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166A -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 Google Patents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166A
KR20170067166A KR1020170067844A KR20170067844A KR20170067166A KR 20170067166 A KR20170067166 A KR 20170067166A KR 1020170067844 A KR1020170067844 A KR 1020170067844A KR 20170067844 A KR20170067844 A KR 20170067844A KR 20170067166 A KR20170067166 A KR 2017006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magneto
cladding layer
quantum d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수원
주성민
김영웅
정성묵
한원택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6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7166A/en
Publication of KR2017006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1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haracterised by nanostructures, i.e. structures of size less than 100 nm, e.g. quantum d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광섬유 전류센서로 입력되는 광원을 편광시키는 편광자;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된 편광 신호가 입사되는, 코어 및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및 상기 전선에 감겨있는 상기 광섬유를 통과한 상기 편광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편광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류센서를 제공한다.A polarizer for polarizing a light source input to the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An optical fiber comprising a core and a cladding layer wound on a current-carrying electric wire and having a polarized polarized signal incident on the polarizer; And a polarimeter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polarization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ptical fiber wound on the wire, the core layer Cd 0. 5 Mn 0 . 5 Te quantum dots,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Description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를 이용한 전류센서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rent sensor using an optical fiber containing a quantum dot,

본 발명은 광섬유 전류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기 광학 효과를 향상시킨 광섬유 전류센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with improved magneto-optical effect.

광섬유 전류센서는 가볍고 비용이 효율적이며 거의 모든 광섬유 장치 (예를 들어, 스위치 변조기, 서큘레이터 및 아이솔레이터 등등)개발에 사용된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Fiber-optic current sensors are lightweight, cost-effective, and are being exploited because they are used to develop almost all fiber optic devices (eg, switch modulators, circulators, isolators, etc.).

광섬유 전류센서는 민감도가 작더라도 그들이 편광기, 복굴절판, 특별한 발진 렌즈 (launching lenses) 와 같은 벌크 광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유리 벌크 전류센서보다 확실히 장점을 가지고 있다 Fiber-optic current sensors are certainly more advantageous than glass bulk current sensors because they do not require bulk optics such as polarizers, birefringent plates, and special launching lenses, even though they have low sensitivity

종래의 광섬유 전류센서는 다음을 포함한다 : (a) 높은 온도 민감도, 취급의 어려움 및 적외선 펌핑 조성물의 높은 비용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 파이버 브래그 격자 (FBG)에 기반한 광섬유 배열, (b) 매우 휴대성이 좋고 가벼우며 작으면서도 기존 광섬유와도 호환이 가능한 단일 모드 광섬유 전류센서(그러나 자기장에 대한 광섬유 전류센서의 낮은 민감도가 주 관심사이다) 및 (c) 증가된 페러데이 회전을 보이는 Eu2 + 음이온이 도핑된 광섬유 및 단일 모드 광섬유 전류센서보다 좋은 전류 민감도를 가지는 CdSe 양자점이 도핑된 광섬유 같은 특수 광섬유 전류센서.Conventional fiber current sensors include: (a) fiber optic arrays based on fiber Bragg gratings (FBGs) that have disadvantages such as high temperature sensitivity, difficulty handling and high cost of infrared pumping compositions; (b) eumyeonseodo small, lightweight, good property, the existing optical fiber in FIG compatible (a, but the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fiber optic current sensor of a magnetic field the main interest) single-mode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and (c) showing the increased Faraday rotation Eu 2 + anionic A special fiber current sensor, such as a CdSe quantum dot doped fiber with better current sensitivity than doped fiber and single mode fiber current sensors.

그러나, 이러한 모든 광섬유 전류센서는 광섬유의 과도한 구부림에 의하여 광의 방사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적어도 7.5 cm 반경 크기의 큰 와인딩을 필요로 한다.However, all such fiber current sensors require large windings of at least 7.5 cm radius in size due to the radiation loss of light due to excessive bending of the optical fiber.

