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702A -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702A
KR20170067702A KR1020170068902A KR20170068902A KR20170067702A KR 20170067702 A KR20170067702 A KR 20170067702A KR 1020170068902 A KR1020170068902 A KR 1020170068902A KR 20170068902 A KR20170068902 A KR 20170068902A KR 20170067702 A KR20170067702 A KR 2017006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unit
shunt regula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431B1 (ko
Inventor
이윤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4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02A/ko
Priority to KR1020200035457A priority patent/KR102258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H01M2/1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02J2007/003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과전압을 감지하고, 과충전 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BMS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VOLTAGE OF BATTERY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기 구동용 자동차의 배터리 과충전 감지 및 차단하는 RAD(Runaway Arrest Device)는 배터리가 과충전시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이용하여 과충전 여부를 감지한다. 구성상 배터리 셀의 측면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배터리 셀 측면의 스웰링 변위량에 의해 물리적으로 스위치가 눌려짐으로서 과충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RAD는 스위치를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선에 직렬 접속시켜 배터리 과충전시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배터리 결속 상태를 감지하는 HVIL(High Voltage Interlock Loop)를 통해 배터리관리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이상 현상을 통보함으로써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RAD는 배터리 과충전시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에 의존하므로, 배터리 셀 스웰링 현상 자체가 배터리 자체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 불규칙한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에, 과충전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측면에 위치하는 스위치와 배터리 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오동작 가능성, 배터리 셀 측면의 스웰링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셀 측면에 스위치가 장착될 공간이 필요한 점 등 여러 사정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기존 전기 구동용 자동차의 배터리 과충전 감지 및 차단하는 CID(Current Interrrupt Device)는 배터리가 과충전시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이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되도록 배터리 셀의 텝(tab)부를 끊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CID는 배터리 과충전시에 발생되는 배터리 셀 스웰링 현상에 민감하게 동작하기 위해서 기구적으로 weak point를 고의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과, 앞서 RAD와 같이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셀 측면에 장치가 장착될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미국공개특허 [2011-0298463]에서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1-029846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변화로 과충전을 감지하고, 패시브 소자를 이용하여 과충전 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한 배터리 팩에서, 배터리관리장치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감지하여,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외부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메인 릴레이를 직접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입력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 팩의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동작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저항을 포함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압 감지부는 션트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애노드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내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부의 타측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일측은 메인 릴레이의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측은 그라운드 공통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차단부의 내부 스위치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를 더 포함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안전부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상기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기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 전원 차단부에 의해 배터리 팩의 과충전 시 배터리 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와 무관하게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입력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전압감지부의 입력전압으로 사용함에 따라, 전압감지부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션트 레귤레이터로 구성된 전압감지부를 사용함에 따라, 전압감지부의 온도에 따른 동작편차를 최소화 하여 동작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과충전 감지회로와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회로를 별도로 구성함에 따라, 평상시 전압감지부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를 비복귀 회로로 구성함에 따라, 과충전 발생 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래칭 릴레이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자기유지회로의 별도구성이 필요치 않아 크기, 비용과 무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코일 동작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여 전압감지부가 영향받지 않도록 함에 따라, 전압감지부의 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안전부의 구성에 따라, 오차율을 감소시키고, 순간적인 전압상승에 의해 다른 소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전원 차단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전원 차단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1000)는 입력전압 분배부(100), 전압 감지부(200), 전원 차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배터리 팩(10)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며,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과충전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일정 전압에 패시브 소자가 동작하여 과충전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한다.
과충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 값과, 패시브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값은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이 과충전 시 전압으로 나타날 경우, 패시브 소자가 동작되도록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입력전압(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을 분배한다.
여기서,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받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거나,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도록 배터리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전압으로 받는 제1 입력전압 분배부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는 제2 입력전압 분배부 등 여러 개의 입력전압 분배부를 구성하고 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전압 감지부, 제2 전압 감지부, 제1 전원 차단부, 제2 전원 차단부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무접점 릴레이 소자(110)가 배터리 팩(10)에서 맨 하위에 연결된 단위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압 감지부(200)는 입력전압 분배부(100)와 연결되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한다.
전원 차단부(300)는 전압 감지부(200)와 연결되며, 전압 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다시 말해, 전압 감지부(200)에 입력된 전압이 과충전 발생 시의 전압, 즉, 과전압이면, 전원 차단부(300)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외부 회로(배터리관리장치: BMS)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 팩(10)의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은 배터리 셀(10)과 연결된 파워릴레이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20) 및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에 포함된 각각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배터리관리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는 제1 메인 릴레이(+)(21), 제2 메인 릴레이(-)(22), 프치라지(Pre-Charge) 릴레이(23), 프리차지(Pre-Charge) 저항(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메인 릴레이(+)(21)는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메인 릴레이(-)(22)는 배터리 팩(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프리차지 저항(24)과 프리차지 릴레이(23)는 배터리 팩(1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제1 메인 릴레이(21)에 접속하기 전에 프리차지(Pre-Charge)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 메인 릴레이(21)에 바로 접속 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방전(Arc Discharge)을 방지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차지 릴레이(23)는 제1 메인 릴레이(+)(21)와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저항(24)은 프리차지 릴레이(23)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배터리 팩(10)은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를 통해 전기적인 연결 및 차단이 가능하며,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해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의 각각의 릴레이가 제어된다.
