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718A -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718A
KR20170067718A KR1020177006060A KR20177006060A KR20170067718A KR 20170067718 A KR20170067718 A KR 20170067718A KR 1020177006060 A KR1020177006060 A KR 1020177006060A KR 20177006060 A KR20177006060 A KR 20177006060A KR 20170067718 A KR20170067718 A KR 2017006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
type station
station
mc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134B1 (ko
Inventor
임동국
이욱봉
조한규
천진영
최진수
박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6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 특히 고밀도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은 제 1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며, 여기서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은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1 시그널링 필드(SIG A)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2 시그널링 필드(SIG B)를 포함한다.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하고,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레벨은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특히 고밀도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에 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의 일례로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 는 2.4. GHz 또는 5 GHz 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 는 11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 는 54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 는 2.4 GHz 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 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 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 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는 600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무선랜 표준은 최대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고, 8 개의 공간 스트림을 지원하여 최대 1Gbit/s 의 속도를 지원하는 IEEE 802.11ac 표준을 거쳐, IEEE 802.11ax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IEEE 802.11ax 표준에서는 고밀도 무선 환경에서 보다 빠른 무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프레임 구조가 논의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프레임 구조는 레거시(legacy) 단말을 위한 프레임 부분과 IEEE 802.11ax 를 지원하는 단말을 위한 프레임 부분이 공존하여, 802.11ax용 단말의 프리엠블을 어떻게 구성하여 전송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 1 스테이션이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은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1 시그널링 필드(SIG A)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2 시그널링 필드(SIG 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며, 상기 구성된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제 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은 제 2 타입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적용된 MCS 레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적용된 MCS 레벨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를 반복하여 구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에 적용된 MCS 레벨도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를 반복하여 구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신호의 반복은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및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신호를 n 비트 단위로 N 회 반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n 및 N 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N 회 반복된 신호에 인터리빙 또는 스크램블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는 공통 제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사용자 특정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타입 단말은 IEEE 802.11ax 표준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 1 타입 단말은 레거시 단말이다. 여기서 레거시 단말은 IEEE 802.11a 단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 1 스테이션으로동작하는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제 1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 및 제 2 타입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구성한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은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1 시그널링 필드(SIG A)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2 시그널링 필드(SIG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가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하는, 스테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에 적용된 MCS 레벨도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코더, 인터리버, 변조기 및 IFFT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입력 신호를 반복하는 반복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복기는 상기 변조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신호 단위 또는 소정 비트 반위로 N 번 반복할 수 있으며, N 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복기에 의해 반복된 신호를 추가적으로 스크램블링 또는 인터리빌을 수행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표준 기술에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도 고효율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을 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롭게 규정되는 무선랜 표준에 따른 프레임 부분의 SIG B 를 기존 MCS 레벨 중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IEEE 802.11ac 표준 기술에 따른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새로운 표준에서 이용 가능한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E PPDU 와 레거시 PPDU 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테이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 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이다.
STA 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논리 개체로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비 AP STA(Non-AP Station)을 포함한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STA 로써, 단순히 STA 이라고 할 때는 Non-AP STA 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STA 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AP 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에게 무선 매체를 통해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AP 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BSS 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BSS 와 독립적인(Independent) BSS(IBSS)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BBS 는 IBSS 이다. IBSS 는 AP 를 포함하지 않는 BSS 를 의미하고, AP 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S 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도 2 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BSS 는 인프라스트럭처 BSS 이다. 인프라스트럭처 BSS 는 하나 이상의 STA 및 AP 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BSS 에서 비 AP STA 들 사이의 통신은 AP 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비 AP STA 간에 직접 링크(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 AP STA 들 사이에서 직접 통신도 가능하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BSS 는 DS 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 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 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 에 포함되는 STA 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 AP STA 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 에서 다른 BSS 로 이동할 수 있다.
DS 는 복수의 AP 들을 연결하는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 는 메쉬(mesh)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AP 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 의 도면부호 310 은 IEEE 802.11a/g 표준에 따른 단말용 물리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포맷을 도시하며, 도면부호 320 및 330 은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단말용 PPDU 포맷을 도시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n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을 "HT- "로 지칭되는 프레임을 이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면부호 320 은 IEEE 802.11n 단말의 HT-mixed format PPDU 를, 330 은 HT-greenfield format PPDU 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340 은 각각의 PPDU 에서 데이터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며, 데이터 영역은 PSDU (Physical Service Data Unit)를 포함하게 된다.
