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503A -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503A
KR20170066503A KR1020177011617A KR20177011617A KR20170066503A KR 20170066503 A KR20170066503 A KR 20170066503A KR 1020177011617 A KR1020177011617 A KR 1020177011617A KR 20177011617 A KR20177011617 A KR 20177011617A KR 20170066503 A KR20170066503 A KR 2017006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ttribute
shared
security attribut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앙 헤
레이 장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6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9/44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검출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고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MULTI-SCREEN SHARING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공유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쾌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Display) 기술과 같은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 디스플레이가 날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해 핸드폰 또는 태블릿 장치의 스크린 내용을 편리하게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투사할 수 있으며, 흔히 다자간 회의, 오디오 비디오 오락 및 게임 등 분야에 적용된다. 무선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는 스크린 투사 기능은 스마트 단말(Source측)의 스크린 내용을 전부 디스플레이 장치(Sink측)에 투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흔히 일부 내용, 특히 일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내용만 디스플레이하면 되며, Sink측 장치가 입력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전제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멀티 스크린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친구는 다른 스마트 단말 장치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해 로컬 Source측의 애플리케이션을 액세스 및 조작할 수 있다.
멀티 스크린 공유의 경우, 사용자는 흔히 프라이버시와 보안 관리 문제를 고려하는 데,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공유를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기능, 권한 측면의 제한을 진행한 후에야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리하여, 상응하게 동적 관리를 진행할 것이 필요하고 공유 모드와 정상 모드에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레벨의 차별화된 처리를 구현할 것이 필요하다.
유감스럽게도 현재 멀티스크린 공유 디스플레이 보안 측면 관리의 관련 기술적 방안이 제출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수요에 따라 상응하는 보안 속성을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공유를 구현할 수 있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이렇게 구현되었다.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검출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고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상기 방법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제한적으로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가 활성화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로컬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다.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는 검출 유닛, 판단 유닛, 획득 유닛 및 공유 제공 유닛을 포함하되,
검출 유닛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검출하고 실행시 판단 유닛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판단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획득 유닛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며,
획득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공유 제공 유닛은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한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는,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유 제공 유닛은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제한적으로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는 종료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가 활성화이면, 상기 종료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을 더 포함하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다.
전술한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먼저 로컬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서로 다른 레벨로 구분하며,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 등 타입을 포함하며, 보안 속성이 로컬 공유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정상 모드 및 애플리케이션 공유 모드에서 각각 서로 다른 활성화 상태를 사용하여 구분함으로써 세분화된 권한 관리 구분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컬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측 사용자에게 공유시킬 때 로컬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기능 권한과 개인 프라이버시 관리 측면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할 것은, 충돌이 없는 경우, 본 출원 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은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예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101단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검출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01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로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한다.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시작 및 종료하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원격측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공유되지 않는다.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이 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원격측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공유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검출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 등록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예이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고 아니오이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다.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여야 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한다.
설명할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을 진행하는 것은, 로컬에서 원격측 사용자와 무선 연결을 진행하기 전에 진행하거나 무선 연결된 후 진행할 수도 있다.
102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고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내용들을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이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개인 프라이버시에 관련되지 않으므로 원격측 사용자에게 완전히 공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원격측 사용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그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공유모드에서 원격측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으며, 그 보안 속성은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원격측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동시에 로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관련되지 않도록, 상기 활성화 상태에 따라 기능 또는 권한 측면의 일부 제한을 구현할 수 있다. 비 공유 모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로컬 사용자에 대해 제한하지 않으며 이는 로컬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비 공유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는 원격측 사용자에게 공유되지도 않는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 등록을 진행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에 해당하고, 공유되지 않은 로컬의 일반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
이하, 구체적인 예시적인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의 실질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예에서, WiFi-Display 연결이 이루어진 로컬 사용자 기기와 원격측 디스플레이측을 예로 설명한다.
로컬 사용자 기기는 Source 측으로서 디스플레이측 Sink 기기와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이루며, 그 후 Source 측은 공유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설정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보안 속성을 초기화한다. 이어서, 공유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하나, 예를 들어 A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한 후 실행한다. 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판단을 진행하며,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면, 그 보안 속성을 업데이트하고(공유 모드에 대응), 아니면, 정상적으로 실행한다.
사용자가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실행하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지 않기 때문에 그 보안 속성을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다른 한 사용 시나리오는, A 애플리케이션 공유가 종료될 때, Source 측은 계속하여 다른 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B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이때 B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은 상응하게 업데이트되고 A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되며 보안 속성을 회복한다(정상 모드에 대응).
