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349A -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349A
KR20170067349A KR1020150173917A KR20150173917A KR20170067349A KR 20170067349 A KR20170067349 A KR 20170067349A KR 1020150173917 A KR1020150173917 A KR 1020150173917A KR 20150173917 A KR20150173917 A KR 20150173917A KR 20170067349 A KR20170067349 A KR 2017006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dex
vulnerabil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712B1 (ko
Inventor
이명진
오관영
한도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장관)
Priority to KR102015017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7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원시자료제공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받은 원시자료를 저장하는 원시자료DB, 상기 원시자료DB에 기초하여 가공된 지표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표DB;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항목이 저장된 평가항목DB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조회부 및 조회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결과표시부를 가지는 프레젠테이션부; 상기 조회부를 통해 입력받은 조건을 기초로 상기 지표DB 및 평가항목DB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로 전송하는 취약성지수산출부를 포함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지표항목들을 일일이 검색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조회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조회조건을 제공하여 사용자 고유의 취약성 지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매칭테이블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추어 정보의 조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Climate change vulnerability evaluation system based on web}
본 발명은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은 어떤 분야에서 기후변화에 의해 받는 지속적 피해에 대해 영향을 받기 쉬운 정도 또는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대해 시스템이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CCGIS(Climate Change Adaptation Toolkit based on GIS) 및 LCCGIS(Local governm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Toolkit based on GIS)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상기 CCGIS는 광역지자체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도출에 있어 필수기초자료의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LCCGIS는 기초지자체 기후변화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기초지자체를 선택하여 읍면동 간 비교로 평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된 특허로서, 등록특허 제10-1200368호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은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변수 저장부를 구비하고, 행정구역의 경계자료를 저장하는 행정구역 저장부, 시군구자료 변환부, 가중치 저장부, 취약성 지수 산출부, 취약성 표준화값 비교부 등을 구비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취약성 지수 조회 시, 도 1의 기후인자선택창과 같이 조건을 사용되는 지표항목을 사용자가 일일이 찾아서 입력해야 하므로 지표항목을 잘 모르는 사용자 또는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표데이터의 출처를 알 수 없어 자료신뢰성에 의문이 가도 제대로 대처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지표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취약성 결과를 보여줄 뿐,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는 없었다.
그리고 광역지자체용은 CCGIS로, 기초지자체용은 LCCGIS로 구분되어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행정구역을 바꾸어 조회하고자 할 때 불편함이 매우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많은 지표항목을 몰라도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원시자료 추적이 가능해져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맞춤형 취약성 지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와의 연계시스템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기후변화 취약성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원시자료 제공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받은 원시자료를 저장하는 원시자료DB, 상기 원시자료DB에 기초하여 가공된 지표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표DB;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항목이 저장된 평가항목DB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조회부 및 조회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결과표시부를 가지는 프레젠테이션부; 상기 조회부를 통해 입력받은 조건을 기초로 상기 지표DB 및 평가항목DB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로 전송하는 취약성지수산출부를 포함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평가항목DB는, 행정구역의 경계자료를 저장하는 행정구역저장부; 취약성 분야 및 세부항목을 저장하는 항목부; 행정구역별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를 저장하는 대용변수저장부; 상기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에 대한 가중치가 저장되는 가중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DB 및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항목DB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항목DB는 사용자평가항목DB, 사용자지표DB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평가항목DB는 사용자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계열적으로 저장되는 시나리오DB를 포함하며, 상기 시나리오DB는 적어도 기후DB 및 대기질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표DB는 구축대상지표DB 및 상기 구축대상지표DB와 매칭된 대체지표DB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구축대상지표DB의 내용이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구축대상지표DB는 상기 대체지표DB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원시자료 및 지표데이터에 각각 원시자료아이디, 지표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원시자료가 사용된 지표데이터를 상기 원시자료아이디, 지표아이디로 매칭시켜 매칭일련번호에 의하여 저장한 지표DB매칭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시자료DB는 원시자료아이디, 원시자료명, 단위, 제공기관명 및 원시자료 정보위치를 포함하는 원시자료 메타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지표DB매칭테이블은 상기 원시자료 메타데이터 테이블에서 생성된 원시자료아이디를 이용하여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표데이터는 데이터의 가공량에 따라 A 내지 D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예를들어, 기초지자체 취약성 평가의 경우 A는 읍/면/동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구축된 데이터, B는 시/군/구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C는 시/도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D는 원시자료가 시/군/구 데이터와 시/도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조회할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분야선택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분야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분야에 대응하는 조회조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표시하여 주는 가변형 조회선택부; 상기 조회선택부에서 선택된 조건을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에서 전송된 결과를 가공하여 표시하여 주는 취약성평가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DB 및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항목DB를 포함하며,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는 로그인 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DB를 참조하여 저장된 행정구역에 대한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의 결과를 가공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 중 선택할 수 있는 지자체선택부를 표시하여주고, 사용자로부터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 중 하나를 선택받아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 또는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상기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행정구역이 선택되면, 해당구역에 대한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지표항목들을 일일이 검색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조회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조회조건을 제공하여 사용자 고유의 취약성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매칭테이블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추어 정보의 조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를 연계하여 편리하게 행정구역을 바꾸어 조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표데이터 가공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데이터신뢰도 표시에 관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지표DB매칭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시나리오DB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사용자정의DB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프레젠테이션부의 분야선택부,조회선택부,취약성평가결과표시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프레젠테이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지표데이터와 원시자료간의 연결관계를 표시하여 주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취약성평가 결과리포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광역지자체 취약성 평가 결과와 기초지자체 취약성 평가 결과의 연결관게를 표시하여 주는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110), 데이터베이스부(200), 취약성지수산출부(300), 프레젠테이션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원시자료DB(210), 지표DB(240), 지표DB매칭테이블(230), 시나리오DB(250), 평가항목DB(260), 사용자정의DB(27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기관에서 원시자료를 전송받거나 외부로 결과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외부기관에서 수집된 원시자료 또는 별도로 입력된 자료들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시자료DB(210)는 외부기관에서 작성된 각종 통계자료 및 조사자료 등을 포함하며, 인구가구통계, 산림기본통계, 농림어업통계, 토지피복지도, 용도지역지구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시자료DB(210)는 원시메타데이터(212) 및 원시데이터(214)를 포함한다. 상기 원시메타데이터는 원시데이터의 출처나 규격 등의 부수적인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원시메타데이터에 원시자료아이디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원시메타데이터는 원시자료명,단위,제공기관명,제공부서명,제공시스템명,원시자료정보위치,원시자료단위,원시자료구축단위,원시자료정보형태,원시자료축척,해상도,원시자료구축연도,원시자료UR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시데이터는 행정구역에 따른 인구수, 가구수 등의 실질적인 자료를 의미하며, 이러한 원시데이터에는 원시자료아이디가 설정되어 상기 원시메타데이터와 연결된다.
상기 지표DB(240)는 지표메타데이터(242) 및 지표데이터(244)를 포함한다. 상기 지표메타데이터는 지표데이터의 분류나 설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지표메타데이터에 지표자료아이디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지표메타데이터는 지표명,지표단위,지표그룹,IPCC대분류,IPCC소분류,지표설명,지표구축/가공방법,지표데이터구축분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표데이터는 건강,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수산업, 물관리, 생태계, 산업/에너지, 감시/예측 등의 분야별로 기후변화 취약성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가공한 데이터이다.
지표데이터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NO.