반면, 휴대하기 좋고 크기가 작은 전류센서를 만들기 위해서 여기에 사용되는 광섬유를 가능한 한 작은 루프 사이즈(예를 들어 10 mm의 반경)로 감아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reate a portable and small-sized current sensor, the optical fiber used here must be wound as small as possible in a loop size (for example, a radius of 10 mm).

그러므로, 전류 감지에 대해 보고된 기존 실리카 유리 광섬유는 작은 크기의 전류센서를 만드는 것에 분명히 적절하지 않다.Therefore, existing silica glass optical fibers reported for current sensing are not clearly suitable for making small-sized current sensors.

이러한 점에서, 실리카 유리 섬유에 비하여 작은 광-탄성 계수를 가지는 플린트 유리 섬유는 구부림에 둔감하고 실리카 유리 섬유보다 거의 2배 정도의 전류 감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보여 전류센서에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In this respect, Flint glass fibers having a smaller light-elastic modulus than silica glass fibers are less susceptible to bending and have a current sensitivity that is almost twice as high as that of silica glass fibers, It looked.

그러나 이 플린트 유리 섬유는 실리카 유리 섬유로 구성된 기존 광섬유 및 네트워크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flint glass fib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mpatible with existing optical fiber and network composed of silica glass fiber.

그러므로, 작고 휴대하기 좋은 전류센서를 만들 수 있으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가시광선 파장대 소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왜곡-손실 둔감성 광섬유(BIF)의 구조를 이용하면서도 전류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일 것이다.Therefore, the best option to use a visible-light wavelength source at a low cost while making a small, portable current sensor is to use a current-sensitive fiber with a structure of distortion-loss-insensitive fiber (BIF) .

상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향상된 자기 광학 효과를 갖는 광섬유 전류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having an improved magneto-optical effe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전류센서로 입력되는 광원을 편광시키는 편광자;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된 편광 신호가 입사되는, 코어 및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및 상기 전선에 감겨있는 상기 광섬유를 통과한 상기 편광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편광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광섬유 전류센서에 의하여 달성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meter for polarizing a light source input to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An optical fiber comprising a core and a cladding layer wound on a current-carrying electric wire and having a polarized polarized signal incident on the polarizer; And a polarimeter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polarization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ptical fiber wound on the wire, the core layer Cd 0. 5 Mn 0 . 5 Te quantum dot,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래딩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래딩층은 내부 클래딩층, 트렌치 층 및 외부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부 클래딩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한다.Preferably, the cladding layer is composed of the inner cladding layer, the trench layer and the outer cladding layer, the inner cladding layer Cd 0. 5 Mn 0 . 5 Te quantum dots,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자기 글라스는 FR-5, FR-7, MOS-4, MOS-10, Tb-10, Tb-12 또는 Tb-15 글라스의 양자점 또는 미세분말, 및 상기 광자기 단결정은 TGG(Terbium Gallium Garnet) 또는 YIG(Yttrium Iron Garnet)의 양자점 또는 미세분말이다.Preferably, the magneto-optical glass is a quantum dot or fine powder of FR-5, FR-7, MOS-4, MOS-10, Tb-10, Tb-12 or Tb-15 glasses, (Terbium Gallium Garnet) or YIG (Yttrium Iron Garnet).

본 발명은 광섬유 전류센서에서 사용하는 광섬유에 양자점을 함유하여 자기 광학 효과를 높여줌으로써, 전류센서의 민감도가 향상되고, 광섬유의 밴딩에 따른 광손실이 낮은 광섬유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소형의 전류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a current sensor by including a quantum dot in an optical fiber used in a fiber current sensor and thereby enhances the magnetooptical effect. By applying an optical fiber structure with a low optical loss due to optical fiber banding, Can be produced.