도 4 는 IEEE 802.11ac 표준 기술에 따른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ac 표준에 따른 단말은 "VHT- "로 표기되는 필드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도 4 에 표기된 각 필드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새로운 표준에서 이용 가능한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에서 "L-Part" 는 레거시 단말을 위한 프레임 부분(제 1 타입 단말용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HE-Part" 는 향상된 표준 기술(예를 들어, IEEE 802.11ax)에 따른 단말을 위한 프레임 부분(제 2 타입 단말용 프레임 부분)을 나타낸다. 새로운 표준에 따른 프레임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레거시 단말용 프레임 부분의 길이보다 정수배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의 예에서는 802.11ax 에서 HE-SIG 까지는 기존의 1x 심볼 구조(즉, 3.2us)를 유지하고, HE-프리엠블 및 데이터 부분은 4x 심볼 (즉, 12.8us)구조를 가진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의 예에서 "L-part" 는 상기 도 3 및 도 4 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WiFi 시스템에서 유지하는 형태 그대로 L-STF, L-LTF, L-SIG 의 구성을 따를 수 있다.
새롭게 규정되는 HE-part 의 HE-SIG 는 공통 제어 정보(Common control information)와 사용자 특정 정보(user specific information)를 각각 알려주기 위한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5 에서는 L-Part 와 같이 1x 심볼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반면 HE-preamble 및 데이터는 4x 심볼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Wi-Fi 보다 대역폭 별 사용 가능한 주파수 톤(frequency tone:FT)이 4 배 증가하게 되었고, 가용 톤(tone)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HE-preamble(HE-STF 및 HE-LTF)도 증가된 FT 및 변경된 가용 톤 수를 지원할 수 있게 새롭게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계에 있어서, HE-part 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에 도시된 PPDU 포맷은 전체 80 MHz 대역에 하나의 STA 을 위한 PPDU 가 20 MHz 의 4 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PPDU 는 20 MHZ 채널 각각을 통해서도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4 개 채널 각각 다른 STA 을 위한 PPDU 가 전송될 수도 있다.
L-STF, L-LTF 및 L-SIG 는 각 20 MHz 채널에서 64 FFT (64 서브캐리어)를 기반으로 생성된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HE-part 는 2 개의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 1 시그널링 필드(이하 'SIG 1' 또는 'SIG A' )는 공통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시그널링 필드(이하 'SIG 2' 또는 'SIG B' )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SIG A 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PPDU 를 수신하는 STA 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HE-SIG A 는 2 또는 3 개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 의 각 필드의 명칭 및 포맷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다른 형태의 HE-SIG A 를 가질 수 있다.
HE-STF 는 MIMO 전송에 있어서 AGC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HE-LTF 는 MIMO 채널 추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HE-SIG B 는 각각의 STA 이 데이터(즉,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를 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사용자-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IG B 는 대응하는 PSDU 의 길이 및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HE-SIG B 는 1 또는 2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L-STF, L-LTF, L-SIG 및 HE-SIG A 는 20 MHz 채널 각각에 중복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L-STF, L-LTF, L-SIG 및 HE-SIG A 는 모두 4 개 채널을 통해 전송되지만, 포함하는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 6 에서 HE-STF 부터 (또는 HE-SIG A 부터) 단위 주파수당 FFT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6 FFT 크기가 20 MHz 채널에 이용될 수 있고, 512 FFT 크기가 40 MHz 채널에 이용될 수 있으며, 1024 FFT 크기가 80 MHz 채널에 이용될 수 있다. 만일, FFT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단위 주파수당 OFDM 서브캐리어의 수도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OFDM 서브캐리어 간격이 줄어드는 반면, OFDM 심볼 시간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HE-STF 이후의 GI (Guard Interval)은 HE-SIG A 이후의 GI 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과 비교하여 HE-SIG B 가 HE-SIG A 직후에 위치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 과 동일하다. 단위 주파수당 FFT 크기는 HE-SFT 이후부터 (또는 HE-SIG B 부터) 증가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과 같이 HE-SIG B 가 HE-SIG A 직후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20 MHz 채널 각각이 STA 1 - STA 4 와 같이 각각 다른 STA 에 할당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E-SIG B 는 각 STA 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나, 도 8 의 예에서 HE-SIG B 는 전대역에 걸쳐 인코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즉, HE- SIG B 는 모든 STA 들에게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단위 주파수당 FFT 크기는 HE-SFT 부터 (또는 HE-SIG B 부터) 증가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8 과 같이 HE-SIG B 가 HE-SIG A 직후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HE-SIG B 역시 각각 20 MHz 채널마다 별도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7 의 구조에서 HE-SIG B 가 각 20 MHz 채널마다 전송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만일, FFT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종래 IEEE 802.11a/g/n/ac 를 지원하는 STA 은 해당 PPDU 를 디코딩할 수 없다. 레거시 STA 과 HE-STA 의 공존을 위해 L-SFT, L-LTF 및 L-SIG 는 다른 필드의 FFT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20 MHz 채널에서 64 FFT 크기로 전송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L-SIG 는 하나의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1 OFDM 심볼 구간은 4um 이며, GI 은 0.8 um 일 수 있다.
