택스 엘리먼트의 temporal_id 의 최대 값을 표시한다.
no_ sei _ nal _unit_present - 이 1-비트 플래그는, '1' 로 설정될 때, SEI NAL 유닛들이 연관된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no_sei_nal_unit_present 플래그가 모든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해 '1' 로 설정되고, MVC 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 대해 '1' 로 설정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임의의 SEI NAL 유닛들은 존재할 경우, MVC 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다. MVC 확장 디스크립터가 모든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해 존재하지 않을 경우, SEI NAL 유닛들은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의 임의의 MVC 뷰-컴포넌트 서브세트에서 존재할 수도 있고, 액세스 유닛 재조립 전에,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액세스 유닛 내의 NAL 유닛들의 순서에 대한 재순서화를 요구할 수도 있다.
no_prefix_ nal _unit_present - 이 1-비트 플래그는, '1' 로 설정될 때, 프리픽스 NAL 유닛들이 MVC 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또는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의 어느 하나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비트가 '0' 으로 설정될 때, 그것은 프리픽스 NAL 유닛들이 MVC 만의 A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하의 표 2-100 은 MPEG-2 시스템들 사양의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를 제공한다.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표 2-100 참조) 는 하나 이상의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의 세트에 의해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프로파일 및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존재할 경우,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program_map_section 에서의 program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그룹 내에 포함될 것이다.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가 프로그램 설명 내에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동일한 프로그램에서 존재하는 각각의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 대해 존재할 것이다.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르면, 상이한 프로파일들을 표시하기 위하여, 프로파일 당 하나의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가 이용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른 표 2-100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profile_idc - 이 8-비트 필드는 MVC 비트스트림에 대한 이 디스크립터 내에서 설명된 모든 동작 포인트들의,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을 표시한다.
constraint_ set0 _flag, constraint_ set1 _flag, constraint_ set2 _flag, constraint_set3_flag, constraint_ set4 _flag, constraint_ set5 _flag - 이 필드들은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이 필드들에 대한 시맨틱들에 따라 코딩될 것이다.
AVC _compatible_flags - AVC_compatible_flags 의 시맨틱들은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서 constraint_set2 플래그와 level_idc 필드 사이의 2 비트들에 대해 정의된 필드 (들) 의 시맨틱들과 정확하게 동일하다.
level_count - 이 8-비트 필드는 동작 포인트들이 설명되는 레벨들의 수를 표시한다.
level_idc - 이 8-비트 필드는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들에 의해 설명된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MVC 비트스트림의,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레벨을 표시한다.
operation_points_count - 이 8-비트 필드는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 내에 포함된 리스트에 의해 설명된 동작 포인트들의 수를 표시한다.
applicable_temporal_id - 이 3-비트 필드는 재조립된 AVC 비디오 스트림에서 VCL NAL 유닛들의 temporal_id 의 최고 값을 표시한다.
num _target_output_views - 이 8-비트 필드는 연관된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을 위해 타겟으로 된 뷰들의 수의 값을 표시한다.
ES _count - 이 8-비트 필드는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 내에 포함된 ES_reference 값들의 수를 표시한다.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에서 표시된 기초 스트림들은 모두 함께 MVC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동작 포인트를 형성한다. 값 0xff 가 예약된다.
ES _reference - 이 6-비트 필드는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을 식별하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서 존재하는 계층구조 계층 인덱스 값을 표시한다. 단일 동작 포인트, 예컨대, 전체 MVC 비디오 비트스트림에 대한 프로파일 및 레벨은 AVC 비디오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것을 초월하여, MVC 는 상이한 프로파일들 및/또는 레벨들을 요구할 수 있는 상이한 뷰 서브세트들을 디코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M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사양은 다수의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상이한 프로파일들 및 레벨들의 표시를 지원한다.
이하의 표 Amd7-1 은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라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를 제공한다. HEVC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는 그 HEVC 비디오 스트림의, 프로파일 및 레벨 파라미터들과 같은 코딩 파라미터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또는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세트에 대하여,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는 그것이 적용되는 기초 스트림 내에 포함된 연관된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L-HEVC TS 초안에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정보 및 동작 포인트 정보는 HEVC 확장 디스크립터 및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다.
Figure pct00007
MPEG-2 시스템들 사양에 따른 표 X-1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profile_space, tier_flag, profile_idc, profile_compatibility_indication, progressive_source_flag, interlaced_source_flag, non_packed_constraint_flag, frame_only_constraint_flag, reserved_zero_44bits, level_idc -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HEVC 비디오 스트림 또는 HEVC 완전 시간적 표현에 적용될 때, 이 필드들은 대응하는 HEVC 비디오 스트림 또는 HEVC 완전 시간적 표현에 대한 general_profile_space, general_tier_flag, general_profile_idc, general_profile_compatibility_flag[i], general_progressive_source_flag, general_interlaced_source_flag, general_non_packed_constraint_flag, general_frame_only_constraint_flag, general_reserved_zero_44bits, general_level_idc 각각에 대하여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서 정의된 시맨틱들에 따라 코딩될 것이고,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연관되는 전체 HEVC 비디오 스트림 또는 HEVC 완전 시간적 표현은 이 필드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정보를 준수할 것이다.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대응하는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이 HEVC 완전 시간적 표현이 아닌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또는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세트에 적용될 때, 이 필드들은 대응하는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에 대한 sub_layer_profile_space, sub_layer_tier_flag, sub_layer_profile_idc, sub_layer_profile_compatibility_flag[i], sub_layer_progressive_source_flag, sub_layer_interlaced_source_flag, sub_layer_non_packed_constraint_flag, sub_layer_frame_only_constraint_flag, sub_layer_reserved_zero_44bits, sub_layer_level_idc 각각에 대하여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서 정의된 시맨틱들에 따라 코딩될 것이고,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연관되는 전체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은 이 필드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정보를 준수할 것이다.
HEVC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에서, 레벨은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레벨보다 더 낮을 수도 있는 한편, 또한,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프로파일의 서브세트인 프로파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 HEVC 비디오 스트림에서는, 존재할 경우,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프로파일에서 포함되는 전체 비트스트림 신택스의 서브세트들만이 이용될 것이다. HEVC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들이 상이한 프로파일들을 시그널링하고, 추가적인 제약들이 시그널링되지 않을 경우, 스트림은 만약 존재한다면, 전체 스트림이 어느 프로파일을 따르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단일 프로파일을 따르지 않는 HEVC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되어야 할 경우, HEVC 비디오 스트림은 2 개 이상의 서브-스트림들로 파티셔닝되어야 하여,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들은 각각의 이러한 서브-스트림에 대한 단일 프로파일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temporal_layer_subset_flag - 이 1-비트 플래그는, '1' 로 설정될 때, 시간적 계층들의 서브세트를 설명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이 디스크립터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필드는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세트들에 대하여, 그리고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1 로 설정될 것이다. '0' 으로 설정될 때, 신택스 엘리먼트들 temporal_id_min 및 temporal_id_max 은 이 디스크립터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HEVC _still_present_flag - 이 1-비트 필드는, '1' 로 설정될 때, HEVC 비디오 스트림 또는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이 HEVC 스틸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0' 으로 설정될 때, 다음으로, 연관된 HEVC 비디오 스트림은 HEVC 스틸 픽처들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 따르면, IDR 픽처들은 0 과 동일한 TemporalId 값으로 항상 연관된다. 결과적으로,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가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세트에 적용될 경우, HEVC 스틸 픽처들은 연관된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에서 존재하기만 할 수 있다.
HEVC _24_hour_picture_present_flag - 이 1-비트 플래그는, '1' 로 설정될 때, 연관된 HEVC 비디오 스트림 또는 HEVC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표현이 HEVC 24-시간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HEVC 24-시간 픽처의 정의에 대하여, 2.1.97 을 참조한다. 이 플래그가 '0' 으로 설정될 경우, 연관된 HEVC 비디오 스트림은 임의의 HEVC 24-시간 픽처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temporal_id_min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기초 스트림에서의 모든 HEVC 액세스 유닛들의,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TemporalId 의 최소 값을 표시한다.
temporal_id_max - 이 3-비트 필드는 연관된 기초 스트림에서의 모든 HEVC 액세스 유닛들의,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TemporalId 의 최대 값을 표시한다.
Figure pct00008
Hendry 등, "TRANSPORT STREAM FOR CARRIAGE OF VIDEO CODING EXTENSIONS (비디오 코딩 확장들의 캐리지를 위한 전송 스트림)" 2015 년 7 월 15 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4/800,498 호는 HEVC 확장들의 캐리지를 위한 MPEG-2 TS 의 설계에 관한 세부사항들을 설명한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이하에서 논의된 것들과 같은,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계층들 사이의 종속성 정보를 위하여 이용된 디스크립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기존의 기법들에서의 어떤 쟁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기능성의 중첩을 인식한다. ISO/IEC 13818-1:2013/PDAM7 의 연구 텍스트에서, 종속성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2 개의 디스크립터들; 즉,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있다. 2 개의 디스크립터들은 양자가 공간적, 품질, 및 멀티-뷰 타입의 종속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중첩하는 기능성을 가진다. L-HEVC TS 초안에서는, 양자의 디스크립터들이 존재하고 동일한 기초 스트림과 연관된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혼동을 생성할 것이고, 표준의 구현을 위한 불필요한 복잡도를 추가할 것이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스스로 중첩하는 기능성을 가지지만, 그것들 중의 어느 하나는 SHVC 및 MV-HEVC 에서의 모든 가능한 인터-계층 종속성 타입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없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보조 픽처의 종속성을 설명할 수 없는 반면,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시간적 종속성을 설명할 수 없다.
이 개시물은 또한,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언제 존재할 것인지의 누락된 설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ISO/IEC 13818-1:2013/PDAM7 의 연구 텍스트에서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존재가 의무적인 것은 아니다. 다음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언제 존재할 것인지를 설명하지만,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언제 존재할 것인지의 설명이 없다:
ITU-T Rec . H.222.0 | ISO/IEC 13818-1 프로그램이 하나를 초과하는 HEVC 비디오 시간적 서브세트, 또는 하나를 초과하는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 비트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HEVC 비디오 시간적 서브세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HEVC 강화 서브-파티션을 포함할 때, 2.6. 7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들) 는 0x24, 0x25 또는 0x27 내지 0x2A 와 동일한 스트림 타입을 갖는 모든 연관된 기초 스트림들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들은 모든 HEVC 시간적 비디오 서브- 비트스트림들 , HEVC 비디오 시간적 서브세트들 및 HEVC 서브- 파티션들의 종속성들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것이다.
또한, 이 개시물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뿐만 아니라,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도 존재하지 않을 때에 기초 스트림 참조의 누락된 설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동작 포인트들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기초 스트림에 대한 참조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되는 hierarchy_layer_index 의 값을 이용함으로써 행해진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어느 것도 프로그램에서 존재하지 않을 때, 시그널링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기초 스트림에 대한 참조가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의 설명이 없다.
이 개시물은 또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정보의 시그널링에 관한 쟁점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9 차 JCT3V 및 18 차 JCT-VC 회의들에서는, PTL 정보가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 (즉, SHVC 또는 ME-HEVC) 에서 서로에 대해 시그널링되어야 한다는 것이 합의되었다. 결과적으로, PTL 정보의 모든 신택스 및 시맨틱들은 계층에 대하여 설계된다. 다른 한편으로, L-HEVC TS 초안에서는, PTL 정보의 시그널링이 각각의 동작 포인트 내에 포함된 각각의 계층에 대해서가 아니라,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하여 시그널링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L-HEVC TS 초안에서의 시그널링이 PTL 정보에 대한 상이한 신택스 및 시맨틱들을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SHVC / MV-HEVC 초안 사양들에서 정의된 PTL 정보의 신택스 및 시맨틱을 간단하게 지칭하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
이 개시물은 PTL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비효율이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한다.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에서의 계층은 하나 이상의 동작 포인트들의 일부일 수도 있다. PTL 정보가 동작 포인트들 내의 계층들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PTL 구조들이 HEVC 확장 디스크립터 또는 HEVC 동작 포인트의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시그널링될 경우에, 동일한 PTL 구조들이 반복적으로 시그널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PTL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효율은 동일한 정보의 시그널링을 반복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이 개시물은 어떤 정보가 동작 포인트 시그널링에서 손실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HEVC 확장 디스크립터 또는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어느 하나에서의 현재의 동작 포인트는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및 파티셔닝 방식의 표시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결여하고 있다. 정보의 이 2 개의 피스 (piece) 들은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서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적용가능한 HRD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의 부록 F 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파티션에 대한 적용가능한 HRD 파라미터는 타겟 출력 계층 세트에 대한 인덱스 (TargetOlsIdx), 파티셔닝 방식 (TargetPsIdx), 최고 시간적 id (HighestTid), 전달 스케줄 인덱스 (SchedSelCombIdx) 뿐만 아니라, 파티션에 대한 인덱스 (partitionIdx) 에 의해 인덱싱되는 bsp _ hrd _ idx 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의 전송을 위하여, HighestTid 는 동작 포인트의 적용가능한 / 최대 시간적 id 에 기초하여 배정되고, SchedSelCombIdx 는 HEVC 타이밍 및 HRD 디스크립터에서 설명된 SchedSelIdx 에 기초하여 배정되고, partitionIdx 는 서브-파티션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배정된다. 그러나, TargetOlsIdxTargetPsIdx 를 배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ISO/IEC 13818-1:2013/PDAM7 의 연구 텍스트 내의 임의의 디스크립터들에서 시그널링된 / 유도된 값이 없다.
이 개시물은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누락된 프로파일, 누락된 티어, 및/또는 누락된 레벨 정보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L-HEVC TS 초안의 하위 조항 2.17.4 에서의 기초 스트림의 집합의 설명에 따르면, HEVC 확장 디스크립터 및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존재는 의무적이지 않다. HEVC 확장 디스크립터뿐만 아니라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을 때, 프로그램에서는 기초 스트림들과 연관된 PTL 정보가 없다. PTL 정보의 존재는 2 개의 이유들로 중요하다. 첫째, PTL 정보는 시스템 협상 목적을 위하여 유용하다. PTL 정보가 전송 레벨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시스템 엔티티 (예컨대, 전달 시스템의 중간의 스마트 미들-박스 (smart middle-box)) 는 부담인 코덱 레벨로 하향하도록 강제된다 (즉, 시스템 엔티티는 전송 레벨로부터 PTL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요구된 그 자원들보다, 코덱 레벨로부터 PTL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더 많은 자원들을 사용해야 하고 및/또는 소비해야 함). 둘째, PTL 정보는 HRD 파라미터들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버퍼 모델에 의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다음은 개시물에 따라 예들을 설명한다. 일 예의 기법들은 함께 또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일 예의 기법들은 위에서 설명된 쟁점들을 다룰 수도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쟁점들을 다루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위에서 설명된 쟁점들을 다루는 것, 또는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장점들을 반드시 제공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쟁점들 및 잠재적인 장점들은 맥락을 위하여, 그리고 이해를 보조하기 위하여 단지 제공되고, 요건으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이 개시물의 어떤 방법들의 개요는 이하에서 주어지고, 일부 예의 기법들의 상세한 구현예가 이하에서 추가로 제공된다. 이 예의 기법들의 일부는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그것들의 일부는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존의 HEVC 확장 디스크립터 및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하나의 디스크립터 (즉, 단일 디스크립터) 로 병합될 수도 있고, 이 단일 디스크립터는 명칭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를 재이용할 수도 있다. 이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다음의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a. PTL 구조들의 리스트. 리스트에서의 PTL 구조들은 인덱스들에 의해 지칭될 것이고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과 연관될 것이다.
b.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
i.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ii. 연관된 파티셔닝 방식
iii.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iv.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 (즉, 서브-파티션) 의 리스트
v. 출력 계층들의 수
vi. PTL 과의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들 내에 포함된 계층의 맵핑
vii. 프레임-레이트 정보
ITU-T Rec. H.222.0 | ISO/IEC 13818-1 프로그램 내의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이 이용가능할 때 (예컨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됨),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 (즉, 서브-파티션) 의 리스트는 기초 스트림들의 오직 최소 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용가능한 종속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는 파퓰레이팅 (populate) 될 수 있다.
