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867A -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867A
KR20170065867A KR1020150172165A KR20150172165A KR20170065867A KR 20170065867 A KR20170065867 A KR 20170065867A KR 1020150172165 A KR1020150172165 A KR 1020150172165A KR 20150172165 A KR20150172165 A KR 20150172165A KR 20170065867 A KR20170065867 A KR 2017006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receiving
receiving tank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2902B1 (en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백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기 filed Critical 백용기
Priority to KR102015017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902B1/en
Publication of KR2017006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5F17/02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을 포함하는 수용장치가 제공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liquid, comprising: a receiving cha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liquid receiving member therein and selectively sealing the receiving chamber; And a liquid circulation unit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causing the liquid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receiving apparatus having a circulation unit,

본 발명은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비를 수용하고 순환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거품을 저감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pot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circulat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pot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circulating unit capable of reducing bubbles generated by receiving and circulating liquid pots to prevent breakage.

일반적으로 축산폐수, 분뇨 및 음식물폐수 등과 같은 유기폐수는 이송차량에 의해 집수조로 저장된 후, 스크린 분리 또는 고액원심분리기에 의해 비교적 큰 오물이나 이물질이 걸러내진 다음, 저장조로 이송되어 미세한 고체 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가 분리된 후, 침전조로 이송되어 침전처리된 다음(이하 "사전처리"라 한다), 침전물은 탈수화단계를 거쳐 고체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와 혼합되어 퇴비화되고 사전 처리된 침전조의 상등수는 유량조정조를 거쳐 액비생산용 반응기(수용조)에서 발효 처리되어 액상의 비료(액비)로 제조된다.In general, organic wastewater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manure, and food wastewater is stored in a collecting tank by a conveyance vehicle, and after a relatively large dirt or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by a screen separation or a liquid centrifuge, the collected wastewater is transferred to a storage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treatment"), the precipitate is mixed with the sludge containing the solid suspension through a dehydration step, composted, and the supernatant of the pretreated sedimentation tank And is fermented in a reactor (receiving tank) for producing liquid through a flow rate adjusting tank to produce liquid fertilizer (liquid fertilizer).

이러한 액비는 별도의 수용장치에 수용되며, 수용장치는 액비를 제조하는 반응조 또는 이를 저장하는 저장조로 사용된다.These liquids are accommodated in a separat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is used as a reaction tank for producing the liquid pot or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same.

그러나 이와 같은 액비를 수용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비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순히 내부의 액비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However, in the apparatus for accommodating such liquid, generally, there is no constitution for removing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and the main purpose is simply to circulate the liquid in the vertical direction.

특히, 거품의 발생은 원수 상층부에 거품층이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거품은 대부분 산기관을 통과한 공기가 용존되어 지지 못하고 표면의 유분기와 만나서 거품층을 형성한다. 대략 10cm정도는 원수 표면에서 가스 교환을 방해한다.Particularly, the generation of bubbles starts to form a foam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raw water, and most of such bubbles are not dissolved in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ffusing pipe, but meet with the oil on the surface to form a foam layer. About 10 cm disturb gas exchange on the raw water surface.

또한, 생물학적 거품은 미세 거품 발생의 원인이 되어 급격한 거품층의 성장을 주도하며 급격한 거품층의 팽창을 초래하여 정상 발효를 막는다.In addition, biological bubbles cause microbubbles to lead to the rapid growth of the foam layer, leading to a rapid expansion of the foam layer, thereby preventing normal fermentation.

뿐만 아니라 생산된 액비의 저장 시 발생되는 거품층에 의해 수용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eiving device is damaged by the foam layer generated when the produced liquid is stor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비를 생산하는 반응조 또는 이를 수용하는 저장조로 사용되는 수용장치에 있어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수용된 액비를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는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in a receiving apparatus used as a reaction tank for producing a liquid pot or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same, And a liquid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circulation uni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liquid, comprising: a receiving cha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liquid, And a liquid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to supply the liquid stored in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o cause the liquid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액비 순환유닛은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배관 및 상기 수용조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액비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분사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irculation unit includes a suction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nd suck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at a uniform pressure,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 circulation pipe for sucking the liquid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nd circulating the liqui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nd a liquid circulat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And a vortex generating part for generating vortex so as to occur.

또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노즐은 각각이 상기 순환배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ortex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discharge nozzles may be branched from the circulation pipe .

또한, 상기 배출노즐은 복수 개가 균일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may be arranged so as to have a uniform angle an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또한, 상기 배출노즐은 복수 개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may be arranged to spray the liquid mixture at a uniform pressure.

또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액비가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 각각에 이르는 이동경로가 균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vortex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moving pa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has a uniform distance.