지표항목

비고

01

의료 종사자 수

02

일별 말라리아 사망자 수

03

건강보험적용 인구비율

04

기초 생활수급자 비율

05

독거노인(65세이상) 비율

06

심혈관질환 사망자 수

07

인구당 보건소 인력
이러한 지표데이터들은 후술할 대용변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후노출에 관한 지표데이터, 민감도에 관한 지표데이터, 적응능력에 관한 지표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455개 항목의 지표데이터가 구축되었다.
한편, 원시자료가 시도 또는 시군구 단위로 작성되어 있는 자료가 많으나, 읍면동까지 상세화된 자료는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 행정구역 경계정보를 참조하여 읍,면,동 별 면적 및 인구비율을 계산하고, 환경부 토지피복지도의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공업지역, 수역 등의 비율을 산출하여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지표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침엽수림 면적이 시군구 단위로 되어 있을 때, 경기도 포천시의 침엽수림 면적이 18,576ha라면,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포천시 내 읍면동의 산림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포천시 침엽수림 면적을 산출된 산림비율별로 곱하여 읍면동 단위의 침엽수림 면적을 계산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장애인수가 16,584명이라면,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동대문구의 동단위 인구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인구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장애인수에 동별 인구비율을 곱하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동별 추정 장애인수를 계산한다.
이렇게 산출된 지표데이터는 프레젠테이션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가공방법 또는 가공량에 따라 데이터신뢰도가 나뉘어 표시된다. 즉, A는 읍/면/동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구축된 데이터, B는 시/군/구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C는 시/도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D는 원시자료가 시/군/구 데이터와 시/도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데이터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지표DB는 구축대상지표DB와 상기 구축대상지표DB와 매칭된 대체지표DB를 포함한다. 상기 구축대상지표DB는 지표데이터로 구축하고자 하는 구축대상지표가 저장된 부분이고, 상기 대체지표DB는 상기 구축대상지표DB에 저장된 항목이 없거나 데이터신뢰도가 낮을 때 교체되는 대체지표가 저장된 부분이다. 이러한 구축대상지표는 대체지표와 매칭되어 있으며, 하나의 대체지표는 복수 개의 구축대상지표와 매칭될 수도 있다.

