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324A - 농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농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324A
KR20170068324A KR1020150175381A KR20150175381A KR20170068324A KR 20170068324 A KR20170068324 A KR 20170068324A KR 1020150175381 A KR1020150175381 A KR 1020150175381A KR 20150175381 A KR20150175381 A KR 20150175381A KR 20170068324 A KR20170068324 A KR 2017006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concentration
hydromet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명
Original Assignee
나우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우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324A/ko
Publication of KR2017006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36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density or specific gravity, e.g. determining quantity of mois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1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bodies wholly or partially immersed in fluid materials
    • G01N9/1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bodies wholly or partially immersed in fluid materials by observing the depth of immersion of the bodies, e.g. hyd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1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bodies wholly or partially immersed in fluid materials
    • G01N9/1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bodies wholly or partially immersed in fluid materials by observing the depth of immersion of the bodies, e.g. hydrometers
    • G01N9/18Special adaptat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비중계와, 비중계에 설치되어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와, 부력감지부에 연결되어 부력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부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측정대상 유체에 부유하는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 또는 비중계의 부유위치를 감지하여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므로 보다 정확한 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통신부를 통해 농도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므로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유체의 농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비중계를 사용하여 유체의 농도를 측정하므로 저농도부터 고농도까지 광범위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도 측정기{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농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농도부터 고농도까지 유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농도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농도측정기는 액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계기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적정법(Titration), 전류의 세기를 이용한 전도도 측정법, 빛의 투과도 등을 이용한 광학 측정법 및 밀도를 이용한 밀도 측정법 등으로 분류된다.
이중,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밀도 측정법으로,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밀도 측정법은 비중계(Hydrometer, 液體比重計) 등을 이용한다. 상기 액체비중계는 측정 방법이 간단하고 측정 속도가 비교적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0.0002 비중까지 측정이 가능하므로, 정확도도 높은 편이다.
하지만,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13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중계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의 경계면과 닿는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보다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숙련도가 요구된다. 또한, 정기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비중계가 설치된 시설물에 작업자가 수시로 이동해서 눈금을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에 개시된 농도측정장치로는 광,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장치가 있으나 상기 농도측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측정대상 유체에 부유하는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 또는 비중계의 부유위치를 감지하여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측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비중계와, 상기 비중계에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와, 상기 부력감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부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비중계의 상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에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광을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부재와, 상기 수광부재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각 상기 수광부재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재가 마련된 위치감지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부재와, 상기 부유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부재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들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부재와 발광부재 사이로 연장된 차단로드가 마련된 비중계와, 상기 수광부재들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수광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중계의 부유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비중계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일단이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된 시설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공에 연통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로 펌핑하거나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시설물로 펌핑하는 펌프와, 주기적으로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된 다음 상기 시설물로 회귀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상기 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유체의 농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측정대상 유체에 부유하는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 또는 비중계의 부유위치를 감지하여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므로 보다 정확한 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는 통신부를 통해 농도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므로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유체의 농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비중계를 사용하여 유체의 농도를 측정하므로 저농도부터 고농도까지 광범위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도 측정기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도 측정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도 측정기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농도 측정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도 측정기(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농도 측정기(100)는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111)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111)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112)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비중계(120)와, 상기 비중계(120)에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120)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지하는 부력감지부(140)와, 상기 부력감지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된 상기 부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150)와, 상기 산출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유체의 농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161)로 송신하는 통신부(16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좌우측면 하부에 복수의 유입공(11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유입공(112)에는 연장관(1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관(113)은 내부에 유입공(112)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장관(113)은 단부가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단면에는 측정대상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장관(113)은 단부가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110) 외부의 유체의 파동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부력감지부(140)에서 보다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시설물에 수용된 유체의 농도를 측정시 작업자는 상기 본체(110)를 시설물에 수용된 유체가 수용된 수용공간에 설치하는데, 이때, 연장관(113)을 통해 시설물에 수용된 유체가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계(120)는 본체(110)의 유입공간(111)에 유입된 유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공간이 마련된 부구(121)와, 상기 부구(121)의 하부에 설치되며, 부구(121)의 하부 일부분이 유체에 침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무게추(122)를 구비한다. 상기 비중계(120)는 무게추(122)에 의해 하측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유체에 부유한다. 이때, 유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비중계(120)에 작용하는 부력이 증가하고, 유체의 농도가 감소하면 비중계(120)에 작용하는 부력이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100)는 비중계(1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가이드부(1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비중계(12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판(131)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판(131)은 하단이 본체(110)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본체(110)의 전후폭에 대응되는 전후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판(131)의 하측에는 가이드판(131)들 사이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부력감지부(140)는 상측이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며, 하측이 상기 비중계(120)의 상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120)에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41)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압력센서(141)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본체(110)에 설치되어 측정된 압력 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다.