또한, 상기 배출노즐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가지며 해당 영역에서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와 연통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discharge nozzle may have a region where the diameter decreas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exposed.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상기 액비를 흡입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소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and arranged laterally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bath, the suction pipe being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a spraying unit for spraying and removing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water surface.

또한, 상기 분사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액비의 분사에 의해 상기 액비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praying uni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ing space, and vortexes may be generated in a first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level by the spraying of the liquid level.

또한, 상기 분사수단은 횡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액비가 분사되며, 상기 홀은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pray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in the lateral direction to spray the solution, and the holes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peated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단위부재 및 상기 단위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경사를 가지며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포의 상승을 둔화시키는 혼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uni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elongated along a later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unit member having a stably inclined and fixed The bubble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fluence unit that moves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slurr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member to slow the rise of the bubbles.

또한, 상기 단위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nit member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of the uni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uni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form an opening area.

또한, 상기 혼류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며 적층형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fluenc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fluent units, and the confluent units may be spaced upwardly and downwardly in a laminated form with upward incl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accommodating space.

또한, 상기 혼류유닛은 복수 개 각각이 형성하는 상기 개구영역이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mixed flow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opening regions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ing spa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에서 순환유닛에 의해 상부에 수용된 액비가 하부로 순환하여 이동하며, 하부에서 액비가 와류를 가지며 배출됨으로써 액비 내에 발생된 기포를 소포하여 저감시킴과 동시에 액비를 고르게 순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in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tored in the upper part is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unit, and the liquid is discharged with the vortex in the lower part to discharge and reduc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둘째, 수용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상부 수면에 별도의 소포유닛을 구비하여 수면에 횡 방향으로 액비를 분사시킴으로써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vesicle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water surfac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so that liquid bubbles are sprayed to the water sur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bubbles generated in the water surface can be vapored.

셋째, 소포유닛은 복수 개의 분사수단을 가지며 분사수단에서 분사되는 액비에 의해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 vesicle unit has a plurality of vesicles, and advantageously, the vesicles generated by the vesicles generated by the vesicles injected from the vesicles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가 적용된 액비 제조시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수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수용장치에서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수용장치에 구비된 순환유닛에서 배출노즐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수용장치에서 배출노즐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2의 수용장치에서 소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소포유닛에서 분사수단의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소포유닛의 유무에 따른 기포 제거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2의 수용장치에서 혼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도 9의 혼류유닛이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액비가 상부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otting facility to which a potting device having a circul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irculation unit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nozzles in a circulation unit provi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3;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hape of a discharge nozzle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3; FIG.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ubble unit in the receiving device of Figure 2;
FIG.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injection means in the bubble unit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bubble removal with or without the bubble unit of FIG. 6;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ixed flow unit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2;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liquid mixture moving upward when the confluence unit of FIG. 9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가 적용된 액비 제조시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수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liquid pot manufacturing facility to which a liquid pot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circul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FIG.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수용장치에서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수용장치에 구비된 순환유닛에서 배출노즐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수용장치에서 배출노즐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tion unit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2,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nozzles in the circulation unit provi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3,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hape of a discharge nozzle in a receiving device of FIG.

일반적으로 가축분뇨는 수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후 별도의 액비 제조시설에 의해 액비로 제조된다.Generally, livestock manure is transport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n produced by a separate liquid production facility.

가축분뇨는 집수로에 수용되어 원심분리기를 통해 액체상태의 액비와 고형으로 분리된다.Livestock manure is contained in a collection channel and separated into a liquid type liquid and solid through a centrifuge.

이와 같이 분리된 상기 액비는 반응조(10)에 의해 발효되어 액체 비료로 제조된다.The thus isolated liquid fertilizer is fermented by the reaction tank 10 and made into a liquid fertilizer.

여기서 상기 고체 비료는 별도의 퇴비처리 설비로 이송되어 비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액체상태의 액비는 반응조(10)로 공급된다.Here, the solid fertilizer is transferred to a separate composting facility and is subjected to a treatment process so that it can be used as fertilizer. The liquid juice in the liquid state is supplied to the reaction tank 10.

그리고 상기 반응조(10)로 이송된 상기 액비는 액비로 발효되어 별도의 저장조(20)에 수용된다.The slurry transferred to the reaction tank 10 is fermented into a slurry and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tank 2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는 상기 반응조(10) 또는 상기 저장조(2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액비 제조시설에서 액비를 수용하는 시설에 적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reaction tank 10 or the storage tank 20, or alternatively, it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for storing liquid in a liquid production facil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는 크게 수용조(100), 순환유닛(200), 및 소포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조(100)에 상기 액비가 수용된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receiving tank 100, a circulating unit 200, and a bubble unit 300, and the baffle 1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tank 100.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액비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조(100),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키는 상기 순환유닛(200),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상기 소포유닛(300) 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ceiving vessel 100, the circulation unit 200 for circula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receiving vessel 100, And the bubble unit 300 for removing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slurry.

