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654A -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 Google Patents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654A
KR20170068654A KR1020150174857A KR20150174857A KR20170068654A KR 20170068654 A KR20170068654 A KR 20170068654A KR 1020150174857 A KR1020150174857 A KR 1020150174857A KR 20150174857 A KR20150174857 A KR 20150174857A KR 20170068654 A KR20170068654 A KR 2017006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arm
power transmission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8960B9 (en
KR102238960B1 (en
Inventor
김봉성
윤대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60B1/en
Publication of KR2017006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6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60B1/en
Publication of KR10223896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6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8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제1모터의 회전력을 아암의 일단부인 지지아암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연결부재를 체결볼트로 결합한다. 그리고,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축과 연결부재가 결합되면, 연결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내륜이 연결부재의 일측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때, 체결볼트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면 베어링의 내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므로,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체결볼트만으로 연결축과 연결부재를 결합할 수 있고,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의 일단면(一端面)에 심(Shim)을 개재하고, 심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체결볼트의 체결 정도를 이용하여 베어링의 예압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 및 제2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 robot having an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is disclosed. Th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connecting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connecting member with the fastening bolt, which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to the supporting arm as one end of the arm. When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bolt,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shaft is pressed by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olt,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is adjusted, so that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That is,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coupled only by the fastening bolt, and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if a shim is provid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earing and the thickness of the shim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by using the fas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olt. Since the coupling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the coupling shaft of the bevel gear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evel gear are integrally formed, rigidity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Description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0001]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having an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로봇(Robot)은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제어장치를 통해 실행시켜서 목적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도장(塗裝), 용접, 프레스, 운반, 가공물의 자동접착/분리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로봇은 도장(塗裝)이나 용접 등과 같이 작업환경이 나쁘거나 작업의 숙련도를 필요로 하는 업종의 경우에는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Robots are used widely in industrial fields such as painting, welding, pressing, transportation, automatic bonding / separation of workpieces, etc., by executing the programs necessary for the work through the control device, . In particular, robots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 means of replacing human labor force in the case of industries with bad work environments such as painting and welding, or where proficiency in work is required.

일반적으로, 로봇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자전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측에는 엔드이펙터(End Effector)가 설치되는 다축(多軸) 다관절로 형성된 아암(Arm)을 구비한다.In general, the robot includes a base, a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an arm (not shown) formed of a multi-axis multi-joint in which one side of the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end effector Arm.

상기 아암의 타단부에는 상기 엔드이펙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지지되는 지지홀더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아암의 타단부의 회전과 보조를 맞추어 상기 지지홀더가 회전하여야 상기 지지홀더에 지지된 상기 케이블이 꼬이지 않는다.And a support holder for supporting a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d effec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rm.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arm coincides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holder, so that the cable supported by the support holder is not twisted.

상기 아암의 타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의하여 각각 회전하며, 상기 아암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아암의 타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모듈 및 제2동력전달모듈이 설치된다.The other end of the arm and the support holder are rotated by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arm from the other end of the arm, A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are provided.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측과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은 상기 연결축의 일단면(一端面)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연결축을 연결한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connecting shaft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side of the first motor, and the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via a connecting member. 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one end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connect the rota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shaft.