ITU-T Rec. H.222.0 | ISO/IEC 13818-1 프로그램 내의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이 이용가능할 때 (예컨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됨),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 (즉, 서브-파티션) 의 리스트는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완전한 리스트를 포함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동작 포인트 내에 포함된 각각의 계층에 대하여, 동작 포인트에서 출력 계층들의 수를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플래그는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아닌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시그널링된다. 대안적으로, 출력 계층들의 수 및 각각의 계층에 대한 (개개의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 표시의 양자가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ITU-T Rec. H.222.0 | ISO/IEC 13818-1 프로그램에 대하여 존재하는 하나를 초과하는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이 존재할 때, 다음이 적용될 수도 있다. 첫째, n 이 1 로부터 시작하는, (n + 1) 번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PTL 정보의 리스트는 n 번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PTL 정보의 리스트의 계속일 수도 있다. 둘째, n 이 1 로 시작하는, (n + 1) 번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는 n 번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의 계속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시그널링된 바와 같은 2 개 이상의 연속적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로부터의 정보는 단일 디스크립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유사한 정보는 2 개 이상의 별개의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이 정보는 정보의 전부가 단일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것처럼 연결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레벨 디스크립터일 수도 있다 (즉,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 program_info_length 필드 바로 이후에 나오는 다른 디스크립터들과 함께 시그널링됨). 대안적으로,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기초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일 수도 있다 (즉,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ES_info_length 필드 이후에 나오는 다른 디스크립터들과 함께 시그널링됨).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존재는 프로그램이 0x27, 0x28, 0x29, 또는 0x2A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초 스트림들을 가질 때에 의무적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의 존재는 0x24 및 0x25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의무적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시간적 종속성 / 강화를 설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정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표 amd7-4 - L-HEVC TS 초안에서의 확장 차원 비트들의 시맨틱들에서의 예약된 값들 중의 하나는 시간적 강화를 위하여 할당된다.
일부 예들에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보조 계층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정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다음이 적용될 수도 있다:
a. 보조 강화를 표시하기 위하여 hierarchy_descriptor 의 신택스 테이블에서의 예약된 플래그들 중의 하나를 이용한다.
b. 보조 강화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 2-50 - hierarchy_type 필드들 값들에서의 예약된 값들 중의 하나를 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중첩되는 이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다음이 사용될 수도 있다:
a. HEVC 코딩된 픽처를 반송하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하나의 디스크립터 (그리고 일부 예들에서, 정확하게 하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어느 하나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예들에서, 그러할 것임).
b. 0 과 동일한 layerId 를 갖는 픽처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예들에서, 그러할 것임).
c. 0 과 동일한 layerId 를 갖는 픽처들을 포함하지 않고 0 과 동일하지 않은 layerId 를 갖는 픽처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예들에서, 그러할 것임 (즉, 그러해야 함)).
도 1 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는 일 예의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 (10) 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10) 은 목적지 디바이스 (14) 에 의해 더 이후의 시간에 디코딩되어야 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 (12) 를 포함한다. 특히, 소스 디바이스 (12)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에 제공한다.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노트북 (즉,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셋톱 (set-top) 박스들, 소위 "스마트" 폰들과 같은 전화 핸드셋들, 태블릿들, 텔레비전들, 카메라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임용 콘솔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는,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가 무선 통신을 위해 구비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를 통해, 디코딩되어야 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매체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는 소스 디바이스 (12) 가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직접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될 수도 있고,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라디오 주파수 (radio frequency; 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송신 라인들과 같은 임의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기반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라우터들, 스위치들, 기지국들, 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용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장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는 출력 인터페이스 (22) 로부터 저장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인코딩된 데이터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하드 드라이브, 블루-레이 (Blu-ray) 디스크들, DVD 들, CD-ROM 들,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지털 저장 매체들과 같은, 분산되거나 국소적으로 액세스된 다양한 데이터 저장 매체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를 저장할 수도 있는 파일 서버 또는 또 다른 중간 저장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도 있다. 파일 서버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서버일 수도 있다. 일 예의 파일 서버들은 (예컨대, 웹사이트를 위한) 웹 서버, FTP 서버, 네트워크 연결 저장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디바이스들, 또는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인터넷 접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표준 데이터 접속을 통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것은, 파일 서버 상에 저장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액세스하기에 적당한 무선 채널 (예컨대, Wi-Fi 접속), 유선 접속 (예컨대, DSL, 케이블 모뎀 등), 또는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로부터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송신은 스트리밍 송신, 다운로드 송신, 또는 그 조합일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무선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세팅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법들은 오버-디-에어 (over-the-air)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들, 케이블 텔레비전 송신들, 위성 텔레비전 송신들, HTTP 를 통한 동적 적응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과 같은 인터넷 스트리밍 비디오 송신들, 데이터 저장 매체 상으로 인코딩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의 디코딩,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의 지원 하에서 비디오 코딩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시스템 (10) 은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재생,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및/또는 화상 통화 (video telephony) 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방향 (one-way) 또는 양방향 (two-way) 비디오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 (12) 는 비디오 소스 (18), 비디오 인코더 (20), 멀티플렉서 (21), 및 출력 인터페이스 (22) 를 포함한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입력 인터페이스 (28), 디멀티플렉서 (demultiplexer; 29), 비디오 디코더 (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를 포함한다. 이 개시물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 (12) 의 멀티플렉서 (21) 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반면, 디멀티플렉서 (29) 는 프로세싱하기 위한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프로세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예컨대, 비디오 디코더 (30) 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 및 목적지 디바이스는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배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 (12) 는 외부 카메라와 같은 외부 비디오 소스 (18) 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통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시된 시스템 (10) 은 단지 하나의 예이다.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은 임의의 디지털 비디오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비디오 인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지만, 기법들은 또한, "CODEC" 으로서 전형적으로 지칭된 비디오 인코더/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또한, 비디오 프리프로세서 (video preprocessor)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소스 디바이스 (12) 가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의 송신을 위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러한 코딩 디바이스들의 예들에 불과하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들 (12, 14) 은, 디바이스들 (12, 14) 의 각각이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도록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10) 은 예컨대,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재생,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또는 화상 통화를 위하여, 비디오 디바이스들 (12, 14) 사이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송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소스 디바이스 (12) 의 비디오 소스 (18) 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비디오 캡처 디바이스, 이전에 캡처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아카이브 (video archive),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공급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대안으로서, 비디오 소스 (18) 는 소스 비디오로서, 또는 라이브 비디오 (live video), 아카이빙된 비디오 (archived video), 및 컴퓨터-생성된 비디오의 조합으로서, 컴퓨터 그래픽-기반 (computer graphics-based)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는, 비디오 소스 (18) 가 비디오 카메라일 경우,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소위 카메라 폰들 또는 비디오 폰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고, 무선 및/또는 유선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캡처된, 프리-캡처된 (pre-captured), 또는 컴퓨터-생성된 비디오는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인코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코딩된 비디오 정보는 출력 인터페이스 (22) 에 의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는 무선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선 네트워크 송신과 같은 순시적 매체 (transient medium) 들, 또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과 같은 저장 매체들 (즉, 비-일시적 저장 매체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서버 (도시되지 않음) 는 예컨대, 네트워크 송신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디스크 스탬핑 (disc stamping) 설비와 같은 매체 생산 설비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를 생산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는 다양한 예들에서, 다양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의 정보는, 블록들 및 다른 코딩된 유닛들, 예컨대, GOP 들의 특성들 및/또는 프로세싱을 설명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정보로서,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정의되며 또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신택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또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현재 개발 중에 있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과 같은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HEVC 테스트 모델 (HEVC Test Model; HM) 을 준수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MPEG-4, Part 10, 진보된 비디오 코딩 (AVC), 또는 이러한 표준들의 확장들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된 ITU-T H.264 표준과 같은 다른 독점적 또는 산업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임의의 특정한 코딩 표준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의 다른 예들은 MPEG-2 및 ITU-T H.263 을 포함한다. 도 1 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부 양태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각각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와 통합될 수도 있고, 공통의 데이터 스트림 또는 별도의 데이터 스트림들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양자의 인코딩을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MUX-DEMUX 유닛들, 또는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용가능한 경우, MUX-DEMUX 유닛들은 ITU H.223 멀티플렉서 프로토콜,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ser datagram protocol; UDP) 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들을 준수할 수도 있다.
ITU-T H.264/MPEG-4 (AVC) 표준은 합동 비디오 팀 (Joint Video Team; JVT) 으로서 알려진 집합적 파트너십의 산물로서의 ISO/IEC 동화상 전문가 그룹 (MPEG) 과 함께 ITU-T 비디오 코딩 전문가 그룹 (VCEG) 에 의해 공식화되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H.264 표준을 준수하는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H.264 표준은, H.264 표준 또는 H.264 사양, 또는 H.264/AVC 표준 또는 사양으로서 본원에서 지칭될 수도 있는, 2005 년 3월자의 ITU-T 연구 그룹에 의한 ITU-T 추천안 H.264,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일반적인 시청각 서비스들을 위한 진보된 비디오 코딩) 에서 설명되어 있다. 합동 비디오 팀 (JVT) 은 H.264/MPEG-4 AVC 에 대한 확장들에 대해 노력을 계속한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각각,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들, 개별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들과 같은 다양한 적당한 인코더 회로부 중의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법들이 소프트웨어로 부분적으로 구현될 때,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를 위한 명령들을 적당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할 수도 있고, 이 개시물의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이용하여 명령들을 하드웨어로 실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 중의 어느 하나는 조합된 인코더/디코더 (combined encoder/decoder; CODEC) 의 일부로서 개개의 디바이스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JCT-VC 는 HEVC 표준을 개발하였고, HEVC 표준의 확장들에 대해 노력을 계속한다. HEVC 표준화 노력들은 HEVC 테스트 모델 (HEVC Test Model; HM) 로서 지칭된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의 진화형 모델에 기초한다. HM 은 예컨대, ITU-T H.264/AVC 에 따라 현존하는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들의 몇몇 추가적인 기능들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H.264 가 9 개의 인트라-예측 인코딩 모드들을 제공하는 반면, HM 은 33 개만큼 많은 인트라-예측 인코딩 모드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35 개 일 수도 있음).
일반적으로, HM 의 작업 모델은,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가 루마 (luma) 및 크로마 (chroma) 샘플들의 양자를 포함하는 최대 코딩 유닛 (largest coding unit; LCU) 들 (또한, "코딩 트리 유닛들" 로서 지칭됨) 또는 트리블록들의 시퀀스 (sequence) 로 분할될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비트스트림 내의 신택스 데이터는 픽셀들의 수의 측면에서 최대 코딩 유닛인 LCU 에 대한 크기 (size) 를 정의할 수도 있다. 슬라이스는 코딩 순서에서 다수의 연속적인 트리블록들을 포함한다.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리블록은 쿼드트리에 따라 코딩 유닛 (CU) 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쿼드트리 데이터 구조는 CU 당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고, 루트 노드 (root node) 는 트리블록에 대응한다. CU 가 4 개의 서브-CU 들로 분할될 경우, CU 에 대응하는 노드는 4 개의 리프 노드 (leaf node) 들을 포함하고, 이들의 각각은 서브-CU 들 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쿼드트리 데이터 구조의 각각의 노드는 대응하는 CU 에 대한 신택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쿼드트리에서의 노드는, 노드에 대응하는 CU 가 서브-CU 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분할 플래그 (split flag) 를 포함할 수도 있다. CU 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재귀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CU 가 서브-CU 들로 분할되는지 여부에 종속될 수도 있다. CU 가 추가로 분할되지 않을 경우, 그것은 리프-CU 로서 지칭된다. 이 개시물에서는, 원래의 리프-CU 의 명시적 분할이 없더라도, 리프-CU 의 4 개의 서브-CU 들은 또한 리프-CU 들로서 지칭될 것이다. 예를 들어, 16x16 크기에서의 CU 가 추가로 분할되지 않을 경우, 16x16 CU 가 결코 분할되지 않았지만, 4 개의 8x8 서브-CU 들이 또한 리프-CU 들로서 지칭될 것이다.
CU 가 크기 구분 (size distinction) 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CU 는 H.264 표준의 매크로블록 (macroblock) 과 유사한 목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트리블록은 4 개의 자식 노드 (child node) 들 (또한 서브-CU 들로서 지칭됨) 로 분할될 수도 있고, 각각의 자식 노드는 궁극적으로 부모 노드 (parent node) 일 수도 있고, 또 다른 4 개의 자식 노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로서 지칭된, 최종적인 분할되지 않은 자식 노드는 리프-CU 로서 또한 지칭된 코딩 노드를 포함한다. 코딩된 비트스트림과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최대 CU 심도로서 지칭된, 트리블록이 분할될 수도 있는 최대 횟수를 정의할 수도 있고, 또한, 코딩 노드들의 최소 크기를 정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은 또한, 최소 코딩 유닛 (smallest coding unit; SCU) 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HEVC 의 문맥에서의 CU, PU, 또는 TU 중의 임의의 것, 또는 다른 표준들의 문맥에서의 유사한 데이터 구조들 (예컨대, H.264/AVC 에서의 매크로블록들 및 그 서브-블록들) 을 지칭하기 위하여 용어 "블록" 을 이용한다.
CU 는 코딩 노드와, 코딩 노드와 연관된 예측 유닛 (prediction unit; PU) 들 및 변환 유닛 (transform unit; TU) 들을 포함한다. CU 의 크기는 코딩 노드의 크기에 대응하고, 형상에 있어서 정사각형이어야 한다. CU 의 크기는 8x8 픽셀들로부터, 64x64 픽셀들 이상의 최대치를 갖는 트리블록의 크기까지의 범위일 수도 있다. 각각의 CU 는 하나 이상의 PU 들 및 하나 이상의 TU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U 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설명할 수도 있다. 파티셔닝 모드들은 CU 가 스킵 (skip) 또는 직접 모드 인코딩되는지, 인트라-예측 모드 인코딩되는지, 또는 인터-예측 모드 인코딩되는지 여부의 사이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PU 들은 형상에 있어서 비-정사각형 (non-square) 이 되도록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쿼드트리에 따른 하나 이상의 TU 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설명할 수도 있다. TU 는 형상에 있어서 정사각형 또는 비-정사각형 (예컨대, 직사각형) 일 수 있다.
