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753A -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 Google Patents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753A
KR20170067753A KR1020177009167A KR20177009167A KR20170067753A KR 20170067753 A KR20170067753 A KR 20170067753A KR 1020177009167 A KR1020177009167 A KR 1020177009167A KR 20177009167 A KR20177009167 A KR 20177009167A KR 20170067753 A KR20170067753 A KR 20170067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rrow bandwidth
bandwidth region
region
carrier
sub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399B1 (ko
Inventor
이얍 이삼 사크니니
하오 수
피터 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3702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659A/ko
Publication of KR2017006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협대역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직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UE 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양한 동작 모드들은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협대역 UE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상호 참조들
본 특허출원은 Sakhnini 등에 의해 "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의 명칭으로 2015년 10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877,741호, 및 Sakhnini 등에 의해 "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의 명칭으로 2014년 10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061,655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그 출원들 각각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직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 가능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 (LTE) 시스템) 을 포함한다.
예로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기지국들 각각은, 다르게는 사용자 장비 (UE들) 로서 공지될 수도 있는 다중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UE 로의 송신들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들 및 (예를 들어, UE 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채널들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LTE 시스템들에 있어서, 가능한 로컬 오실레이터 누설에 의해 야기된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가능한 왜곡 또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구성된 대역폭 내에서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특별히 핸들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심 서브캐리어는 DC 서브캐리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E들은 다운링크 상에서의 DC 서브캐리어를 사용하여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상에서, DC 서브캐리어는 비어있는 또는 널 서브캐리어를 나타낸다. UE들은 이것을 예상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고속 푸리에 변환 (FFT) 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업링크에 대해, 비어있는 또는 미사용된 DC 서브캐리어는 업링크 송신들의 피크 대 평균 전력비 (PAPR) 를 증가시킬 수도 있어서; 널 서브캐리어 대신,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다른 서브캐리어들과 같이 변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업링크 상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은 주파수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절반 (예를 들어, 7.5 kHz)) 만큼 시프트될 수도 있다. 이는 임의의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광대역폭 캐리어 주파수 내에서 협대역폭 디바이스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에 대해, 협대역폭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중심을 두지 않은 DC 서브캐리어를 고려하기 위해 특정 UE 또는 기지국 동작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UE 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UE 는,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그 결정에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은 비어있는 서브캐리어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협대역폭 디바이스 (예를 들어, 협대역 UE) 에 의한 업링크 송신을 보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은 광대역 UE 와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 1 기지국은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협대역 UE 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하고 있을 수도 있어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다. 제 1 기지국은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이 설명된다. 그 방법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명령들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그 코드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 장치들,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예상된 직류 (DC) 서브캐리어 위치에 대응하는 RE들의 세트를 펑처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함을 결정하는 것,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것, 및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 장치들,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협대역폭 영역 내에 효과적으로 중심을 두도록 할당된 협대역 영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은 또한,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기초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FFT) 동작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기지국으로부터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은 수신된 표시에 기초하며,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 및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기초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 장치들,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함을 결정하는 것,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것, 및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협대역폭 영역에 인접하도록 할당된 협대역 영역을 하향변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항변환하는 것은 캐리어 주파수, 협대역폭 영역의 대역폭, 및 구성가능한 값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은 또한,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기초하여 FFT 동작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 장치들,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기지국으로부터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은 수신된 표시에 기초하며,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 및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기초한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이 설명된다. 그 방법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명령들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그 코드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 장치들,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는 것 또는 광대역폭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것 또는 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UE 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은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이 설명된다. 그 방법은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하는 단계,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상기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하는 수단,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상기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수단, 및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명령들은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하고,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상기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고, 그리고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그 코드는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하고,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상기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하고, 그리고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는, 뒤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될 수도 있도록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 이점들을 다소 넓게 서술하였다. 부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의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는 다른 구조들을 수정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균등한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다. 관련된 이점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개념들의 특성들, 그 구성 및 동작 방법 양자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경우에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오직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청구항들의 한계들의 정의로서 제공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본성 및 이점들의 추가적인 이해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 간을 구별하는 대쉬 및 제 2 라벨을 참조 라벨 다음에 오게 함으로써 구별될 수도 있다. 오직 제 1 참조 라벨만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면, 그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과 무관하게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에 적용가능하다.