상기 수용조(100)는 상기 고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 또는 제조된상기 액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상기 액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tank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reated water separated by the solid-liquid separator or the prepared solution, and a receiving space 110 in which the solution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조(100)는 별도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액비가 내부에 수용되어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let port (not shown) and a discharge port (not show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수용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별도의 슬러지 토출구(10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수용조(100)의 하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tank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ludge discharging port 106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100 may have a slope Lt; / RTI >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조(100)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된 하면의 최하단부에 상기 슬러지 토출구(106)가 구비되어 하면에 침전되는 상기 슬러지를 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tank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udge discharging opening 106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a lower surfac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ation so that the sludge settled on the lower surface is discharged.

이때, 상기 수용조(100)는 상기 액비가 생성되어 비워지는 경우 별도의 세척수에 의해 침전된 상기 슬러지가 세척되고, 이와 같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토출구(106)를 통해 배출된다. At this time, in the receiving tank 100, when the liquid is generated and emptied, the sludge settled by the washing water is washed, and the slud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ort 106 by the washing water.

그리고 상기 수용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개구부(108)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가 팽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tank 100 is formed to have a separate opening 108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from being damaged by the expansion.

여기서 상기 처리수는 상기 분뇨에서 액상으로 분리된 액체를 나타내며, 상기 액비는 상기 액비가 발효되어 비료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다.Wherein the treated water represents a liquid separated into liquid in the manure, and the liquid ratio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liquid is fermented and converted into fertilizer.

한편,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킨다.Meanwhile, the circulation unit 20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tank 100 to circulate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100.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액비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액비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하여 순환시킨다.The circul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liqui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100 and to discharge the liquid to the lower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유닛(200)은, 크게 흡입챔버(210), 순환배관(220) 및 와류발생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액비는 상기 순환배관(220)을 통해 순환하여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에서 상기 와류발생부(230)를 통해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된다.The circul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suction chamber 210, a circulation pipe 220, and a vortex generation unit 230. The liquid sucked from the suction chamber 210 is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so that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vortex generating unit 230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100 do.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한다. The suction chamber 21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h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 suck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100.

여기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장착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용조(100) 내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suction chamber 210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by a separate mounting means (not shown), and the height of the suction chamber 210 may be selectively adjusted .

한편, 상기 순환배관(22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irculation pipe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so that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210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circulate the same.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용조(100)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비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irculation pipe 220 is formed in a long pipe shape so that a fluid can flow into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both ends thereof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reservoir 100 so that the liquid can be circulated.

이때,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수용조(100)는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circulation pipe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should be completely sea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조(100)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제펌프가 연결되어 상기 액비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irculation pipe 220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circulation pipe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a separate pump provided outside the receiving tank 100 is connected,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은 일측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로 공급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lation pipe 2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uction chambers 210 as shown in FIG. 1, and the liquid pump sucked from the suction chamber 210 is circul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1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액비를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한다.The vortex generat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220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discharges the vortex so as to generate a vortex by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출노즐(232)을 구비하여 각각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노즐(232)은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서 분기되어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vortex generating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232, as shown in the drawing, and each of the vortex generators 230 is dispos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space 110. At this time, the discharge nozzle 232 is branc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220.

그리고 각각의 상기 배출노즐(232)은 배출되는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된다.Each of the discharge nozzles 232 is disposed such that the discharged liquid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o generate a vortex.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노즐(232)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discharge nozzle 232 is disposed so that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32 rotates counterclockwise to generate vortex.

또한, 상기 배출노즐(232) 각각은 복수 개가 균일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discharge nozzles 232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232 have a uniform angle and an upward inclination.

이에 따라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는 복수 개 각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되어 제1방향으로 와류를 형성하며, 상향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32 is discharged in the same direc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232 to form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and upwardly tilted so as to circulate upward.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로 배출된 상기 액비는 다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조(100) 내부의 상기 액비가 순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vapor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by the vapors generating unit 230 move upward again, and the liquid in the receiving tank 100 circulates.

여기서,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vapors discharged from the vapors generating unit 230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vortex is generated, the vapors generated in the vapors received in the containing space 110 are vapore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vapors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상기 배출노즐(232)은 복수 개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vortex generator 2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nozzles 232 are arranged to discharge the liquid mixture at a uniform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압력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발생되는 와류가 불규칙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압력을 균일하게 한다.Specifically, a vortex generated when the pressure of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32 is not uniform may be irregularly generat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32 through various constructions .

하나의 일례로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상기 액비가 순환하는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 각각에 이르는 이동경로가 균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rtex generating unit 2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ving pa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220 through which the liquid is circul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discharge nozzles 232 has a uniform distance .

이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220)에서 분기된 상기 액비는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로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mixture branched from the circulation pipe 220 can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the discharge nozzles 232 by moving the same distance.