그리고,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자체의 공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예압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A bearing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shaft. At this time, since the bearing has its own tolerance, the preload must be adjust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봇은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축과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robot, the nut is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to adjust the preload of the bearing. Therefore, a separate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required, so tha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the number of assembling steps increases, and the cost increases.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축과 상기 베벨기어는 별도로 형성되어 용접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모듈도 상호 용접으로 결합된 연결축과 베벌기어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의 상기 연결축과 상기 베벨기어의 용접 부위 및 상기 제2동력전달모듈의 상기 연결축과 상기 베벨기어의 용접 부위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A bevel gea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bevel gear are separately formed and joined by weld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also includes a connection shaft and a bevel gear which are welded to each other. Since the rigidity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bevel gear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welding portion of the bevel gea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evel gear is relatively weak, .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apable of solving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동력전달유닛의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연결부재를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cost by combining the connection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ith the connection member and adjusting the preload of the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It may be to provide a robo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유닛의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 및 제2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by integrally forming a connecting shaft of a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a connecting shaft of a bevel gea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Lt; / RTI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아암; 상기 아암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암의 일단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엔드이펙터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지되는 지지홀더; 상기 아암의 일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아암의 일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로 각각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모듈 및 제2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는 로봇으로서,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은,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측과 연결된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베벨기어; 상기 연결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연결축과 상기 연결부재를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예압이 조절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including: an arm; A support holde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rm and rotatable independently from one end of the arm as one end of the arm rotates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end effector is supported;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respectively rotating one end of the arm and the support holder;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rm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one end of the arm and the support holder, Wherei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formed in a hollow body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s one end sid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side of the first motor, shaft; A bevel gear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rotation shaft; A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connecting shaft; And a fastening bolt for coupling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each other and adjusting the preload of the bea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은, 제1모터의 회전력을 아암의 일단부인 지지아암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연결부재를 체결볼트로 결합한다. 그리고,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축과 연결부재가 결합되면, 연결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내륜이 연결부재의 일측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때, 체결볼트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면 베어링의 내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므로,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체결볼트만으로 연결축과 연결부재를 결합할 수 있고, 베어링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connecting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connecting member with the fastening bolt, which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to the supporting arm serving as one end of the arm. When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bolt,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shaft is pressed by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olt,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is adjusted, so that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That is,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coupled only by the fastening bolt, and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베어링의 일단면(一端面)에 심(Shim)을 개재하고, 심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체결볼트의 체결 정도를 이용하여 베어링의 예압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shim is provid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earing and the thickness of the shim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 preload of the bearing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by using the fas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olt.

그리고, 제1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 및 제2동력전달모듈의 연결축과 베벨기어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Since the coupling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the coupling shaft of the bevel gear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evel gear are integrally formed, rigidity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암의 상단부측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arm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but they are number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and the second item among the first item, Means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include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the abov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with the other element, although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obot having an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100)은 도장(塗裝), 용접, 프레스, 운반, 가공물의 자동접착 또는 분리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베이스(110), 프레임(120) 및 다축(多軸) 다관절 형태의 아암(Arm)(1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industrial field such as painting, welding, pressing, conveying, automatic bonding or separation of workpieces, etc., and includes a base 110, (120) and a multiaxial articulated arm (130).

베이스(110)는 작업장의 바닥 등에 놓이거나,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베이스(110)가 작업장의 바닥에 놓일 경우,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베이스(110)가 작업장의 바닥상에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e base 110 may be placed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or may be spaced from the floor of the workplace. When the base 11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a plurality of rollers (not shown)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0. The rollers support the base 110 so that it can flow smoothly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프레임(120)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자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12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아암(130)의 하단부는 프레임(120)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른 엔드이펙터(End Effector)(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중간부위는 상호 결합되어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arm 13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frame 120. An end effector 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arm 13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work. And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mutually coupled parts.

아암(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암(130)은 하측 부위에 해당하는 제1연결아암(131), 중간 부위에 해당하는 제2연결아암(133) 및 상측 부위에 해당하는 지지아암(1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m 1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arm 131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a second connecting arm 133 corresponding to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supporting arm 135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arm 130. [ ).

제1연결아암(131)은 프레임(120)의 일측에 하단부측이 결합 지지되어 진자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연결아암(133)은 제1연결아암(131)의 상단부측에 하단부측이 결합 지지되어 진자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아암(135)은 제2연결아암(133)의 상단부측에 하단부측이 결합 지지되어 진자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아암(135)의 하단부측에는 엔드이펙터(End Effector)(50)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arm 13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120 in a pendulum shape while the lower connecting end of the first connecting arm 13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arm 131 And the support arm 135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pendulum by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arm 133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arm 133. [ have. An end effector 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rm 135.

프레임(120)이 자전함으로 인하여, 아암(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상물의 작업 위치에 따라 지지아암(135)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아암(130)의 각 부위가 상호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진자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작업대상물의 작업 위치에 따라 지지아암(135)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지아암(135)과 작업물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of the arm 130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frame 120, the position of the support arm 135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of the workpiece. Since the arm 130 is rotatably mounted in a pendulum shape on the basis of the mutually coupled portions, the height of the support arm 135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 position of the workpiece, 135 and the workpiece can be easily adjusted.