도 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3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채용한 광대역폭 시스템 내의 협대역폭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채용한 광대역폭 시스템 내의 협대역폭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 (UE)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UE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UE 를 포함한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을 포함한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13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4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5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6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7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인핸스드 머신 타입 통신 (eMTC)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 특정 LTE 어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UE 는 특정 가정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자 모두에 대한 협대역폭 (또는 협대역) (예를 들어, 1.4 MHz) 무선 주파수 (RF) 기저대역 내에서의 동작으로 제한될 수도 있고, UE 는 기존의 광대역폭 (또는 광대역) (예를 들어, 20 MHz) 시스템 내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러한 동작 제한들 또는 사양들을 충족하기 위하여, 협대역 UE 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일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20 MHz 중 1.4 MHz.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광대역 시스템 내에서 동작가능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협대역 UE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이한 협대역 UE들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상이한 부분들을 배정 또는 할당받을 수도 있다. 이는, 협대역 UE 로 하여금 광대역 캐리어의 중간 여섯개 (6) 의 물리 리소스 블록들 (PRB들) (예를 들어, 1.4 MHz) 을 사용하여 동기화 신호들 또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 (PSS),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SSS),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를 포착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그 후, 네트워크는 UE 를 광대역 캐리어 내에서 중간 또는 중심 1.4 MHz 이외의 기타 다른 1.4 MHz 대역으로 재지향시킬 수도 있다. 그 후, UE 는 광대역 캐리어 주파수들과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및 업링크 양자 모두에 대한 1.4 MHz 영역 내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중심 1.4 MHz 외부에서의 이러한 동작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동작들에 대한 특정 문제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 대해, UE 는 구성된 대역폭 (예를 들어, 협대역폭) 의 중간 (또는 중심) 에서 DC 서브캐리어를 수신하도록 예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배정된 또는 할당된 협대역폭이 광대역폭 시스템 내에 있기 때문에 그리고 배정된 또는 할당된 협대역폭이 광대역폭 시스템의 중심에 있지 않으면, 기지국으로부터의 협대역폭 신호는 DC 서브캐리어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의 결과는, UE 가 비어있는 톤들 (예를 들어, 리소스 엘리먼트들 (RE들)) 을 가정하지만 RE들이 실제로 비어있지 않다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널 서브캐리어 - DC 서브캐리어 - 의 가정된 위치가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성능 열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업링크에 대해,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협대역 UE 에 대해, 송신기 로컬 오실레이터 누설은 중심 서브캐리어 주변에서 서브캐리어들의 부분들 (예를 들어, 두개 (2) 의 서브캐리어들) 을 왜곡시킬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 이는 이들 톤들에 대한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광대역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협대역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성능이 열화될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예상된 DC 서브캐리어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거나 또는 업링크 상에서의 부가적인 송신 때문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UE들 또는 기지국들, 또는 이들 양자 모두는 성능 열화를 회피하기 위하여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기법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기재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함없이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있어서 변경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예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시스템 (100) 은 기지국들 (105), 적어도 하나의 UE (115), 및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130) 는 사용자 인증, 액세스 인가, 추적, 인터넷 프로토콜 (IP) 접속, 및 다른 액세스, 라우팅, 또는 이동성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백홀 링크들 (132) (예를 들어, S1 등)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30) 와 인터페이싱한다. 기지국들 (105) 은 UE들 (115) 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 구성 및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거나, 또는 기지국 제어기 (도시 안됨) 의 제어 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들 (105) 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들 (134) (예를 들어, X1 등) 상에서 서로와 직접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을 통해 UE들 (115)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각각은 개별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들 (105) 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트랜시버, 노드 B, e노드B (eNB), 홈 노드B, 홈 e노드B,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에 대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은,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분 (도시 안됨) 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예를 들어, 매크로 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한 중첩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롱 텀 에볼루션 (LTE)/LTE-어드밴스드 (LTE-A) 네트워크이다. LTE/LTE-A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용어 '진화된 노드B' (eNB) 는 일반적으로 기지국들 (105) 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한편, 용어 'UE' 는 일반적으로 UE들 (115) 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이 다양한 지리적 영역들에 대해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이종의 LTE/LTE-A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eNB 또는 기지국 (105) 은 매크로 셀, 소형 셀, 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용어 "셀" 은, 맥락에 의존하여, 기지국, 기지국과 연관된 캐리어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캐리어 또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예를 들어, 섹터 등) 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3GPP 용어이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 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 (115) 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소형 셀은, 매크로 셀과 비교했을 때, 매크로 셀들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예를 들어, 허가, 비허가 등)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저-전력공급식 기지국이다. 소형 셀들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피코 셀들, 펨토 셀들, 및 마이크로 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예를 들어,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 (115) 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홈) 을 커버할 수도 있고,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 (115) (예를 들어,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115),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115) 등) 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 는 매크로 eNB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소형 셀에 대한 eNB 는 소형 셀 eNB, 피코 eNB, 펨토 eNB 또는 홈 eNB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는 하나 또는 다중의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 셀들 (예를 들어, 컴포넌트 캐리어들) 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 (105) 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대략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 (105) 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개시된 예들의 일부를 수용할 수도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계층화된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하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에 있어서, 베어러 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에서의 통신은 IP 기반일 수도 있다.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은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어셈블리를 수행하여 논리 채널들 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은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들의 전송 채널들로의 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MAC 계층은 또한 MAC 계층에서의 재송신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을 이용하여, 링크 효율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제어 평면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프로토콜 계층은 UE (115) 와 기지국들 (105) 간의 RRC 접속의 확립, 구성, 및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RRC 프로토콜 계층은 또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에 대한 무선 베어러들의 코어 네트워크 (130) 지원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물리 (PHY) 계층에서, 전송 채널들은 물리 채널들에 매핑될 수도 있다.
