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761A -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761A
KR20170068761A KR1020150175620A KR20150175620A KR20170068761A KR 20170068761 A KR20170068761 A KR 20170068761A KR 1020150175620 A KR1020150175620 A KR 1020150175620A KR 20150175620 A KR20150175620 A KR 20150175620A KR 20170068761 A KR20170068761 A KR 2017006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fan
combustion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987B1 (ko
Inventor
이돈형
정준환
이원석
윤성서
이성욱
유홍위
이신혜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연소부의 가동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상기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회전수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GAS BOILER AND EXHAUST CLOSING DET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지하는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과 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일러는 용도나 용량 등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 및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열량을 난방수에 전달하여 고온 상태로 열 교환하는 열교환부, 고온상태로 열 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수를 난방 또는 온수로의 공급을 위해 순환 또는 공급하는 난방배관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보일러는 연소시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가스보일러와 기름 보일러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구성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가정용 가스보일러(이하 '가스보일러'라 함)(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에서 공급되는 물을 열교환기(3)를 통해 가열하여 난방수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난방수를 삼방밸브(5)를 통해 난방배관(200)으로 공급하여 난방한다.
그리고 가스보일러(1)는 온수 사용시 삼방밸브(5)를 경유한 온수를 온수 열교환기(4)를 통해 열 교환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은 가스보일러의 버너에서 연소가 실시될 때 생성된 배기가스는 배기 구를 통해 강제로 배출된다.
즉,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구의 변형이나 손상, 외부에서 배기구로 역풍이 유입되는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배기구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배기구가 막히는 경우, 이산화탄소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가스보일러의 본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가스 중독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보일러는 배기 막힘을 감지하기 위하여 풍압스위치를 설치하고, 풍압스위치가 오프되면 배기 막힘으로 인식해서 가스보일러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배기폐쇄 검지방법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과, 역풍을 감지하기 위한 풍압스위치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수행되며, 마이컴에서 가스보일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연소중이 아니면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연소중이면 풍압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풍압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온이면 정상적인 연소행정을 유지하며, 오프이면 마이컴에서 팬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의 회전수를 최대회전수로 구동시키고 풍압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다시 감지하며, 풍압스위치가 온되면 마이컴에서 팬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의 회전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정상회전수로 복귀하고, 정상회전수에 도달하면 회전수를 유지하고, 정상회전수로 팬의 회전수를 복귀하는 도중에 풍압스위치가 오프되면 오프되기 직전의 팬 회전수로 팬을 구동하면서 풍압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역풍발생시 풍압스위치 제어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버너에서 연소가 시작되면 제어부에서 타이머를 통해 기억장치에 기입력되어 있는 배기폐쇄 검출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시작하는 단계와; 타이머에 의해 계수되는 시간이 정해진 배기폐쇄 검출시간을 경과하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배기폐쇄 검출시간이 경과되면 송풍팬의 회전수를 풍압스위치의 동작 압력까지 상승시켜 주는 단계와; 가스밸브의 현재 개폐량 조절값에 정해진 가산치를 추가하여 가스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단계와; 급/배기통로에 설치된 풍압스위치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배기폐쇄 상태로 인식하고 배기폐쇄 검지 과정을 완료함은 물론 버너를 안전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259708호(2000년 8월 1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53831호(2015년 9월 18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은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별도의 풍압스위치를 설치해야 하고, 풍압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이용해서 복잡한 제어과정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은 풍압스위치 설치로 인한 부품수의 증가로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풍압스위치의 이상이나 고장 발생시 배기 폐쇄 여부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배기구에 설치되는 배기팬의 출력값과 입력값을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압스위치를 제거하고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값과 배기온도 및 난방수온도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는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연소부의 가동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상기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압값 및 듀티를 갖는 PWM 형태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배기팬의 입력 회전수 범위를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해서 각각의 구간별로 상기 입력 회전수에 전압값을 각각 대응시켜 입력 회전수별 전압값을 테이블화해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리모컨에 마련된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소부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난방수온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해서 상기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은 (a) 연소부 가동시 제어부에서 배기팬을 구동해서 연소가스를 배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배기구에서 작용하는 부하량에 따른 출력신호를 피드백받는 단계 및 (c)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구동신호에 따른 입력회전수 대비 상기 배기팬의 출력신호에 따른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입력회전수를 이용해서 상기 배기팬의 출력회전수를 보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단계의 보정을 수행한 후에도 상기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배기팬의 이상 상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 상기 연소부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감지된 난방수온도가 상승하는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에 의하면,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회전수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회전수 대비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인 경우, 난방수온도의 상승 여부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역풍이나 배기구의 변형, 손상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해서 연소를 정지시킴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실내 유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연소부(11), 연소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3), 연소부(11)의 가동 상태에서 배기팬(1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배기팬(13)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연소부(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10)는 연소부(11)에 각각 물과 공기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5)와 공기공급부(16),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난방수배관에 물이 부족한 경우 저장된 물을 제공하여 보충하는 물탱크(12), 물탱크(12)에 저장된 물을 온수배관 또는 난방수배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삼방변(14),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 및 연소부(11)에서 가열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소부(11)는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에는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하여 가스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스밸브(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13)는 연소부(11)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감지센서(도면 미도시)와 난방수배관을 통해 연소부로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감지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방변(14)은 일측이 물탱크(12)와 연결되어 물탱크(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연결된 온수배관과 난방수배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부(15)는 직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직수를 연소부(11)로 전달하도록 펌핑 동작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16)는 급기구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연소부(11)로 공급하는 급기팬(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배기팬(13)과 급기팬이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기팬의 용량에 따라 배기팬(13)을 제거하고, 급기팬만을 이용해서 급기팬과 배기팬(13)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배기팬(13)은 제어부(17)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배기구의 변형이나 손상, 역풍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출력신호를 제어부(17)로 피드백한다.