아암(130)의 각 부위에는 아암(130)의 각 부위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141), 제3모터(145) 및 제4모터(147)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프레임(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5모터(149)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141), 제3모터 내지 제5모터(145, 147, 149)는 베이스(110)에서부터 지지아암(135)의 하단부측까지 설치된 케이블(150)을 통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아암(135)의 하단부측에는 케이블(150)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홀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motor 141, a third motor 145 and a fourth motor 147 for rotating respective parts of the arm 130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respective parts of the arm 130, A fifth motor 149 for rotating the frame 120 may be installed. The first motor 141 and the third to fifth motors 145 to 147 and 149 can receive external power through the cable 150 installed from the base 110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arm 135 have. A support holder 160, into which the cable 150 is inserte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arm 135.

지지아암(135)이 회전하므로, 지지아암(135)의 회전과 보조를 맞추어 지지홀더(160)가 회전하여야 지지홀더(160)에 지지된 케이블(150)이 꼬이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지지아암(135)측에는 제1모터(141) 및 지지홀더(16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143)의 회전력을 지지아암(135) 및 지지홀더(160)로 각각 전달하여, 지지아암(135) 및 지지홀더(160)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arm 135 rotates and the cable 150 supported by the support holder 160 is not twisted until the support holder 160 rotates in keeping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arm 135.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143 for rotating the first motor 141 and the support holder 160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arm 135 and the support holder 160, A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rotating the support arm 135 and the support holder 160 may be installed.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하우징(170)(도 2 참조), 제1모터(141)의 회전력을 지지아암(135)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모듈(180)(도 2 참조) 및 제2모터(143)의 회전력을 지지부재(160)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모듈(190)(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housing 170 (see FIG. 2), a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180 (see FIG. 2)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141 to the support arm 135,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190 (refer to FIG. 2)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43 to the support member 160.

상기 동력전달모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암의 상단부측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ar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전달모듈(180)은 연결축(181), 베벨기어(182), 연결부재(184), 베어링(186) 및 체결볼트(188)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180 may include a connecting shaft 181, a bevel gear 182, a connecting member 184, a bearing 186, and a fastening bolt 188.

연결축(181)은 중공체(中空體)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7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축(181)의 일단부측은 제1모터(141)의 회전축측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에는 베벨기어(18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8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축(181)의 일단부측과 제1모터(141)의 회전축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haft 18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hollow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70.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8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side of the first motor 141 and a bevel gear 18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The connecting member 18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nnect one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181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motor 141.

베어링(186)은 연결부재(184)와 연결된 연결축(181)의 일단부측 외주면과 하우징(170)의 내주면 사이 및 베벨기어(182)가 형성된 연결축(181)의 타단부측 외주면과 하우징(17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축(181)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The bearing 186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18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8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7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81 having the bevel gear 182, 170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shaft 181.

내륜과 외륜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게재된 볼을 가지는 베어링(186)은 자체의 공차를 가지므로, 조도불량이나 기계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The bearing 186 having the balls disposed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nd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has its own tolerance, which can lead to poor quality of design and mechanical vibration. To prevent this,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must be adjusted.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은 체결볼트(188)를 이용하여 연결축(181)과 연결부재(184)를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다.Th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uple the connecting shaft 181 and the connecting member 184 with each other using the fastening bolts 188 and adjust the preload of the bearings 186.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70)의 내주면에는 연결축(181)을 감싸는 형태로 원통형의 지지부재(172)가 설치될 수 있고, 연결축(181)의 일단부측과 지지부재(172)의 일단부측 사이 및 연결축(181)의 타단부측과 지지부재(172)의 타단부측 사이에 베어링(186)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베어링(186)의 내륜 및 외륜은 연결축(181)의 외주면 및 지지부재(172)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 지지될 수 있다.A cylindrical support member 17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7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shaft 181 and the one end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181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72 And a bearing 18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181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72, respectively. Therefore,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186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18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72, respectively.