HE-SIG A 는 HE-STA 이 HE PPDU 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만, 20 MHz 채널에서 64 FFT 크기로 전송되어 HE STA 뿐만 아니라 레거시 STA 에서도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HE STA 이 HE PPDU 뿐만 아니라 HT/VHT PPDU 들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레거시 STA 과 HE STA 이 HE PPDU 와 HT/VHT PPDU 를 서로 간에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E PPDU 와 레거시 PPDU 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은 위상회전을 이용하여 PPDU 들을 구분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즉, PPDU 의 구분을 위해 L-STF, L-LTF 및 L-SIG 이후의 OFDM 심볼의 성좌 위상을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0 에서 HE PPDU 의 경우 L-SIG 이후의 3 개 OFDM 심볼의 위상이 회전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OFDM 심볼 1 및 OFDM 심볼 2 의 위상은 회전되지 않으나, OFDM 심볼 3 의 위상은 반시계 방향으로 90 도만큼 회전되어 전송될 수 있다. OFDM 심볼 1 및 OFDM 심볼 2 에는 BPSK 에 적용되고, OFDM 심볼 3 에는 QPSK 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L-SIG 이후 HE-SIG A 가 3 개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위에 도시된 3 개 OFDM 심볼 모두 HE-SIG A 전송에 이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11ax 에 따르는 HE STA 들은 상술한 HE-SIG A 및 HE-SIG B 를 모두 수신하여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중 HE-SIG B 의 경우 심볼 수가 증가할수록 FER (1%)에 대한 성능이 감소하여 HE-SIG B 가 데이터 수신 성능에 대한 bottleneck 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도 HE-SIG B 는 하나의 CRC 만을 이용하게 되어, 수신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robust 한 전송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기존 Wi_Fi 시스템에서 SIG 전송에 이용되는 MCS 레벨은 가장 낮은 MCS 레벨인 MCS 0(BPSK, 1/2)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HE-SIG B 전송을 위한 MCS 레벨을 이 MCS 0 보다 낮은 MCS 를 지원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HE-SIG B 전송에 적용되는 MCS 레벨은 BPSK (1/4, 1/2), QPSK (1/2, 3/4)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즉, HE-SIG B 를 위한 MCS 레벨은 MCS 0 보다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으며, MCS 0 보다 낮은 MCS 레벨을 지원함으로써 더 robust 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HE-SIG A 는 HE-SIG B 전송에 이용된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HE-SIG A 에서 알려주는 HE-SIG B 에 적용되는 MCS 레벨은 기존 MCS 레벨 0 보다 낮은 MCS 레벨까지 알려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하게 위 HE-SIG B 에 적용되는 MCS 레벨은 데이터에 적용되는 MCS 레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E-SIG B 는 데이터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STA 만 HE-SIG B 를 수신 가능하면 문제가 없다. 따라서, 만일 데이터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높은 경우 HE-SIG B 의 MCS 를 MCS 0 까지 낮출 필요는 없다. 다만, 바람직하게 HE-SIG B 의 전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HE-SIG B 에 적용되는 MCS 레벨은 데이터에 적용되는 MCS 레벨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HE-SIG A 에 대한 전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HE-SIG A 까지도 MCS 0 이하의 MCS 를 지원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IG A 전송에 적용되는 MCS 레벨은 BPSK (1/4)이 설정될 수 있다. HE-SIG A 를 통해 패킷 전송에 대한 공통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HE-SIG A 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MCS 0 이하의 MCS 를 지원하기 위해 HE-SIG A/B 는 반복되어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테이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의 무선 장치(50)은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1, 또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2 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STA1/STA2 중 하나 이상은 AP 에 대응할 수도 있다.