상술한 사용 시나리오를 일부 변경한 후, 기본 룰은 여전히 적용되며, 예를 들어, Source 측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다시 시작하며, 나아가 보안 속성을 업데이트할 것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 업데이트(활성화) 후, 실제 실행할 때, 그 기능 사용 또는 호출 권한, 또는 액세스 가능한 기기 리소스는 상응하게 변경되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부 기능 입구에 상술한 속성을 사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권한 관리 제어를 통해 해당 속성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권한 액세스 측면에서 국부적인 제한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 원격측 Sink 사용자가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Source측 사용자는 로컬 단말 기기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는 없다. 이는 각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시각에 하나의 보안 속성에만 대응되고 있기 때문이며, 이는 또한 리소스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예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201단계: Source 측은 시작되고 시스템은 초기화를 완성한 후 대기 상태에 들어가며, Source 측과 Sink 측은 서로 스캔한 후 WiFi-Display 연결을 확립한다.
202단계: Source 측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초기화하며, 보안 속성은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Local Sharing)’, ‘공유 불가능’ 이 3 가지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로컬 공유’ 속성의 애플리케이션은 실행시 공유 모드인지에 따라 동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상기 속성은 활성화와 비활성화의 두 가지 상태를 가지며 초기화시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다.
203단계: Source 측은 속성이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하나의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며 현재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에 등록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조작은 흔히 하나의 공유 관리 서브모듈에 의해 완성될 수 있으며, WiFi-Display 연결에 대한 관리를 포함한다.
204단계: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브모듈은 실행할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을 매칭시켜야 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205단계: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면, 보안 속성을 더 판단하며, 국부적인 권한이면 상응하게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206단계: 상술한 예비 처리를 완성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실행한다.
207단계: 일정한 시간 후, 사용자는 공유를 완성하고 Source 측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것을 준비한다.
208단계: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브모듈은 종료 조작을 완성하기 전에, 보안 속성이 ‘로컬 공유’ 이고 ‘활성화’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 ‘비활성화’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209단계: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처리를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예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301단계: 실행시의 초기화 작업,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브모듈이 실행할 애플리케이션 명칭, 보안 속성, 실행 파라미터 등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302단계: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브모듈이 시스템으로부터 기 등록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 명칭을 획득한다.
303단계: 기 등록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과 곧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서로 다르면 306단계로 이동하여 정상적으로 실행한다.
304단계: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면, 그 보안 속성이 ‘로컬 공유’인지를 더 판단하며, 아니면 306단계로 이동하여 정상적으로 실행한다(기타 속성은 상태의 수정에 관련되지 않는다).
305단계: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이 ‘로컬 공유’이면, 일정한 정도의 기능 또는 권한, 자원 액세스 측면의 제한을 구현하도록, 상기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306단계: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예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는 검출 유닛(40), 판단 유닛(41), 획득 유닛(42) 및 공유 제공 유닛(43)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40)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검출하고 실행시 판단 유닛(41)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판단 유닛(4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획득 유닛(42)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유닛(42)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공유 제공 유닛(43)은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한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유닛(도 4에 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 제공 유닛(43)은 또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공유 제공 유닛(43)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공유 제공 유닛(43)은,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제한적으로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공유모드에서 원격측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으며, 그 보안 속성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원격측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동시에 로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관련되지 않도록, 상기 활성화 상태에 따라 기능 또는 권한 측면의 일부 제한을 구현할 수 있다. 비 공유 모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로컬 사용자에 대해 제한하지 않으며 이는 로컬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비 공유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는 원격측 사용자에게 공유되지도 않는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공유 제공 유닛(43)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종료 유닛(도 4에 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가 활성화이면, 상기 종료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도 4에 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일 보드 테스트 장치 중 각 처리 유닛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의 단일 보드 테이트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처리 유닛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기능을 구현하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스마트 기기에서의 실행으로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각 실시예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과 스마트 기기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적 구분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을 간략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토론한 각 구성요소 상호 간의 커플링,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개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정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전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각 유닛이 각각 단독으로 하나의 유닛으로 되거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플러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부 또는 일부 단계가 애플리케이션 명령과 관련된 하드웨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고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행시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전술한 저장매체는 모바일 저장 장치,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집적화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모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시,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을 이바지하는 부분에 대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 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매체는 모바일 저장 장치,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범위 내에서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로컬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서로 다른 레벨로 구분하고, 보안 속성이 로컬 공유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정상 모드 및 애플리케이션 공유 모드에서 각각 서로 다른 활성화 상태를 사용하여 구분함으로써 세분화된 권한 관리 구분 매커니즘을 제공하며, 로컬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기능 권한과 개인 프라이버시 관리 측면의 수요를 만족시킨다.