분야

구축대상지표

대체지표

비고

농업

한국 농어촌공사 예산액

농가 연간 소득






대체지표구축


물관리

특정수원 최대 의존도

경지면적 대비 농업용 저수지 개수

농지방재면적

전년대비 농지변화 면적


산림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

산사태 위험등급

병해충 방재 고용 인력

병해충 방재면적당 소나무림 비율

해양수산업

정주위치

해안 1km이내 시가화면적 비율

생태계

곤충을 이용한 기후변화탐지 확보기술 여부

-

삭제

감시/예측

-

4~10월 최고기온이 30℃이상인 날의 횟수

추가

재난/재해

저수지의 홍수조절능력

저수지 저수량

용어변경
예를 들어, 표 2를 참조하면, 구축대상지표인 한국 농어촌 공사 예산액에 매칭되는 대체지표는 농가연간소득이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한국 농어촌 공사 예산액에 관한 지표데이터를 검색하고, 한국 농어촌 공사 예산액에 관한 지표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한국 농어촌 공사 예산액에 매칭되는 대체지표를 대체지표DB에서 검색한다. 상기 한국 농어촌 공사 예산액에 매칭되는 대체지표는 농가 연간 소득이므로 데이터베이스부는 농가 연간 소득에 관한 데이터를 지표데이터로 교체하게 된다.
또한, 구축대상지표가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이고 지표데이터가 데이터신뢰도 C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데이터베이스부는 각 행정구역에서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에 관한 지표데이터 중 데이터신뢰도가 C 이상인 데이터만 지표데이터로 사용하고,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에 관한 지표데이터가 없거나 데이터신뢰도가 D인 경우에는 대체지표를 검색한다.
상기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의 대체지표는 산사태 위험 등급이므로 데이터베이스부는 산사태 관리 공무원 수에 관한 지표데이터가 없거나 데이터신뢰도가 D인 경우 산사태 위험 등급을 지표데이터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지표DB매칭테이블(23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원시자료와 지표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테이블이다.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원시자료메타데이터에 생성된 원시자료아이디 및 지표메타데이터에 생성된 지표자료아이디를 이용하여 매칭일련번호, 원시자료아이디, 데이터구분(분야), 지표자료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지표DB매칭테이블이 저장된다. 이러한 지표DB매칭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원시자료가 어디에 사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반대로 특정 지표데이터의 출처가 어디인지 역추적을 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표데이터와 시나리오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지표/시나리오DB매칭테이블, 원시자료와 시나리오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시나리오DB매칭테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DB(250)는 시계열적으로 저장되는 예상데이터로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시나리오DB는 기후 예측데이터인 기후DB 및 대기질 예측데이터인 대기질DB를 포함한다.
상기 시나리오DB는 예를 들어, 만한 상세(1km) 시나리오(RCP 4.5, 8.5)의 일,월 데이터(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를 2000년대(2000~2010년), 2010년대(2011~2020년), 2020년대(2021~2030년), 2030년대(2031~2040년), 2050년대(2051~2060년) 기간의 행정구역(읍,면,동)별로 월 데이터로 구축된 데이터,
한반도 자료(12.5km) 시나리오(RCP 4.5, 8.5)의 일,월 데이터(풍속,상대습도) 및 응용정보(12.5km) 시나리오(RCP4.5, 8.5)의 일,월 데이터(적설량,일사량,온습도지수,기압,증발산량,적산온도,체감온도 등)를 기초로 기후노출분야 지표DB를 행정구역(읍,면,동)별로 구축된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나리오DB는 행정구역별, 시기별 시나리오가 조회가 가능하도록 도 8과 같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DB(250)는 시나리오메타데이터(252) 및 시나리오데이터(254)를 포함한다. 상기 시나리오메타데이터는 시나리오데이터의 분류나 설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시나리오메타데이터에 시나리오자료아이디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시나리오메타데이터는 시나리오명,시나리오단위,시나리오그룹,IPCC대분류,IPCC소분류,시나리오설명,시나리오구축/가공방법,시나리오데이터구축분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평가항목DB(260)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항목이 저장된 부분으로서, 행정구역저장부, 항목부, 대용변수저장부, 가중치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행정구역저장부에는 행정구역의 경계자료가 저장되며, 각 행정구역의 면적,위치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항목부에는 표 3과 같이 취약성 분야 및 세부항목 등이 저장된다.