물론 이와 다른 방법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232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liquid mixture at a uniform pressure through another method.

여기서, 상기 배출노즐(23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232)은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액비를 균일하도록 분사된다.5, the discharge nozzle 23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is sprayed so a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quid mixture.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노즐은(232)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가지며 해당 영역에서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와 연통되어 노출되는 노출공간(232a)를 가지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nozzle 232 is formed to have a reduced diamet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to have an exposed space 232a in which a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23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o be exposed.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가 상기 배출노즐(232)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하부에서 배출될 때, 직경에 감소하여 압축된 후 상기 노출공간(232a)을 통해 주변의 상기 액비가 함께 유입되며 혼합되어 다시 분사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232, the liquid is compressed to a diameter and is compressed through the exposure space 232a, Mixed and injected again.

이대, 상기 배출노즐(23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유동압이 변화하며, 공기의 용존률이 증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low pressure of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232 is changed, and the rate of the dissolved air is increased.

이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220)을 따라 순환하는 상기 액비는 후술하는 공기공급부(240)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분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waste circulating along the circulation pipe 220 may be mixed wit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inj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흡입챔버(210), 상기 순환배관(220) 및 상기 와류발생부(23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수용된 액비와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는 액비가 혼합되며 교반을 이루어 고르게 혼합될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 및 소포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uction chamber 210,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the vortex generation unit 230, The liquid to be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is mixed with the liquid to be mixed evenly by stirring, and the generated air bubbles can be suppressed and defoamed.

한편, 본 발명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가 액비를 제조하는 반응조(10)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순환유닛(200)은 별도의 공기공급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reaction tank 10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the circula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air supply unit 240 have.

상기 공기공급부(240)는 상기 순환배관(220)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상기 액비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220 to supply air or oxygen to the circulating liquid so that fermentation of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can be promoted.

이에 따라 상기 액비는 산소 또는 공기가 용존되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된다.Accordingly, oxygen or air is dissolved in the liquid so that the liquid is circulated in the receptacle 100.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에는 별도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조(100)로 순환되는 상기 액비에 악취저감 및 발효촉진을 위한 별도의 첨가제(미도시)를 추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inlet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a separate additive (not shown) for reducing odor and promoting fermentation is added to the liquid mixture circulated to the receiving tank 100 ) May be added.

이와 같이 상기 순환배관(220)에 상기 투입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수용조(100)에서 발효되는 상기 액비의 상태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의 투입여부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상기 액비를 생산할 수 있다.As the inlet port is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fermented in the receiving tank 100 and selectively control the addition of the additive, thereby more smoothly producing the liquid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은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상부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크게 흡입배관(310), 분사수단(320)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vesicl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ipe 310 and a spraying unit 320 as means for removing bubbles gene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100 .

상기 흡입배관(31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액비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suction pipe 310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tank 100 and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310 is located inside the solution tank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tank 100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above the solution tank.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배관(31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일측을 통해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32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액비가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분사되도록 이동시킨다. Specifically, the suction pipe 310 sucks the liquid contain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100 is connected to the injecting means 320, To be sprayed from above.

이때, 상기 흡입배관(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액비가 유동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배관(310)의 타측으로 상기 액비가 유입되어 상기 분사수단(320)으로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ipe 310 is provided with a pump for allowing the liquid to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310 by driving the pump, ).

여기서, 상기 흡입배관(310)은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uction pipe 3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suction pipe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a part of the suction pipe 3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tank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배관(31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상기 액비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32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상기 분사수단(320)으로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ip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ong pipe shape so that a fluid can flow therein, and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suck up the liquid in the receiving tank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means 320 and delivers the liquid mixture to the injection means 3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배관(310)은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비를 흡입하되,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가장자리가 아닌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pipe 31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sucks the sauce, but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rather than an edg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관(310)의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액비 중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은 중앙부의 상기 액비를 흡입한다.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310 is positioned at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that has relatively less flow among the liquid vortices rotated by the vortex generation portion 230, Inhale liquid.

이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 중에서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상기 액비가 회전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증가되지만, 회전 방향의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으므로 이를 흡입한다.This is because the liquid vortex generation unit 230 rotates the liquid vortex among the liquid vortices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ereby increasing the stirring efficiency. Howev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is relatively small in flow and sucks the liquid.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고르게 교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can be stirred evenly.

한편,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흡입배관(310)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31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The injecting means 32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310 and disposed transversely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100, To the bubbles generated on the water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수면에 인접한 상부에서 액비를 분사한다.Specifically, the spraying means 320 is disposed at leas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100 and injects the liquid at an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이때,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수면에 인접한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액비의 수면에 있는 기포를 제거 또는 소포하게된다.At this time, the spraying means 320 ejects the liqui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 state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thereby removing or expelling bubbles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뿐만 아니라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액비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praying means 320 is arranged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liquid spray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ing space 110.