UE들 (115)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전반에 걸쳐 산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115)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UE (115) 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용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5) 는 셀룰러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UE 는 매크로 eNB들, 소형 셀 eNB들, 중계기 기지국들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및 네트워크 장비와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일부 타입들이 자동화된 통신을 위해 제공할 수도 있다. UE들 (115) 을 포함한 자동화된 무선 디바이스들은 머신-투-머신 (M2M) 통신 또는 머신 타입 통신 (MTC) 을 구현하는 것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M2M 또는 머신 타입 통신 (MTC) 은,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인간 개입없이 서로와 또는 기지국과 통신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 기술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2M 또는 MTC 는, 정보를 측정하거나 캡처하고 그 정보를 중앙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중계하기 위한 센서들 또는 계측기들을 통합한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그 중앙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정보를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인간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일부 UE들 (115) 은,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머신들의 자동화된 거동을 가능케 하도록 설계된 것들과 같은 MTC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스마트 계측, 재고 모니터링, 수위 모니터링, 장비 모니터링, 헬스케어 모니터링, 야생생물 모니터링, 기상 및 지질학적 이벤트 모니터링, 차량 관리 및 추적, 원격 보안 감지, 물리적 액세스 제어, 및 트랜잭션 기반 비즈니스 청구를 포함한다. MTC 디바이스는 감소된 피크 레이트에서 반이중 (일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은 또한, 활성 통신에 관여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전력 절약 "딥 슬립 (deep sleep)" 모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들 (115) 은 eMTC 디바이스들이고, 최대 1.4 M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협대역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에 도시된 통신 링크들 (125) 은 UE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UL) 송신들, 또는 기지국 (105) 으로부터 UE (115)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들은 또한 순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도 있는 한편, 업링크 송신들은 또한 역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 링크 (125) 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캐리어는 상기 설명된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 변조된 다중의 서브캐리어들 (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로 구성된 신호일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서브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제어 정보 (예를 들어, 레퍼런스 신호들, 제어 채널들 등), 오버헤드 정보, 사용자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5) 은 (예를 들어, 페어링된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또는 (예를 들어, 페어링되지 않은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동작을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프레임 구조들은 FDD 에 대해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 타입 1) 및 TDD 에 대해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 타입 2) 정의될 수도 있다.
LTE 시스템들은 DL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를 그리고 UL 상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활용할 수도 있다. OFDMA 및 SC-FDMA 는 시스템 대역폭을 다중의 (K개)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고, 이들 직교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또는 빈들로서 통상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변조될 수도 있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간의 스페이싱은 고정될 수도 있으며,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 는 1.4, 3, 5, 10, 15, 또는 20 메가헤르쯔 (MHz) 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 (가드대역을 가짐) 에 대해 각각 15 킬로헤르쯔 (KHz) 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갖는 72, 180, 300, 600, 900, 또는 1200 과 동일할 수도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 MHz 를 커버할 수도 있고, 1, 2, 4, 8, 또는 16개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링크들 (125) 은 광대역 시스템 내의 협대역 상에서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 (125) 는 20 MHz 캐리어 주파수 내의 1.4 MHz 상에서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일 수도 있고, 1.4 MHz 는 20 MHz 중심 주파수 (예를 들어, 중간 서브캐리어들) 주위에 중심을 두지 않을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들 (105) 또는 UE들 (115) 은 기지국들 (105) 과 UE들 (115) 간의 통신 품질 및 신뢰성을 개선시키도록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들을 채용하기 위해 다중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들 (105) 또는 UE들 (115) 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코딩된 데이터를 반송하는 다중의 공간 계층들을 송신하도록 다중-경로 환경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기법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다중의 셀들 또는 캐리어들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캐리어 집성 (CA) 또는 멀티-캐리어 동작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또한 컴포넌트 캐리어 (CC), 계층, 채널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용어들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셀" 및 "채널" 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UE (115) 는 캐리어 집성을 위해 다중의 다운링크 CC들 및 하나 이상의 업링크 CC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캐리어 집성은 FDD 및 TDD 컴포넌트 캐리어들 양자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eMTC 디바이스들을 포함한 특정 UE들 (115) 은, 처음에, 광대역 캐리어의 중심 6개 PRB들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화 정보, 마스터 정보 블록 (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 (SIB들) 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PSS, SSS, 및 PBCH 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SIB들은 전달된 시스템 정보의 타입에 따라 정의될 수도 있다. SIB1 은 셀 아이덴티티 정보와 같은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UE (115) 가 셀에 캠프온 (camp on) 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SIB1 은 또한, 셀 선택 정보 (또는 셀 선택 파라미터들) 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SIB1 은 다른 SIB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SIB2 는 공통 및 공유 채널들에 관련된 액세스 정보 및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SIB3 은 셀 재선택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SIB4 및 SIB5 는 이웃 LTE 셀들에 관한 재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SIB6 내지 SIB8 은 비-LTE (예를 들어,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GERAN,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이웃 셀들에 관한 재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SIB9 는 홈 eNB 라는 명칭을 포함한다. SIB10 내지 SIB12 는 긴급 통지 정보 (예를 들어, 쓰나미 및 지진 경고들) 를 포함한다. 그리고 SIB13 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구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또는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시, eMTC 디바이스와 같은 UE (115) 는 광대역 캐리어 내의 다른 1.4 MHz 대역으로 재지향될 수도 있다. 따라서, UE (115) 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UE (115) 는,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그 결정에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UE (115)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은 비어있는 서브캐리어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은 UE들 (115-a 및 115-b) 및 기지국들 (105-a 및 105-b) 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UE들 (115) 및 기지국들 (105) 의 예들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a) 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UE (115-a)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a) 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a) 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예를 들어, 통신 링크 (125) 상에서) 송신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은 비어있는 서브캐리어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할 수도 있다.