도 1은 일반적인 광섬유 전류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d0 . 5Mn0 . 5Te, CdSe, Co, 및 Mn이 함유된 광섬유의 패러데이 회전각을 660nm에서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ypical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Cd 0 . 5 Mn 0 . 5 Te, CdSe, Co, and Mn is measured at 660 nm in the Faraday rotation angle of the optical fiber.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본 발명은 광섬유의 밴딩에 따른 광손실이 둔감하고 작은 전류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여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광섬유 전류센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that is sensitive to light currents due to insufficient optical loss due to banding of the optical fiber and is sensitive to small currents, an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도 1에서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광섬유 전류센서에 관한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광원(11)이 편광자(12)에 의해서 편광되고, 편광된 편광 신호는 전선에 감겨있는 광섬유(13)를 지나면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유도에 의해서 광섬유(13)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과 자기장을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패러데이 효과에 의해서 편광된 편광 신호는 회전을 하게 된다. 전선(14)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선(14) 주변에 유도되는 자기장의 크기도 커지고 자기장에 크기가 커짐에 따라 패러데이 효과가 커짐으로,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편광 신호는 더 많을 회전을 하게 되므로 편광계(15)에서 편광 신호의 회전정도를 측정하여 전선(14)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FIG. 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current flowing in a wire. The light source 11 is polarized by the polarizer 12 and the polarized polarized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optical fiber 13 wound on the electric wire so that the light and the magnetic field propagating inside the optical fiber 13 The polarized signal polarized by the Faraday effect rotates. As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induced around the electric wire 14 increas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14 and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increases, the Faraday effect increases, so that the larger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14, The polarimeter 15 measure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ed signal and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ire 14. [

본 발명에서는 소형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전류센서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의 선행특허인 “특허공개번호 2011-0134869, 발명의 명칭: 낮은 구부림 손실 광섬유”에서 기재하고 있는, 클래딩층을 내부 클래딩층, 트렌치 층 및 외부 클래딩층으로 분리한 구조를 사용함과 동시에 광섬유의 코어층 및/또는 내부 클래딩층에 Cd0.5Mn0.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을 함유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bricate a small current sensor applicable to a small-sized device, the cladding layer described in the prior patent publication " Patent Publication No. 2011-0134869, entitled " Layer, a trench layer and an outer cladding layer, and a core layer and / or an inner cladding layer of the optical fiber contains a Cd 0.5 Mn 0.5 Te quantum dot,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자기 글라스는 쇼트사(Schott,Germany)의 FR-5 및 FR-7, 몰테크 게엠베하사(MolTech GmbH, Germany)의 MOS-4 및 MOS-10, 및 폭텍 포토닉스사(Foctek Photonics Inc., China)의 Tb-10, Tb-12 및 Tb-15 이며, 상기 광자기 글라스를 분쇄하여 양자점 혹은 아주 미세한 분말 상태로 광섬유의 코어 및/또는 클래딩층 또는 내부 클래딩층에 함유한다.Preferably, the magneto-optical glass is a mixture of FR-5 and FR-7 of Schott, Germany, MOS-4 and MOS-10 of MolTech GmbH, Germany, Tb-12, and Tb-15 of Foctek Photonics Inc., China), and the magneto-optical glass is pulverized and contained in the core and / or cladding layer or inner cladding layer of the optical fiber in quantum dots or very fine powder state .