즉,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부에서도 와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 전체에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한다.That is, the spraying unit 320 generates a vortex eve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vortex generated 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230, thereby generating a vortex in the entire liquid pot contained in the containing space 110 .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can bubble the bubbles generated there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부에서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분사함으로써 소포함과 동시에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esicl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ks up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injects the liquid into the air bubbl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at the upper part thereof, So that a vortex occurs in one direction.

일반적으로 액비에서는 PH농도 상승 / 과다한 MLSS / 과폭기에 의한 불용존가스 등에 의해 거품(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의 정상적인 발효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수용조(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파손이 일어날 수도 있다.Generally, in the liquid, bubbles (bubbles) are gener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H concentration / excessive MLSS / insolubles due to aeration and the like, thereby hindering the normal fermentation of the liquid pot, It may rise and breakage may occur.

특히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상층부 수면상에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거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포유닛(300)에 의해 상기 액비를 상부에서 분사하는 것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water surface, and such bubbles can be reduced by spraying the liquid bubbles with the liquid bubbles by the bubble unit 300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액비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상기 수용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removing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pot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by the vesicl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ermentation of the liquid pot can be facilitated and damage to the container 100 can be prevented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는 상기 수용조(100), 상기 순환유닛(200) 및 상기 소포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조(100)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킬 뿐만 아니라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액비 내부에서 용존되지 않은 기포를 소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ceiving tank 100, the circulating unit 200, and the vesicle unit 300, and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liquid vap provided in the receiving tank 100 up and down In addition, a vortex can be generated to dissolve undissolved bubbles in the liquid pot.

또한, 상기 소포유닛(300)을 통해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상기 액비를 횡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소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bubbles can be poured by spraying the liquid bubbles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ubbl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bubbles through the bubbling unit (3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는 상술한 수용조(100), 상기 순환유닛(200) 및 상기 소포유닛(300)과 함께 추가적으로 별도의 혼류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mixing unit 400 in addition to the receiving chamber 100,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the bubble unit 300 described above.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비에 용존되지 않고 발생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용존되도록 한다.The confluence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bubbles that are not dissolved in the solution, so that they are dissolved.

구체적으로 상기 혼류유닛(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킨다.Specifically, the confluence unit 40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inclined unit, and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bubbles mov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이에 따라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발생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기포의 양을 최소화시키며 수용조(100)의 파손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receiving tank 100 and moving upward can be minimized, and the risk of damage to the receiving tank 100 can be reduced.

상기 혼류유닛(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ixed-flow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단(3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6 to 8,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means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도 2의 수용장치에서 소포유닛(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소포유닛(300)에서 분사수단(320)의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소포유닛의 유무에 따른 기포 제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bble unit 300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2,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owing means 320 in the bubble unit 300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bubble removal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uni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단(320)은 상술한 배출노즐(232)과 유사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횡 방향으로 수면에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수면에 발생된 기포를 소포한다.The ejection means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in a plurality of similar to the ejection nozzle 232 described above, and bubbles generated on the water surface are poured by spraying the liquid mixture on the water sur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수단(320)은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액비를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수단(320)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액비를 분사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the injecting means 320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inject the liquid so as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jection means 320 are arranged in pairs to inject the liquid fertilizer.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분사수단(32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상에 배치된다. The pair of injection means (320) are arranged on different height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이는 상기 분사수단(320)이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due to interference of the spraying means 320 by spraying the liquid mixture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여기서, 상기 분사수단(3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 끝단부에 복수 개의 홀(3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홀(312)은 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7, the injection means 320 is formed in an increased width as shown in FIG. 7,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312 at a front end thereof, and the plurality of holes 312 are continuous in a lateral direction .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홀(312)을 통해 상기 액비가 분사된다. 이때, 상기 홀(312)은 횡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상하 반복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liquid is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12). At this time, the holes 312 ar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repeated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홀(312)은 상기 분사수단(320)의 끝단부에서 2열 중 상하 동시에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며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분사수단(320)을 통해 상기 액비의 분사 시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고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That is, the holes 312 are not formed at the same time in two rows at the end of the injection means 320, but are formed only in one of the two rows and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liquid is sprayed, the shade area can be sprayed evenly without occurrence.

이에 따라 상기 분사수단(320)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액비는 일정한 폭 및 두께를 가지고 분사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liquid mixtur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means 320 is injected with a certain width and thickness, and has a uniform pressure as a whole.

또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분사수단(320)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의 와류가 발생하여 발생된 기포를 소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the injection means 320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the vapors gen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are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so that the generated bubbles can be dispensed.

