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070A -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070A
KR20170066070A KR1020150172630A KR20150172630A KR20170066070A KR 20170066070 A KR20170066070 A KR 20170066070A KR 1020150172630 A KR1020150172630 A KR 1020150172630A KR 20150172630 A KR20150172630 A KR 20150172630A KR 20170066070 A KR20170066070 A KR 2017006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medical institution
consu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박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철 filed Critical 박형철
Priority to KR102015017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070A/ko
Publication of KR2017006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견적을 협상하고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은 소비자 단말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의료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단말로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입찰신청부; 및 입찰신청부로 전달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소비자 단말로 전달하는 응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negotiating medical costs and th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증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견적을 협상하기 위한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4248호에 의하면, 병원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병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유저단말기로부터 견적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병원단말기로 전달하여 의료진료정보에 대한 견적서를 수신하여 견적서를 유저단말기로 송신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의료견적 서비스장치 내의 등록된 병원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홍보함과 동시에 견적비용을 유저에게 제공하고 있으나, 진료항목에 대한 가격을 비교할 수 없는 환경에서 특정한 병원에 견적을 요청한 결과만을 받을 수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의료 소비과정의 편의는 대부분 '가격비교', '구매'에만 초점이 맞춰져있고,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어 있으나 소비자 본인이 직접 검색하여 적극적으로 알아봐야 알 수 있는 점도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병원중심 가격결정 시대를 넘어 소비자 가격 주도 시대로 변화하여 단순 가격비교와 상담이 아닌 소비자 주도형 의료비 협상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 주도로 의료비 협상이 가능한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다양한 병원의 검증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기관을 이용할 잠재 이용자와 경험자를 온라인 또는 모바일장치 등으로 질의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아 해당 의료기관 단말(300)로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입찰신청부(220); 및 상기 입찰신청부로 전달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전달하는 응찰부(230);를 포함한다.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은 (a) 상기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제어부(260)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260)가 상기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아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단말(300)로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260)가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소비자 주도로 의료비 협상이 가능하고,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다양한 병원의 검증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을 이용할 잠재 이용자와 경험자를 온라인 또는 모바일장치 등으로 질의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을 구현한 App 화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은 소비자 단말(100), 플랫폼(200), 의료기관 단말(300)을 포함한다.
플랫폼(200)은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앱(App)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구성은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 입찰신청부(220), 응찰부(230), 리뷰요청부(240), 통신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을 구현한 App 화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App)상에 플랫폼을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전문의, 경력 및 의료기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개된 민ㅇ관의 의료기관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기관 정보 수집모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기관 정보 수집은 공공기관, 민간단체, 이용자(개인)을 토대로 인증 및 평가된 객관적인 정보로서, 예를들면 공공기관인 보건복지부의 병원인증 정보(병원별 평가등급),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평가결과 정보를 제공(Open API기반으로 연동), 민간단체인 JCI(국제인증기관)의 병원인증정보, 대한치과의사협회의 치과인증 정보, 자체평가정보로 ISO9001의 요구사항 중 품질과 고객만족 관련항목 적합기준 충족 의료기관(7.2항 고객관련프로세스, 7.5항 생산 및 서비스 제공, 7.5.4항 고객재산, 8.2.1항 고객만족), 소비자(개인)을 통해 소비자가 현명한 선택흘 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병원평가 정보로 소비자의 평가 이원화(병원전체 평가, 진료항목별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의료기관 선택시에 지역검색과 진료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는 공개되고 검증된 정보를 취합하는데, 예를들면, 최저가, 최고가, 평균가 정보, 병원장점, 병원의료진 경력, 전문분야, 인증정보, 진료항목 장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간 정보 제공부(210)에서 고객이 직접 전화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전화문의, 의료상담 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고객정보는 휴대전화번호를 암호화 식별코드화하여 의료기관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지역, 나이, 성별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 선 이용자와 매칭시켜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정보분석에 따라 제1 소비자 분석모듈(212), 제1 선 이용자 성향모듈(213), 제1 추천모듈(214)로 분류할 수 있고, 지역, 나이, 성별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소비자 분석모듈(215), 제2 선 이용자 성향모듈(216), 제2 추천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비자 분석모듈(212)은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브랜드(명성) 지향, 가격 지향, 신제품(기술) 지향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고, 제1 선 이용자 성향모듈(213)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추천모듈(214)은 제1 소비자 분석모듈의 소비자 정보와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추천할 수 있다.