산출부(150)는 압력센서(141)를 통해 측정된 비중계(120)에 작용하는 압력값을 부력 값으로 판단하고, 상기 압력 값을 토대로 본체(110) 내부에 유입된 유체의 농도를 산출한다. 통신부(160)는 산출부(150)로부터 산출된 유체의 농도 정보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161)로 송신한다. 이때, 관리자의 단말기(161)는 스마트폰, PDA, 컴퓨터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100)는 측정대상 유체에 부유하는 비중계(120)에 작용하는 부력 또는 비중계(120)의 부유위치를 감지하여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므로 보다 정확한 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100)는 통신부(160)를 통해 농도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161)로 송신하므로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유체의 농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비중계(120)를 사용하여 유체의 농도를 측정하므로 저농도부터 고농도까지 광범위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도 측정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농도 측정기(200)는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211)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211)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212)이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 내부에 부유하는 비중계(230)와, 상기 비중계(230)의 부유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20)와, 위치감지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중계(230)의 부유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비중계(230)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250)와, 상기 산출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산출부(25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유체의 농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261)로 송신하는 통신부(260)와, 상기 본체(210) 내부에 유체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27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좌측 하단부에 상기 유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10)는 소금물과 같은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감지부(220)는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광을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부재(221)와, 상기 수광부재(221)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210)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각 상기 수광부재(221)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재(2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222)들과 수광부재(221)들은 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재(222)는 직진성이 우수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위치감지부(2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U'자 형으로 만곡된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상호 대향되도록 수광부재 및 발광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비중계(230)는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부재(231)와, 상기 부유부재(231)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부재(231)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222)들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부재(221)와 발광부재(222) 사이로 연장된 차단로드(232)를 구비한다.
부유부재(23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부유부재(231)는 본체(210) 내부에 수용된 유체로부터 제공되는 부력에 의해 부유한다.
차단로드(232)는 하단이 부유부재(231)의 상단 중앙부에 고정되며, 발광부재(222)와 수광부재(221) 사이로 인입되도록 부유부재(2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차단로드(232)는 발광부재(222)들로부터 발생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불투광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도 측정기(200)는 비중계(23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가이드부(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240)는 부력부재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210)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하측판(241)과, 차단로드(23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210)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상측판(242)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판(241) 및 상측판(242)은 부력부재 및 차단로드(232)의 승강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하측판(241)은 하측판(241)들 사이에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210)의 바닥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출부(250)는 상기 수광부재(221)들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수광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중계(230)의 부유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비중계(230)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한다.
유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부유부재(231)에 작용하는 부력이 증가하여 차단로드(232)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차단로드(232)의 이동에 따라 발광부재(222)들 중 일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차단로드(232)에 의해 간섭되어 수광부재(221)에 도달하지 못한다. 산출부(250)는 수광부재(221)로부터 수광정보를 토대로 차단로드(232)의 상승된 위치를 판별한다. 또한, 유체의 농도가 감소하면 부유부재(231)에 작용하는 부력이 감소하여 차단로드(232)가 하강한다. 차단로드(232)의 하강에 따라 발광부재(222)로부터 발생된 광이 수광부재(221)에 도달하여 수광부재(221)에 감지된다. 산출부(250)는 수광부재(221)들에 감지되는 광 수광 정보를 토대로 차단로드(232)의 하강된 위치를 판별한다. 이때, 산출부(250)는 판별된 차단로드(232)의 위치를 토대로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고, 유체의 농도 정보를 통신부(260)를 통해 관리자에게 송신한다.
통신부(260)는 산출부(250)로부터 산출된 유체의 농도 정보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261)로 송신한다. 이때, 관리자의 단말기(261)는 스마트폰, PDA, 컴퓨터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공급부(270)는 일단이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된 시설물(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공(212)에 연통되게 상기 본체(210)에 연결된 연결관(271)과, 상기 연결관(271)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210)로 펌핑하거나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시설물로 펌핑하는 펌프(272)와, 주기적으로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본체(210) 내부로 주입된 다음 상기 시설물로 회귀되도록 상기 펌프(27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73)를 구비한다.
연결관(271)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마련되며, 유연성이 높고,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시설물은 염전과 같은 유체의 농도 측정이 요구되는 시설물이 적용된다. 펌프(272)는 연결관(271)에 설치된 모터펌프로서, 제어부(273)의 제어에 따라 본체(210)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본체(210)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시설물로 회귀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체공급부(27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73)는 본체(210) 내부에 시설물의 유체가 유입되도록 펌프(272)를 작동시킨다. 본체(210) 내부에 소정의 양의 유체가 주입되면 제어부(273)는 펌프(272)를 정지시키고, 위치감지부(220) 및 산출부(250)는 본체(210)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통신부(260)를 통해 농도 정보를 관리자에게 송신한다. 유체의 농도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73)는 본체(210) 내부의 유체를 시설물로 회귀시키도록 상기 펌프(272)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부(273)는 주기적으로 시설물의 유체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공정을 반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농도 측정기(200)는 유체공급부(270)에 의해 주기적으로 시설물의 유체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농도 측정기
110: 본체
111: 유입공간
112: 유입공
113: 연장관
120: 비중계
121: 부구
122: 무게추
130: 가이드부
131: 가이드판
132: 관통구
140: 부력감지부
141: 압력센서
150: 산출부
160: 통신부
161: 단말기