한편, 도 8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수면상에서 발생된 기포에 상기 액비를 상부에서 분사사여 소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8 (a), the liquid bubbles are spray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bubbl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the liquid bubbles are sprayed from the upper part.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상부에서부터 상기 액비를 분사하여 소포하는 경우 상기 기포의 형상에 의해 기포가 안정적으로 소포되지 않으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분사되는 상기 액비가 수면상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추가적인 기포가 발생될 수 잇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liquid bubbles are sprayed from the top of the bubbl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the bubbles are not stably bubbled by the shape of the bubbles, and the liquid bubbles spr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May cause additional air bubbles.

하지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의 수면상에서 횡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발생된 기포를 손쉽게 소포함과 동시에 수면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시켜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8 (b), the bubbles generated by spraying the liquid mixture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water surface of the liquid mixture can be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air bubbles can be suppressed .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사수단(320)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상기 액비의 수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수면상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at is, as in the case of the spray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bbles generated on the water surface are removed by spraying the liquid bubble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f the liquid bubble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ing spac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bubbles can be suppres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안정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기포를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nd the liquid bubbles contained therein can be stably accommodated, and bubbles generated can be reduced.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ixed-flow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도 9은 도 2의 수용장치에서 혼류유닛(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혼류유닛(400)이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어 액비가 상부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ixed unit 400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2,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flow in which the mixed unit 400 of FIG. 9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Fig.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크게 단위부재(410) 및 상기 단위부재(4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20)을 포함한다.The confluenc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unit member 410 and fixing means 420 for fixing the unit member 410.

상기 단위부재(41)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The unit member 41 has a predetermined width, is opened downward,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i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액비상에서 발생되는 기포 중 일부 기포의 수직 상승을 둔화시킨다.And the vertical rise of some bubbles in the bubbles generated on the liquid bubbles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is reduced.

여기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란 상기 액비의 PH농도, 슬러지 농도(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및 온도에 의한 화학적 반응 또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물리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거나,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와 상부의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포함될 수 있다.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fertilizer may be generated by a physical reaction due to a chemical reaction or a fluid flow by the pH of the liquid, a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SS) and a temperature, Bubble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betwee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may be included.

즉 상기 액비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포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기포는 상기 액비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various types of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liquid mixture, and the bubbles generated thereby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mixture.

그리고 상기 혼류유닛(400)은 이와 같이 발생된 상기 액비의 기포 중 일부 기포의 수직 상승을 둔화시킨다.The confluence unit 400 slows down the vertical rise of some bubbles in the liquid bubbles generated in this way.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면(414) 및 상기 가이드면(414)에서 상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41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nit member 410 includes a pair of guide surfaces 414 arranged in the form of a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414 extending from the guide surface 414 to the connection surface (412).

이때, 상기 가이드면(414) 및 상기 연결면(412)은 플레이트형태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면(412)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surface 414 and the connection surface 412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surface 412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상기 가이드면(414) 및 연결면(412)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길게 형성된다.The guide surface 414 and the connecting surface 412 are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단위부재(410)는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며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unit member 410 is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D` shape.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단위부재(410)는 길게 형성되어 하부방향에서 상승하는 기포 중 일부가 수직 상승하는 것을 방해한다. The unit member 410 formed in this way is long and prevents a part of the bubbles rising in the lower direction from vertically rising.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 중 일부는 상기 단위부재(41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단위부재(410)에 접하며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Here, the unit member 410 is disposed so as to have an upward slope, so that a par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bubbles contact the unit member 410 through the opened portion of the unit member 410, .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일부는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상승속도가 둔화되어 상기 액비 내에서 체류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액비에서 용존되지 않고 발생되는 공기 또는 산소입자의 용존률이 증가하게 된다.Accordingly, a par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pot is slowed down by the unit member 410 and the residence time is increased in the liquid pot, so that the dissolution rate of the air or oxygen particles that are not dissolved in the pot pot is increased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고정수단(420)에 의해 상호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members 41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and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ouble direction. And is maintained in the engag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xing means 420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단위부재(41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일부는 상승하게 되고 나머지는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수직상승이 차단되어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된다.Here, a plurality of the unit member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ar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is elevated through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unit members 410, So that the lifetime of the unit member 410 increas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member 410.

즉,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이동하는 레일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용존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nit member 410 serves as a rail through which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move,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dissolution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bubbles.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의 수직상승 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unit members 410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by forming a vertical rising space for the liquid to be re-suppli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 중 일부가 직상승을 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액비의 일부가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서서히 상승하고, 나머지는 상기 단위부재(410)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직상승 한다.Particularly, the unit member 410 is disposed so that a part of the liquid ratio re-suppli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is spaced up so that the liquid level partially ris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nit member 410 Is guided and mov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gradually rises, and the remainder rises along the spaced apart space of the unit member (410).