이때, 연결축(181)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베어링(186)의 내륜은 연결축(181)과 연결부재(184)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볼트(188)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81 may be pressed by a fastening bolt 188 coupling the connecting shaft 181 and the connecting member 184 to each other.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재(184)는 연결관(184a) 및 결합테(18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84a)은 상호 결합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측이 제1모터(141)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결합테(184b)는 연결관(184a)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체결볼트(188)에 의하여 연결축(181)의 일단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어링(186)의 내륜과 접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84 may include a coupling tube 184a and a coupling frame 184b. The connection pipe 184a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mutually coupled ones and one end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41. [ The coupling frame 184b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ipe 184a and may be coupled to the one end face of the coupling shaft 181 by the coupling bolt 188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

즉, 체결볼트(188)는 결합테(184b)와 연결축(181)을 관통하여 결합테(184b)와 연결축(181)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볼트(188)의 체결 정도(程度)를 조절하면, 결합테(184b)에 의한 베어링(186)의 내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므로, 베어링(186)의 예압이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fastening bolt 188 passes through the coupling frame 184b and the coupling shaft 181, thereby coupling the coupling frame 184b and the coupling shaft 181 to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fastening bolts 188 is adjusted, the pressing degree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by the coupling frame 184b is adjusted, so that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be adjusted.

연결축(181)과 지지부재(172)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186)이 연결축(1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아야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72)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 내주면에는 베어링(186)의 외륜이 접촉 지지되는 단면(段面)(17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be adjusted only when the bearing 186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shaft 181 and the supporting member 172 does not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haft 181. To this end, a stepped surface 172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7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72 to support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186.

지지부재(172)에 형성된 단면(172a)의 공차로 인하여, 연결축(18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186)이 연결축(18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베어링(186)의 내륜이 결합테(184b)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186)의 외륜과 지지부재(172)이 단면(172a) 사이에는 심(Shim)(189)이 게재될 수 있다. 그리고, 심(189)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체결볼트(188)의 체결 정도를 이용하여 베어링(186)의 예압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bearing 186 provided at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181 may not protrude outward of the connection shaft 181 due to the tolerance of the end surface 172a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72. [ Then, since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does not contact the engaging frame 184b,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not be adjusted. A shim 189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186 and the end face 172a of the support member 172. [ If the thickness of the padding 189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be more precisely adjusted by using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fastening bolts 188.

제1동력전달모듈(180)의 연결축(181)과 베벨기어(18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181)과 베벨기어(182)는 복수개가 상호 맞물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haft 181 and the bevel gear 182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18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connection shafts 181 and bevel gears 182 are installed in a mutually engaged manner .

그리고, 지지홀더(160)로 제2모터(14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모듈(190)도 상호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191)과 베벨기어(1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호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191)과 베벨기어(192)는 복수개가 상호 맞물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19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143 to the support holder 160 may include a connecting shaft 191 and a bevel gear 192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connecting shafts 191 and bevel gears 192 may be provided in a mutually engaged manner.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은 제1동력전달모듈(180)의 연결축(181)과 제1모터(141)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84)를 체결볼트(188)로 결합한다. 그리고, 체결볼트(188)에 의하여 연결축(181)과 연결부재(184)의 결합테(184b)가 결합되면, 연결축(181)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86)의 내륜이 연결부재(184)의 결합테(184b)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때, 체결볼트(188)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면 베어링(186)의 내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므로,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체결볼트(188)를 이용하여 연결축(181)과 연결부재(184)를 결합할 수 있고, 베어링(186)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connecting shaft 181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180 with the connecting shaft 184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motor 141 with the fastening bolt 188. When the coupling shaft 181 and the coupling frame 184b of the coupling member 184 are coupled by the coupling bolt 188,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which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shaft 181, 184, respectively.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olt 188,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86 is adjusted, so that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be adjusted. That is, the connecting shaft 181 and the connecting member 184 can be coupled by using the fastening bolts 188, and the preload of the bearing 186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제1동력전달모듈(180)의 연결축(181)과 베벨기어(182) 및 제2동력전달모듈(190)의 연결축(191)과 베벨기어(192)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shaft 181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180 and the connecting shaft 191 of the bevel gear 18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190 and the bevel gear 192 are integrally formed,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70: 하우징
172: 지지부재
181, 191: 연결축
182, 192: 베벨기어
184: 연결부재
186: 베어링
188: 체결볼트
170: Housing
172: support member
181, 191: connection axis
182, 192: Bevel gear
184:
186: Bearings
188: fastening bolt

Claims (6)