Claims (5)

  1.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비중계와;
    상기 비중계에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와;
    상기 부력감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부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비중계의 상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중계에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측정기.
  3. 내부에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광을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부재와, 상기 수광부재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각 상기 수광부재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재가 마련된 위치감지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부유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부재와, 상기 부유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부재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들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부재와 발광부재 사이로 연장된 차단로드가 마련된 비중계와;
    상기 수광부재들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수광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비중계의 부유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비중계의 부유 위치에 따라 상기 유체의 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측정대상 유체가 수용된 시설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공에 연통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로 펌핑하거나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시설물로 펌핑하는 펌프와;
    주기적으로 상기 시설물에 수용된 상기 유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된 다음 상기 시설물로 회귀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측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유체의 농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측정기.






KR1020150175381A 2015-12-09 2015-12-09 농도 측정기 KR20170068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81A KR20170068324A (ko) 2015-12-09 2015-12-09 농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81A KR20170068324A (ko) 2015-12-09 2015-12-09 농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24A true KR20170068324A (ko) 2017-06-19

Family

ID=592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381A KR20170068324A (ko) 2015-12-09 2015-12-09 농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3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4771A (zh) * 2019-05-14 2019-07-23 广东世创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态浓度微量变化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6539677A (zh) * 2023-05-11 2023-08-04 南京钜力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容式氢氧化钙在线浓度分析仪及浓度分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4771A (zh) * 2019-05-14 2019-07-23 广东世创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态浓度微量变化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6539677A (zh) * 2023-05-11 2023-08-04 南京钜力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容式氢氧化钙在线浓度分析仪及浓度分析方法
CN116539677B (zh) * 2023-05-11 2024-02-06 南京钜力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容式氢氧化钙在线浓度分析仪及浓度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 continuous water-level sensor based on load cell and floating pipe
KR20170068324A (ko) 농도 측정기
KR100792400B1 (ko)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약지반 침하 계측장치
KR20100006855U (ko) 수질 측정장치
KR101591342B1 (ko) 하수관로용 수위측정장치
KR101907034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액체레벨 수위 센서
KR102590685B1 (ko) 비접촉 압력식 수위 센서 및 비접촉 압력식 수위 측정 방법
CN205448987U (zh) 一种利用激光传感的结构变形测量和采集装置
CN113795732A (zh) 液位计、喷洒组件及无人飞行器
CN107356263A (zh) 一种基于激光位移测量法的静力水准仪校准装置
AU2022228113B2 (en) Liquid Level Measurement Apparatus
KR20100035744A (ko) 수위 측정 장치
CN104949739A (zh) 用于现场校准大尺寸液位传感器的直线基准结构
CN212058988U (zh) 液位计、喷洒组件及无人飞行器
CN100514062C (zh) 一种混凝土渗透性的测量装置
CN202710130U (zh) 一种抗泡沫液位检测仪
CN215064773U (zh) 一种测压管内水位自动测量监测装置
JP2009300298A (ja) 沈下測定装置
KR101279077B1 (ko) 청색 레이저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및 장치
ATE303501T1 (de) Flüssigkeitsstandmessung
CN110567443A (zh) 一种电子测深杆
KR20120070699A (ko) 수위 측정 장치
CN218960646U (zh) 水箱及清洁基站
KR101598964B1 (ko) 염수추적에 의한 물수지 분석방법
CN215448113U (zh) 一种激光水位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