HEVC 표준은 상이한 CU 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는, TU 들에 따른 변환들을 허용한다. TU 들은 전형적으로, 파티셔닝된 LCU 에 대해 정의된 소정의 CU 내에서의 PU 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기가 정해지지만, 이것은 항상 그러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TU 들은 전형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거나 PU 들보다 더 작다. 일부 예들에서, CU 에 대응하는 잔차 샘플들은 "잔차 쿼드 트리" (residual quad tree; RQT) 로서 알려진 쿼드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더 작은 유닛들로 재분할될 수도 있다. RQT 의 리프 노드들은 변환 유닛 (TU) 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TU 들과 연관된 픽셀 차이 값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는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변환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쿼드 트리 파티셔닝을 이용하여, CU 의 루마, Cb, 및 Cr 잔차 블록들을 하나 이상의 루마, Cb, 및 Cr 변환 블록들로 분해할 수도 있다. 변환 블록은, 동일한 변환이 적용되는 샘플들의 직사각형 블록일 수도 있다. CU 의 변환 유닛 (TU) 은 루마 샘플들의 변환 블록, 크로마 샘플들의 2 개의 대응하는 변환 블록들, 및 변환 블록 샘플들을 변환하기 위하여 이용된 신택스 구조들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CU 의 각각의 TU 는 루마 변환 블록, Cb 변환 블록, 및 Cr 변환 블록과 연관될 수도 있다. TU 와 연관된 루마 변환 블록은 CU 의 루마 잔차 블록의 서브-블록 (sub-block) 일 수도 있다. Cb 변환 블록은 CU 의 Cb 잔차 블록의 서브-블록일 수도 있다. Cr 변환 블록은 CU 의 Cr 잔차 블록의 서브-블록일 수도 있다. 단색 픽처들, 또는 3 개의 별도의 컬러 평면들을 가지는 픽처들에서는, TU 가 단일 변환 블록과, 변환 블록의 샘플들을 변환하기 위해 이용된 신택스 구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CU 는 하나 이상의 예측 유닛 (PU)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U 는 대응하는 CU 의 전부 또는 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적인 영역을 나타내고, PU 에 대한 참조 샘플을 취출 (retrieve) 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PU 는 예측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U 가 인트라-모드 인코딩될 때, PU 에 대한 데이터는 PU 에 대응하는 TU 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잔차 쿼드트리 (RQT)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PU 가 인터-모드 인코딩될 때, PU 는 PU 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션 벡터들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션 벡터의 수평 컴포넌트, 모션 벡터의 수직 컴포넌트, 모션 벡터에 대한 해상도 (예컨대, 1/4 픽셀 정밀도 또는 1/8 픽셀 정밀도), 모션 벡터가 지시하는 참조 픽처, 및/또는 모션 벡터에 대한 참조 픽처 리스트 (예컨대, List 0, List 1, 또는 List C) 를 설명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PU 들을 가지는 리프-CU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변환 유닛 (TU)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변환 유닛들은 RQT (또한, TU 쿼드트리 구조로서 지칭됨) 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플래그는 리프-CU 가 4 개의 변환 유닛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변환 유닛은 추가의 서브-TU 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도 있다. TU 가 추가로 분할되지 않을 때, 그것은 리프-TU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인트라 코딩을 위하여, 리프-CU 에 속하는 모든 리프-TU 들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공유한다. 즉, 동일한 인트라-예측 모드는 리프-CU 의 모든 TU 들에 대한 예측된 값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인트라 코딩을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는 TU 에 대응하는 CU 의 부분과 원래의 블록과의 사이의 차이로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리프-TU 에 대한 잔차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TU 는 반드시 PU 의 크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TU 들은 PU 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도 있다. 인트라 코딩을 위하여, PU 는 동일한 CU 에 대한 대응하는 리프-TU 와 공동위치 (collocate) 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프-TU 의 최대 크기는 대응하는 리프-CU 의 크기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리프-CU 들의 TU 들은 또한, 잔차 쿼드트리 (RQT) 들로서 지칭된 개개의 쿼드트리 데이터 구조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즉, 리프-CU 는 어떻게 리프-CU 가 TU 들로 파티셔닝되는지를 표시하는 쿼드트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TU 쿼드트리의 루트 노드는 일반적으로 리프-CU 에 대응하는 반면, CU 쿼드트리의 루트 노드는 일반적으로 트리블록 (또는 LCU) 에 대응한다. 분할되지 않은 RQT 의 TU 들은 리프-TU 들로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다르게 언급되지 않으면, 이 개시물은 리프-CU 및 리프-TU 를 각각 지칭하기 위하여 용어들 CU 및 TU 를 이용한다.
비디오 시퀀스는 전형적으로 일련의 비디오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을 포함한다. 픽처들의 그룹 (group of pictures; GOP) 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픽처들 중의 일련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OP 는, GOP 내에 포함된 다수의 픽처들을 설명하는, GOP 의 헤더, 픽처들 중의 하나 이상의 픽처의 헤더, 또는 다른 곳에서의 신택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픽처의 각각의 슬라이스는 개개의 슬라이스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설명하는 슬라이스 신택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전형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의 비디오 블록들에 대해 동작한다. 비디오 블록은 CU 내의 코딩 노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블록들은 고정된 또는 변동되는 크기들을 가질 수도 있고, 특정된 코딩 표준에 따라 크기에 있어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HM 은 다양한 PU 크기들에 있어서의 예측을 지원한다. 특별한 CU 의 크기가 2Nx2N 인 것으로 가정하면, HM 은 2Nx2N 또는 NxN 의 PU 크기들에 있어서의 인트라-예측과, 2Nx2N, 2NxN, Nx2N, 또는 NxN 의 대칭적인 PU 크기들에 있어서의 인터-예측을 지원한다. HM 은 또한, 2NxnU, 2NxnD, nLx2N, 및 nRx2N 의 PU 크기들에 있어서의 인터-예측을 위한 비대칭적 파티셔닝을 지원한다. 비대칭적 파티셔닝에서는, CU 의 하나의 방향이 파티셔닝되지 않는 반면, 다른 방향은 25 % 및 75 % 로 파티셔닝된다. 25 % 파티션에 대응하는 CU 의 부분은 "n" 과, 그 다음으로, "상부 (Up)", "하부 (Down)", "좌측 (Left)", 또는 "우측 (Right)" 의 표시에 의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2NxnU" 는 상부의 2Nx0.5N PU 및 하부의 2Nx1.5N PU 로 수평으로 파티셔닝되는 2Nx2N CU 를 지칭한다.
이 개시물에서, "NxN" 및 "N 대 (by) N" 은 수직 및 수평 차원들의 측면에서의 비디오 블록의 픽셀 차원들, 예를 들어, 16x16 픽셀들 또는 16 대 16 픽셀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상호 교환가능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16x16 블록은 수직 방향에서의 16 개의 픽셀들 (y = 16) 및 수평 방향에서의 16 개의 픽셀들 (x = 16) 을 가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NxN 블록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에서의 N 개의 픽셀들 및 수평 방향에서의 N 개의 픽셀들을 가지며, 여기서, N 은 음이 아닌 정수 (nonnegative integer) 값을 나타낸다. 블록 내의 픽셀들은 행 (row) 들 및 열 (column) 들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들은 수직 방향에서와 동일한 수의 픽셀들을 수평 방향에서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블록들은 NxM 픽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M 은 반드시 N 과 동일하지는 않다.
CU 의 PU 들을 이용한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코딩에 후속하여,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의 TU 들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계산할 수도 있다. PU 들은 공간 도메인 (또한 픽셀 도메인으로서 지칭됨) 에서 예측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또는 모드를 설명하는 신택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TU 들은 변환, 예컨대, 이산 코사인 변환 (DCT), 정수 변환, 웨이블렛 변환 (wavelet transform),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의 잔차 비디오 데이터로의 적용에 후속하는 변환 도메인에서의 계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잔차 데이터는 인코딩되지 않은 픽처의 픽셀들과 PU 들에 대응하는 예측 값들과의 사이의 픽셀 차이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TU 들을 형성할 수도 있고, 그 다음으로, CU 에 대한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TU 들을 변환할 수도 있다.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변환들에 후속하여,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변환 계수들의 양자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는 일반적으로, 계수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 데이터의 양을 아마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변환 계수들이 양자화되어 추가의 압축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계수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관된 비트 심도 (bit depth) 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비트 값은 양자화 동안에 m-비트 값으로 버림 (round down) 될 수도 있고, 여기서, nm 보다 더 크다.
양자화에 후속하여, 비디오 인코더는 변환 계수들을 스캔 (scan) 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하는 2 차원 행렬로부터 1 차원 벡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스캔은 더 높은 에너지 (그리고 이에 따라, 더 낮은 주파수) 계수들을 어레이의 전방에 배치하고 더 낮은 에너지 (그리고 이에 따라, 더 높은 주파수) 계수들을 어레이의 후방에 배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될 수 있는 직렬화된 벡터 (serialized vector) 를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스캔 순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적응적 스캔 (adaptive scan) 을 수행할 수도 있다. 1 차원 벡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한 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예컨대, 컨텍스트-적응 가변 길이 코딩 (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컨텍스트-적응 2 진 산술 코딩 (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신택스-기반 컨텍스트-적응 2 진 산술 코딩 (syntax-based 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robability Interval Partitioning Entropy; PIPE) 코딩 또는 또 다른 엔트로피 인코딩 방법론에 따라 1 차원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이용을 위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CABAC 를 수행하기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 (20) 는 컨텍스트 모델 내의 컨텍스트를 송신되어야 할 심볼에 배정할 수도 있다. 컨텍스트는 예를 들어, 심볼의 이웃하는 값들이 비-제로 (non-zero) 인지 아닌지의 여부와 관련 있을 수도 있다. CAVLC 를 수행하기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 (20) 는 송신되어야 할 심볼에 대한 가변 길이 코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VLC 에서의 코드워드 (codeword) 들은, 상대적으로 더 짧은 코드들이 더 확률이 큰 심볼들에 대응하는 반면, 더 긴 코드들은 더 확률이 작은 심볼들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VLC 의 이용은 예를 들어, 송신되어야 할 각각의 심볼에 대한 동일-길이 코드워드들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비트 절감을 달성할 수도 있다. 확률 결정은 심볼에 배정된 컨텍스트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HEVC 확장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기법들을 설명한다. 즉, 이 개시물의 기법들에 따르면, 멀티플렉서 (21) 및/또는 디멀티플렉서 (29) 는 HEVC, HEVC 표준의 확장 (예컨대, SHVC 또는 MV-HEVC), 또는 다른 아직 개발되지 않은 비디오 코딩 표준들과 같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에 따라 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 (즉,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함)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플렉서 (21) 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MPEG-2 시스템들 및 이 개시물의 기법들에 따라 비트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캡슐화 (encapsulate) 할 수도 있는 반면, 디멀티플렉서 (29) 는 캡슐화된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에 따라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캡슐화해제 (decapsulate)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플렉서 (21) 및 디멀티플렉서 (29) 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표 Amd7-1 의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의 반전된 버전을 코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안된 표 Amd7-1 -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로 표기된 이하의 표는 현재의 표 Amd7-1 에 대한 수정들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된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이 개시물의 어떤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표에서의 이탤릭체 표시된 텍스트는 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표 Amd7-1 에 관련하여 추가들을 강조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이 표의 추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일 예의 시맨틱들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맨틱들은 L-HEVC TS 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num _profile_tier_level - 이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구조들의 수의 특정하는 8-비트 필드.
profile_space[ ptlIdx ], tier_flag[ ptlIdx ], profile_idc[ ptlIdx ], profile_compatibility_indication[ptlIdx], progressive_source_flag[ ptlIdx ], interlaced_source_flag[ptlIdx], non_packed_constraint_flag[ ptlIdx ], frame_only_constraint_flag[ptlIdx], reserved_zero_44bits[ptlIdx], level_idc[ ptlIdx ] - 이 필드들은 이 디스크립터 내에서 설명된 HEVC 동작 포인트들의 계층들에 대하여, 각각 general_profile_space, general_tier_flag, general_profile_idc, general_profile_compatibility_flag[i], general_progressive_source_flag, general_interlaced_source_flag, general_non_packed_constraint_flag, general_frame_only_constraint_flag, general_reserved_zero_44bits, level_idc 에 대한 Rec. ITU-T H.265 | ISO/IEC 23008-2 에서 정의된 시맨틱들에 따라 코딩될 것이다.
ptlIdx 및 opIdx 의 값은 프로그램의 제 1 HEVC 동작 포인트에 대하여 양자 모두 0 과 동일하게 초기화된다.
num _operation_points - 이 8-비트 필드는 이 디스크립터에서 설명된 동작 포인트들의 수를 표시한다.
target_ ols [ opIdx ] -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와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를 특정하는 8-비트 필드.
target_partitioning_scheme[ opIdx ] -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와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의 파티셔닝 방식을 특정하는 8-비트 필드.
max_temporal_id[ opIdx ] -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에 속하는 NAL 유닛들의 최고 TemporalId 를 특정하는 3-비트 필드.
es _count[ opIdx ] -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 내에 포함된 es_reference 값들의 수를 특정하는 8-비트 필드. 기초 엘리먼트들의 집합은,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다음의 그룹에서 표시된 순서화된 리스트에 따라, HEVC 동작 포인트를 형성한다. 값 0xff 가 예약된다.
prepend _dependencies[ opIdx ][j] - 1 로 설정될 때,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시그널링된 기초 스트림, 및 다음의 신택스 엘리먼트 es_reference[opIdx][j] 에 의해 특정된 계층구조 계층 인덱스 값을 갖는 hierarchy_extension_descriptor 는, es_reference[opIdx][j] 에 의해 시그널링된 기초 스트림 이전에 타겟 동작 포인트에 대한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에 추가될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시그널링된 기초 스트림이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추가의 종속성들을 가질 경우, 이 종속성들은 재귀적 방식으로 ES 리스트에 추가될 것이다. 신택스 엘리먼트 ES_reference[opIdx][j] 에 의해 참조된 기초 스트림 중의 임의의 것에 대해 존재하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들이 없을 때, prepend_dependencies[opIdx][j] 의 값은 1 과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ES _reference[ opIdx ][j] - 기초 스트림을 식별하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서 존재하는 계층구조 계층 인덱스 값을 특정하는 6-비트 필드.
num _target_output_layers[ opIdx ] - 이 6-비트 필드는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tIdx 번째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을 위해 타겟으로 된, 계층들의 수의 값을 표시한다.
num _layers[ opIdx ] -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tIdx 번째 동작 포인트 내에 포함된 계층들의 수를 특정하는 6-비트 필드.
output_layer_flag[ opIdx ][j] - 1-비트 필드는 값 '1' 로 배정될 때,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의 j 번째 계층이 출력 계층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값 '0' 으로 배정될 때, 그것은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의 j 번째 계층이 출력 계층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한다.
ptl _ref_ idx [ opIdx ][j] -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optIdx 번째 동작 포인트의 j 번째 계층에 배정되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에 대한 인덱스를 특정하는 8-비트 필드.
constant_frame_rate_info_idc[ opIdx ] - 이하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신택스 엘리먼트 frame_rate_indicator 와 조합하여,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연관된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특정하는 2-비트 필드. 0 의 값은 프레임 레이트가 동작 포인트에 대하여 특정되지 않는다는 것과, 신택스 엘리먼트 frame_rate_indicator 가 동작 포인트에 대하여 이 디스크립터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frame_rate_indicator[ opIdx ] - constant_frame_rate_info_idc[opIdx] 이 1 과 동일할 경우, 이 12-비트 필드는 이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된 i 번째 동작 포인트에서의 2 개의 픽처들 사이의 시간에 있어서의 거리에 대한, HEVC 타이밍 및 HRD 디스크립터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틱 (tick) 들의 일정한 수를 표시한다. 이와 달리, constant_frame_rate_info_idc[opIdx] 가 2 와 동일할 경우, 이 12-비트 필드는 초당 프레임들로 측정된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를 표시한다. 이와 달리, constant_frame_rate_info_idc[opIdx] 가 3 과 동일할 경우, 이 12-비트 필드는 1.001 초당 프레임들로 측정된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안된 표 Amd7-1 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의 세트와,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TL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의 예를 나타낸다. 즉, "for( i = 0; i < num_profile_tier_level; i++, ptlIdx++ )" 루프에서 기재된 엘리먼트들은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의 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반면, "for( j = 0; j < num_layers[opIdx]; j++ )" 루프에서 기재된 엘리먼트들은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TL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의 예들을 나타낸다.