여기에서, 상기 광자기 글라스란 붕규산 유리 조성에 Tb, Y, Eu등의 희토류 원소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광학적 특성이 변하는 유리를 의미한다.Here, the magneto-optical glass means a glass whos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a change in applied magnetic field produced by adding a rare earth element such as Tb, Y, Eu to the borosilicate glass com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자기 단결정은 분쇄 첨가하여 양자점 또는 아주 미세한 분말 상태로 광섬유의 코어 및/또는 클래딩층 또는 내부 클래딩층에 함유할 수 있다. 이 광자기 단결정은 화학성분으로 통칭되고 있으며, TGG(Terbium Gallium Garnet)결정 및 YIG(Yttrium Iron Garnet)결정이 가장 대표적이다.Preferably, the magneto-optic single crystal may be added to the core and / or cladding layer or the inner cladding layer of the optical fiber in a state of quantum dots or very fine powder by pulverization. These magneto-optic single crystal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chemical components, and TGG (Terbium Gallium Garnet) crystals and YIG (Yttrium Iron Garnet) crystal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본 발명은 일반적인 광섬유 구조인 코어층과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자의 선행특허에서 보여진 광섬유 구조의 코어층 및/또는 내부 클래딩층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ore layer and a cladding layer, which is a general optical fiber structure, but may be applied to a core layer and / or an inner cladding layer of the optical fiber structure shown in the prior patent of the present inventor.

본 발명자는 광섬유의 코어층 및/또는 클래딩층 또는 내부 클래딩층에 Cd0.5Mn0.5Te 양자점을 함유시킴으로써, 높은 패러데이 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고, 이하 다음의 실시예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able to induce a high Faraday effect by containing Cd 0.5 Mn 0.5 Te quantum dots in the core layer and / or the cladding layer or the inner cladding layer of the optical fibe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 실시예Example ] ] CdCD 00 .. 55 MnMn 00 .. 55 TeTe 양자점이The quantum dot 함유된 광섬유의 자기 광학 특성 Magneto-opt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ers

Cd0 . 5Mn0 . 5Te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 모재는 수정된 화학 기상 층착법(MCVD) 을 통해 제작하였다. 실리카유리 튜브 내부에 SiCl4과 GeCl4를 이용하여 1650 °C에서 다공성의 코어 층을 형성하여 부분 소결 과정을 거친 후, 5 ml 질산(Junsei Chem., 70%)에 0.475g(0.1M)의 Cd0 . 5Mn0 . 5Te 분말(International Crystal Lab.)을 섞은 용액을 다공성의 코어 층에 침투시켜 Cd0 . 5Mn0 . 5Te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 모재를 제작하였고, 이렇게 제작된 광섬유 모재를 2000°C이하에서 광섬유로 인출하였다. 광섬유를 솔레노이드(Walker LDJ, 3.0-28-1500DC) 중앙으로 통과시킨 후,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자기광학 특성을 660 nm 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LD) 광원과 편광계(THORLABs, PA-51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were fabricated by 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CVD). A porous core layer was formed at 1650 ° C using SiCl 4 and GeCl 4 in a silica glass tube. After partial sintering, 0.475 g (0.1 M) of nitric acid was added to 5 ml of nitric acid (Junsei Chem., 70% Cd 0 . 5 Mn 0 . 5 Te powder (International Crystal Lab.) Was poured into the porous core layer to form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were fabricated, and the fabricated optical fiber preform was drawn to the optical fiber at below 2000 ° C. After passing the optical fiber through the center of the solenoid (Walker LDJ, 3.0-28-1500DC), the magnet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field were measured using a laser diode (LD) light source with a wavelength of 660 nm and a polarimeter (THORLABs, PA-510) Respectively.