이에 따라,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의 일부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교반하여 상승하며 상기 액비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 part of the liquid being re-suppli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may be stirr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nd the liquid may be mixed evenly.

뿐만 아니라, 상승하는 상기 액비가 교반과 동시에 제1방향으로 발생된 와류에 의해 회전하며 기포가 액비 내부로 용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ising liquid may be rotated by the vortex gen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the stirring, and the bubbles may be dissolved into the liquid mixture.

한편,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이격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단위부재(410)가 결합된다.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ix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nit member 410 is coupled.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상기 단위부재(410)가 경사를 가지며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한다.The fixing unit 42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10 so that the unit member 410 is inclined and stably fixed.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420)은 플레이트 또는 샤프트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부재(410)와 결합됨과 동시에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fixing unit 4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or a shaft, and is coupled with the unit member 410 and a part of the unit member 41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420)은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에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단위부재(4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unit 420 is formed in a shaft shape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410 to support the unit members 410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20)이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고정수단(420)은 복수 개가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 되는 상기 액비 및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직상승을 방해하며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xing means 420 are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be inclined up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by the fixing means 4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by interfering with the liquid level re-supplied by the unit 200 and the direct rise of the liquid level generated in the liquid level.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ㅇ 상기 단위부재(41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A)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10, one side of the unit member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unit member 41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can be disposed apart to form the region A.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최하단부인 일측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지만 최상단부인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과 이격되어 개구영역(A)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unit member 410 is arranged to be upwardly incl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One end of the unit member 410, which is the lowermost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an opening area 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ary side other than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

이는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된 상기 액비와 발생된 기포가 직상승 하지 않고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경사를 따라서 상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 끝단부까지 기포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개구영역(A)을 통해 기포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liquid bubbles re-suppli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the generated bubbles slowly move upwards along the inclination when the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member 410 without rising uprightly, The bubbles can be raised through the opening region A when the bubble moves to the other en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410.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410)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에어포켓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 기포는 상기 개구영역(A)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guide portion formed in each of the unit members 410 may form an air pocket so that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mixture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member 410, The bubbles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member 410 can move upward from the opening region A. [

만약, 상기 단위부재(410)의 양단부가 모두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 벽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면, 상기 단위부재(410)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 상기 액비 또는 기포가 추가적인 상승을 하지 못하고 하부에 머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f both ends of the unit member 41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0, the liquid or bubble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member 410 may be further raised And the problem of staying in the bottom occurs.

이에 따라 상기 단위부재(410)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가지며 개구영역(A)을 형성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액비 및 발생된 기포가 서서히 상승함과 동시에 기포가 감소될 수 있다.The unit member 410 is coupled to form an opening region A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so that the liquid mixture supplied by the circulation unit 200 The bubbles can be reduced while the bubbles gradually ris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하부가 개구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액비 및 기포의 상승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공기의 용존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비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교반하여 상기 액비의 온도를 고르게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luenc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nit member 410, which is opened at the bottom and is disposed at an upward inclin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educing the speed, the amount of air dissolved can be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an be adjusted evenly by stirr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iquid mixture.

한편, 상기 혼류유닛(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적층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fluence unit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fluence units 400 and may be disposed in a stacked manner in the accommodating space 110.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은 단순히 하나로만 구성되지 않고 복수 개가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혼류유닛(400)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ixed-flow unit 400 is not simply composed of a single unit, but a plurality of the mixed units 400 are arranged in a laminated form and each of the mixed units 400 has different inclination.

이때, 상기 혼류유닛(400)에 의해 형성된 개구영역(A)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경사방향도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regions A formed by the mixed-flow unit 400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unit members 4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구영역(A)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액비 및 기포의 이동경로를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10, the confluence units 400 are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are arrang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opening regions A formed by the inclination units are staggered The residence time can be increased by forcibly controlling the movement path of the liquid bubbles and the bubbles ris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또한,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조(100) 하부에서 상기 액비에 용존되지 않은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에 의한 기포가 상승하는 경우 소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luence unit 400 can be divided into small portions when the oxygen or air bubbles are not dissolved in the liquid pot under the receptacle 100.

이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이 복수 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로부터 발생되는 기포를 보다 미세하게 소분화시키며, 상승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fluence units 400 constitute the bubbles generated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0,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rising bubbles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용존되지 못해 발생되는 기포를 세분화시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nfluenc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by refining the bubbles that are not dissolved in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receptacle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수용조
110: 수용공간
200: 순환유닛
210: 흡입챔버
220: 순환배관
230: 와류발생부
300: 소포유닛
310: 흡입배관
320: 분사수단
400: 혼류유닛
410: 단위부재
420: 고정수단
10: 반응조
20: 저장조
100: Receiving tank
110: accommodation space
200: circulation unit
210: suction chamber
220: Circulation piping
230: vortex generator
300: Package unit
310: Suction piping
320: injection means
400: Mixing unit
410: unit member
420: fixing means
10: Reactor
20: Storage tank