제2 소비자 분석모듈(215)은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지역,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제2 선 이용자 성향모듈(216)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추천모듈(217)은 제2 소비자 분석모듈의 소비자 정보와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기능은 회원가입시 설문조사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을 추천하는데, 인구통계학적인 소비자 정보의 지역, 나이, 성별, 직업, 소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프 스타일은 회원가입시 설문조사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는 척도로서, 브랜드(명성) 지향, 가격 지향, 신제품(기술) 지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을 이용한 고객들의 성향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의 주된 성향을 표시하고 이를 리스트화하여 추천할 수도 있다.(예를들면, 주 고객의 성향이 브랜드(명성) 지향인 경우, 브랜드(명성) 지향 의료기관, 가격 지향인 경우, 가격지향 의료기관, 고객의 성향이 신제품(기술) 지향인 경우 신제품(기술) 지향 의료기관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인 정보와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and/or 조건으로 매칭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입찰신청부(220)는 소비자 단말(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의료기관 정보가 선택되고, 선택되는 의료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단말(300)로 희망 진료날짜 및 예산비용을 포함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희망일자, 비용예산을 밝히지 않고 복수 의료기관에 동시에 의료비 견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관에서 의료비를 자율적으로 응찰하고,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 중 희망일자도 밝히지 않은 경우, 의료기관 단말에서 일자를 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찰신청부(220)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인원수 및 추가할인제안 금액정보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달하는 공동구매 모듈(2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응찰부(230)는 입찰신청부로 전달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소비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응찰부(230)는 응찰되는 진료항목별 최저가, 최고가, 평균가 정보를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에 저장하는 응찰가격 제공모듈(231);을 포함할 수 있다.
리뷰요청부(240)는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단말로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 동의를 요청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부(250)는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동의를 승인한 소비자 단말과 잠재 소비자의 소비자 단말을 SNS 및 통신(전화, 모바일 등)로 연계하여 네트워크 연결하여 서로간에 소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어부(260)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 입찰신청부(220), 응찰부(230), 리뷰요청부(240), 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소비자, 전국 의료기관, 의료 이용 경험자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의료 소비자는 내 주변 의료기관/실제 진료비를 제공할 수 있고, 앱으로 의료 견적요청 및 역경매 방식으로 협상이 가능하다.
또한 인원수와 추가할인 금액을 제시하는 공동구매 형태로 의료비 견적을 협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은 상품화된 비급여 수술인 임플란트, 라식수술, 성형, 피부, 모발, 통증, 한방, 건강검진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소비자는 미리 모바일을 통해 가격을 협상하고, 원하는 비용으로 수술받을 수 있으며, 병원은 의료쇼핑을 방지하여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빈 수술시간을 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을 이용한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제어부(26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한다(S2).
다음으로 제어부(260)는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의료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단말(300)로 희망 진료날짜 및 예산비용을 포함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전달한다.
제 S2 단계에서 제어부는 전문의, 경력 및 의료기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개된 민ㅇ관의 의료기관 평가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브랜드(명성) 지향, 가격 지향, 신제품(기술) 지향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고,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소비자 정보와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상기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지역,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고,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소비자 정보와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제 S4 단계에서, 제어부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인원수 및 추가할인제안 금액정보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제 S6 단계에서, 제어부는 응찰되는 진료항목별 최저가, 최고가, 평균가 정보를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에 저장하여 응찰가격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S6 단계 이후에, 제어부는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단말로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 동의를 요청하도록 하고,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동의를 승인한 소비자 단말과 잠재 소비자의 소비자 단말을 SNS 및 통신(전화, 모바일 등)로 연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요구사항(병원선택, 희망금액/일자, 공동구매 인원수 등)을 입력하면, 앱(app)에서 소비성향 매칭병원을 추천할 수 있고, 소비자 선택병원과 매칭 추천병원에 요구사항을 전달하면,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응찰견적을 전송하고, 앱에서 복수 병원의 응찰견적을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다음으로 소비자는 병원선택/예약, 병원담당과 채팅이나 전화를 통해 연결할 수 있고, 앱에서 예약내용을 전달하여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후에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에게서 후기 등의 리뷰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정형화되어 있는 시술(수술)을 위해 여러 병원을 다니며 견적을 협상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 정형화된 의료비 협상과정을 역경매 또는 공동구매를 통해 효율적 의료소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의료기관 측면에서는 의료 소비자와 직접적인 연결기회를 제공하여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여 효율적 마케팅 프로모션 활용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가격결정으로 인하여 거래비용 절감 효과로 소비자와 의료기관에게 서로 이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진료항목을 확장하여 1단계(안과/치과), 2단계(성형/피부), 3단계(모발, 한방), 4단계(통증, 검진) 등으로 확장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해외의료관광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다국어 버전을 통해 해외의료관광 수요를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소비자 단말 200 : 플랫폼
210 :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 211 : 의료기관 정보 수집모듈
212 : 제1 소비자 분석모듈 213 : 제1 선 이용자 성향모듈
214 : 제1 추천모듈 215 : 제2 소비자 분석모듈
216 : 제2 선 이용자 성향모듈 217 : 제2 추천모듈
220 : 입찰신청부 221 : 공동구매 모듈
230 : 응찰부 231 : 응찰가격 제공모듈
240 : 리뷰요청부 250 : 통신부
260 : 제어부 300 : 의료기관 단말

Claims (14)

  1.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아 해당 의료기관 단말(300)로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입찰신청부(220); 및
    상기 입찰신청부로 전달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전달하는 응찰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전문의, 경력 및 의료기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개된 민ㅇ관의 의료기관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기관 정보 수집모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상기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브랜드 지향, 가격 지향, 신제품 지향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제1 소비자 분석모듈(212);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선 이용자 성향모듈(213); 및