광섬유 코어 내에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Mn 이온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n 이온 첨가 광섬유를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Cd0 . 5Mn0 . 5Te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의 패러데이 회전 특성평가를 위해, 코발트(Co) 이온 첨가 광섬유와 본 연구실에서 제작한 CdSe 양자점 첨가 광섬유 및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와 함께 비교하였다. 각 광섬유의 자기광학 특성을 솔레노이드 전류 값의 증가를 통한 광섬유에 평행한 자기장을 인가하여 편광계를 통해 측정해 본 결과, 도 2과 같이 모든 광섬유는 자기장이 증가할수록 패러데이 회전각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Cd0 . 5Mn0 . 5Te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의 경우 같은 자기장하에서 Co 이온과 Mn 이온이 함유된 광섬유보다 절대 값이 약 1.5배와 6배 높은 패러데이 회전각을 나타내었고, CdSe 함유 광섬유 보다 약 1.5배 그리고 SMF 보다 약 2배 정도 회전각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n 이온이 첨가된 광섬유의 경우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보여 Cd0.5Mn0.5Te 양자점이 함유된 광섬유의 패러데이 회전 증가에 Mn 이온 보다 Cd0.5Mn0.5Te 양자점이 영향을 크게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Cd0 . 5Mn0 . 5Te 양자점의 제만 효과(Zeeman effect)에 의한 것으로 인한 것이다. 측정한 패러데이 회전각을 이용하여 구한 Cd0 . 5Mn0 . 5Te 양자점, Co 이온 또는 Mn 이온이 함유된 광섬유와 SMF의 베르데 상수는 660 nm 파장에서 각각 5.12, 3.54, -1.04와 2.77 radT-1m- 1 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Mn ions confirmed to exist together in the optical fiber core, Mn ion doped optical fibers were prepared and compared. And Cd 0 . 5 Mn 0 . For the evaluation of the Faraday ro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5 Te nanocrystal optical fiber, we compared the cobalt (Co) ion doped fiber with the CdSe quantum doped optical fiber and the common single mode fiber fabricated in this laborator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agnetoop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ptical fiber through a polarimeter by applying a magnetic field parallel to the optical fiber through the increase of the solenoid current value, the Faraday rotation angle was linearly increased as the magnetic field of all the optical fibers was increased as shown in FIG.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showed a Faraday rotation angle of about 1.5 times and 6 times higher than the optical fiber containing Co and Mn ions under the same magnetic field and about 1.5 times more than the CdSe containing optical fiber and about It was found that the rotation angle increased about twice. In the case of the Mn-doped optical fiber, the Cd 0.5 Mn 0.5 Te quantum dots were more affected than the Mn ions in the increase of Faraday rotation of the optical fiber containing the Cd 0.5 Mn 0.5 Te quantum dots. This is because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 (Zeeman effect). Cd 0 obtained by using the measured Faraday rotation angle . 5 Mn 0 . The Verde constants of the 5 Te quantum dots, Co ion or Mn ion containing optical fibers and SMF were 5.12, 3.54, -1.04 and 2.77 radT -1 m - 1 at 660 nm, respectively.

다음의 표 1에 Cd0 . 5Mn0 . 5Te 양자점, Co 이온 또는 Mn 이온이 함유된 광섬유의 자기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Table 1 below shows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Co ions, or Mn ions.


유효 길이(m)

Effective length (m)

자기장(T)

Magnetic field (T)

회전각(θ)

The rotation angle?

베르데 상수(rad-1m-1)

Verde constant (rad -1 m -1 )
Cd0.5Mn0.5Te 도핑된 섬유Cd 0.5 Mn 0.5 Te doped fiber 0.70.7 0.1420.142 29.1829.18 5.125.12 Co 도핑된 섬유Co-doped fiber 0.70.7 0.1420.142 20.1820.18 3.543.54 CdSe 도핑된 섬유CdSe doped fiber 0.70.7 0.1420.142 20.2820.28 3.563.56 Mn 도핑된 섬유Mn doped fiber 0.70.7 0.1420.142 -5.93-5.93 -1.04-1.04 SMFSMF 0.70.7 0.1420.142 15.8215.82 2.772.7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 광원 12: 편광자
13: 광섬유 14: 전선
15: 편광계
11: light source 12: polarizer
13: Fiber optic 14: Wires
15: Polarimeter

Claims (4)