업링크 동작들에 대해, 예를 들어, 기지국 (105-a) 은 협대역폭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115-b)) 에 의한 업링크 송신을 보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05-a) 은 기지국 (105-a) 와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115-a) 를 식별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협대역 UE (115-b) 가 기지국 (105-b) 과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협대역 UE (115-b) 는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둘 수도 있다. 기지국 (105-a) 은 협대역 UE (115-b) 가 기지국 (105-b) 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광대역 UE (115-a) 와의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채용한 광대역폭 시스템 내의 협대역폭 시스템 (3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시스템 (300-a) 은 주파수 (304) 및 시간 (306)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캐리어 (302) 를 포함한다. 시스템 (300-a) 은 DC 서브캐리어 (308) 및 협대역 영역 (310) 을 포함하고, 시스템 (300-a) 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들 내에서의 캐리어 동작을 예시할 수도 있다. 시스템 (300-b) 은 하나의 가능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옵션을 예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동작을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UE 는, 비어있는 DC 서브캐리어의 추정된 또는 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중간 RE들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펑처링은 선택된 동작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대역 영역 (310-a) 에서 동작하는 UE 는 DC 서브캐리어 (308-a) 를 예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UE 는, 협대역 영역 (3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서브캐리어 (308-b) 에서 RE들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즉, UE 는 예상된 위치에서 RE들을 디코딩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UE 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대역 UE 가 광대역 캐리어와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발생하면, 어떠한 조정도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협대역 UE 가 광대역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상이한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리고 DC 서브캐리어가 협대역 영역 내에 있지만 협대역 영역 내에 중심을 두지 않으면, UE 는 서브캐리어들을 하향변환하고, DC 서브캐리어를 고려하도록 FFT 동작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협대역 UE 가 광대역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상이한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리고 DC 캐리어가 협대역 영역 내에 있지 않으면, UE 는 서브캐리어를 하향변환하고 FFT 동작들을 더 현저히 조정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채용한 광대역폭 시스템 내의 협대역폭 시스템의 일 예이다. 시스템 (400) 은 시간 (404) 및 주파수 (406)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협대역 캐리어들 (402) 을 포함한다. 시스템 (400) 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들 내에서의 캐리어 동작을 예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대역 영역 (410) 에서 동작하는 UE 는 중심 주파수 (408) 에서 DC 서브캐리어를 예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UE 는, DC 서브캐리어 (412) 가 협대역 영역 (410-a) 내에 있더라도 중심 주파수 (408-a) 가 DC 서브캐리어 (412) 의 실제 위치와 상이하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광대역 캐리어의 중심 6개 PRB들을 사용하면서 시스템 정보를 포착할 수도 있으며, 그 후, 협대역 영역 (410-a) 으로 재지향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 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DC 서브캐리어 (412) 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 협대역 영역 (410-a) 에 대한 DC 서브캐리어 (412) 의 위치에 의존하여, DC 서브캐리어 (412) 를 고려하거나 고려하지 않음 (예를 들어, FFT 동작을 실시할 경우) 으로써 그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는, 중심 주파수 (408-a) 가 DC 서브캐리어 (414) 의 실제 위치와 상이하고 DC 서브캐리어 (414) 는 협대역 영역 (410-b) 으로부터 배제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UE 는, DC 서브캐리어가 할당된 협대역 외부에 있도록 협대역 캐리어 주파수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 를 하향변환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하향변환하는 것은 협대역 영역이 DC 서브캐리어에 인접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향변환은 캐리어 주파수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하향변환은,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 [협대역폭]/2 + δ 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δ 는 UE 구성가능형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UE (115-b) 의 블록 다이어그램 (500) 을 도시한다. UE (115-b) 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UE (1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UE (115-b) 는 수신기 (505),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또는 송신기 (51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b)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UE (115-b)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및 다른 반(semi)-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505) 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과 연관된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 (예를 들어,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및 협대역 디바이스들에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에 관련된 정보 등)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는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로, 그리고 UE (115-b)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기지국으로부터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은 수신된 표시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505) 는 기지국으로부터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은 수신된 표시에 기초한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송신기 (515) 는 UE (115-b)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송신기 (515) 는 트랜시버 모듈에 있어서 수신기 (505) 와 병치될 수도 있다. 