취약성 분야

세부항목








건강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전염병 건강 취약성

기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건강 취약성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수인성 매개 질환에 대한 건강 취약성

오존농도 상승에 의한 건강 취약성

태풍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한파에 의한 건강 취약성

홍수에 의한 건강 취약성



재난/재해

폭설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폭염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해수면 상승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홍수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농업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농경지 토양침식에 대한 취약성

벼 생산성의 취약성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재배,사육시설 붕괴의 취약성






산림

가뭄에 의한 산림식생의 취약성

병해충에 의한 소나무의 취약성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산불에 대한 취약성

산사태에 의한 임도의 취약성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해양/수산

수온변화에 따른 수산업(양식업)의 취약성


물관리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

이수에 대한 취약성

치수의 취약성


생태계

곤충의 취약성

국립공원의 취약성

침엽수의 취약성
상기 대용변수저장부는 행정구역별로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가 저장된다. 대용변수는 각 세부항목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산출하기 위한 지표데이터를 모은 것을 의미하며, 표 4와 같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에 관련되는 변수로 나뉘어진다.

세부항목

대용변수

변수목록












태풍에 의한
건강취약성





기후노출

1일 최대 강수량(mm)

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 날의 횟수(회)

일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 날의 횟수(회)






민감도

14세 이하 인구(명)

65세 이상 인구(명)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독거노인(65세이상) 비율(%)

수인성 질환자 수(명)

10m 이하 저지대 가구(가구)

10m 이하 저지대 면적(ha)





적응능력

GRDP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백만원)

건강보험 적용인구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명/만명)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수(개/십만명)

재정자립도(%)