STA1(50)은 프로세서(51), 메모리(52) 및 RF 유닛 (송수신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53)은 프레임 전송을 위한 전송기와 프레임 수신을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의 프로세서(50)는 도 12 및 도 13 과 같은 동작 수행을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12 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는 채널 코딩기, 인터리버, 변조기 및 IFF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HE-SIG A 및/또는 HE-SIG B 가 MCS 0 이하의 MCS 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복기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로서, HE-SIG A 및 또는 HE-SIG B 는 L-SIG 와 동일하게 MCS0 (BPSK1/2)를 이용하여 신호를 구성하며, 구성된 신호를 반복시에 의해 반복시켜 전송할 수 있다.
신호의 반복은 신호 전체를 반복하거나, 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신호의 비트별로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 1/2 과 비트 인터리버를 거쳐나온 신호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f… 라 하면, 반복기에 의해 반복된 신호는 aabbccddeeff.. 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복계수 N 은 2 인 경우를 가정하였다.
한편, 신호의 반복은 n 비트 단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n 은 1,2,3,4,6,8,12,24 중 하나의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4 인 경우에 신호가 abcdefgh…라 하면 반복된 신호는 abcdabcdefghefgh…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HE-SIG A 및/또는 B 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신호에 대한 반복은 2 이상 일 수 있다. 반복계수가 2 인 경우에 HE-SIG A/B 는 신호가 한번 반복되어 신호를 BPSK, 1/4 로 전송한 것과 같은 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2 와 달리 반복은 인터리버 전단, 즉 채널 코더에 의해 코딩이 수행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된 신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도 12 와 같이 추가적인 인터리버/스크램블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OFDMA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되어 실리는 정보는 수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HE-SIG A/B 신호가 실리는 할당 크기와 비슷한 크기의 BTU(basic tone unit) 혹은 BTU 의 조합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작은 할당 크기의 조합을 이용하거나 비슷한 크기의 할당 크기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IG A 는 1x symbol(64 FFT)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이때 4 개의 파일럿을 포함하여 52 개의 tone 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OFDMA 를 지원을 위해 2 개의 BTU (예를 들어, 26 톤, 56 톤)를 사용하는 경우에 데이터/패킷을 2*26 톤 BTU 혹은 56 톤 BTU 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IEEE 802.11 기반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 1 스테이션이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은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1 시그널링 필드(SIG A)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2 시그널링 필드(SIG 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며,
    상기 구성된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제 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적용된 MCS 레벨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적용된 MCS 레벨 이하로 결정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를 반복하여 구성하여 구현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5. -p2 내용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에 적용된 MCS 레벨도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를 반복하여 구성하여 구현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 및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신호를 n비트 단위로 N회 반복하여 구현하며, n 및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프레임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N회 반복된 신호에 인터리빙 또는 스크램블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는 공통 제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사용자 특정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단말은 IEEE 802.11ax 표준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 1 타입 단말은 레거시 단말인, 프레임 전송 방법.
  11.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 1 스테이션으로 동작하는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제 1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구성한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무선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프레임 부분은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1 시그널링 필드(SIG A) 및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제 2 시그널링 필드(SIG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가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B에 적용된 MCS 레벨은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하는, 스테이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타입 스테이션용 SIG A에 적용된 MCS 레벨도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설정되는, 스테이션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코더, 인터리버, 변조기 및 IFFT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타입 스테이션용으로 규정된 가장 낮은 MCS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MCS 를 지원하도록 입력 신호를 반복하는 반복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스테이션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기는 상기 변조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신호 단위 또는 소정 비트 반위로 N번 반복하며,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스테이션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복기에 의해 반복된 신호를 추가적으로 스크램블링 또는 인터리빌을 수행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스테이션 장치.
KR1020177006060A 2014-10-08 2015-04-07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KR102378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1156P 2014-10-08 2014-10-08
US62/061,156 2014-10-08
US201462072432P 2014-10-30 2014-10-30
US62/072,432 2014-10-30
PCT/KR2015/003461 WO2016056719A1 (ko) 2014-10-08 2015-04-07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18A true KR20170067718A (ko) 2017-06-16
KR102378134B1 KR102378134B1 (ko) 2022-03-24

Family

ID=5565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60A KR102378134B1 (ko) 2014-10-08 2015-04-07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57837B2 (ko)
EP (2) EP3934139A1 (ko)
KR (1) KR102378134B1 (ko)
ES (1) ES2896449T3 (ko)
WO (1) WO2016056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4139A1 (en) * 2014-10-08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MX2017009078A (es) 2015-02-02 2017-11-09 Lg Electronics Inc Metodos y aparatos para la transmision/recepcion de he-sig b.