이를 위해, 배기팬(13)에는 배기팬(13)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가 마련되거나, 배기팬(1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팬(13)은 배기구에서 역풍 등으로 인해 작용하는 부하량이 커지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는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른 입력 회전수에 비해 배기팬(13)의 출력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부하량이 작아지면 상기 입력 회전수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출력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한편, 배기구에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배기온도감지센서(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배기팬(13)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13)에서 피드백되는 출력 회전수를 비교하고, 출력 회전수가 입력 회전수보다 크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배기팬(13)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13)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에 따른 출력 회전수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배기팬(13)을 구동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압값 및 듀티를 갖는 PWM 형태의 구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는 배기팬(13)의 입력 회전수 범위를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간별로 배기팬(13)의 입력 회전수에 전압값을 각각 대응시켜 입력 회전수별 전압값을 테이블화해서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는 입력 회전수 구간별 전압값 테이블을 이용해서 입력 회전수와 출력 회전수를 비교하고, 출력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한계 회전수 미만이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가스보일러(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유닛으로 마련되고, 배기팬(13)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와 함께, 배기온도와 난방수온도 및 환수온도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2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배기팬(13)의 입력 회전수 대비 출력 회전수가 낮은 경우, 난방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진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유지되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최대 온도에서 일정 온도 예컨대 10℃를 감산한 온도로 설정되고, 상기 기준시간은 약 10초 내지 6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팬의 출력 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유지되는 상태에서, 배기구의 폐쇄로 인해 배기구에서 작용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연소부(11)에 구동에 의해 난방수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하강하는 경우, 제어부(17)는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10)는 연소부(11)와 제어부(17) 등 각 장치가 마련되는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모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20)은 주택이나 건물의 실내 벽체에 설치되고, 본체에 마련된 각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1)와 가스보일러(10)의 동작상태 및 각종 동작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는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S10단계에서 전원공급부(18)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7)는 본체에 마련된 각 장치를 초기화하고, 리모컨(20)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며, 리모컨(20)에서 설정된 운전모드 및 설정온도에 따라 난방 및 온수 공급 동작을 준비하도록 제어한다.
S12단계에서 제어부(17)는 가스 공급라인에 마련된 비례밸브(도면 미도시)를 개방 동작시키고, 공기공급부(16)의 급기팬과 배기팬(13) 및 물공급부(15)의 펌프를 구동해서 연소부(11)에 가스 연료와 공기, 물을 공급하고, 점화기를 작동시켜 연소부(11)에서 점화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배기팬(13)이 구동되면, 배기팬(13)의 출력 회전수가 제어부(17)로 피드백된다(S14).
그러면, S16단계에서 제어부(17)는 피드백된 배기팬(13)의 출력 회전수가 점화 행정시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에 해당되는지를 검사한다.
S16단계의 검사결과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7)는 배기팬(13)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안내하도록 리모컨(20)에 마련된 표시부(22)를 제어한다(S18).
반면, S16단계의 검사결과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되면, S20단계에서 제어부(17)는 연소부(11)에 지속적으로 가스 연료와 공기 및 물을 공급해서 연소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S22단계에서 제어부17)는 연소 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회전수 대비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
S22단계의 검사결과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7)는 입력 회전수를 변경 설정해서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를 보정하고(S24), 다시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S26).
