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320A -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320A
KR20170065320A KR1020150171596A KR20150171596A KR20170065320A KR 20170065320 A KR20170065320 A KR 20170065320A KR 1020150171596 A KR1020150171596 A KR 1020150171596A KR 20150171596 A KR20150171596 A KR 20150171596A KR 20170065320 A KR20170065320 A KR 2017006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gnal
touch
electrod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현
신형철
장홍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론
Priority to KR102015017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320A/ko
Publication of KR2017006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인셀 방식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은, 전극패드를 통해서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극패드 및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압력감지 전극 간격의 변화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압력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IN CELL TYPE TOUCH SENSING DISPLAY}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신체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변화 및 압력의 변화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전극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 각광 받고 있다.
최근에는 터치패널의 슬림화, 경량화, 테두리 최소화(Bezel-Less)에 기여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를 디스플레이 또는 커버글라스와 일체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로, 터치 센서의 일체화는, 터치 센서가 일체화되는 대상(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커버 글라스)에 따라 크게 인셀(In-Cell) 방식 또는 온셀(On-Cell)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셀 방식 중 하나로서, AIT(Advanced In-cell Touch)기술은 터치 센서를 LCD Cell 내에 내장시킨 터치 기술로, 보다 우수한 터치감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패널 두께와 베젤 넓이를 줄여 한층 더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 가능한 이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일반적인 인셀 타입(In-cell type)의 터치패널이 도시되며, 액정표시장치를 위한 TFT 기판(10) 내에 터치패널의 전극들(41, 42)이 형성된다.
터치패널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액정표시장치라 할 때, 디스플레이는 TFT 기판(10), 액정층(20), 컬러필터(30) 및 커버 글라스(50)를 포함하며,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자체 발광하지 않으므로 후방에 백라이트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셀프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는 터치패널의 경우에, 터치패널은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랜스미터 또는 구동전극(41) 및 구동전압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 또는 수신전극(42)을 포함한다. 터치감지부는 구동전압을 구동전극(41)으로 인가하기 위한 구동전압 공급부 및 수신전극(42)을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셀 방식 터치 센서에서는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통전극이 복수의 전극패드로 제공됨으로써 터치 센서의 전극패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셀-타입 터치패널에서는 영상출력(display)과 터치감지(Touch)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인셀-타입 터치패널에서 60Hz로 작동하는 경우, 1초에 60개의 프레임이 반복되며, 매 프레임에 대응하는 약 16ms동안 디스플레이 제어구간 및 터치센서 제어구간이 시분할을 하여 영상출력과 터치감지를 차례로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frame time) 별로 전극패드의 제어구간은,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구간과, 외부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 제어구간으로 시분할될 수 있다.
다만, 터치에 의한 신호만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의 경우, 단순한 터치 신호만으로는 입력 신호의 종류를 다변화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압력 신호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의 경우에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서 선의 굵기를 조절한다거나 입력 신호 자체를 변경한다는 등의 입력 신호의 종류를 다변화하기 용이하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한 압력 감지 센서의 더 추가는 보다 얇은 터치 센서를 개발하기 위한 최근 추세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단일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신체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변화 및 압력의 변화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신체 접촉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전기신호를 효과적으로 증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감지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압력 변화에 의한 신호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터치 인식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인셀 방식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은, 전극패드를 통해서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극패드 및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압력감지 전극 간격의 변화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압력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프레임(frame time) 별로 전극패드의 제어를 디스플레이 제어구간 및 터치센서 제어구간으로 시분할(time sharing)하여 영상출력 및 터치감지를 구현하되,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다시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구간으로 시분할하는 단계; 압력감지구간에서 전극패드로 제1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제1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압력감지 전극으로 반대 위상(phase)을 갖는 제2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증폭된 압력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전기신호와 제2 전기신호는 서로 동일한 주파수 및 반대 위상을 갖는다.