일단부에 엔드이펙터(End Effector)가 설치된 다축(多軸) 다관절 형태의 아암; 상기 아암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암의 일단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엔드이펙터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지되는 지지홀더; 상기 아암의 일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아암의 일단부 및 상기 지지홀더로 각각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모듈 및 제2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는 로봇으로서,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은,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측과 연결된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베벨기어;
상기 연결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연결축과 상기 연결부재를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예압이 조절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A multiaxial articulated arm having an end effector at one end; A support holde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rm and rotatable independently from one end of the arm as one end of the arm rotates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end effector is supported;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respectively rotating one end of the arm and the support holder;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rm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one end of the arm and the support holder, As a result,
A housing is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arm,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connection shaft formed in a hollow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one end side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side of the first motor;
A bevel gear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rotation shaft;
A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connecting shaft;
And a coupling bolt for coupling the connection shaft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adjusting a preload of the bea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축을 감싸는 형태로 원통형의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의 일단부측과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측 사이 및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측과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측 사이에 상기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륜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축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체결볼트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ylindrical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shaft,
The bearing is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on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is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is pressed by the fastening bol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의 일단면에 결합되는 결합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테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결합테 및 상기 연결축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cylindrical connection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 coupling surfac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coupled to one end surface of the connection shaft,
Wherein the coupling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fastening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coupling frame and the coupling shaf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접촉 지지되는 단면(段面)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stepped surface is formed on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상기 단면(段面) 사이에는 심(Shim)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him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stepp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모듈의 상기 연결축과 상기 베벨기어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모듈은 상호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과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evel gear are integrally formed,
Wherei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connecting shaft and a bevel gear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KR1020150174857A 2015-12-09 2015-12-09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KR102238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57A KR102238960B1 (en) 2015-12-09 2015-12-09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57A KR102238960B1 (en) 2015-12-09 2015-12-09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654A true KR20170068654A (en) 2017-06-20
KR102238960B1 KR102238960B1 (en) 2021-04-14
KR102238960B9 KR102238960B9 (en) 2021-10-27

Family

ID=5928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57A KR102238960B1 (en) 2015-12-09 2015-12-09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9385A (en) * 2017-09-07 2017-12-15 南京理工大学 Cartesian robot iteration sliding formwork cross-coupling control method
KR102604157B1 (en) * 2023-05-12 2023-11-20 (주) 해원오직 A Robot Power Transmit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667A (en) * 1995-09-20 1997-03-31 Toyoda Mach Works Ltd Industrial rob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667A (en) * 1995-09-20 1997-03-31 Toyoda Mach Works Ltd Industrial rob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9385A (en) * 2017-09-07 2017-12-15 南京理工大学 Cartesian robot iteration sliding formwork cross-coupling control method
KR102604157B1 (en) * 2023-05-12 2023-11-20 (주) 해원오직 A Robot Power Transmit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60B9 (en) 2021-10-27
KR102238960B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920B2 (en) Robot arm assembly
JP6558850B2 (en) Robot apparatus and parallel robot
US9162325B2 (en) Welding apparatus
US20180099365A1 (en) Assembly equipment and assembly method
US8231117B2 (en) Robot system
US10213918B2 (en) Dual-arm robot
US8109173B2 (en) Parallel robot provided with wrist section having three degrees of freedom
US8511199B2 (en) Robot arm assembly
US10391641B2 (en) Combination type link actuation device
WO2010101203A1 (en) Articulation unit for robot and robot
US10427294B2 (en) Parallel link robot and parallel link structure
CN108883539B (en) Mechanical arm mechanism and rotary joint device
JP5201681B2 (en) Angle indexing device for machine tools
US11130226B2 (en) Arm structure of robot and robot
US11420322B2 (en) Working device and double-arm type working device
CN103101057A (en) Robot arm component
WO2017047438A1 (en) Robot device
US20110120245A1 (en) Robot arm assembly
KR20130129303A (en) Industrial robot
CN102883859A (en) Industrial robot having an apparatus for driving an attachable/detachable four-bar link mechanism
US11000946B2 (en) Link operating device
JP5984561B2 (en) Friction stir welding equipment
US10780574B2 (en) Link actuating device
JP5408840B2 (en) 2-axis rotary positioner
KR20170068654A (en) Robot with improved bearing pre-lo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