송신기 (515) 는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송신기 (51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UE (115-c) 의 블록 다이어그램 (600) 을 도시한다. UE (115-c) 는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UE (1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UE (115-c) 는 수신기 (505-a),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a) 또는 송신기 (515-a)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c)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a) 은 또한, 협대역 식별 모듈 (605),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및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c)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ASIC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 및 다른 반-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505-a) 는,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a) 로 그리고 UE (115-c)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a) 은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송신기 (515-a) 는 UE (115-c)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협대역 식별 모듈 (6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는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그리고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은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은 또한,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함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그리고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b) 의 블록 다이어그램 (700) 을 도시한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b) 은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b) 은 협대역 식별 모듈 (605-a),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a), 및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a)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모듈들 각각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b) 은 또한, DL 송신 분석기 (705), 캐리어 하향변환 모듈 (710), 및 FFT 모듈 (71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b)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ASIC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 및 다른 반-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DL 송신 분석기 (70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할 수도 있다. DL 송신 분석기 (705) 는 또한,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할 수도 있다.
캐리어 하향변환 모듈 (710)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협대역폭 영역 내에 효과적으로 중심을 둘 수도 있도록 할당된 협대역 영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것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협대역폭 영역에 인접할 수도 있도록 할당된 협대역 영역을 하향변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항변환하는 것은 캐리어 주파수, 협대역폭 영역의 대역폭, 및 구성가능한 값에 기초할 수도 있다.
FFT 모듈 (71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기초하여 FFT 동작을 조정할 수도 있다. FFT 모듈 (715) 은 또한,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기초하여 FFT 동작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UE (115) 를 포함한 시스템 (800)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시스템 (800) 은,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UE (115) 의 일 예일 수도 있는 UE (115-d)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d) 는,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의 일 예일 수도 있는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8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d) 는 또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82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d) 는 또한, 통신물들을 송신하기 위한 컴포넌트들 및 통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15-d) 는 UE (115-e) 또는 기지국 (105-b) 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82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예상된 직류 (DC) 서브캐리어 위치에 대응하는 RE들의 세트를 펑처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 (115-d) 는 또한, 프로세서 모듈 (805), 메모리 (815) (소프트웨어 (SW) (820) 포함), 트랜시버 모듈 (835),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840)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예를 들어, 버스들 (845) 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835) 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안테나(들) (840)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모듈 (835) 은 기지국 (105) 또는 다른 UE (115) 와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835)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840) 에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안테나(들) (840)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기 위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15-d) 가 단일의 안테나 (840) 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UE (115-d) 는 또한, 다중의 무선 송신물들을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한 다중의 안테나들 (840) 을 가질 수도 있다.
메모리 (815)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815) 는,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 모듈 (805)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협대역 디바이스들에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등) 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 (820) 를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 (820) 는 프로세서 모듈 (805)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805) 은 인텔리전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ASIC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 (105-c) 의 블록 다이어그램 (900) 을 도시한다. 기지국 (105-c) 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 (10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5-c) 은 수신기 (905),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또는 송신기 (91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c) 은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기지국 (105-c)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ASIC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 및 다른 반-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905) 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과 연관된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 (예를 들어,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및 협대역 디바이스들에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에 관련된 정보 등)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는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로, 그리고 기지국 (105-c)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90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수신기 (905) 는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905) 는 기지국으로부터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은 수신된 표시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기 (90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수신기 (905) 는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은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고,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고,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고, 그리고 비어있는 서브캐리어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할 수도 있다.