참고로, 전극패드나 압력감지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압 신호의 종류인 통상의 펄스 전압 또는 AC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펄스 전류, AC 전류 등과 같은 다른 전기신호가 전극패드에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전극패드로부터 측정되는 터치신호 및 압력감지 전극으로부터 측정되는 압력신호라 함은,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또는 전극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측정값을 의미하며, 전기적 측정값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기적 측정값은 전하량값, 전류량값 또는 커패시턴스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수용 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자체 발광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라이트와 수용 쉴드 사이에 연질의 매개층을 더 배치하며, 디스플레이 상부에서 가해지는 신체 일부의 압력에 의해서 연질 매개층이 굴절 변형될 수 있다. 연질 매개층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전극패드 및 압력감지 전극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고, 이를 통해서 압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연질 매개층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백라이트와 수용 쉴드를 분리하는 물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층이 이를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압력감지 전극은 수용 쉴드에 직접 인쇄나 스퍼터링 방법을 통해서 수용 쉴드에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수용 쉴드와는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수용 쉴드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수용 쉴드와는 별개의 층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압력감지 전극은 패턴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력감지 전극에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상기 패턴에 대응하여 패턴화된 압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압력감지 전극을 스트라이프 또는 체크 등의 복수 패턴으로 제공함으로써, 패턴 형상의 압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손바닥 접촉과 같은 단순한 터치신호와 실질적인 압력신호의 구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전극패드와 압력감지 전극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신호와 압력신호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패드에 인가되는 제1 전기신호와 반대되는 패턴의 제2 전기신호를 압력감지 전극으로 인가하여 압력신호의 증폭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터치 센서의 인식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감지 전극을 스트라이프 또는 체크 등의 복수 패턴으로 제공함으로써, 패턴 형상의 압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손바닥 접촉과 같은 단순한 터치신호와 실질적인 압력신호의 구분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 접촉이나 압력 신호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터치 센서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인셀 터치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터치 센서에서 압력감지 전극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다시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구간으로 시분할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전극패드 및 압력감지 전극에 인가되는 제1 전기신호 및 제2 전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터치신호 및 압력신호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터치 센서에서 압력감지 전극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다시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구간으로 시분할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전극패드 및 압력감지 전극에 인가되는 제1 전기신호 및 제2 전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터치신호 및 압력신호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수용 쉴드(140)를 포함하며,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센서의 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공통전극과 공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백라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자체 발광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백라이트가 생략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않는 액정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로 백라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 디스플레이의 일반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면, 컬러필터, 외에도 확산필름, 편광필름, 기타 광학필름 등과 같은 광학 필름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셀 방식의 터치 센서는 화면출력장치의 구성요소 중 전극패드(110) 및 제어라인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라인이라 함은, 화상픽셀을 위한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픽셀이라 함은, RGB를 묶은 한 픽셀, 즉 하나의 화소단위를 의미하며, 하나의 화상픽셀에는 'R', 'G', 'B' 각각을 위한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수용 쉴드(140) 사이에 연질 매개층(130)을 더 배치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볍게 접촉되는 경우에는 손가락과 전극패드(11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적 변화(A)에 의해서 터치신호가 감지될 수 있고, 연질의 매개층(130)이 디스플레이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압착되는 경우에는 전극패드(110) 및 압력감지 전극(150) 사이의 간격(D)이 변화에 따른 전기적 변화(B)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서 압력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벼운 손가락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전극패드에서는 손가락이 터치되는 영역①에 대응해서 i)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인 변화가 대부분 터치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T)만이 발생한다. 하지만, 손가락에 의한 압력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아래로 굴절하게 되면, ii)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가 단순하게 터치신호(T)만이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②에 대응하여 압력신호(P)가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연질 매개층(130)은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굴절에 대응하여 전극패드와 압력감지 전극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물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반드시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수용 쉴드(140)를 분리할 필요는 없으며, 전극패드의 하방 이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압력감지 전극 사이에 별개의 구성없이 단순하게 공기 층이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압력감지 전극(150)은 수용 쉴드(140)에 직접 인쇄나 스퍼터링 방법을 통해서 수용 쉴드(140)에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수용 쉴드와는 별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수용 쉴드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셀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개진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인셀 방식 터치 센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셀 방식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에서도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통전극이 복수의 전극패드로 제공되고, 이는 터치 센서의 전극패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frame time) 별로 전극패드의 제어구간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구간과, 외부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 제어구간으로 시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구간 및 터치센서 제어구간에서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센서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Vcom)가 각각 전극패드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패드(110)에 제1 전기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제1 전기신호는 전압 신호의 종류인 통상의 펄스 전압 또는 AC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패드(110)에 제1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전극패드(110)로부터 전기적 특성값을 측정하여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전극패드(110)로부터 전기적 특성값을 측정하여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감지를 감지하는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전극패드(110)로부터 전기적 특성값을 측정하여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통상의 셀프 정전용량(Self-capacitive) 방식 또는 뮤츄얼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전극패드(110)에 제1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신체가 접촉됨에 따라 전극패드(110)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값이라 함은, 전극패드(110)로부터 측정될 수 있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측정값을 의미하며, 전기적 측정값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체가 접촉됨에 따라 전극패드(110)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값으로서, 전극패드(110)에 대한 터치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 커패시턴스값이 이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패드에 제1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신체가 접촉됨에 따라 전극패드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값으로서 전하량값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복수개의 전극패드(110)와 연결되는 터치감지회로의 트랜스미터 회로 부분은 전극패드(110)에 제1 전기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캐패시턴스 또는 전하량을 측정함으로써 신체에 의한 터치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전극패드에 제1 전기신호를 통해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압력신호의 증폭을 위하여 터치센서 제어구간이 시분할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에서는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다시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 구간으로 시분할하며, 이에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신호와 압력신호를 하나의 터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구간으로 시분하고, 이를 통해서 압력감지 전극에서 감지되는 압력감지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감지구간에서 전극패드(110)로 제1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제1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압력감지 전극으로 반대 위상(phase)을 갖는 제2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증폭된 압력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전기신호와 제2 전기신호는 서로 동일한 주파수 및 반대 위상을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제2 전기신호를 접지(ground) 또는 전압이 차단된 플로팅 상태로 변경하여 압력감지구간과 센싱구간에 제공되는 신호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으로서, 터치신호 및 압력신호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전극패드(110) 및 수용 쉴드에 직접 또는 상부에 이격 제공되는 압력감지 전극(150)이 도시된다.