제안된 표 Amd7-1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또한,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의 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한다. 즉, 이 값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므로, target_ols[opIdx]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한 값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비트스트림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PTL 구조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디멀티플렉서 (29) 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의 다양한 세트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profile_idc[ptlIdx], tier_flag[ptlIdx], 및 level_idc[ptlIdx] 신택스 엘리먼트들과 같은, "for( i = 0; i < num_profile_tier_level; i++, ptlIdx++ )" 의 각각 내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세트들의 각각은 순서대로 인덱싱된, 디멀티플렉서 (29) 가 인스턴스화할 수도 있는 단일 PTL 데이터 구조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계층을 통해 추가로 반복할 수도 있고, ptl_ref_idx[opIdx][j] 신택스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PTL 데이터 구조들의 어느 것이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계층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opIdx" 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고, "j" 는 동작 포인트의 계층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ptl_ref_idx[opIdx][j]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은 opIdx 번째 동작 포인트의 j 번째 계층이 대응하는 PTL 데이터 구조들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또한, 디멀티플렉서 (29) 는 동작 포인들의 각각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하여, 디멀티플렉서 (29) 는, "opIdx" 에 의해 표현된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를 나타내는, target_ols[opIdx] 에 대한 값을 취출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또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종속성 (아마도 계층들의 종속성) 을 설명하는 것과 같이, HEVC 계층에 대한 데이터 (기초 스트림) 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예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 개시물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기존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들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들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개시물이 용어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를 이용할 때, 이러한 디스크립터들의 이전의 버전이 참조되고 있다는 것이 설명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다면, 개시물은 이러한 디스크립터들의 업데이트된 버전들을 지칭하고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수정된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안된 표 Amd7-1 의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와 병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예컨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21) 는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반면, 디멀티플렉서 (29) 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예컨대,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비디오 데이터를 조립하기 위하여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간 디바이스는 또한, 예컨대, 서브-비트스트림 추출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 디스크립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인지 네트워크 엘리먼트 (media aware network element; MANE) 는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서브-비트스트림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21), 디멀티플렉서 (29),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각각, 적용가능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들, 개별 로직 회로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들과 같은 다양한 적당한 인코더 또는 디코더 회로부 중의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 중의 어느 하나는 조합된 비디오 인코더/디코더 (CODEC) 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또는 비디오 디코더 (30)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멀티플렉서 (29) 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리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인코더 (20) 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비디오 데이터는 기본 계층에 대한 다수의 (예컨대, 2 개 이상) 강화 계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강화 계층들은 상이한 스케일러빌러티 차원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의 비디오 블록들의 인트라-코딩 및 인터-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트라-코딩은 소정의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의 비디오에서의 공간적 중복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공간적 예측에 의존한다. 인터-코딩은 비디오 시퀀스 또는 참조 계층 (예컨대, 참조 뷰) 의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 내의 비디오에서의 중복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시간적 또는 인터-계층 예측에 의존한다. 인트라-모드 (I 모드) 는 몇몇 공간 기반 코딩 모드들 중의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단방향 예측 (P 모드) 또는 양방향 예측 (B 모드) 과 같은 인터-모드들은 몇몇 시간 기반 코딩 모드들 중의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인코딩되어야 할 비디오 프레임 내의 현재의 비디오 블록을 수신한다. 도 2 의 예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모드 선택 유닛 (40), 참조 픽처 메모리 (64), 합산기 (50),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양자화 유닛 (54), 및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을 포함한다. 모드 선택 유닛 (40) 은 궁극적으로, 모션 보상 유닛 (44), 모션 추정 유닛 (42), 인트라 예측 유닛 (46), 및 파티션 유닛 (48) 을 포함한다. 비디오 블록 재구성을 위하여,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역양자화 유닛 (58), 역변환 유닛 (60), 및 합산기 (62) 를 포함한다. 디블록킹 필터 (deblocking filter; 도 2 에서 도시되지 않음) 는 또한, 블록 경계들을 필터링하여 재구성된 비디오로부터 블록화 아티팩트 (blockiness artifact) 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희망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는 전형적으로 합산기 (62) 의 출력을 필터링할 것이다. (루프 내의 또는 루프 이후의) 추가적인 필터들은 또한, 디블록킹 필터에 추가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간결함을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희망하는 경우, (인-루프 (in-loop) 필터로서) 합산기 (50) 의 출력을 필터링할 수도 있다.
인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인코더 (20) 는 코딩되어야 할 비디오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를 수신한다.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는 다수의 비디오 블록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은 시간적 예측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참조 프레임들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관련하여 수신된 비디오 블록의 인터-예측 코딩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대안적으로, 공간적 예측을 제공하기 위하여, 코딩되어야 할 블록과 동일한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블록들에 관련하여 수신된 비디오 블록의 인트라-예측 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의 블록에 대한 적절한 코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의 코딩 패스 (coding pass) 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파티션 유닛 (48) 은 이전의 코딩 패스들에서의 이전의 파티셔닝 방식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블록들을 서브-블록들로 파티셔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유닛 (48) 은 초기에,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를 LCU 들로 파티셔닝할 수도 있고, 레이트-왜곡 (rate-distortion) 분석 (예컨대, 레이트-왜곡 최적화) 에 기초하여 LCU 들의 각각을 서브-CU 들로 파티셔닝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유닛 (40) 은 서브-CU 들로의 LCU 의 파티셔닝을 표시하는 쿼드트리 데이터 구조를 추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쿼드트리의 리프-노드 CU 들은 하나 이상의 PU 들 및 하나 이상의 TU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유닛 (40) 은 예컨대, 에러 결과들에 기초하여 코딩 모드들 중의 하나, 인트라 또는 인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결과적인 인트라-예측된 또는 인터-예측된 블록을, 잔차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합산기 (50) 에, 그리고 참조 프레임에서의 이용을 위한 인코딩된 블록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합산기 (62) 에 제공한다. 모드 선택 유닛 (40) 은 또한, 모션 벡터들, 인트라-모드 표시자들, 파티션 정보, 및 다른 이러한 신택스 정보와 같은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에 제공한다.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은 고도로 통합될 수도 있지만, 개념적인 목적들을 위하여 별도로 예시되어 있다. 모션 추정 유닛 (42) 에 의해 수행된 모션 추정은 비디오 블록들에 대한 모션을 추정하는 모션 벡터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예를 들어, 모션 벡터는 현재의 프레임 (또는 다른 코딩된 유닛) 내에서 코딩되고 있는 현재의 블록에 대한 참조 프레임 (또는 다른 코딩된 유닛) 내의 예측 블록에 관련하여 현재의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의 비디오 블록의 PU 의 변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측 블록은, 절대차의 합 (sum of absolute difference; SAD), 제곱차의 합 (sum of square difference; SSD), 또는 다른 차이 메트릭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는 픽셀 차이의 측면에서, 코딩되어야 할 블록과 근접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구해지는 블록이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참조 픽처 메모리 (64) 내에 저장된 참조 픽처들의 정수-미만 (sub-integer) 픽셀 위치들에 대한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참조 픽처의 1/4 픽셀 위치들, 1/8 픽셀 위치들, 또는 다른 분수 픽셀 위치들의 값들을 보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모션 추정 유닛 (42) 은 전체 픽셀 위치들 및 분수 픽셀 위치들에 관련하여 모션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고, 분수 픽셀 정밀도를 갖는 모션 벡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42) 은 PU 의 위치를 참조 픽처의 예측 블록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인터-코딩된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계산한다. 참조 픽처는 제 1 참조 픽처 리스트 (List 0) 또는 제 2 참조 픽처 리스트 (List 1) 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각각은 참조 픽처 메모리 (64)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참조 픽처들을 식별한다. 모션 추정 유닛 (42) 은 계산된 모션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으로 전송한다.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수행된 모션 보상은 모션 추정 유닛 (42) 에 의해 결정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예측 블록을 페치 (fetch) 하거나 생성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또한,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은 일부 예들에서 기능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현재의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수신할 시에,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모션 벡터가 참조 픽처 리스트들 중의 하나에서 지시하는 예측 블록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합산기 (50) 는 이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코딩되고 있는 현재의 비디오 블록의 픽셀 값들로부터 예측 블록의 픽셀 값들을 감산하여 픽셀 차이 값들을 형성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모션 추정 유닛 (42) 은 루마 컴포넌트들에 관련하여 모션 추정을 수행하고, 모션 보상 유닛 (44) 은 크로마 컴포넌트들 및 루마 컴포넌트들의 양자에 대한 루마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계산된 모션 벡터들을 이용한다. 모드 선택 유닛 (40) 은 또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이용을 위한 비디오 블록들 및 비디오 슬라이스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모션 추정 유닛 (42) 은 종속 계층에서의 픽처의 블록에 대한 인터-계층 (예컨대, 인터-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추정 유닛 (42) 은 종속 뷰에서 픽처의 인터-뷰 예측을 수행할 때에 디스패리티 모션 벡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모션 보상 유닛 (44) 은 인터-계층 예측을 수행할 때, 예컨대, 강화 계층이, 강화 계층에서의 블록들이 강화되고 있는 기본 계층에서의 블록들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위치되는 스케일러빌러티 차원에 대응할 때, 블록의 제로-모션-벡터 (zero-motion-vector)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러빌러티 차원들은 예를 들어, 크로마 비트 심도, 컬러 포맷, 색재현율, PSNR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수행된 인터-예측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재의 블록을 인트라-예측할 수도 있다. 특히,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현재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예컨대, 별도의 인코딩 패스들 동안에 다양한 인트라-예측 모드들을 이용하여 현재의 블록을 인코딩할 수도 있고, 인트라 예측 유닛 (46) (또는 일부 예들에서, 모드 선택 유닛 (40)) 은 테스팅된 모드들로부터 이용하기 위한 적절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다양한 테스팅된 인트라-예측 모드들에 대한 레이트-왜곡 분석을 이용하여 레이트-왜곡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고, 테스팅된 모드들 중에서 최상의 레이트-왜곡 특성들을 가지는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레이트-왜곡 분석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블록과,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인코딩되었던 원래의 인코딩되지 않은 블록과의 사이의 왜곡 (또는 에러) 의 양뿐만 아니라,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비트레이트 (즉, 비트들의 수) 를 결정한다.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어느 인트라-예측 모드가 블록에 대한 최상의 레이트-왜곡 값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코딩된 블록들에 대한 왜곡들 및 레이트들로부터 비율 (ratio) 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블록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한 후, 인트라 예측 유닛 (46) 은 블록에 대한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복수의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표들 및 복수의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표들 (또한 코드워드 맵핑 표 (codeword mapping table) 들로서 지칭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송신된 비트스트림 구성 데이터에서, 다양한 블록들에 대한 인코딩 컨텍스트들의 정의들과, 컨텍스트들의 각각에 대해 이용하기 위한 가장 가능성 있는 인트라-예측 모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표, 및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표의 표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코딩되고 있는 원래의 비디오 블록으로부터 모드 선택 유닛 (40) 으로부터의 예측 데이터를 감산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합산기 (50) 는 이 감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이산 코사인 변환 (DCT)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과 같은 변환을 잔차 블록에 적용하여, 잔차 변환 계수 값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DCT 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다른 변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웨이블렛 변환들, 정수 변환 (integer transform) 들, 서브-대역 변환 (sub-band transform) 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변환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변환을 잔차 블록에 적용하여, 잔차 변환 계수들의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은 잔차 정보를 픽셀 값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과 같은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결과적인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 유닛 (54)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양자화 유닛 (54) 은 비트 레이트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계수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관된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또한, "스케일링" 프로세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또한, "스케일링된 변환 계수들"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양자화 (또는 스케일링) 도 (degree of quantization) 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수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음으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하는 행렬 (matrix) 의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에 후속하여,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스캔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엔트로피 코딩한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컨텍스트-적응 가변 길이 코딩 (CAVLC), 컨텍스트 적응 2 진 산술 코딩 (CABAC), 신택스-기반 컨텍스트-적응 2 진 산술 코딩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IPE) 코딩 또는 또 다른 엔트로피 코딩 기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텍스트-기반 엔트로피 코딩의 경우, 컨텍스트는 이웃하는 블록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에 의한 엔트로피 코딩에 후속하여,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은 또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비디오 디코더 (30)) 에 송신될 수도 있거나, 더 이후의 송신 또는 취출을 위해 아카이빙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58) 및 역변환 유닛 (60) 은 예컨대, 참조 블록으로서의 더 이후의 이용을 위하여,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각각 적용한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잔차 블록을 참조 픽처 메모리 (64) 의 프레임들 중의 하나의 프레임의 예측 블록에 추가함으로써 참조 블록을 계산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또한, 모션 추정 시에 이용하기 위한 정수-미만 픽셀 값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보간 필터들을 재구성된 잔차 블록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합산기 (62) 는 참조 픽처 메모리 (64) 에서의 저장을 위한 재구성된 비디오 블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재구성된 잔차 블록을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생성된 모션 보상된 예측 블록에 가산한다. 재구성된 비디오 블록은 추후의 비디오 프레임에서 블록을 인터-코딩하기 위하여,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참조 블록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 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확장들에 따라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디코더 (30) 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의 예에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모션 보상 유닛 (72), 인트라 예측 유닛 (74), 역양자화 유닛 (76), 역변환 유닛 (78), 참조 픽처 메모리 (82), 및 합산기 (80)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디오 인코더 (20) (도 2) 에 대하여 설명된 인코딩 패스와 일반적으로 상반되는 디코딩 패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72) 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으로부터 수신된 모션 벡터들에 기초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는 반면, 인트라 예측 유닛 (74) 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으로부터 수신된 인트라-예측 모드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디코더 (30) 는 인코딩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 및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 수신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의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은 양자화된 계수들, 모션 벡터들 또는 인트라-예측 모드 표시자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은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모션 보상 유닛 (72) 으로 포워딩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디오 슬라이스 레벨 및/또는 비디오 블록 레벨에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비디오 슬라이스가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로서 코딩될 때, 인트라 예측 유닛 (74) 은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와, 현재의 프레임 또는 픽처의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들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의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이 인터-코딩된 (즉, B 또는 P) 슬라이스로서 코딩될 때, 모션 보상 유닛 (72) 은 모션 벡터들과,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으로부터 수신된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의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한다. 예측 블록들은 참조 픽처 리스트들 중의 하나 내의 참조 픽처들 중의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참조 픽처 메모리 (82) 내에 저장된 참조 픽처들에 기초하여, 디폴트 구성 (default construction) 기법들을 이용하여 참조 프레임 리스트들, List 0 및 List 1 을 구성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72) 은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싱 (parsing) 함으로써 현재의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를 결정하고, 디코딩되고 있는 현재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예측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모션 보상 유닛 (72) 은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코딩하기 위해 이용된 예측 모드 (예컨대,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인터-예측 슬라이스 타입 (예컨대, B 슬라이스 또는 P 슬라이스), 슬라이스에 대한 참조 픽처 리스트들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구성 정보,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인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모션 벡터들,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인터-예측 상태, 및 현재의 비디오 슬라이스에서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일부를 이용한다.