전원 차단부(300)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는 전압 감지부(20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압감지부(200)가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스위치부는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다.
이때, 전압 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차단부(300)의 스위치부가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각각의 릴레이 코일에 전원이 인가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각각의 릴레이 제어가 불가능하며, 각각의 릴레이는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다시 말해,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 전원 차단부(300)에 의해 배터리 팩(10)의 과충전 시 배터리 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와 무관하게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관리장치(30)의 문제 발생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것은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압을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KΩ과 20KΩ의 저항을 이용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4.75V(과충전 시 전압) 이상인 경우, 전압감지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전압 분배부(100)로 입력된 전압(과충전 감지용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충전 시 전압일 경우 전압감지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맞추기 위해 복수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100)의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은, 입력 전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을 입력받는지, 혹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받는지에 따라서, 그에 맞추어 배터리 저항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전압감지부의 입력전압으로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하나의 셀, 다수 개의 셀, 배터리 팩 전체 등)의 전압을 입력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압감지부를 다양하게 구성(전압감지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에 따른 제약이 없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감지부(200)는 션트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션트 레귤레이터는 애노드, 캐소드 및 레퍼런스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입력전압 분배부(100)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며,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된다.
이때, 입력전압 분배부(100)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애노드가 통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 레귤레이터(SR : Shunt Regulator)의 레퍼런스에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작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캐소드와 애노드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 레귤레이터(SR : Shunt Regulator)의 레퍼런스에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큰 전압이 인가될 경우, 캐소드와 애노드가 통전(동작)된다.
통상적으로 단위 배터리 셀의 충전 전압 크기가 4.2 볼트라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받을 경우, 과충전으로 감지되어야 하는 전압 크기는 4.2볼트에서 5볼트 사이 값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KΩ과 20KΩ의 저항을 이용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4.75V(과충전 시 전압) 이상의 값일때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2.5V 이상의 값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캐소드와 애노드가 통전(동작)된다.
션트 레귤레이터는 외부 온도에 따른 작동전압의 편차가 무접점 릴레이 소자(SSR: Solid State Relay) 등에 비하여 상당히 작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작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동작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과충전으로 감지되어야 하는 전압 크기는 입력 전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을 입력받는지 혹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받는지에 따라서 그에 맞추어 배터리 과충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 크기가 결졍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차단부(300)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는 일측이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타측이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된다.
스위치부는 일측이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타측이 그라운드 공통선(-)과 연결된다.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과 연결된 모든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파워릴레이어셈블리가 배터리 팩에 연결될 경우 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해야 한다. 각각의 릴레이 모두의 전기적인 연결을 한 번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릴레이 코일과 연결된 공통 선로의 사이에 전원 차단부(300)를 연결하여 공통선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손쉽게 모든 릴레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과충전 감지회로(코일부와 연결된 회로)와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회로(스위치부와 연결된 회로)를 별도로 구성함에 따라, 평상시 전압감지부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는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부가 동작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준다.
비복귀 회로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는 비복귀 회로를 통해서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 줌으로써, 배터리 과충전에 대한 후속 조치가 있기 전까지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를 비복귀 회로로 구성함에 따라, 과충전 발생 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전원 차단부(300)로 래칭(Latching) 릴레이 소자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래칭 릴레이 소자는, 별도의 제어를 하기 전까지는 코일에 전류가 끊어져도 접점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로 있는 릴레이 소자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이 4.75V 미만이면 션트 레귤레이터가 통전불가 상태가 되고 래칭 릴레이 역시 전압 감지부(200)가 동작하지 않은 초기상태를 유지하므로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파워릴레이 제어(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의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이 4.75V 이상이면 션트 레귤레이터가 통전 상태가 되고 래칭 릴레가 동작하여 파워릴레이어셈블리의 코일단에 전류가 차단되어 각각의 릴레이(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 모두가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이때, 래칭 릴레이는 과충전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된 이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내부 스위치를 계속 현 상태(과충전 차단 상태)로 유지하면서 초기 상태(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릴레이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배터리 과충전 상태가 발생되어 래칭 릴레이 의 스위치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전압 분배부(100)로 입력되는 전압이 배터리관리장치(30)로 전달되도록 구성(To BMS:Voltage Sensing)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 내의 릴레이들의 전원 차단 여부에 상관없이 배터리관리장치(30)에 과충전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된 과충전 상태는 차량 외부나 내부에 과충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등을 켜지게 하여 과충전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해, 래칭 릴레이에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배터리 과충전 상태를 알리는 신호가 외부로 제공되도록 해 줌으로써, 배터리 과충전에 대한 후속 조치가 있기 전까지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 줄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래칭 릴레이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자기유지회로의 별도구성이 필요치 않아 크기, 비용과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적용 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직접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이렇게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구성하는 소자들로만 장착된 PCB에 커넥터를 장착하여, 배터리 셀 및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배터리 팩(10) 내부 어디든 장착할 수 있어 배치가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배터리관리장치(30)로 전달하는 센싱PCB에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에 사용 가능한 소자들을 실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센싱 PCB 커넥터에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가 필요한 핀 수만 늘려 커넥터를 추가하지 않아도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크기와 제작 단가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의 장착 위치를 전압 센싱 PCB 또는 배터리 팩(10) 내부 등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차단부(300)는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코일 동작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전압감지부(200)의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압감지부(200)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는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부(400)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적용 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직접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배터리관리장치(30)와 별도로 배터리 과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 추가 확보 및 ISO26262 규격에 부합하도록 해 준다.
또한, 전기적 방식으로 과충전을 감지하고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 방식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기계적 방식보다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배터리 팩
20: 파워릴레이어셈블리
21: 제1 메인 릴레이
22: 제2 메인 릴레이
23: 프리차지 릴레이
24: 프리차지 저항
30: 배터리관리장치
100: 입력전압 분배부
200: 전압 감지부
300: 전원 차단부