Claims (11)

  1.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검출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고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상기 방법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제한적으로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가 활성화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로컬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6.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에 있어서,
    검출 유닛, 판단 유닛, 획득 유닛 및 공유 제공 유닛을 포함하되,
    검출 유닛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검출하고 실행시 판단 유닛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판단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획득 유닛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며,
    획득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공유 제공 유닛은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한 보안 속성의 속성치에 따라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속성치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속성의 속성치는 적어도 전체 기능 공유, 로컬 공유, 및 공유 불가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제공 유닛은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전체 기능 공유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현재가 공유 모드인지를 확정하며,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제한적으로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현재가 비 공유 모드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결과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공유 불가능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측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종료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속성치가 로컬 공유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가 활성화이면, 상기 종료 유닛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속성의 상태를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을 더 포함하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1. 저장매체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177011617A 2014-10-24 2015-01-20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KR20170066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78285.7A CN104317620B (zh) 2014-10-24 2014-10-24 基于多屏分享的应用管理方法及装置
CN201410578285.7 2014-10-24
PCT/CN2015/071141 WO2016061924A1 (zh) 2014-10-24 2015-01-20 基于多屏分享的应用管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503A true KR20170066503A (ko) 2017-06-14

Family

ID=5237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617A KR20170066503A (ko) 2014-10-24 2015-01-20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308349A1 (ko)
EP (1) EP3211527A1 (ko)
KR (1) KR20170066503A (ko)
CN (1) CN104317620B (ko)
WO (1) WO2016061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1553A (zh) * 2015-04-27 2015-07-29 陆俊 一种移动终端应用权限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554750B (zh) * 2015-07-31 2019-03-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帧的传输方法及终端
CN105550589B (zh) * 2015-08-21 2018-11-0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展示方法及用户终端
KR102471230B1 (ko) * 2016-01-28 202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479798A (zh) * 2016-06-08 2017-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屏互动方法及装置
CN106203160A (zh) * 2016-06-30 2016-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7728973A (zh) * 2017-08-31 2018-0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共享方法、系统、发起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682538A (zh) 2017-09-27 2018-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界面的显示方法及装置
CN109547330B (zh) * 2018-11-20 2021-08-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分享方法和装置
CN110244927A (zh) * 2019-07-03 2019-09-17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智能显示系统及装置
CN110362288B (zh) * 2019-07-15 2023-10-20 苏州工业园区服务外包职业学院 一种同屏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446097B (zh) * 2019-08-26 2022-04-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录屏方法及移动终端
CN111736787A (zh) * 2020-06-24 2020-10-02 北京云族佳科技有限公司 屏幕共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022709B (zh) * 2022-06-10 2023-08-29 江苏银河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机顶盒无线投屏管控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5238B2 (en) * 2005-12-12 2010-03-23 Nokia Corporation Privacy protection on application sharing and data projector connectivity
US20070256019A1 (en) * 2006-04-14 2007-11-01 Hirsave Praveen P K Display Sharing Preference System
CN101655892A (zh) * 2009-09-22 2010-02-24 成都市华为赛门铁克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和访问控制方法
US9178981B2 (en) * 2010-12-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erein
CN102355667B (zh) * 2011-06-30 2015-12-09 北京邮电大学 移动智能终端系统中应用程序网络连接控制方法和系统
CN103260257B (zh) * 2013-04-10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自动建立Wi-Fi Display连接实现屏幕共享的方法和系统
CN103338139B (zh) * 2013-06-18 2017-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屏互动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532945B (zh) * 2013-09-30 2017-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分享控制方法和相关设备及通信系统
CN103780952B (zh) * 2014-01-28 2018-01-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信息发送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8349A1 (en) 2017-10-26
EP3211527A4 (en) 2017-08-30
WO2016061924A1 (zh) 2016-04-28
CN104317620A (zh) 2015-01-28
EP3211527A1 (en) 2017-08-30
CN104317620B (zh)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6503A (ko) 멀티스크린 공유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US10194266B2 (en) Enforcement of proximity based policies
KR102116401B1 (ko) M2m 서비스 계층에 대한 교차 리소스 가입
US9690601B2 (en) Dynamic profile switching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AU2014240260B2 (en) User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RU263315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учетной записи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EP27473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playing
US10038771B2 (en) Extending features of one device to another
CN105556419B (zh) 场景功率管理
US100678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6026113A1 (zh) 一种安全交互方法和设备
JP2017518594A (ja) デバイス・ポリシー・マネージャ
CN106484547B (zh) 一种多开应用的管理方法、装置及终端
KR102628856B1 (ko) 전자 장치 간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콘텐츠 공유 방법
AU2016216262A1 (en) Multi-display based device
JP2015525931A (ja) Apiインターセプト関連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モバイル端末
US103490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2114761A (zh) 一种无线投屏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447924B2 (en) Camera usage notification
EP35168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pplication data between isolated applications executing on one or more application platforms
CN114024717B (zh) 应用程序流量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79042B (zh) 用于上下文感知设备管理的方法和客户端设备
CN106209918A (zh) 一种网络安全性管理的方法及终端
US20220060513A1 (en) Centralized request processing and security zone policy enforcement in a cloud infrastructure system
CN107092507A (zh) 应用程序的换肤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