만약, S26단계의 검사결과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7)는 배기팬(13)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안내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S28).
반면, S24단계의 보정에 의해 배기팬(13)의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로 보정되면, 감지부(19)에 마련된 제1 온도감지센서는 연소부(11)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한다(S30).
그러면, 제어부(17)는 감지된 난방수온도가 상승하는지를 검사한다(S32).
만약, S32단계의 검사결과 난방수 온도가 하강하면, 제어부(17)는 배기팬(13)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안내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S34).
이때, 제어부(17)는 배기팬의 이상 상태로 판단한 횟수를 카운팅하고(S36), 미리 설정된 한계횟수 이하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38).
만약, S38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한계횟수 미만이면, 제어부(17)는 S14단계 내지 S38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38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한계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7)는 배기구의 막힘 상태, 즉 폐쇄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안내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S44단계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S40).
한편, S22단계의 검사결과 입력회전수 대비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거나, S32단계의 검사결과 난방수온도가 상승하면, 제어부(17)는 배기팬(13) 및 배기구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현재 난방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상수(α) 이하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42).
S42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상수(α) 이하이면, 제어부(17)는 S20단계 내지 S4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42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상수(α)를 초과하면, 제어부(17)는 연소부(11)에 공급되는 가스 연료와 공기 및 물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소화시킨 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풍압스위치를 제거하고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회전수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회전수 대비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인 경우, 난방수온도의 상승 여부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풍압스위치를 제거하고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회전수와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회전수를 이용해서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가스보일러 11: 연소부
12: 물탱크 13: 배기팬
14: 삼방변 15: 물공급부
16: 공기공급부 17: 제어부
18: 전원공급부 19: 감지부
20: 리모컨 21: 입력부
22: 표시부 30: 저장부

Claims (7)

  1.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연소부의 가동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상기 배기팬에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압값 및 듀티를 갖는 PWM 형태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배기팬의 입력 회전수 범위를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해서 각각의 구간별로 상기 입력 회전수에 전압값을 각각 대응시켜 입력 회전수별 전압값을 테이블화해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가스보일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의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리모컨에 마련된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난방수온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해서 상기 배기구의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
  5. (a) 연소부 가동시 제어부에서 배기팬을 구동해서 연소가스를 배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배기구에서 작용하는 부하량에 따른 출력신호를 피드백받는 단계 및
    (c)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와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비교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구동신호에 따른 입력회전수 대비 상기 배기팬의 출력신호에 따른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입력회전수를 이용해서 상기 배기팬의 출력회전수를 보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단계의 보정을 수행한 후에도 상기 출력회전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배기팬의 이상 상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연소부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감지된 난방수온도가 상승하는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기구의 폐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KR1020150175620A 2015-12-10 2015-12-10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KR10181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20A KR101815987B1 (ko) 2015-12-10 2015-12-10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20A KR101815987B1 (ko) 2015-12-10 2015-12-10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761A true KR20170068761A (ko) 2017-06-20
KR101815987B1 KR101815987B1 (ko) 2018-02-21

Family

ID=5928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620A KR101815987B1 (ko) 2015-12-10 2015-12-10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0073A (zh) * 2018-12-28 2020-07-07 庆东纳碧安株式会社 锅炉及锅炉的燃烧控制方法
CN116026043A (zh) * 2022-12-30 2023-04-28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燃气采暖热水炉的风压开关控制方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0073A (zh) * 2018-12-28 2020-07-07 庆东纳碧安株式会社 锅炉及锅炉的燃烧控制方法
CN116026043A (zh) * 2022-12-30 2023-04-28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燃气采暖热水炉的风压开关控制方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987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7897A1 (en)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bustion in boiler
KR20110098292A (ko) 수소 연료전지 차량용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815987B1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EP3312523B1 (en) Gas water heater and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322619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429896B1 (ko) 보일러의 연소불량 감시방법
KR101398177B1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풍압센서를 이용한 운전제어방법
CN106642713A (zh) 热水器的排气安全检测方法
KR101549439B1 (ko)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US20170115031A1 (en) Method of ensuring safety of exhaust of water heater
KR10067981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85961B1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시운전방법
KR20170069098A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응급 운전 제어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17162B1 (ko) 보일러의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안전제어방법
KR20090103276A (ko) 보일러의 연소제어시 안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22616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607119B1 (ko)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방법
KR10169113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시운전방법
KR101301054B1 (ko)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KR101797649B1 (ko) 배기 온도 기반의 난방 제어방법
KR10160674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WO2016075741A1 (ja) 流体循環システム
KR10155383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KR20070033682A (ko)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