모션 보상 유닛 (72) 은 또한, 보간 필터들에 기초하여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72) 은 참조 블록들의 정수-미만 픽셀들에 대한 보간된 값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비디오 블록들의 인코딩 동안에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이용된 바와 같은 보간 필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션 보상 유닛 (72) 은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부터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이용된 보간 필터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간 필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모션 보상 유닛 (72) 은 인터-계층 예측을 수행할 때, 예컨대, 강화 계층이, 강화 계층에서의 블록들이 강화되고 있는 기본 계층에서의 블록들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위치되는 스케일러빌러티 차원에 대응할 때, 블록의 제로-모션-벡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러빌러티 차원들은 예를 들어, 크로마 비트 심도, 컬러 포맷, 색재현율, PSNR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모션 보상 유닛 (72) 은 하나 이상의 참조 뷰들 (예컨대, 기본 뷰) 로부터 종속 뷰의 블록들을 예측하기 위하여 디스패리티 모션 벡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뷰는 계층의 하나의 예인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강화 계층이 뷰일 때, (예컨대, 뷰어를 위한 3 차원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케일러빌러티 차원은 뷰 차원에 대응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76) 은, 비트스트림에서 제공되며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70) 에 의해 디코딩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 즉, 탈양자화 (de-quantize) 한다. 역양자화 프로세스는 적용되어야 할 양자화도와, 마찬가지로, 역양자화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비디오 슬라이스에서의 각각의 비디오 블록에 대해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해 계산된 양자화 파라미터 QPY 의 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역변환 유닛 (78) 은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역변환, 예컨대, 역 DCT, 역정수 변환,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역변환 프로세스를 변환 계수들에 적용한다.
모션 보상 유닛 (72) 이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역변환 유닛 (78) 으로부터의 잔차 블록들을 모션 보상 유닛 (72) 에 의해 생성된 대응하는 예측 블록들과 합산함으로써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합산기 (80) 는 이 합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희망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는 또한, 블록화 아티팩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코딩된 블록들을 필터링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코딩 루프 내의 또는 코딩 루프 이후 중의 어느 하나에서의) 다른 루프 필터들은 또한, 픽셀 천이 (pixel transition) 들을 평탄화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비디오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어진 프레임 또는 픽처에서의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들은, 후속 모션 보상을 위해 이용된 참조 픽처들을 저장하는 참조 픽처 메모리 (82) 내에 저장된다. 참조 픽처 메모리 (82) 는 또한, 도 1 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더 이후의 제시를 위한 디코딩된 비디오를 저장한다.
도 4 는 오디오/비디오 (A/V) 소스 디바이스 (120) 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로 전송하는 일 예의 시스템 (100) 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의 시스템 (100) 은 화상 원격회의 시스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방송국/수신기 시스템,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A/V 소스 디바이스 (120) 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와 같은 목적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A/V 소스 디바이스 (120) 및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는 양방향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A/V 소스 디바이스 (120) 및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 (및 송신 및 수신) 의 양자를 행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인코더 (126) 는 보코더 (vocoder) 로서 또한 지칭된 음성 인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에서, A/V 소스 디바이스 (120) 는 오디오 소스 (122) 및 비디오 소스 (124) 를 포함한다. 오디오 소스 (122) 는 예를 들어, 오디오 인코더 (126) 에 의해 인코딩되어야 할 캡처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소스 (122) 는 이전에 레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컴퓨터화된 신시사이저 (synthesizer) 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 생성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소스 (124) 는 비디오 인코더 (128) 에 의해 인코딩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이전에 레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로 인코딩된 저장 매체, 비디오 데이터 생성 유닛,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원시 (raw)" (즉, 코딩되지 않았던 캡처되거나 취득된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데이터는 오디오 인코더 (126) 및/또는 비디오 인코더 (128) 에 의해 인코딩되기 전에 디지털화될 수도 있다. 오디오 소스 (122) 는 이야기 참여자가 이야기하고 있는 동안에 이야기 참여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124) 는 이야기 참여자의 비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 (122) 는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124) 는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라이브, 스트리밍, 실시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또는 아카이빙된, 프리-레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들 내에 포함되는 비디오 소스 (124) 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 데이터와 동시에 오디오 소스 (122) 에 의해 캡처되었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프레임들이다. 예를 들어, 이야기 참여자가 이야기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일반적으로 생성하는 동안, 오디오 소스 (122) 는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비디오 소스 (124) 는 동시에, 즉, 오디오 소스 (122) 가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있는 동안에, 이야기 참여자의 비디오 데이터를 캡처한다. 이 때문에, 오디오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특정 비디오 프레임들에 일시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캡처되었고, 오디오 프레임 및 비디오 프레임이 동시에 캡처되었던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상황에 대응한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인코더 (126) 는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을 나타내는 각각의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에서의 타임스탬프 (timestamp) 를 인코딩할 수도 있고, 비디오 인코더 (128) 는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을 나타내는 각각의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타임스탬프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은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오디오 프레임과, 동일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A/V 소스 디바이스 (120) 는, 오디오 인코더 (126) 및/또는 비디오 인코더 (128) 가 그것으로부터 타임스탬프들을 생성할 수도 있거나, 오디오 소스 (122) 및 비디오 소스 (124) 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스탬프와 각각 연관시키기 위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 내부 클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 (122) 는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오디오 인코더 (126) 로 전송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124) 는 비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 (128)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인코더 (126) 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상대적인 시간적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러나,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절대적인 시간을 반드시 표시하지는 않으면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에서의 시퀀스 식별자를 인코딩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비디오 인코더 (128) 는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상대적인 시간적 순서를 표시하기 위하여 시퀀스 식별자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서, 시퀀스 식별자는 맵핑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타임스탬프와 상관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예컨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과,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수신 및 추후의 해독 및 디코딩에 관한 것이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멀티뷰 비디오 코딩 (Multiview Video Coding; MVC) 데이터, 즉, 복수의 뷰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도 4 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소스 (124) 는 장면의 복수의 뷰들을 비디오 인코더 (128)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멀티뷰 코딩은 입체영상 (stereoscopic) 또는 자동입체영상 (autostereoscopic) 3 차원 디스플레이와 같은 3 차원 디스플레이에 의해 이용되어야 할 3 차원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유용할 수도 있다.
A/V 소스 디바이스 (120) 는 "서비스" 를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멀티뷰 데이터의 이용가능한 뷰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멀티뷰 데이터는 제로 (zero) 내지 7 로 순서화된 8 개의 뷰들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의 디바이스는 2 개의 뷰들을 가지는 스테레오 비디오에 대응할 수도 있는 반면, 또 다른 서비스는 4 개의 뷰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역시 또 다른 서비스는 모든 8 개의 뷰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는 이용가능한 뷰들의 임의의 조합 (즉, 임의의 서브세트) 에 대응한다. 서비스는 또한, 이용가능한 뷰들의 조합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에도 대응할 수도 있다. 동작 포인트는 서비스에 대응할 수도 있어서, A/V 소스 디바이스 (120) 는 A/V 소스 디바이스 (120) 에 의해 제공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에 따르면, A/V 소스 디바이스 (120) 는 뷰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뷰는 "view_id" 로서 또한 지칭된 뷰 식별자에 의해 표현된다. 뷰 식별자들은 일반적으로, 뷰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MVC 인코더는 뷰가 인코딩될 때에 뷰의 view_id 를 제공한다. view_id 는 인터-뷰 예측을 위하여 MVC 디코더에 의해, 또는 다른 목적들을 위하여, 예컨대, 렌더링을 위하여 다른 유닛들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인터-뷰 예측은 상이한 뷰들의 인코딩된 프레임으로서 공통의 시간적 로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참조하면서 프레임의 MVC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MVC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딩된 프레임은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및/또는 공통의 시간적 로케이션에서의 다른 뷰들의 프레임들을 참조하면서 예측 방식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뷰들이 그로부터 예측되는 참조 뷰들은 일반적으로, 참조 뷰들이 참조로서 작동하는 뷰들 전에 디코딩되어, 이 디코딩된 뷰들은 참조 뷰들을 디코딩할 때에 참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 순서는 반드시 view_id 들의 순서에 대응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뷰들의 디코딩 순서는 뷰 순서 인덱스들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뷰 순서 인덱스들은, 액세스 유닛에서 대응하는 뷰 컴포넌트들의 디코딩 순서를 표시하는 인덱스들이다.
데이터 (오디오 또는 비디오든지) 의 각각의 개별적인 스트림은 기초 스트림으로서 지칭된다. 기초 스트림은 프로그램의 단일의 디지털 방식으로 코딩된 (아마도 압축된)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코딩된 비디오 부분 또는 코딩된 오디오 부분은 기초 스트림일 수 있다. 기초 스트림은 프로그램 스트림 또는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기 전에,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 (packetized elementary stream; PES) 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 스트림 ID 는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속하는 PES-패킷들을 또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기초 스트림의 데이터의 기본적인 단위는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 (PES) 패킷이다. 이에 따라, MVC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의 뷰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들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들에 대응한다.
MVC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는 몇몇 서브-비트스트림들로 분리될 수도 있고, 이러한 서브-비트스트림들의 각각은 기초 스트림이다. 각각의 서브-비트스트림은 MVC view_id 서브세트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각각의 MVC view_id 서브세트의 개념에 기초하여,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이 정의된다.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은 MVC view_id 서브세트에서 리스트된 뷰들의 NAL 유닛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기초 스트림들의 NAL 유닛들로부터의 것인 NAL 유닛들만을 포함한다. 또한, 임의의 2 개의 기초 스트림들이 동일한 뷰를 포함할 수 없는 것으로 설계된다.
도 4 의 예에서, 멀티플렉서 (130) 는 비디오 인코더 (128) 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 스트림들과, 오디오 인코더 (126) 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수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128) 및 오디오 인코더 (126) 는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화기들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128) 및 오디오 인코더 (126) 는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패킷화기들과 각각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멀티플렉서 (130) 는 인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화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조합, 예컨대, A/V 소스 디바이스 (120) 의 서비스에 의해 전달된 오디오 기초 스트림 및 이용가능한 뷰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PES 패킷은, PES 패킷이 속하는 기초 스트림을 식별하는 stream_id 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130) 는 기초 스트림들을 구성요소 프로그램 스트림들 또는 전송 스트림들로 조립하는 것을 담당한다. 프로그램 스트림 및 전송 스트림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타겟으로 하는 2 개의 대안적인 멀티플렉스들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스트림은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전송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스트림이 전달될 매체, 전송되어야 할 프로그램들의 수, 또는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스트림 또는 전송 스트림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서 인코딩되어야 할 때, 멀티플렉서 (130) 는 프로그램 스트림을 형성할 가능성이 더 클 수도 있는 반면, 비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스트리밍되어야 하거나,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거나, 화상 통화의 일부로서 전송되어야 할 때, 멀티플렉서 (130) 는 전송 스트림을 이용할 가능성이 더 클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디지털 저장 서비스로부터의 단일 프로그램의 저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그램 스트림을 이용하는 것에 우호적으로 편향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스트림들은 오히려 에러들에 민감하므로, 프로그램 스트림은 무에러 환경들 또는 에러들을 조우하는 것에 덜 민감한 환경들에서의 이용을 위해 의도된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그것에 속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간단하게 포함하고, 가변 길이들의 패킷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프로그램 스트림에서, 기여하는 기초 스트림들로부터 유도되는 PES-패킷들은 "패킷들" 로 편성된다. 팩 (pack) 은 팩-헤더 (pack-header), 임의적인 시스템-헤더와, 기여하는 기초 스트림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임의의 순서로 취해진 임의의 수의 PES-패킷들을 포함한다. 시스템 헤더는 그 최대 데이터 레이트, 기여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초 스트림들의 수, 추가의 타이밍 정보, 또는 다른 정보와 같은 프로그램 스트림의 특성들의 개요를 포함한다. 디코더는 디코더가 프로그램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스템 헤더 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잠재적인 에러-유발 채널들 상에서 복수의 프로그램들의 동시 전달을 위하여 전송 스트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송 스트림은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 과 같은 멀티-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고안된 멀티플렉스이어서, 단일 전송 스트림은 다수의 독립적인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다. 전송 스트림은 일련의 전송 패킷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송 패킷들의 각각은 188-바이트 길이일 수도 있다. 짧은 고정된 길이의 패킷들의 이용은, 전송 스트림이 프로그램 스트림보다 에러들에 대해 덜 민감하게 한다. 또한, 각각의 188-바이트-길이 전송 패킷은, 리드-솔로몬 인코딩과 같은 표준 에러 보호 프로세스를 통해 패킷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추가적인 에러 보호를 용이하게 부여받을 수도 있다. 전송 스트림의 개선된 에러 내성은, 그것이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환경에서 발견되어야 할 에러-유발 채널들보다 생존할 더욱 양호한 기회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 스트림은 그 증가된 에러 내성 및 다수의 동시 프로그램들을 반송하기 위한 능력으로 인해 프로그램 스트림보다 더욱 양호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송 스트림은 프로그램 스트림보다 더욱 복잡한 멀티플렉스이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 스트림보다 생성하기가 더욱 어렵고 디멀티플렉싱하기가 더욱 복잡하다. 전송 패킷의 최초 바이트는 0x47의 값 (16 진수 47, 2 진수 '01000111', 10 진수 71) 을 가지는 동기화 바이트일 수도 있다. 단일 전송 스트림은, 각각의 프로그램이 다수의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프로그램들을 반송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하나의 기초 스트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들을, 다른 기초 스트림들의 데이터를 반송하는 것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13-비트 패킷 식별자 (PID) 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초 스트림이 고유한 PID 값을 수여받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멀티플렉서의 책임이다. 전송 패킷의 최후 바이트는 연속성 카운트 필드일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동일한 기초 스트림에 속하는 연속적인 전송 패킷들 사이의 연속성 카운트 필드의 값을 증분시킨다. 이것은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와 같은 목적지 디바이스의 디코더 또는 다른 유닛이 전송 패킷의 손실 또는 이득을 검출하고 희망하건대, 이와 다르게 이러한 이벤트로부터 기인할 수도 있는 에러들을 은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멀티플렉서 (130) 는 오디오 인코더 (126) 및 비디오 인코더 (128) 로부터 프로그램의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PES 패킷들을 수신하고, PES 패킷들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들을 형성한다. H.264/AVC (진보된 비디오 코딩) 의 예에서, 코딩된 비디오 세그먼트들은, 화상 통화, 저장, 브로드캐스트, 또는 스트리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루는 "네트워크-친화적 (network-friendly)" 비디오 표현을 제공하는 NAL 유닛들로 편성된다. NAL 유닛들은 비디오 코딩 계층 (Video Coding Layer; VCL) NAL 유닛들 및 비-VCL (non-VCL) NAL 유닛들로 범주화될 수 있다. VCL 유닛들은 코어 압축 엔진을 포함하고, 블록, 매크로블록, 및/또는 슬라이스 레벨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NAL 유닛들은 비-VCL NAL 유닛들이다.
