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061A -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 Google Patents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061A
KR20170063061A KR1020150169011A KR20150169011A KR20170063061A KR 20170063061 A KR20170063061 A KR 20170063061A KR 1020150169011 A KR1020150169011 A KR 1020150169011A KR 20150169011 A KR20150169011 A KR 20150169011A KR 20170063061 A KR20170063061 A KR 2017006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input signal
mou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0448B1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to KR102015016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448B1/en
Publication of KR2017006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와,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input assistance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comprising: a switch input unit for receiving a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switch input signal based on a received switch signal; And an inpu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basis of the switch input signal and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mouse input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본 발명은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assistance device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컴퓨터에 대한 기술이 발전해오면서, 초기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컴퓨터 기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나, 점점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하기 위한 컴퓨터 주변기기가 컴퓨터 기술에 관한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As the technology of computers has been developed, hardware and software aspects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mputer technology in the beginning. However, increasingly computer peripherals to maximize user interface to computer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computer technology.

특히, 중증 지체장애인과 같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휠체어에 의지하여 생활하는 사람은 하루종일 집안에만 있어서 사회활동을 거의 할 수 없으나, 최근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장애인이라도 인터넷을 통하면 다양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사이버 공간 내에서는 장애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이 많이 증가하였다. In particular, people who are dependent on wheelchairs because they can not move themselves, such as person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can hardly do any social activities for the whole day, but the use of the Internet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t is easy to acquir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yber space does not reveal obstacles, so computer use of the handicapped is greatly increased.

이러한 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의 정도에 맞는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In order to use the computer, the disabled person has to us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특히, 척추손상이나 뇌성마비 등의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 손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마우스나 키보드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어 이를 해소해 주기 위한 다양한 기기들이 출시되거나 정부의 지원으로 보급되고 있다.Especially, in case of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such as spinal injuries or cerebral palsy, or elderly handicapped persons, it is impossible to use their hands properly, so a mouse or keyboard can not be used properly. .

현재 장애인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해결방안과 보조기기들은 계속해서 제시 되고 있으나, 그 방법이 완벽하지 않고, 시중에 나와 있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의 경우 그 가격이 매우 높아 쉽게 접하기 힘들며, 제어 방법 또한 쉽지 않다.Currently, solutions for computer use by disabled people and assistive devices are continuously presented, but the method is not perfect and the input assist device for the disabled is very expensive and difficult to access. Uneasy.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557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557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input auxiliary apparatus for a disabled pers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와,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가 제공됨에 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input assistance apparatus for a disabled person, comprising: a switch input unit for receiving a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switch input signal based on a received switch signal; A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and generating a mouse click signal, and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basis of the switch input signal,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A computer-aided input device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comprising a generating unit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는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er-aided input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pu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tablet, or a smart device when a serious handicapped person or a handicapped pers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computer input aid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input aid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110),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computer input auxiliary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switch input signal based on a received switch signal, A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for processing a received operation signal to generate a mouse click signal and a keyboard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30 based on the switch input signal and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And an input signal generation unit 130 for generating a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30.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와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 input unit 110 may output a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witch signal.

여기서,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와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 input unit 110 includes a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for receiving a switch signal and a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for outputting a switch input signal based on the switch signal received by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can do.

이때, 상기 스위치신호수신부(111)는 스위치(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1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may be connected to the switch 10, and may receive the switch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

또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may output a switch input signal based on the switch signal received by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

여기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와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에 저장되는 스위치입력신호는 전자기기(3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데,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10)가 한번 눌려 발생되는 제1스위치신호는 전자기기(30)의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제1스위치입력신호로 설정하여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고, 스위치(10)가 두번 눌려 발생되는 제2스위치신호는 전자기기(30)의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제2스위치입력신호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Here,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may previously store a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At this time, the switch input signal stored in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can be se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the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can be set and stored. For example, the first switch signal generated by pressing the switch 10 once may be set as a first switch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2, The second switch signal generated by being pressed may be set as a second switch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mouse of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stored.