지역 내 총생산(GRDP)(백만원)
상기 가중치저장부에는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에 대한 가중치가 저장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취약성지수산출부에서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할 때 이용된다.
상기 사용자정의DB(270)는 사용자DB 및 사용자항목DB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DB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지역, 기관명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항목DB는 사용자지표DB, 사용자시나리오DB, 사용자평가항목DB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지표DB, 사용자시나리오DB, 사용자평가항목DB, 사용자가중치는 모두 특정 사용자에 특화된 데이터이다.
상기 사용자지표DB는 사용자지표메타데이터, 사용자지표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지표메타데이터에 사용자지표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지표데이터와 매칭시킨다.
상기 사용자시나리오DB는 사용자시나리오메타데이터, 사용자시나리오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시나리오메타데이터에 사용자시나리오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시나리오데이터와 매칭시킨다.
상기 사용자평가항목DB는 특정 사용자가 생성시킨 세부항목 및 사용자가중치 등이 저장된다.
상기 프레젠테이션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조회부 및 조회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결과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300)는 상기 조회부를 통해 입력받은 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지표DB 및 평가항목DB를 이용하여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로 전송한다.
즉,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는 상기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취약성지수를 산출한다. 이때, 취약성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취약성지수 = α×기후노출변수 + β×민감도변수 - γ×적응능력변수
(α,β,γ는 가중치)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분야선택부, 조회선택부, 취약성평가결과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야선택부는 건강, 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수산, 물관리, 생태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조회선택부는 가변형 조회선택부로 구비된다. 즉, 상기 가변형 조회선택부는 상기 분야선택부 중 하나가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부의 평가항목DB를 참조하게 되고, 선택된 분야에 해당하는 평가항목만을 검출하여 해당 평가항목 목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평가항목 목록을 선택버튼에 표시하여 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눌러 선택된 분야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을 볼 수 있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행정구역은 "시/군/구" 조건과 "읍/면/동" 조건 중 어느 것이라도 선택되면 그에 맞는 결과가 도출된다.
이러한 조회조건이 설정되면 취약성지수산출부에서는 조회조건에 따라 취약성지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프레젠테이션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프레젠테이션부는 취약성지수산출부에서 계산된 결과를 지도,그래프, 표 등 여러가지 형태로 가공하여 취약성결과표시부에 표시하여 준다.
한편, 특정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면 취약성지수산출부는 사용자DB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DB에 저장된 행정구역에 대한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의 결과를 가공하여 취약성평가결과표시부에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로그인 화면에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 중 선택할 수 있는 지자체선택부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지자체선택부에서 광역지자체를 선택받은 경우는 CCGIS와 같은 광역취약성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주고 기초지자체를 선택받은 경우는 LCCGIS와 같은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행정구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행정구역에 대한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준다.
종래의 CCGIS나 LCCGIS에서는 선택된 한 개의 행정구역에 대한 결과만 제공해 주어 다른 행정구역과의 비교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프레젠테이션부가 여러 행정구역에 대한 취약성지수 및 각 대용변수를 표로 생성하여 표시하여 준다. 또한, 사용자가 행정구역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가나다순 또는 오름차순,내림차순 등의 특정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각 행정구역별로 "방사형 그래프 보기"를 선택받으면 해당 행정구역의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적응능력변수를 기초로 방사형 그래프를 표시하여 준다.
종래기술에서는 지표데이터와 원시자료로 이어지는 자료간의 연계기능이 없어 자료의 추가 중복염려가 있고 데이터 신뢰성을 파악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취약성평가 결과리포트 창에서 사용된 지표데이터를 선택하면 프레젠테이션부가 지표데이터의 상세보기 화면을 링크시켜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세보기 화면에서 특정 원시자료를 선택하면 원시자료 상세보기 화면을 링크시켜 표시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젠테이션부는 취약성평가조회 결과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이 취약성평가 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주는데, 상기 취약성평가 결과리포트는 세로 스크롤을 활용하여 취약성 평가 결과값과 상기 결과값에 사용된 지표데이터 등의 자료를 한 번에 표시하여 준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광역취약성평가와 기초취약성평가가 독립적인 시스템에서 진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14와 같이 상기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행정구역이 선택되면, 해당구역에 대한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연계하여 표시하여 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인터페이스부 210 : 원시자료DB
230 : 지표DB매칭테이블 240 : 지표DB
250 : 시나리오DB 260 : 평가항목DB
270 : 사용자정의DB 300 : 취약성지수산출부
400 : 프레젠테이션부

Claims (12)

  1. 외부의 원시자료제공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받은 원시자료를 저장하는 원시자료DB,
    상기 원시자료DB에 기초하여 가공된 지표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표DB;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항목이 저장된 평가항목DB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조회부 및 조회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결과표시부를 가지는 프레젠테이션부;
    상기 조회부를 통해 입력받은 조건을 기초로 상기 지표DB 및 평가항목DB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로 전송하는 취약성지수산출부를 포함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항목DB는,
    행정구역의 경계자료를 저장하는 행정구역저장부;
    취약성 분야 및 세부항목을 저장하는 항목부;
    행정구역별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를 저장하는 대용변수저장부;
    상기 기후노출변수, 민감도변수 및 적응능력변수에 대한 가중치가 저장되는 가중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DB 및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항목DB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항목DB는 사용자평가항목DB, 사용자지표DB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평가항목DB는 사용자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계열적으로 저장되는 시나리오DB를 포함하며,
    상기 시나리오DB는 적어도 기후DB 및 대기질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DB는 구축대상지표DB 및 상기 구축대상지표DB와 매칭된 대체지표DB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구축대상지표DB의 내용이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구축대상지표DB는 상기 대체지표DB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원시자료 및 지표데이터에 각각 원시자료아이디, 지표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원시자료가 사용된 지표데이터를 상기 원시자료아이디, 지표아이디로 매칭시켜 매칭일련번호에 의하여 저장한 지표DB매칭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자료DB는 원시자료아이디, 원시자료명, 단위, 제공기관명 및 원시자료 정보위치를 포함하는 원시자료 메타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지표DB매칭테이블은 상기 원시자료 메타데이터 테이블에서 생성된 원시자료아이디를 이용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데이터는 데이터의 가공량에 따라 A 내지 D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A는 읍/면/동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구축된 데이터,
    B는 시/군/구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C는 시/도 단위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GIS 연산을 포함한 가공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
    D는 원시자료가 시/군/구 데이터와 시/도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조회할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분야선택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분야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분야에 대응하는 조회조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표시하여 주는 가변형 조회선택부;
    상기 조회선택부에서 선택된 조건을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에서 전송된 결과를 가공하여 표시하여 주는 취약성평가결과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DB 및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항목DB를 포함하며,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는 로그인 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DB를 참조하여 저장된 행정구역에 대한 취약성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상기 취약성지수산출부의 결과를 가공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 중 선택할 수 있는 지자체선택부를 표시하여주고, 사용자로부터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 중 하나를 선택받아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 또는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부는 상기 광역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행정구역이 선택되면, 해당구역에 대한 기초취약성평가결과리포트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KR1020150173917A 2015-12-08 2015-12-08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KR10196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17A KR101968712B1 (ko) 2015-12-08 2015-12-08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17A KR101968712B1 (ko) 2015-12-08 2015-12-08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49A true KR20170067349A (ko) 2017-06-16
KR101968712B1 KR101968712B1 (ko) 2019-04-30