멀티플렉서 (130) 는 NAL 이 속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헤더뿐만 아니라, 페이로드,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NAL 유닛이 대응하는 전송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을 설명하는 데이터도 포함하는 NAL 유닛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264/AVC 에서, NAL 유닛은 1-바이트 헤더 및 변동되는 크기의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NAL 유닛 헤더는 priority_id 엘리먼트, temporal_id 엘리먼트, anchor_pic_flag 엘리먼트, view_id 엘리먼트, non_idr_flag 엘리먼트, 및 inter_view_flag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기존의 MVC 에서는, 4-바이트 MVC NAL 유닛 헤더 및 NAL 유닛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프리픽스 NAL 유닛들 및 MVC 코딩된 슬라이스 NAL 유닛들을 제외하고는, H.264 에 의해 정의된 NAL 유닛이 유지된다.
NAL 헤더의 priority_id 엘리먼트는 간단한 1-경로 (one-path) 비트스트림 적응 프로세스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temporal_id 엘리먼트는 대응하는 NAL 유닛의 시간적 레벨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상이한 시간적 레벨들은 상이한 프레임 레이트들에 대응한다.
anchor_pic_flag 엘리먼트는 픽처가 앵커 픽처 (anchor picture) 또는 비-앵커 픽처 (non-anchor picture) 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앵커 픽처들과, 출력 순서 (즉, 디스플레이 순서) 로 그것을 뒤따르는 모든 픽처들은 디코딩 순서 (즉, 비트스트림 순서) 에서 이전의 픽처들의 디코딩 없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 (random access point) 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앵커 픽처들 및 비-앵커 픽처들은 상이한 종속성들을 가질 수 있고, 그 양자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서 시그널링된다. 다른 플래그들은 이 챕터 (chapter) 의 다음의 섹션 (section) 들에서 논의되고 이용될 것이다. 이러한 앵커 픽처는 또한, 개방 GOP (픽처들의 그룹) 액세스 포인트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반면, 폐쇄 GOP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non_idr_flag 엘리먼트가 제로와 동일할 때에 지원된다. non_idr_flag 엘리먼트는 픽처가 순간적 디코더 리프레시 (instantaneous decoder refresh; IDR) 또는 뷰 IDR (view IDR; V-IDR) 픽처인지 여부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IDR 픽처와, 출력 순서 또는 비트스트림 순서에서 그것을 뒤따르는 모든 픽처들은 디코딩 순서 또는 디스플레이 순서의 어느 하나에서 이전의 픽처들의 디코딩 없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수 있다.
view_id 엘리먼트는, 예컨대, 인터-뷰 예측을 위하여 MVC 디코더 내부에서, 그리고 예컨대, 렌더링을 위하여 디코더 외부에서의 데이터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뷰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신택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ter_view_flag 엘리먼트는 대응하는 NAL 유닛이 인터-뷰 예측을 위한 다른 뷰들에 의해 이용되는지 여부를 특정할 수도 있다. AVC 에 순응할 수도 있는 기본 뷰에 대한 4-바이트 NAL 유닛 헤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프리픽스 NAL 유닛은 MVC 에서 정의된다. MVC 의 맥락에서, 기본 뷰 액세스 유닛은 뷰의 현재의 시간 인스턴스의 VCL NAL 유닛들뿐만 아니라, NAL 유닛 헤드만을 포함하는 그 프리픽스 NAL 유닛을 포함한다. H.264/AVC 디코더는 프리픽스 NAL 유닛을 무시할 수도 있다.
그 페이로드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NAL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입도 레벨 (granularity level)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AL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블록, 매크로블록, 복수의 매크로블록들, 비디오 데이터의 슬라이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기초 스트림들의 PES 패킷들의 형태로 비디오 인코더 (128) 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예컨대, 프로그램 맵 테이블 (PMT)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 맵 (PSM) 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stream_id 들을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에 맵핑함으로써, 각각의 기초 스트림을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연관시킬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130) 는 또한, 복수의 NAL 유닛들로부터의 액세스 유닛들을 조립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뿐만 아니라,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에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도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NAL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유닛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출력 시간 인스턴스에 대한 모든 NAL 유닛들, 예컨대,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 대한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뷰가 120 초당 프레임들 (frames per second; fps)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질 경우, 각각의 시간 인스턴스는 0.05 초의 시간 간격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시간 간격 동안, 동일한 액세스 유닛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 의 모든 뷰들에 대한 특정 프레임들은 동시에 렌더링될 수도 있다. H.264/AVC 에 대응하는 예에서, 액세스 유닛은 주요 코딩된 픽처 (primary coded picture) 로서 제시될 수도 있는,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의 코딩된 픽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유닛은 공통의 시간적 인스턴스의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프레임들, 예컨대, 시간 X 에 대응하는 모든 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또한, 특정한 뷰의 인코딩된 픽처를 "뷰 컴포넌트" 로서 지칭한다. 즉, 뷰 컴포넌트는 특정 시간에서의 특정 뷰에 대한 인코딩된 픽처 (또는 프레임)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유닛은 공통의 시간적 인스턴스의 모든 뷰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액세스 유닛들의 디코딩 순서는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순서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멀티플렉서 (130) 는 또한,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NAL 유닛 내에 내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 (130) 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PMT)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 맵 (PSM) 을 포함하는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MT 는 전송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반면, PSM 은 프로그램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하의 도 2 의 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 (130) 는, 오디오 인코더 (126) 및 비디오 인코더 (128) 로부터 수신된 기초 스트림들을 프로그램들과, 그리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전송 스트림들 및/또는 프로그램 스트림들과 연관시키는 데이터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이러한 데이터 저장 유닛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비디오 코딩 표준들에서와 같이, H.264/AVC 및 HEVC 는, 무에러 비트스트림들 중의 임의의 것이 어떤 프로파일 또는 레벨을 준수하는 무에러 비트스트림들에 대한 신택스, 시맨틱들, 및 디코딩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이 표준들은 인코더를 특정하지는 않지만, 인코더는 생성된 비트스트림들이 디코더에 대해 표준-순응적인 것을 보장하는 것을 작업할당받는다. 비디오 코딩 표준의 맥락에서, "프로파일" 은 알고리즘들, 특징들, 또는 도구들과, 이들에 적용되는 제약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한다. H.264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프로파일" 은 H.264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전체 비트스트림 신택스의 서브세트이다. "레벨" 은 픽처들의 해상도, 비트 레이트, 및 매크로블록 (MB) 프로세싱 레이트에 관련되는, 예를 들어, 디코더 메모리 및 연산과 같은 디코더 자원 소비의 제한들에 대응한다.
H.264 표준은 예를 들어, 소정의 프로파일의 신택스에 의해 부과된 경계들 내에서, 디코딩된 픽처들의 특정된 크기와 같은 비트스트림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의해 취해진 값들에 따라 인코더들 및 디코더들의 성능에 있어서의 큰 변동을 요구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H.264 표준은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특정한 프로파일 내에서 신택스의 모든 가상적 이용들을 처리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현하는 것이 현실적이지도 않고 경제적이지도 않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한다. 따라서, H.264 표준은 "레벨" 을, 비트스트림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에 부과된 제약들의 특정된 세트로서 정의한다. 이 제약들은 값들에 대한 간단한 한계들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제약들은 값들의 산술적 조합들 (예컨대, 초 당 (per second) 디코딩된 픽처들의 수와 승산된 픽처 높이와 승산된 픽처 폭) 에 대한 제약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H.264 표준은, 개별적인 구현들이 각각의 지원된 프로파일에 대해 상이한 레벨을 지원할 수도 있다는 것을 추가로 규정한다.
프로파일을 준수하는 디코더는 프로파일에서 정의된 모든 특징들을 원래 지원한다. 예를 들어, 코딩 특징으로서, B-픽처 코딩이 H.264/AVC 의 기저라인 프로파일 (baseline profile) 에서는 지원되지 않지만, H.264/AVC 의 다른 프로파일들에서는 지원된다. 레벨을 준수하는 디코더는 레벨에서 정의된 제한들을 초월하여 자원들을 요구하지 않는 임의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파일들 및 레벨들의 정의들은 해독가능성 (interpretability) 에 대하여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송신 동안, 한 쌍의 프로파일 및 레벨 정의들은 전체의 송신 세션에 대해 협상될 수도 있고 합치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H.264/AVC 에서, 레벨은 예를 들어, 프로세싱될 필요가 있는 매크로블록들의 수, 디코딩된 픽처 버퍼 (decoded picture buffer; DPB) 크기, 코딩된 픽처 버퍼 (coded picture buffer; CPB) 크기, 수직 모션 벡터 범위, 2 개의 연속적인 MB 들 당 모션 벡터들의 최대 수, 및 B-블록이 8x8 픽셀들보다 더 작은 서브-매크로블록 파티션들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제한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코더는 디코더가 비트스트림을 적절하게 디코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세트들은 일반적으로,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SPS) 들에서의 시퀀스-계층 헤더 정보 및 픽처 파라미터 세트 (PPS) 들에서의 빈번하지 않게 변경되는 픽처-계층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세트들로, 이 빈번하지 않게 변경되는 정보는 각각의 시퀀스 또는 픽처에 대해 반복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코딩 효율은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파라미터 세트들의 이용은 헤더 정보의 대역외 (out-of-band)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으로써, 에러 내성을 달성하기 위한 중복 송신 (redundant transmission) 들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할 수도 있다. 대역외 송신에서는,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들이 다른 NAL 유닛들과는 상이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다.
MPEG-2 시스템들 표준은 "디스크립터들" 을 통한 시스템의 확장들을 허용한다. PMT 들 및 PSM 들의 양자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립터들이 삽입될 수도 있는 디스크립터 루프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프로그램 엘리먼트들의 정의를 확장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은 이 개시물의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물의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렌더링 능력, 디코딩 능력, 및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트레이트를 설명함으로써 기존의 MVC 확장 디스크립터를 강화시킨다.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와 같은 목적지 디바이스는 디코딩되어야 할 비트스트림의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PMT 또는 PSM 은 동작 포인트의 특성들을 설명하는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 (120) 는, 클라이언트/목적지 디바이스 (140) 를 위한 렌더링 능력을 설명하는 렌더링 능력 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40) 가 동작 포인트의 비디오 데이터를 적절하게 렌더링 (예컨대,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40) 는 렌더링 능력 값에 의해 시그널링된 렌더링 능력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렌더링 능력 값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뷰들의 수 (예컨대, 렌더링을 위해 타겟으로 된 뷰들의 수) 및/또는 뷰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설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4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40) 의 비디오 출력부 (144) 가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 의해 특정된 프레임 레이트에서 동작 포인트의 뷰들의 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때에 렌더링 능력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 (30) 가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NAL 유닛 및/또는 액세스 유닛을 조립한 후, 멀티플렉서 (30) 는 유닛을, 출력을 위하여 출력 인터페이스 (132) 로 전달한다. 출력 인터페이스 (132) 는 예를 들어, 송신기, 트랜시버, 데이터를 예를 들어, 광학 드라이브, 자기 매체 드라이브 (예컨대, 플로피 드라이브), 범용 직렬 버스 (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132) 는 NAL 유닛 또는 액세스 유닛을, 예를 들어, 송신 채널,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메모리,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4) 에 출력한다.
궁극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 (136)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4) 로부터 데이터를 취출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136) 는 예를 들어, 광학 드라이브, 자기 매체 드라이브, USB 포트, 수신기, 트랜시버, 또는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136) 는 NAL 유닛 또는 액세스 유닛을 디멀티플렉서 (138)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138) 는 전송 스트림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을 구성요소 PES 스트림들로 디멀티플렉싱할 수도 있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PES 스트림들을 역패킷화 (depacketize) 할 수도 있고, 예컨대, 스트림의 PES 패킷 헤더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일부인지 여부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 (146) 또는 비디오 디코더 (148) 의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오디오 디코더 (146) 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 (142) 로 전송하는 반면, 비디오 디코더 (14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스트림의 복수의 뷰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 (144) 로 전송한다. 비디오 출력부 (144) 는 장면의 복수의 뷰들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장면의 각각의 뷰를 동시에 제시하는 입체영상 또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디멀티플렉서 (138) 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의 동작 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138) 는 A/V 목적지 디바이스 (140) 에 의해 이용되어야 할 적절한 동작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트스트림의 동작 포인트들의 특성들을 비교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멀티플렉서 (138) 는, 비디오 디코더 (148) 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사용자를 위한 최고 품질 시청 경험을 제공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138) 는 비디오 디코더 (148) 의 렌더링 능력들 및 디코딩 능력들을, 비트스트림의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제안된 렌더링 및 디코딩 능력들과 비교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138) 가 비디오 디코더 (148) 에 의해 적절하게 디코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포인트들 중에서, 디멀티플렉서 (138) 는 최고 품질 비디오 데이터, 예컨대, 최고 프레임 레이트 및/또는 비트레이트를 제공할 동작 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디멀티플렉서 (138) 는 예를 들어, 전력 소비와 같은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지원된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100) 은 도 1 의 시스템 (10) 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멀티플렉서 (130) 는 도 1 의 멀티플렉서 (21) 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 디멀티플렉서 (138) 는 도 1 의 디멀티플렉서 (29) 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 시스템 (100) 의 다른 유사하게 명령된 컴포넌트들은 도 1 의 유사하게 명명된 컴포넌트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 (130) 및 디멀티플렉서 (138) 는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일부 예의 이용 케이스들을 설명한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의 예에서 예시될 수 있다. 도 5 는 4 개의 기초 스트림들에서 반송된 L-HEVC 비트스트림들을 예시하는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기초 스트림들에서 반송된 L-HEVC 비트스트림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주어지면, 각각의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종속성 정보가 다음과 같이 시그널링된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esC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i. esD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ii. esD 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의 중첩을 회피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 또는 추가에서, 다음이 제안된다:
a. HEVC 코딩된 픽처를 반송하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하나 (예컨대, 정확하게 하나) 의 디스크립터,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어느 하나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그러할 것임).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이 정확하게 하나의 다른 기준 기초 스트림에 대한 종속성 (예컨대, 시간적, 공간적, 멀티뷰 등) 을 가질 경우에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그러할 것임). 현재의 기초 스트림의 기준 기초 스트림은 현재의 기초 스트림에 의해 직접적으로 종속적인 기초 스트림이다.
c.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수도 있고, 기초 스트림이 하나를 초과하는 기준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종속성을 가질 경우에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그러할 것임).