송신기 (915) 는 기지국 (105-c)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송신기 (915) 는 트랜시버 모듈에 있어서 수신기 (905) 와 병치될 수도 있다. 송신기 (915) 는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송신기 (915) 는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기지국 (105-d) 의 블록 다이어그램 (1000) 을 도시한다. 기지국 (105-d) 는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 (10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5-d) 은 수신기 (905-a),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a) 또는 송신기 (915-a)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d) 은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a) 은 또한, BS 협대역 식별 모듈 (1005), BS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1010), 레이트 매칭 모듈 (1015), 광대역 UE 식별 모듈 (1020), 협대역 UE 식별 모듈 (1025), 및 통신 조정 모듈 (103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d)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ASIC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 및 다른 반-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905-a) 는,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a) 로 그리고 기지국 (105-d)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a) 은 도 9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송신기 (915-a) 는 기지국 (105-d)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BS 협대역 식별 모듈 (10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BS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1010)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레이트 매칭 모듈 (101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비어있는 서브캐리어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할 수도 있다. 광대역 UE 식별 모듈 (1020)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할 수도 있다.
협대역 UE 식별 모듈 (102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둔다. 통신 조정 모듈 (1030)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b) 의 블록 다이어그램 (1100) 을 도시한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b) 은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b) 은 BS 협대역 식별 모듈 (1005-a), BS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1010-a), 레이트 매칭 모듈 (1015-a), 광대역 UE 식별 모듈 (1020-a), 협대역 UE 식별 모듈 (1025-a), 및 통신 조정 모듈 (1030-a)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모듈들 각각은 도 10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b)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ASIC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IC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 및 다른 반-주문형 IC),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 (105) 을 포함한 시스템 (1200)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시스템 (1200) 은, 도 1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기지국 (105) 의 일 예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5-e)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의 일 예일 수도 있는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12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또한, 통신물들을 송신하기 위한 컴포넌트들 및 통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05-e) 은 기지국 (105-m) 또는 기지국 (105-n) 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e) 은 하나 이상의 유선 백홀 링크들을 가질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코어 네트워크 (130) 로의 유선 백홀 링크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등) 를 가질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또한, 기지국간 백홀 링크들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 을 통해, 기지국 (105-m) 및 기지국 (105-n) 과 같은 다른 기지국들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UE들 (11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e) 은 기지국 통신 모듈 (1225) 을 활용하여 105-m 또는 105-n 과 같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 통신 모듈 (1225) 은 LTE/LTE-A 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내에서 X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기지국들 (105) 의 일부 사이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e) 은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통해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e) 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 (123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30) 와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프로세서 모듈 (1205), 메모리 (1215) (소프트웨어 (SW) (1220) 포함), 트랜시버 모듈들 (1230), 및 안테나(들) (1240)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예를 들어, 버스 시스템 (1245) 상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들 (1230) 은, 안테나(들) (1240) 를 통해, 멀티-모드 디바이스일 수도 있는 UE들 (115) 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1230) (또는 기지국 (105-e) 의 다른 컴포넌트들) 은 또한, 안테나들 (124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들 (도시 안됨) 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1230)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1240)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들 (1240)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e) 은 다중의 트랜시버 모듈들 (1230)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중의 트랜시버 모듈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안테나들 (1240) 을 갖는다. 트랜시버 모듈은 도 9 의 결합된 수신기 (905) 및 송신기 (915) 의 일 예일 수도 있다.
메모리 (1215) 는 RAM 및 ROM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215) 는 또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1220) 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 모듈 (1205)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협대역 디바이스들에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커버리지 강화 기법들을 선택하는 것, 호출 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관리, 메시지 라우팅 등)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1220) 는 프로세서 모듈 (1205)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205) 은 인텔리전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CPU, 마이크로제어기,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205) 은 인코더들, 큐 프로세싱 모듈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무선 헤드 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들) 등등과 같은 다양한 특수목적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통신 모듈 (1225) 은 다른 기지국들 (105)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 모듈은 다른 기지국들 (105) 과 협력하여 UE들 (115) 과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또는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모듈 (1225) 은 빔포밍 또는 공동 송신과 같은 다양한 간섭 저감 기법들에 대해 UE들 (115) 로의 송신물들을 위한 스케줄링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 (13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300) 의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300) 의 동작들은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UE (11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130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30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식별 모듈 (6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310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310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31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31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4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 (14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400) 의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400) 의 동작들은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UE (11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법 (1400) 은 또한 도 13 의 방법 (1300) 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40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40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식별 모듈 (6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10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410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1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41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20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420 의 동작들은 도 5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수신기 (5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2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425 의 동작들은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DL 송신 분석기 (7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5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 (15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500) 의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500) 의 동작들은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5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UE (11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법 (1500) 