Family

ID=5927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917A KR101968712B1 (ko) 2015-12-08 2015-12-08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740A (zh) * 2017-12-07 2018-04-20 刘大宇 基于区块链技术的能力评价方法
CN116645011A (zh) * 2023-07-27 2023-08-25 天津市气象科学研究所 一种评估建筑气候分区性能的量化指数计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68B1 (ko) * 2012-04-27 2012-11-14 대한민국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5128A (ko) * 2011-09-29 2013-04-0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시스템 및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128A (ko) * 2011-09-29 2013-04-0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시스템 및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방법
KR101200368B1 (ko) * 2012-04-27 2012-11-14 대한민국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740A (zh) * 2017-12-07 2018-04-20 刘大宇 基于区块链技术的能力评价方法
CN116645011A (zh) * 2023-07-27 2023-08-25 天津市气象科学研究所 一种评估建筑气候分区性能的量化指数计算方法
CN116645011B (zh) * 2023-07-27 2023-10-03 天津市气象科学研究所 一种评估建筑气候分区性能的量化指数计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712B1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eed et al. Forecasting wheat yield from weather data and MODIS NDVI using Random Forests for Punjab province, Pakistan
Rao et 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sustainability
Maiti et al. An assessment of social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mong the districts of Arunachal Pradesh, India
Lafortezza et al. Green Infrastructure as a tool to support spatial planning in European urban regions
Chhogyel et al. Perception of farmers on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s on agriculture across various altitudinal zones of Bhutan Himalayas
KR101200368B1 (ko)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Norman et al. Mapping socio-environmentally vulnerable populations access and exposure to ecosystem services at the US–Mexico borderlands
Swami et al. Dynamics of exposure, sensitivity, adaptive capacity and agricultural vulnerability at district scale for Maharashtra, India
Fay et al. Adapting to climate change in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Ludeña et al. Local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 survey
Rehman et al. Assessing hazards induced vulnerability in coastal districts of India using site-specific indicators: an integrated approach
Sotolongo et al. Using environmental justice to inform disaster recovery: Vulnerability and electricity restoration in Puerto Rico
Emadodin et al. Degradation of soils as a result of long-term human-induced transformation of the environment in Iran: an overview
Esperon‐Rodriguez et al.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Australia’s urban forests to climate extremes
Jeyaseelan et al. Persistent changes in NDVI between 1982 and 2003 over India using AVHRR GIMMS (Global Inventory Modeling and Mapping Studies) data
Shrestha et al. Farmers’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s on agriculture
KR101968712B1 (ko)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Pagsuyoin et al. A multi-attribute decision-making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point-of-use water treatment
Jeganathan et al. Climate risks and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 Tamil Nadu, India
Munthali et al. The impacts of land use and land cover dynamics on natural resources and rural livelihoods in Dedza District, Malawi
Sun et al. Farmers’ response to agricultural drought in paddy field of southern China: a case study of temporal dimensions of resilience
Mulyana et al. Urbanisation, demographic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Semarang, Indonesia
Nagler et al. Effect of restoration on plant greenness and water use in relation to drought in the riparian corridor of the Colorado River delta
Maulana et al. Climate and visitors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dengue fever in Badung District of Bali, Indonesia
Chiwa Effects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on the hydrology of Weruweru-Kiladeda sub-catchment in Pangani River Basin, Tanz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0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25

Effective date: 20190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