도 6 은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종속성의 또 다른 예이다. 도 5 와 같이, 4 개의 기초 스트림들에서 반송된 L-HEVC 비트스트림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속성 구조에 대한 이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iii. esD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iv. esD 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
도 6 에서의 소정의 종속성 구조에 대하여, 이 대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DesC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e.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EesD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E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도 7 은 종속성 구조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7 에서의 소정의 종속성 구조에 대하여, 이 대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 가 독립적으로 코딩된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D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e.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E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i. esEesC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ii. esE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f.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F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iii. esF esE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
iv. esFesD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v. esF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의 중첩을 회피하기 위한 제 2 대안 또는 추가적인 예에서, 다음이 제안된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고, 기초 스트림이 시간적 종속성을 가질 경우에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고, 기초 스트림이 정확하게 하나의 다른 기준 기초 스트림에 대한 종속성 (예컨대, 공간적, 멀티뷰, 품질) 을 가질 경우에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것이다.
c.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고, 기초 스트림이 하나를 초과하는 기준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질 경우에 기초 스트림과 연관될 것이다.
도 5 (그리고 아마도 도 6 또는 도 &)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속성 구조에 대한 이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2 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들은 esD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지고 esD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도 7 (아마도 도 5 또는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속성 구조에 대한 이 대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 가 독립적으로 코딩된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D 가 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e.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E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v. esEesC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vi. esE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f.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FesE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F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g.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esF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vii. esFesD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viii. esF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의 중첩을 회피하기 위한 제 3 대안 또는 추가적인 예에서는, 오직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이용될 것이고,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제거될 수도 있다는 것이 제안된다.
도 5 (아마도 도 6 또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속성 구조에 대한 대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a.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A 가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A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BesA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B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c.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CesA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C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d.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DesC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e.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esDesB 에 대한 계층 종속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esD 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 또는 양자의 존재 시에, 다음의 2 개의 옵션들이 제안된다:
a. 옵션 1: HEVC 코딩된 픽처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종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b. 옵션 2:
i. 종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의 존재는, 프로그램이 동일한 스트림 타입을 갖는 HEVC 코딩된 픽처들의 하나를 초과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포함할 때에만 의무적이다.
ii. 종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가 프로그램에서 존재하지 않을 때, HEVC 코딩된 픽처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서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기초 스트림의 각각에 대한 hierarchy_layer_index 의 값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기초 스트림의 제 1 의 것은 값 0 을 부여받고, 기초 스트림의 제 2 의 것은 값 1 을 부여받고, 기초 스트림의 n 번째의 것은 n - 1 을 부여받는다.
도 5 (아마도 도 6 또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속성 구조에 대한 제 2 대안 또는 추가적인 예의 예에서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어느 하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초 스트림들의 각각이 상이한 타입들이므로, 그것이 다음과 같이 추론될 수 있을 때에 종속성 정보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필요성이 없다:
a. esA 는 기본 계층 기초 스트림이다
b. esBesA 에 대한 기간적 종속성을 가진다
c. esCesA 에 대한 멀티-뷰 종속성을 가진다
d. esDesC 에 대한 멀티-뷰 종속성 및 esB 에 대한 시간적 종속성의 양자를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서의 그 기초 스트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esA, esB, esC, 및 esC.
마지막으로, 각각의 기초 스트림들에 대한 hierarchy_layer_index 의 값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esA 의 hierarchy_layer_index 는 0 과 동일하고, esB 의 hierarchy_layer_index 는 1 과 동일하고, esC 의 hierarchy_layer_index 는 2 와 동일하고, esD 의 hierarchy_layer_index 는 4 와 동일하다
이 다음은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예의 기법들의 구현들을 위한 예들이다. 상기 제안들을 구현하기 위한 제안된 텍스트들이 제공된다.
개선된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에 대하여, extension_dimension_bits 의 시맨틱은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이탤릭체로 표시된 텍스트는 MPEG-2 TS 표준에 대한 업데이트들을 나타낸다:
extension_dimension_bits - 0 과 동일한 nuh_layer_id 를 갖는 계층의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기본 계층으로부터의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의 가능한 강화를 표시하는 16-비트 필드.
강화 차원들로의 비트들의 할당은 표 Amd7-4 에서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1
시간적 강화에 대하여 배정된 비트들에 대한 인덱스의 값은 예약된 값들 (예컨대, 5 내지 15)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개선된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 대하여, 다음의 변경들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에서의 보조 계층 강화에 대한 지원을 위한 예들의 구현들을 위하여 제안된다. 업데이트된 부분은 회색-강조표시되고, [[]] 는 삭제를 표시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조항 2.6.6
표 2- 49 를 하기로 대체:
Figure pct00012
조항 2.6.7
하기를:
tempor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spati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공간적 해상도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quality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SNR 품질 또는 충실도 (fidelity) 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hierarchy_type - 연관된 계층구조 계층과 그 계층구조 내장된 계층 사이의 계층적 관계는 표 2-50 에서 정의된다. 스케일러빌러티가 하나를 초과하는 차원에서 적용될 경우, 이 필드는 '8'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조합된 스케일러빌러티"),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이에 따라 설정될 것이다.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9'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15'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D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9'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MVCD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D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15'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플래그들 temporal_scalability_flag, spatial_scalability_flag, 및 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하기로 대체함:
no_view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뷰들의 수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no_tempor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no_spatial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공간적 해상도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no_quality_ scalability _flag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의 SNR 품질 또는 충실도 (fidelity) 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1' 의 값은 예약된다.
hierarchy_type - 연관된 계층구조 계층과 그 계층구조 내장된 계층 사이의 계층적 관계는 표 2-50 에서 정의된다. 스케일러빌러티가 하나를 초과하는 차원에서 적용될 경우, 이 필드는 '8'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조합된 스케일러빌러티"), 플래그들 no_view_scalability_flag, no_temporal_scalability_flag, no_spatial_scalability_flag, 및 no_quality_scalability_flag 는 이에 따라 설정될 것이다.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9'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MVC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플래그들 no_view_scalability_flag, no_temporal_scalability_flag, no_spatial_scalability_flag, 및 no_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15'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플래그들 no_view_scalability_flag, no_temporal_scalability_flag, no_spatial_scalability_flag, [[and]]no_quality_scalability_flag shall be set to '1', 및 no_auxiliar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D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9'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MVCD 비디오 서브-비트스트림"), 플래그들 no_view_scalability_flag, no_temporal_scalability_flag, no_spatial_scalability_flag, 및 no_quality_scalabilit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MVCD 기본 뷰 서브-비트스트림들에 대하여, 이 필드는 '15' 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플래그들 no_view_scalability_flag, no_temporal_scalability_flag, no_spatial_scalability_flag, [[and]]no_quality_scalability_flag shall be set to '1', 및 no_auxiliary_flag 는 '1' 로 설정될 것이다.
no_auxiliary_flag - ' 0' 으로 설정될 때, 연관된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에 의해 참조된 프로그램 엘리먼트로부터 기인하는 보조 강화를 제공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1-비트 플래그. 이 플래그에 대한 ' 1' 의 값은 예약된다.
표 2- 50 에서 값 15 에 대한 설명을 다음과 같이 대체한다:
Figure pct00013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제안된 이용을 위하여, 다음의 변경들은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이용의 중첩을 회피하는 구현을 위하여 제안된다.
L-HEVC TS 초안의 섹션 2.17.1 에서의 총알표시된 리스트의 종반부에서 추가함:
a.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0x24 및 0x25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하나의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는 0x27, 0x28, 0x29, 및 0x2A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다음의 변경들은 중첩을 회피하는 구현을 위하여 제안된다.
L-HEVC TS 초안의 섹션 2.17.1 에서의 총알표시된 리스트의 종반부에서 추가함:
a.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는 0x24 및 0x25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존재할 것이다.
b. 0x27, 0x28, 0x29, 및 0x2A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다음이 적용된다:
i. 기초 스트림이 정확하게 하나의 다른 기초 스트림을 강화시킬 경우,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ii. 그렇지 않을 경우, 하나의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제안된 이용의 제 2 대안 또는 추가적인 예가 지금부터 설명된다. 다음의 변경들은 중첩을 회피하는 구현을 위하여 제안된다.
L-HEVC TS 초안의 섹션 2.17.1 에서의 총알표시된 리스트의 종반부에서 추가함:
a. 0x24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15 와 동일한 hierarchy_type 을 갖는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b. 0x25, 0x28, 및 0x29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3 과 동일한 hierarchy_type 을 갖는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c. 0x27, 0x28, 0x29, 및 0x2A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다음이 적용된다:
i. 기초 스트림이 정확하게 하나의 다른 기초 스트림을 강화시킬 경우, 3 과 동일하지 않은 hierarchy_type 을 갖는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ii. 그렇지 않을 경우, 하나의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및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제안된 이용의 제 3 대안 또는 추가. 다음의 변경들은 중첩을 회피하는 구현을 위하여 제안된다.
L-HEVC TS 초안의 섹션 2.17.1 에서의 총알표시된 리스트의 종반부에서 추가함:
a. 0x24 및 0x25F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하나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b. 0x27, 0x28, 0x29, 또는 0x2AF 와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계층구조 디스크립터가 존재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HEVC 비디오 디스크립터는 0x24 및 0x25 과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각각의 기초 스트림에 대하여 의무적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ITU-T Rec. H.222.0 | ISO/IEC 13818-1 프로그램이 0x27, 0x28, 0x29, 또는 0x2A 과 동일한 stream_type 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초 스트림들을 포함할 때, 적어도 하나의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서 의무적일 수도 있다.
도 8 은 비디오 데이터의 다수의 계층들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동작 포인트 정보가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예컨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제안된 표 Amd7-1 의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는 예는 도 8 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8 은 5 개의 기초 스트림들로 파티셔닝된,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의 5 개의 계층들을 가지는 프로그램의 예를 나타낸다. 각각의 기초 스트림의 종속성은 계층들 사이의 화살표들에 의해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종속성은 일부 예들에서,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의 데이터에 의해 설명될 수도 있다.
디스크립터가 가질 수 있는 바이트들의 제한된 수로 인해, 동작 포인트들의 시그널링은 이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제 1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이 예에서, 최초의 3 개의 PTL 구조들 및 최초의 2 개의 동작 포인트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반면, 제 2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는 다음 2 개의 PTL 구조들 및 다음 2 개의 동작 포인트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PTL=3
PTL[0]=주 프로파일, 주 티어, 레벨 3.1
PTL[1]=MV 주 프로파일, 주 티어, 레벨 3.1
PTL[2]=MV 주 프로파일, 주 티어, 레벨 4.1
#OP = 2
es_count[0]=1
prepand_dependencies[0]=1
es_reference[0][0]=1
#layers[0]=2
ptl_ref_idx[0][0]=0
ptl_ref_idx[0][1]=1
es_count[1]=1
prepand_dependencies[0]=1
es_reference[1][0]=2
#layers[1]=3
ptl_ref_idx[1][0]=0
ptl_ref_idx[1][1]=1
ptl_ref_idx[1][2]=2
제 2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
#PTL=1
PTL[3]=MV 주 프로파일, 주 티어, 레벨 5.0
#OP = 2
es_count[2]=1
prepand_dependencies[2]=0
es_reference[2][0]=3
#layers[2]=1
ptl_ref_idx[2][0]=3
es_count[3]=2
prepand_dependencies[3]=1
es_reference[3][0]=4
#layers[3]=5
ptl_ref_idx[3][0]=0
ptl_ref_idx[3][1]=1
ptl_ref_idx[3][2]=2
ptl_ref_idx[3][3]=0
ptl_ref_idx[3][4]=1
비트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일부 동작 포인트들에 대하여, prepand_dependencies[opIdx] 의 값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동작 포인트의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종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도 9 는 이 개시물의 기법들에 따라 일 예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에서, 도 9 의 방법은 도 1 의 디멀티플렉서 (29) 에 대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다른 디바이스들은 도 4 의 디멀티플렉서 (138), 또는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지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된 미디어 인지 네트워크 엘리먼트 (MANE) 와 같이, 도 9 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반되는 방법은 도 1 의 멀티플렉서 (21), 또는 도 4 의 멀티플렉서 (130) 와 같은 멀티플렉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이 예에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안된 표 Amd7-1 에 따른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추출한다 (150). 다음으로, 디멀티플렉서 (29) 는 디스크립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을 취출한다 (152). 예를 들어, PTL 구조들은 위에서 논의된 제안된 표 Amd7-1 의 "for( i = 0; i < num_profile_tier_level; i++, ptlIdx++ )" 루프의 데이터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기초 스트림들 (즉, 계층들) 사이의 종속성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154). 종속성들은 HEVC 동작 포인트 디스크립터에서, 또는 별도의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29) 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종속성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예컨대, 표 2-49 에 따른) 계층구조 디스크립터 또는 계층구조 확장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또한, PTL 구조들의 어느 것이 복수의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계층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한다 (156).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29) 는 위에서 논의된 제안된 표 Amd7-1 의 "for( j = 0; j < num_layers[opIdx]; j++ )" 루프로부터 이 대응관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PTL 구조들의 각각의 PTL 구조의 PTL 정보, 예컨대, profile_idc[ptlIdx], tier_flag[ptlIdx], 및 level_idc[ptlIdx] 에 대한 값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PTL 구조들을 통해 반복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디스크립터에서 시그널링된 PTL 구조들의 각각 (예컨대, ptlIdx 값들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PTL 구조들의 각각) 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에 대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를 PTL 구조들의 하나에 맵핑하는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에 대한 PTL 기준 인덱스들에 대한 값들을 추가로 취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안된 표 Amd7-1 의 ptl_ref_idx[opIdx][j] 는 동작 포인트 "opIdx" 의 계층 "j" 를 PTL 구조들 중의 하나에 맵핑하는 값을 가지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디멀티플렉서 (29) 는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158).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29) 는 위에서 논의된 제안된 표 Amd7-1 의 target_ols[opIdx] 신택스 엘리먼트들로부터, 계층들의 어느 것이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 내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되는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는, 디스크립터로부터의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target_ols[opIdx]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취출한다.