Claims (11)

  1.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한 배터리 팩에서,
    배터리관리장치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감지하여,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외부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메인 릴레이를 직접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입력전압 분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 팩의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동작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는
    션트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애노드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내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부의 타측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일측은 메인 릴레이의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측은 그라운드 공통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의 내부 스위치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는 상기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기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KR1020170068902A 2017-06-02 2017-06-02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KR10221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02A KR102218431B1 (ko) 2017-06-02 2017-06-02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KR1020200035457A KR102258736B1 (ko) 2017-06-02 2020-03-24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02A KR102218431B1 (ko) 2017-06-02 2017-06-02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922A Division KR20150012425A (ko) 2013-07-25 2013-07-25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457A Division KR102258736B1 (ko) 2017-06-02 2020-03-24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02A true KR20170067702A (ko) 2017-06-16
KR102218431B1 KR102218431B1 (ko) 2021-02-22

Family

ID=5927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02A KR102218431B1 (ko) 2017-06-02 2017-06-02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531B1 (ko) 2018-11-15 2020-02-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과전압 위치 검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52935A (ko) * 2017-09-15 2020-05-1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82B1 (ko) 2021-06-24 202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충전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충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8732A (ja) * 1992-03-17 1993-10-15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装置
JP2000014020A (ja) * 1998-06-18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安全装置、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JP2006101657A (ja) * 2004-09-30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US20110298463A1 (en) 2010-06-04 2011-12-08 Hiroshi Saito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8732A (ja) * 1992-03-17 1993-10-15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装置
JP2000014020A (ja) * 1998-06-18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安全装置、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JP2006101657A (ja) * 2004-09-30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US20110298463A1 (en) 2010-06-04 2011-12-08 Hiroshi Saito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935A (ko) * 2017-09-15 2020-05-1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75531B1 (ko) 2018-11-15 2020-02-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과전압 위치 검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431B1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2425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US10707686B2 (en) Battery management
US9941712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JP5025160B2 (ja) 二次電池装置
EP2894759B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With Permanent Disable
EP3767731B1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bank
KR101882835B1 (ko)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CN102217118A (zh) 通过检测电池组件中感测电阻器的损坏来保护电池组件的装置及方法
US10759297B2 (en) Charging station having differential current monitoring for charging an electric energy storage means of an electric vehicle
US11196273B2 (en) Battery overcharging prevention device and battery overcharging prevention method using same
CN110832732A (zh) 电池的保护电路和具备该保护电路的电源装置
KR102218431B1 (ko)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US20140265639A1 (en) Battery module
JP2012010525A (ja) 出力停止スイッチ付き電池パック
KR102044598B1 (ko)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AU2008201759A1 (en) Fail safe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11095719A (zh) 蓄电池装置
EP3534485B1 (en) Battery pack,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258736B1 (ko)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KR102246181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363568B1 (ko) 배터리 모듈 과충전 방지 장치
KR20210028356A (ko) 배터리 차단 장치, 배터리 장치 및 전력 차단 방지 방법
CN110301064B (zh) 用于长期标记至少一个电池部件的系统
KR1007522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품 배터리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8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24

Effective date: 2020120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