은 또한 도 13 및 도 14 의 방법들 (1300 및 1400) 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50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50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식별 모듈 (6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10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510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1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51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 모드 선택 모듈 (61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20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520 의 동작들은 도 5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수신기 (5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25 에서, UE (115) 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525 의 동작들은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DL 송신 분석기 (70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6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 (16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600) 의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 (10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600) 의 동작들은 도 9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기지국 (10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 (105) 은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법 (1600) 은 또한 도 13 내지 도 15 의 방법들 (1300, 1400, 및 1500) 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605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협대역 영역의 표시를 UE (115)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605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식별 모듈 (605) 또는 도 9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기 (91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10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이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610 의 동작들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중심 식별 모듈 (6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15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폭 영역에 있어서 UE 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그 통신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그 통신은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통신은 또한,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615 의 동작들은 도 9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기 (915) 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레이트 매칭 모듈 (101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7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한 방법 (17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700) 의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 (10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700) 의 동작들은 도 9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모듈 (9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기지국 (10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 (105) 은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법 (1700) 은 또한 도 13 내지 도 16 의 방법들 (1300, 1400, 1500, 및 1600) 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705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광대역 UE 를 식별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705 의 동작들은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광대역 UE 식별 모듈 (102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710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 UE 가 광대역폭 캐리어 내의 협대역폭 영역을 활용함에 있어서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협대역폭 영역은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둔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710 의 동작들은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협대역 UE 식별 모듈 (1025)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715 에서, 기지국 (105) 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협대역 UE 가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대역 UE 와의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블록 1715 의 동작들은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조정 모듈 (103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들 (1300, 1400, 1500, 1600, 및 1700) 은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을 위해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들 (1300, 1400, 1500, 1600, 및 1700) 은 가능한 구현을 기술하며 그 동작들 및 단계들은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방법들 (1300, 1400, 1500, 1600, 및 1700) 중 2개 이상의 방법들로부터의 양태들은 결합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며, 구현될 수도 있거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형태들 모두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된 용어 "예시적인" 은 "예, 예증,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며,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유리" 하거나 "선호" 되지는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법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기법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중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성으로 인해, 상기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부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예를 들어,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 과 같은 어구에 의해 시작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 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 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즉, A 와 B 와 C) 를 의미하도록 하는 포괄적인 리스트를 표시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컴팩트 디스크 (CD) 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수록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소프트웨어가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변동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 는 종종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스 0 및 A 는 일반적으로, CDMA2000 1X, 1X 등으로서 지칭된다. IS-856 (TIA-856) 은 일반적으로, CDMA2000 1xEV-DO, 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 (HRPD) 등으로서 지칭된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 (UMB), 진화된 UTRA (E-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의 부분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한 UMTS 의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상기 언급된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뿐 아니라 다른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의 목적들로 LTE 시스템을 기술하고 LTE 용어가 상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지만, 그 기법들은 LTE 어플리케이션들을 넘어서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예상된 직류 (DC) 서브캐리어 위치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 (RE들) 의 세트를 펑처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상기 협대역폭 영역 내에 효과적으로 중심을 두도록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FFT) 동작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정보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하향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항변환은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주파수,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대역폭, 및 구성가능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FFT 동작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정보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1.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 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상기 UE 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있어서 상기 UE 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6.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와 연관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은,