    상기 제1 소비자 분석모듈의 소비자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는 제1 추천모듈(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210)는,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상기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지역,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제2 소비자 분석모듈(215);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선 이용자 성향모듈(216); 및
    상기 제2 소비자 분석모듈의 소비자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는 제2 추천모듈(2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신청부(220)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인원수 및 추가할인제안 금액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달하는 공동구매 모듈(2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찰부(230)는,
    응찰되는 진료항목별 최저가, 최고가, 평균가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에 저장하는 응찰가격 제공모듈(2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단말로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 동의를 요청하는 리뷰요청부(240); 및
    상기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동의를 승인한 소비자 단말과 잠재 소비자의 소비자 단말을 연계하는 통신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8. 제 1 항의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을 이용한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의 제어부(260)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지역 내 진료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역 내 진료항목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260)가 상기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아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단말(300)로 의료비 견적 협상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260)가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응찰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1) 상기 제어부가 전문의, 경력 및 의료기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개된 민ㅇ관의 의료기관 평가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2) 상기 제어부가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상기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브랜드 지향, 가격 지향, 신제품 지향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a-3)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a-2) 단계의 소비자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2') 상기 제어부가 소비자 단말의 서비스 회원 가입시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상기 소비자 단말 이용자의 지역,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a-3')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a-2') 단계의 소비자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의 이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추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인원수 및 추가할인제안 금액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응찰되는 진료항목별 최저가, 최고가, 평균가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부의 의료기관 정보에 저장하여 응찰가격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어부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내역이 인증된 선 이용자의 소비자 단말로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 동의를 요청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리뷰 및 이용후기 질의동의를 승인한 소비자 단말과 잠재 소비자의 소비자 단말을 연계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비 견적 협상방법.
KR1020150172630A 2015-12-04 2015-12-04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6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630A KR20170066070A (ko) 2015-12-04 2015-12-04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630A KR20170066070A (ko) 2015-12-04 2015-12-04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70A true KR20170066070A (ko) 2017-06-14

Family

ID=5921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630A KR20170066070A (ko) 2015-12-04 2015-12-04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0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40B1 (ko) * 2019-08-27 2020-05-13 박회준 비급여 정보를 이용한 의료 기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91220A (ko) * 2019-01-22 2020-07-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혼합주 제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20A (ko) * 2019-01-22 2020-07-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혼합주 제조 시스템
KR102110440B1 (ko) * 2019-08-27 2020-05-13 박회준 비급여 정보를 이용한 의료 기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1040193A1 (ko) * 2019-08-27 2021-03-04 박회준 비급여 정보를 이용한 의료 기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The healthcare hotel: Distinctive attributes for international medical travelers
Javadi et al.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online shopping behavior of consumers
US100834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sale of consumer services
US20030065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eauty guidance
Nayak et al. Integrating wearable technology products and big data analytics in business strategy: A study of health insurance firms
US20030064350A1 (en) Beauty advisory system and method
Nasution et al.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online shopping
MX2010013662A (es) Sistema y metodo para ofrecer y cumplir recompensas y ofertas especificas de la ubicacion, basadas en la situacion a clientes orientados moviles.
KR20190097815A (ko) 토탈 뷰티 스타일 추천 방법
US20140136221A1 (en) Online matching system between patient and curer
US10026099B1 (en) Computerized waiting list tracking system
US20030065588A1 (en) Ident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analogous beauty case histories
JP2017527920A (ja) 最適化された生命保険パッケージ及びその視覚的表示を生成及び配布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TW201734936A (zh) 居家專業照護服務管理方法及系統
Islam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online shopping behavior of consumers
KR20170066070A (ko) 의료비 견적 협상시스템 및 그 방법
JP7099836B2 (ja) フェイシャルエステ提供システムおよびフェイシャルエステ提供方法
US202100197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application to connect users with beauty service providers
KR20210114907A (ko) 실시간 미용사 매칭 예약방법
US20170061082A1 (en) Service relay method considering matching degree and system according to same
KR20150084590A (ko) 비포앤애프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husi Exploring Senior Citizens’ Perceptions of E-Pharmacy Usefulness and Trust
US202303859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directory and marketplace for aesthetic related services and goods
KR20180064045A (ko) 자동 추천 알고리즘 엔진을 탑재한 역경매 방식 의료서비스 매칭 플랫폼
Wu et al. Factors affecting reuse intention of mobile value-added services: A statistical exa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