WO2017217632A1 (ko)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he ra su ppdu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57100B2 (en) * 2021-01-25 2022-09-27 Rohde & Schwarz Gmbh & Co. Kg Classification method and classification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946A (ko) * 2009-10-30 2011-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및 훈련 심볼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81040A (ko) * 2011-01-10 2012-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적 심볼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133273A (ko) * 2011-03-04 2013-12-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넓은 대역폭 데이터 송신들용으로 기반한 적응적 패킷 기반 변조 및 코딩 레이트 선택
KR20140110849A (ko) * 2011-12-08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533A (ko) * 2009-09-09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5380606B2 (ja) * 2009-10-30 2014-01-08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マルチユーザ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及びトレーニングシンボル送信方法
CA2785668A1 (en) * 2009-12-25 2011-06-30 Ube Industries, Ltd. Aminopyridine compound
CA2817956C (en) 2010-11-15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9001929B2 (en) * 2011-01-10 2015-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mbol repeated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79472B2 (en) * 2011-04-24 2014-11-04 Broadcom Corporation Long training field (LTF) for use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9184969B2 (en) 2011-04-24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Preamble for use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9154363B2 (en) * 2011-05-13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US9385911B2 (en) * 2011-05-13 2016-07-05 Sameer Vermani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KR102005055B1 (ko) * 2011-05-26 2019-07-29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장거리 wlan을 위한 사운딩 패킷 포맷
CN103891342B (zh) * 2011-08-18 2018-04-24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wlan的信号字段设计
EP2772034B1 (en) * 2011-10-27 2017-05-24 Marvell World Trade Ltd. Data unit format signalling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KR101859218B1 (ko) * 2011-12-20 2018-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9252999B1 (en) * 2013-10-08 2016-0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based on a signal field of a received packet
WO2016024750A1 (ko) * 2014-08-12 2016-02-1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21723A (ko) * 2014-08-18 2016-02-26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레이트 결정
US20160065467A1 (en) * 2014-08-29 2016-03-03 Mediatek Inc. Configurable Signaling Field and its Indication
EP3934139A1 (en) * 2014-10-08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US10098151B2 (en) * 2014-11-26 2018-10-09 Newracom, Inc. Transmission method for multi user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027449B2 (en) * 2014-12-02 2018-07-17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ata unit
US20160204915A1 (en) * 2015-01-14 2016-07-14 Xiaogang Che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946A (ko) * 2009-10-30 2011-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및 훈련 심볼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81040A (ko) * 2011-01-10 2012-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적 심볼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133273A (ko) * 2011-03-04 2013-12-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넓은 대역폭 데이터 송신들용으로 기반한 적응적 패킷 기반 변조 및 코딩 레이트 선택
KR20140110849A (ko) * 2011-12-08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719A1 (ko) 2016-04-14
ES2896449T3 (es) 2022-02-24
KR102378134B1 (ko) 2022-03-24
US10667271B2 (en) 2020-05-26
US20190208517A1 (en) 2019-07-04
EP3934139A1 (en) 2022-01-05
EP3206351A1 (en) 2017-08-16
EP3206351B1 (en) 2021-10-06
US20170223692A1 (en) 2017-08-03
US10257837B2 (en) 2019-04-09
EP3206351A4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6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柔軟なリソース割り当てを支援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039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in wireless LAN
CN107079457B (zh) 在无线lan中基于容器分配资源单元的方法和设备
ES2810350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asignar recursos inalámbricos para transmitir o recibir datos en una LAN inalámbrica
US10925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n resource unit including pilot tone in WLAN
JP6720320B2 (ja) 拡張範囲モード送信方法および装置
US1034846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CN106797647B (zh) 在无线lan中在不同大小的带宽中分配无线资源的方法和装置
KR20160046908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1066727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KR20180014431A (ko) 레거시 무선 통신 단말과 공존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EP36643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by using resource unit including plurality of subcarriers
US102706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signal field in wireless LAN system
KR10213001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1038511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641703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柔軟なリソース割り当てを支援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0516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US104619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for plurality of stations through plurality of bands in wireless LAN system
CN106797295B (zh) 在wlan中基于单个资源单元分配无线资源的方法和装置
KR10234896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440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리엠블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