압력감지 전극의 패턴화는 단순하게 압력이 가해지는 범위에 대응하여 전기적인 변화만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서 압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패턴화된 압력감지 전극은 압력신호를 발생시키되, 압력에 의해서 전극패드와 압력감지 전극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감지되는 범위 내에서 압력신호 역시 패턴화된 상태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압력감지 전극(150)은 마치 전극패드(110)와 같이 복수개의 사각형을 가지는 체크무늬(check)로 패턴화 제공되지만, 압력감지 전극은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패턴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압력감지 전극은 스트라이프나 나선 또는 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3처럼, 비패턴화된 압력감지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센서에서도 전극패드와 압력감지 전극 사이의 간격 변화가 발생할 정도로 손가락으로 강하게 터치패널을 가압하는 경우, 압력신호와 터치신호가 모두 발생할 수는 있다.
다만, 이러한 신호는 압력신호가 전기적 신호의 변화량 또는 면적에 의해서 감지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높여 누르는 경우와 손바닥 터치에 의한 가벼운 터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터치신호가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압력감지 전극을,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턴화하면, 손가락으로 강하게 누르는 경우에는 터치신호도 발생하지만, 압력감지 전극(150)에서 들어오는 패턴화된 신호 역시 감지되기 때문에, 손바닥에 의한 가벼운 터치신호만 발생시키는 경우와 구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전극패드 120:디스플레이 패널
130:연질 매개층 140:수용 쉴드
150:압력감지 전극

Claims (5)

  1.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인셀 방식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를 통해서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패드 및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압력감지 전극 간격의 변화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압력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프레임(frame time) 별로 상기 전극패드의 제어를 디스플레이 제어구간 및 터치센서 제어구간으로 시분할(time sharing)하여 영상출력 및 터치감지를 구현하되, 상기 터치센서 제어구간을 다시 센싱구간 및 압력감지구간으로 시분할하는 단계;
    상기 압력감지구간에서 상기 전극패드로 제1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압력감지 전극으로 반대 위상을 갖는 제2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압력신호를 증폭시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변경 가능한 연질 매개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수용 쉴드가 차례로 배치되며,
    상기 연질 매개층 및 상기 수용 쉴드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압력감지 전극은 상기 신체 접촉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연질 매개층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전극패드 및 상기 압력감지 전극 간격의 변화를 통해서 상기 압력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 전극은 상기 수용 쉴드에 일체로 제공되거나 상기 수용 쉴드에서 상부에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 전극은 패턴화되며,
    상기 압력감지 전극에 의해서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상기 패턴에 대응하여 패턴화된 상기 압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KR1020150171596A 2015-12-03 2015-12-03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KR20170065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96A KR20170065320A (ko) 2015-12-03 2015-12-03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96A KR20170065320A (ko) 2015-12-03 2015-12-03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20A true KR20170065320A (ko) 2017-06-13

Family

ID=5921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96A KR20170065320A (ko) 2015-12-03 2015-12-03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3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3497A (zh) * 2017-08-30 2017-11-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3497A (zh) * 2017-08-30 2017-11-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469B2 (en) Integrated touch sensor and force sensor for an electronic device
AU2016200900B2 (en) Combin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EP2960759B1 (en) Force and location detection for capacitve touch panels
US20190253053A1 (en)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US8576161B2 (en) Driving an OLED display structure integrated with a touch sensor configuration
US9360977B2 (en) Input interface,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n input interface
TWI605369B (zh) 互容式壓力感測器以及具有壓力感測功能之觸控顯示裝置與其壓力感測方法
US7511702B2 (en) Force and location sensitive display
KR100955339B1 (ko) 접촉 및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패널을 이용하는 접촉 및 접근 감지방법
KR101073345B1 (ko) 터치 스크린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US9870099B2 (en) Pressure sensing display
KR20170069022A (ko) 표시장치
WO2015192597A1 (zh) 触摸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20170065320A (ko) 인셀-타입의 터치 센서 제어방법
US20140184522A1 (en) Touch-sensitive display panel
KR101727589B1 (ko) 터치 센서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112694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touch screen selectivity and sensitivity
KR101678059B1 (ko) 터치 센서 제어방법 및 스타일러스의 제어방법
KR20180031863A (ko)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230176679A1 (en) Low latency input object detection under low ground mass condition
AU2013101644A4 (en) Combin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JP2008268889A (ja) 液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