광섬유 전류센서로 입력되는 광원을 편광시키는 편광자;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된 편광 신호가 입사되는, 코어 및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및
상기 전선에 감겨있는 상기 광섬유를 통과한 상기 편광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편광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류센서.
A polarizer for polarizing a light source input to the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An optical fiber comprising a core and a cladding layer wound on a current-carrying electric wire and having a polarized polarized signal incident on the polarizer; And
In the core layer and Cd 0, it includes a polarimeter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polarization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ptical fiber wound on the wire. 5 Mn 0 . 5 Te quantum d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류센서.Th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d 0 . 5 Mn 0 . 5 Te quantum dots,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은 내부 클래딩층, 트렌치 층 및 외부 클래딩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부 클래딩층에 Cd0 . 5Mn0 . 5Te 양자점, 광자기 글라스 및 광자기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류센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adding layer is composed of the inner cladding layer, the trench layer and the outer cladding layer, the inner cladding layer Cd 0. 5 Mn 0 . 5 Te quantum dots, a magneto-optical glass, and a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자기 글라스는 FR-5, FR-7, MOS-4, MOS-10, Tb-10, Tb-12 또는 Tb-15 글라스의 양자점 또는 미세분말이고, 상기 광자기 단결정은 TGG(Terbium Gallium Garnet) 또는 YIG(Yttrium Iron Garnet)의 양자점 또는 미세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류센서.


The photomagnetic gla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gneto-optical glass is a quantum dot of FR-5, FR-7, MOS-4, MOS-10, Tb-10, Tb-12 or Tb- Wherein the magneto-optical single crystal is a quantum dot or a fine powder of TGG (Terbium Gallium Garnet) or YIG (Yttrium Iron Garnet).


KR1020170067844A 2017-05-31 2017-05-31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KR20170067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44A KR20170067166A (en) 2017-05-31 2017-05-31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44A KR20170067166A (en) 2017-05-31 2017-05-31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941A Division KR20140028214A (en) 2012-08-27 2012-08-27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166A true KR20170067166A (en) 2017-06-15

Family

ID=592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44A KR20170067166A (en) 2017-05-31 2017-05-31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71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4286B2 (en) Magneto-optical resonant waveguide sensors
Tang et al. Annealing of linear birefringence in single-mode fiber coils: application to optical fiber current sensors
Shi et al. All-fiber magnetic field sensor based on hollow optical fiber and magnetic fluid
US6724528B2 (en)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amplifier employing externally applied stress-induced birefringence
US20070091412A1 (en) Compact multipass optical isolator
US4726652A (en) Faraday rotation single-mode optical fiber
Li et al. An all-fiber optic current sensor based on ferrofluids and multimode interference
KR102617481B1 (en) a Magnetic field fiber sensor
Iadicicco et al. Arc-induced long period gratings in polarization-maintaining panda fiber
US9618777B2 (en) All-fiber isolator using optical fiber including quantum dots
Chen et al. Magnetic field sensing based on a ferrofluid-coated multimode interferometer in a fiber-loop ring-down cavity
KR101916940B1 (en) a optic-fiber current sensor system
Lv et al. Magnetic field sensor based on the magnetic-fluid-clad combined with singlemode–multimode–singlemode fiber and large core-offset splicing structure
Guo et al. Magneto-optical properties and measurement of the novel doping silica optical fibers
KR20140028214A (en)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Linganna et al. Development of aluminosilicate glass fiber doped with high Pr 3+ concentration for all-optical fiber isolator application
KR20170067166A (en) Current sens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Ju et al. Demonstration of all-optical fiber isolator based on a CdSe quantum dots doped optical fiber operating at 660 nm
Miao et al. Intensity-based magnetic field measurement employing tilted long-period fiber gratings
Tao et al. Reflective fiber-optic magnetic field sensor based on a magnetic-fluid-filled capillary probe structure
US20230138280A1 (en) Active optical fiber with low birefringence
KR101713679B1 (en) All-optical fiber isolator using optical fiber incorporated with Quantum dots
JP2015125375A (en) Optical isolator
Eftimov et al. A polarimetric fiber optic current sensor based on Bi12SiO20 crystal fluorescence
Sun et al. All-fiber optical faraday mirror using 56-wt%-terbium-doped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