디스크립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멀티플렉서 (29) 는 동작 포인트를 선택한다 (160).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 (29) 는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디코더가 동작 포인트의 비디오 데이터가 대응하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엘리먼트들을 지원할 때에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 (30) 가 디스크립터로부터의 PTL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동작 포인트의 적어도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을 지원할 경우, 디멀티플렉서 (29) 는 동작 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디멀티플렉서 (29) 는 예컨대, 동작 포인트에 대한 디스크립터의 출력 계층 세트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을, 출력 계층 세트에서의 타겟 출력 계층들의 수와 같은 다른 특성들에 추가로 기초할 수도 있다. 특히, 디멀티플렉서 (29)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가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들의 수와 동일한 뷰들의 수를 렌더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코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수의 동작 포인트들이 있을 경우, 디멀티플렉서 (29) 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뷰들의 최대 수를 또한 포함하는 최고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을 갖는 동작 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멀티플렉서 (29) 는 선택되어야 할 동작 포인트를 표시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예에서, 디멀티플렉서 (29) 는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티어들 내의 하나 이상의 레벨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그 다음으로,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이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를 가지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이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티어들 중의 하나를 가지고,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이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레벨들 중의 하나를 가지도록,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디멀티플렉서 (29) 는 선택된 동작 포인트에 대응하는 기초 스트림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162). 추출되어야 할 기초 스트림들은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의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 스트림들뿐만 아니라,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이 (예컨대, 시간적 및/또는 인터-뷰 예측을 위하여) 종속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 스트림들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디멀티플렉서 (29) 는 추출된 기초 스트림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164).
이러한 방식으로, 도 9 의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profile), 티어 (tier), 및 레벨 (level) (PTL) 구조들과,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을 PLT 구조들의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이 대응하는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 및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예에 따라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의 어떤 액트 (act) 들 또는 이벤트 (event) 들이 상이한 시퀀스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추가될 수도 있거나, 병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모두 배제 (예를 들어, 모든 설명된 액트들 또는 이벤트들이 기법들의 실시를 위해 필요한 것은 아님)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어떤 예들에서는, 액트들 또는 이벤트들이 순차적인 것이 아니라, 예컨대, 멀티-스레딩된 (multi-threaded) 프로세싱, 인터럽트 프로세싱,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는,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데이터 저장 매체들과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예컨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하나의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들은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들,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이 개시물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취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희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칭해진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 (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radio), 및 마이크로파 (microwave) 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명령들이 송신될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접속들, 반송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 매체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비-일시적, 유형의 저장 매체들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학 디스크 (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 (disc) 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로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 FPGA) 들, 또는 다른 등가의 통합된 또는 개별 로직 회로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 는 상기한 구조,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해 적당한 임의의 다른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양태들에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이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되거나 조합된 코덱 내에 통합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이 개시물의 기법들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 (IC) 또는 IC 들의 세트 (예를 들어, 칩셋) 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태들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 개시물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코덱 하드웨어 유닛 내에 조합될 수도 있거나, 적당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상호동작하는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60)

  1.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rofile, tier, and level, PTL) 구조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LT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LT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티어들 내의 하나 이상의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선택된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선택된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티어들 중의 하나의 티어를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선택된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레벨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가지도록,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L 구조들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프로파일 정보, 티어 정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PTL 구조들을 통해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계층들의 상기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의 하나에 맵핑하는 PTL 기준 인덱스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L 구조들의 각각은 general_profile_space 값, general_tier_flag 값, 복수의 general_profile_idc 값들, i 번째 general_profile_idc 값에 대한 general_profile_compatibility_flag[i] 값, general_progressive_source_flag 값, general_interlaced_source_flag 값, general_non_packed_constraint_flag 값, general_frame_only_constraint_flag 값, general_reserved_zero_44bits 값, 및 level_idc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파티셔닝 방식,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들의 수, 상기 PTL 구조들로의 상기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 내에 포함된 계층들의 맵핑, 및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크립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각각의 계층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상기 계층들이 종속되는 계층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플래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그들은 상기 대응하는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시간적 계층들의 제 1 세트에서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 1 세트의 상기 시간적 계층들보다 더 높은 시간적 계층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확장 차원 비트들 신택스 엘리먼트의 비트들에 대한 값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차원 비트들 신택스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시간적 강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표시하는 값을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의 hierarchy_type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한 값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값은 현재의 기초 스트림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 사이의 강화에 대한 타입이 보조 타입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크립터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들의 각각은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연속적이고, PTL 구조들의 개개의 세트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TL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기초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program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ES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하나 이상의 기초 엘리먼트들에 대한 스트림 타입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이 0x27, 0x28, 0x29, 또는 0x2A 의 값을 가질 때,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0.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LT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LT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리고
    추출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또한,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티어들 내의 하나 이상의 레벨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티어들 중의 하나의 티어를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레벨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가지도록,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또한,
    상기 PTL 구조들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프로파일 정보, 티어 정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PTL 구조들을 통해 반복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계층들의 상기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의 하나에 맵핑하는 PTL 기준 인덱스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파티셔닝 방식,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들의 수, 상기 PTL 구조들로의 상기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 내에 포함된 계층들의 맵핑, 및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또한,
    상기 디스크립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각각의 계층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상기 계층들이 종속되는 계층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플래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래그들은 상기 대응하는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또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크립터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크립터들의 각각은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연속적이고, PTL 구조들의 개개의 세트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TL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기초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program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ES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하나 이상의 기초 엘리먼트들에 대한 스트림 타입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이 0x27, 0x28, 0x29, 또는 0x2A 의 값을 가질 때,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5.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LT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LT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및
    추출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티어들 내의 하나 이상의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티어들 중의 하나의 티어를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레벨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가지도록,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PTL 구조들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프로파일 정보, 티어 정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PTL 구조들을 통해 반복하는 것; 및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계층들의 상기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의 하나에 맵핑하는 PTL 기준 인덱스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파티셔닝 방식,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들의 수, 상기 PTL 구조들로의 상기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 내에 포함된 계층들의 맵핑, 및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스크립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각각의 계층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상기 계층들이 종속되는 계층들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플래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그들은 상기 대응하는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크립터들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들의 각각은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연속적이고, PTL 구조들의 개개의 세트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TL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program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ES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하나 이상의 기초 엘리먼트들에 대한 스트림 타입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이 0x27, 0x28, 0x29, 또는 0x2A 의 값을 가질 때,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8.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의 계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 포인트는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계층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PTL) 구조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LT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LT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게 하고; 그리고
    추출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에 제공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들,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비디오 코딩 표준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티어들 내의 하나 이상의 레벨들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이 대응하는 상기 PTL 구조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티어들 중의 하나의 티어를 가지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지원하는 상기 레벨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가지도록, 상기 동작 포인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를 선택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PTL 구조들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프로파일 정보, 티어 정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PTL 구조들을 통해 반복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계층들의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계층들의 상기 대응하는 하나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의 하나에 맵핑하는 PTL 기준 인덱스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1.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동작 포인트들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출력 계층 세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연관된 파티셔닝 방식,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최고 시간적 서브-계층,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를 구성하는 기초 스트림들의 리스트,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들의 수, 상기 PTL 구조들로의 상기 동작 포인트의 각각의 기초 스트림 내에 포함된 계층들의 맵핑, 및 상기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크립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상기 하나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각각의 계층을 추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출력 계층 세트의 상기 계층들이 종속되는 계층들을 추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출력 계층 세트를 결정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 대한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동작 포인트들과 연관된 상기 타겟 출력 계층 세트들을 특정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출력 계층 세트들을 결정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플래그들에 대한 값들을 상기 디스크립터로부터 취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그들은 상기 대응하는 계층이 출력 계층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5.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 기초 스트림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6.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크립터들을 추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들의 각각은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연속적이고, PTL 구조들의 개개의 세트들과, 상기 동작 포인트들의 각각의 동작 포인트의 상기 계층들의 각각의 계층을 상기 PTL 구조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PTL 구조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7.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program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8.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게 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ES_info_length 필드에 바로 후속하는 디스크립터들의 그룹을 추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하나 이상의 기초 엘리먼트들에 대한 스트림 타입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비트스트림의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기초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이 값 0x27, 0x28, 0x29, 또는 0x2A 를 가질 때, 상기 디스크립터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09465A 2014-10-10 2015-10-09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 KR102140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2681P 2014-10-10 2014-10-10
US62/062,681 2014-10-10
US201462064428P 2014-10-15 2014-10-15
US62/064,428 2014-10-15
US14/878,783 US10306269B2 (en) 2014-10-10 2015-10-08 Operation point for carriage of layered HEVC bitstream
US14/878,783 2015-10-08
PCT/US2015/054865 WO2016057884A1 (en) 2014-10-10 2015-10-09 Operation point for carriage of layered hevc bitstre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214A true KR20170069214A (ko) 2017-06-20
KR102140860B1 KR102140860B1 (ko) 2020-08-03

Family

ID=5436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65A KR102140860B1 (ko) 2014-10-10 2015-10-09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06269B2 (ko)
EP (1) EP3205105B1 (ko)
JP (1) JP6594967B2 (ko)
KR (1) KR102140860B1 (ko)
CN (1) CN106797480B (ko)
AU (1) AU2015330809B2 (ko)
ES (1) ES2741777T3 (ko)
HU (1) HUE044707T2 (ko)
WO (1) WO2016057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875A1 (ko) * 2020-09-22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작점 정보와 출력 계층 세트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미디어 파일 생성/수신 방법, 장치 및 미디어 파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2724A1 (en) 2014-10-15 2016-04-21 Qualcomm Incorporated Hrd descriptor and buffer model of data streams for carriage of hevc extensions
US10148969B2 (en) * 2015-02-11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Of sample entry and operation point signalling in a layered video file format
JP6715467B2 (ja) * 2015-07-01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復号装置および符号化復号装置
CN109565612B (zh) * 2016-08-22 2021-09-03 索尼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和接收方法
KR20180027917A (ko) * 2016-09-07 2018-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554680B (en) * 2016-10-03 2020-04-01 Advanced Risc Mach Ltd Selecting encoding options
GB2567835B (en) 2017-10-25 2020-11-18 Advanced Risc Mach Ltd Selecting encoding options
US11310560B2 (en) * 2019-05-17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stream merger and extractor
BR112022006453A2 (pt) 2019-10-05 2022-09-27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 Co Ltd Método de processamento de dados de dados de vídeo, aparelho para processar dados de vídeo, meio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o legível por computador e meio de gravação não transitório legível por computador
KR20220115958A (ko) 2019-12-26 2022-08-19 바이트댄스 아이엔씨 코딩된 비트스트림들에서의 비디오 계층들의 시그널링에 대한 제약들
WO2021134018A1 (en) 2019-12-26 2021-07-01 Bytedance Inc. Signaling of decoded picture buffer parameters in layered video
JP2023508680A (ja) 2019-12-27 2023-03-03 バイトダ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におけるサブピクチャシグナリング
WO2021142369A1 (en) 2020-01-09 2021-07-15 Bytedance Inc. Signalling of the wavefront parallel processing
MX2022010702A (es) 2020-02-28 2022-11-10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un decodificador y métodos correspondientes para señalización y semántica en conjuntos de parámetros.
US11863768B2 (en) 2020-09-02 2024-01-02 Lemon Inc. Transition period for image transitions in a media file
US20220070495A1 (en) 2020-09-02 2022-03-03 Lemon Inc. Pictures and layers included in a vvc image i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312A1 (en) * 2013-01-04 2014-07-10 Sony Corporation Jctvc-l0227: vps_extension with updates of profile-tier-level syntax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1746B2 (en) * 2009-06-12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view video coding over MPEG-2 systems
US9451252B2 (en) * 2012-01-14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parameter sets and NAL unit headers for video coding
US20140086319A1 (en) * 2012-09-25 2014-03-27 Sony Corporation Video coding system with adaptive upsampl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992490B2 (en) * 2012-09-26 2018-06-05 Sony Corporation Video parameter set (VPS) syntax re-ordering for easy access of extension parameters
US9774927B2 (en) * 2012-12-21 2017-09-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layer video stream decoding
US10219006B2 (en) * 2013-01-04 2019-02-26 Sony Corporation JCTVC-L0226: VPS and VPS_extension updates
US20160295220A1 (en) * 2013-11-21 2016-10-06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ceiving apparatus and signal transceiving method
US10567804B2 (en) 2014-01-08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Carriage of HEVC extension bitstreams and buffer model with MPEG-2 systems
US20160021375A1 (en) 2014-07-16 2016-01-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stream for carriage of video coding exten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312A1 (en) * 2013-01-04 2014-07-10 Sony Corporation Jctvc-l0227: vps_extension with updates of profile-tier-level syntax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Gruneberg, et al. Proposed Study Text of ISO/IEC 13818-1:2013/PDAM7. ISO/IEC JTC1/SC29/WG11. m34544. Jul. 9, 2014, pp.1-30 *
M. Gerard, et al. Comments on Text of ISO/IEC 13818-1:2013 / PDAM 7 - Carriage of Layered HEVC. ISO/IEC JTC1/SC29/WG11. m34380. Jul. 1, 2014, pp.1-32 *
Y. Chen, et al. Carriage of HEVC extension streams with MPEG-2 Systems. ISO/IEC JTC1/SC29/WG11. m31430. Oct. 24, 2013, pp.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875A1 (ko) * 2020-09-22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작점 정보와 출력 계층 세트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미디어 파일 생성/수신 방법, 장치 및 미디어 파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7480A (zh) 2017-05-31
AU2015330809A1 (en) 2017-03-23
BR112017007298A2 (pt) 2017-12-12
EP3205105B1 (en) 2019-05-15
JP2017535176A (ja) 2017-11-24
WO2016057884A1 (en) 2016-04-14
CN106797480B (zh) 2020-02-28
KR102140860B1 (ko) 2020-08-03
US10306269B2 (en) 2019-05-28
AU2015330809B2 (en) 2020-01-16
EP3205105A1 (en) 2017-08-16
JP6594967B2 (ja) 2019-10-23
HUE044707T2 (hu) 2019-11-28
ES2741777T3 (es) 2020-02-12
US20160105688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860B1 (ko)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의 캐리지를 위한 동작 포인트
KR102315232B1 (ko) Mpeg-2 시스템들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표준 확장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캐리지
CN106063287B (zh) 用于解码视频数据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媒体
KR102383621B1 (ko) Hrd 디스크립터 및 hevc 확장판들의 캐리지를 위한 데이터 스트림들의 버퍼 모델의 설계
CA2843748C (en) Coding parameter sets for various dimensions in video coding
KR101968425B1 (ko) 비디오 코딩 확장본들의 캐리지를 위한 전송 스트림
BR112017007298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processamento de um fluxo de bits incluindo dados de vídeo de codificação de vídeo de alta eficiência, hevc, e memória legível por computador
BR112016008953B1 (pt) Condução de dados de fluxo de bits com extensão- padrão de codificação de vídeo com o uso de sistemas de mpeg-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