Claims (14)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
을 포함하는 수용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liquid,
A receiving vessel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the liquid and being selectively sealable; And
A liquid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tank to supply the liquid stored in the upper layer to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ausing the liquid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to generate a vortex in a first direction;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 순환유닛은,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배관; 및
상기 수용조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액비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분사하는 와류발생부;
를 포함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circulation unit includes:
A suction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nd suck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tank at a uniform pressure;
A circulation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in one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and circulating the liquid i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for spraying the liquid so a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o generate a vortex;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노즐은 각각이 상기 순환배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ortex generating unit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ar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so as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discharge nozzles is branched from the circulation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은,
복수 개가 균일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nozzle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uniform angle an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은,
복수 개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nozzle
And a plurality of said nozzles are arranged to inject said liquid mixture at a uniform press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액비가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 각각에 이르는 이동경로가 균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수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ortex generat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liquid ratio is arranged such that a movement pa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has a uniform dist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가지며 해당 영역에서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와 연통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nozzle
And a part of which is ex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상기 액비를 흡입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소포유닛 을 더 포함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ction pipe for sucking the liquid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one side; And
And a spray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ipe and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ank and spraying the liquid bubble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to bubbles generated in the wat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액비의 분사에 의해 상기 액비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jection means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accommodating spaces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vortices are generated in a first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ratio by the injection of the liqui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횡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액비가 분사되며, 상기 홀은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jection means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liquid is sprayed, and the holes are repeatedly arranged up and dow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단위부재 및 상기 단위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경사를 가지며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포의 상승을 둔화시키는 혼류유닛을 더 포함하는 수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ni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being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being inclined upwar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unit member arranged to stably and tilt in the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bubble generated in the slurry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member to slow the rising of the bubb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nit member includes:
Wherei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form an opening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류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며 적층형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ixed-
Wherein the receiving space is arranged in a vertically inclined manner in a laminated form with upward inclination in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in the receiving sp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류유닛은,
복수 개 각각이 형성하는 상기 개구영역이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ixed-
Wherein the opening areas formed by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stagger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KR1020150172165A 2015-12-04 2015-12-04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KR101872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65A KR101872902B1 (en) 2015-12-04 2015-12-04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65A KR101872902B1 (en) 2015-12-04 2015-12-04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67A true KR20170065867A (en) 2017-06-14
KR101872902B1 KR101872902B1 (en) 2018-06-29

Family

ID=5921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165A KR101872902B1 (en) 2015-12-04 2015-12-04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9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26B1 (en) * 2019-06-24 2020-05-29 김택봉 Aera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KR20210152778A (en) * 2020-06-09 2021-12-16 박찬호 Aeration tank structure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036B1 (en) * 2017-03-10 2020-01-08 백용기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3B1 (en) * 2011-03-11 2011-09-19 그린엔텍 주식회사 External circulation anaerobic digestion apparatus with liquid-jet agitator
KR101498924B1 (en) * 2014-12-17 2015-03-12 백용기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3B1 (en) * 2011-03-11 2011-09-19 그린엔텍 주식회사 External circulation anaerobic digestion apparatus with liquid-jet agitator
KR101498924B1 (en) * 2014-12-17 2015-03-12 백용기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26B1 (en) * 2019-06-24 2020-05-29 김택봉 Aera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KR20210152778A (en) * 2020-06-09 2021-12-16 박찬호 Aeration tank structure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902B1 (en)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03B1 (en) Purifier comprising a solids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wastewater purification
KR101872902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Having Circulation Unit
KR100674510B1 (en) Fluids fluxion method and plant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498924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US72793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oxygen into fermentation processes
CN105339312B (en) Water treatment facilities
KR101672964B1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US9776896B2 (en) Container, series of containers and method for treating liquids
KR20180103514A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JP7016623B2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an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CN111818993B (en) Bubble generating device
EP0112095A1 (en)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KR101421179B1 (en) Bio-oxdation tank for sludge treatment
JP2007253046A (en) Desulfurization equipment of sulfide-containing gas
NL1017690C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naerobically purifying an organic-containing slurry.
JP2008093607A (en) Organic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organic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US733208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biological treatment of a suspension in a bioreactor
KR101700841B1 (en) Liquefied Fertiliz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ixed Flow Unit
KR100859550B1 (en) Equipment for treating culture fluid and nutri-culture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437923B1 (en) Sequencing Batch Reactor System for treating waste water
CN208667224U (en) Dropping, aeration and biological catalytic oxidation one processing equipment
KR101081900B1 (en) Biological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having a carrier
KR102005018B1 (en) A biological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owerless mixer
JP2019076887A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KR20130054781A (en) Nutriculture device using the livestock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