    예상된 직류 (DC) 서브캐리어 위치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 (RE들) 의 세트를 펑처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함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수단은,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상기 협대역폭 영역 내에 효과적으로 중심을 두도록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FFT) 동작을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은 수신된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작가능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은 수신된 상기 시스템 정보 및 식별된 협대역폭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함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를 배제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분석하는 수단은,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주파수,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대역폭, 및 구성가능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가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하향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FFT 동작을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은 수신된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작가능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은 수신된 상기 시스템 정보 및 식별된 협대역폭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대역폭 캐리어 내에서의 동작을 위해 할당된 협대역폭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상기 협대역폭 영역이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서브캐리어와는 상이한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두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의 톤들 주변에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을 레이트 매칭함으로써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 (UE) 와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서브캐리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폭 캐리어의 중심 대역폭 영역 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표시를 상기 UE 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폭 영역에 있어서 상기 UE 와 통신하는 수단은,
    상기 협대역폭 영역의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77009167A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KR10264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4922A KR20230113659A (ko)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1655P 2014-10-08 2014-10-08
US62/061,655 2014-10-08
US14/877,741 2015-10-07
US14/877,741 US10200872B2 (en) 2014-10-08 2015-10-07 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PCT/US2015/054714 WO2016057803A1 (en) 2014-10-08 2015-10-08 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922A Division KR20230113659A (ko)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53A true KR20170067753A (ko) 2017-06-16
KR102649399B1 KR102649399B1 (ko) 2024-03-19

Family

ID=54361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922A KR20230113659A (ko)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KR1020177009167A KR102649399B1 (ko)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922A KR20230113659A (ko) 2014-10-08 2015-10-08 협대역 디바이스들에 있어서의 dc 서브캐리어 핸들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0872B2 (ko)
EP (1) EP3205043B1 (ko)
JP (2) JP6728149B2 (ko)
KR (2) KR20230113659A (ko)
CN (1) CN106797298B (ko)
WO (1) WO2016057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195A (ko) * 2015-02-25 2017-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할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04B1 (ko) * 2014-11-07 2018-12-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6162906B (zh) 2015-03-31 2019-0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0505776B2 (en) * 2015-04-20 2019-1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DC subcarrier in narrow bandwidth communications
KR102323798B1 (ko) * 2015-07-16 2021-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하향링크 수신 방법 및 장치
JP6662881B2 (ja) * 2015-07-24 2020-03-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10893520B2 (en) * 2015-08-26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04629B2 (en) * 2015-12-02 2018-10-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arrowband synchronization and paging in long-term evolution networks
WO2017134626A1 (en) * 2016-02-05 2017-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cheduling for coexistence between nb-iot and e-mtc
US10419199B2 (en) 2016-05-11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8021676A1 (en) * 2016-07-27 2018-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c subcarrier in nr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24255B2 (en) 2016-05-20 2019-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C subcarrier in NR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23152B2 (en) 2016-07-20 2018-11-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load-based deployment and tuning of narrowband carriers
US10367672B2 (en) 2016-09-28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to phase-noise compens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and scrambling
US10512050B2 (en) 2016-10-07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 design with flexible bandwidth allocations
KR20180090689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Lte-nr 공존시의 자원 운용 방안
US10856310B2 (en) * 2017-02-03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Retuning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S10693698B2 (en) * 2017-06-21 2020-06-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arrier sharing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EP3642986A1 (en) * 2017-06-22 2020-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llocation control
CN109429287B (zh) * 2017-08-31 2022-03-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网络模式切换方法、用户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60055B2 (en) * 2018-04-10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direct current (DC) tone location
KR102528624B1 (ko) * 2019-04-12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주파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759950B (zh) * 2020-12-29 2023-06-06 广州海格通信集团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和介质
US20220338171A1 (en) * 2021-04-14 2022-10-20 Sprint Spectrum L.P. Use of Noise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Narrowband Carrier Within Wideband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584B2 (en) * 2006-01-31 2012-03-13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Method and arrangements for coding audio signals
BRPI0807071B1 (pt) * 2007-05-02 2017-01-17 Huawei Tech Co Ltd método, transmissor, receptor e sistema para estabelecer um sinal de sincronização para transmissã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US7801231B2 (en) * 2007-09-27 2010-09-21 Intel Corporation Preamble techniques for communications networks
GB2493703C (en) * 2011-08-11 2020-03-04 Sca Ipla Holdings Inc OFDM subcarrier allo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9596069B2 (en) * 2011-11-04 2017-03-14 Intel Corporation Narrow bandwidth device in a broadband network
US9166754B2 (en) 2011-11-08 2015-10-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shortened resource block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66718B2 (en) * 2012-05-11 2015-10-20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dication for a stand-alone new carrier type (NCT)
IN2014DN09425A (ko) * 2012-06-27 2015-07-17 Ericsson Telefon Ab L M
GB2506418A (en) * 2012-09-28 2014-04-02 Sony Corp A base station allocates a centre frequency for an OFDM virtual channel in dependence upon a terminal's bandwidth capability
US9455810B2 (en) * 2014-06-26 2016-09-27 Intel IP Corporation On the definition of the resource block in OFDMA/UL MUMIMO in HEW
US10440710B2 (en) * 2014-09-09 2019-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structure and indication for Rel-13 MTC U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4492* *
3GPP R1-143710* *
3GPP R1-143785 *
3GPP R1-14378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195A (ko) * 2015-02-25 2017-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할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8149B2 (ja) 2020-07-22
EP3205043B1 (en) 2018-11-21
EP3205043A1 (en) 2017-08-16
US10200872B2 (en) 2019-02-05
CN106797298B (zh) 2020-05-19
KR20230113659A (ko) 2023-07-31
KR102649399B1 (ko) 2024-03-19
JP2020115650A (ja) 2020-07-30
BR112017007101A2 (pt) 2018-01-23
US20160105803A1 (en) 2016-04-14
JP6932806B2 (ja) 2021-09-08
JP2017538314A (ja) 2017-12-21
WO2016057803A1 (en) 2016-04-14
CN106797298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806B2 (ja) 狭帯域デバイスにおけるdcサブキャリア処理
US10555220B2 (en) Techniques for reserving a channel of a radio frequency spectrum
CA2974198C (e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for a narrow-band cellular internet of things system
KR101943524B1 (ko) Mtc에 대한 링크된 협대역 동작
KR20150121228A (ko) Mtc 디바이스 연관 방식
WO2016138662A1 (en) Control signaling for flexible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17538340A (ja) カバレッジ拡張に関する物理ブロードキャストチャネル
CN108476100B (zh) LTE控制的Wi-Fi中的空闲信道评估
BR112017007101B1 (pt) Manuseio de subportadora de cc em dispositivos de banda estrei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5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720

Effective date: 2023121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