즉,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스위치입력신호 중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outputs a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out of the switch input signals previously stored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received by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간단한 스위치(10)의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입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므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witch input unit 110 can output a switch input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imple switch 10, so that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or the elderly handicapped person can easily operat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computer, a tablet, In use, input can be made easier.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mouse signal processor 12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processes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lick signal.

여기서,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신호수신부(121)와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릭신호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n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and a click signal generating unit 122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lick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

이때, 상기 동작신호수신부(121)는 대체 마우스(20)(예컨대, 헤드 마우스, 조이스틱 마우스 등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자기기(30)에서 사용되는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신호화한 동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alternative mouse 20 (for example, a configuration tha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uch as a head mouse or a joystick mouse) And can receive an operation signal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is signal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또한, 상기 클릭신호생성부(122)는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lick signal generating unit 122 may generate a click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여기서, 상기 클릭신호생성부(122)는 동작신호에 포함된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 머무르는 시간을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신호를 분석하여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넘어서 머무는 경우, 그 위치에 해당하는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click signal generating unit 122 may generate a click signa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time the mouse pointer stay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analyzed and the mouse pointer stay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yond a preset time, a cli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an be generated and output.

한편,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123 for filtering an operation signal.

여기서, 상기 필터부(123)는 동작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마우스포인터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filter unit 123 can correct the unstable motion of the mouse pointer by filtering the operation signal.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123)는 동작신호를 필터링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른 동작신호에 포함된 마우스포인터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안정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전자기기(30)를 사용함에 있어서, 마우스포인터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ter unit 123 can stably correct the unstabl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ignal due to the hand movement of the user by filtering the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or the elderly person In using the electronic device 30, inputting of the mouse pointer can be made easier.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신호와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30 may generate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30 based on the switch input signal,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and may output the generated keyboard input signal and the mouse input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30.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토대로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nput signal generator 130 receives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input unit 110 and generates one of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switch input signal, .

이때,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신호와 대응되는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가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스위치입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30)의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제1스위치입력신호가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수신되는 경우,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키보드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자기기(30)의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제2스위치입력신호가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수신되는 경우,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마우스입력신호가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one of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nput signal, and may output the keyboard input signal or the mouse input signal One of the signals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3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switch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30 is received by the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30, a keyboard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keyboard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30 . When the second switch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mouse of the magnetic machine 30 is received by the input signal generator 130, a mouse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mouse may be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30. [

한편,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a mouse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30 based on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d outputs the generated mouse input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30 .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마우스클릭신호에 대응되는 마우스입력신호 및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마우스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마우스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The input signal generator 1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mous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ouse input signal and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ouse click signal, A mouse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3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assist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rtual keyboard signal receiving unit 140 for receiving a virtual keyboard signal.

여기서, 상기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는 전자기기(30)와 연결되어 전자기기(30) 내에 설치된 가상 키보드 프로그램으로부터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전자기기(30)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드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virtual keyboard signal receiv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 to receive a virtual keyboard signal from a virtual keyboard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output the received virtual keyboard signal to the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30. The input signal generator 130 converts the virtual keyboard signal output from the virtual keyboard signal receiver 140 into an HID keyboard signal recognized as an HID (human interface device) keyboard signal by the electronic device 30, can do.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전자기기(30)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드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전자기기(30)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가상 키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은행 업무 등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할 경우, 보안상 문제로 인하여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put assist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virtual keyboard signal into the HID keyboard signal recognized as an HID (Human Interface Device) keyboard signal by the electronic device 30, Therefore, when the virtual keyboard is used in a place where security is required, such as bank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virtual keyboard can not be used due to security problem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 one embodiment ", etc.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the like, as well as various modifications of such expression,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means. Thus, the appearances of the phrase " in one embodiment " and any other variation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nnected " or " connecting ", and the like, a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clude either direct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or indirect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Also, the singular forms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in the specification as " comprises " or " comprising "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device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state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 스위치입력부
111 : 스위치신호수신부
112 :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
120 : 마우스신호처리부
121 : 동작신호수신부
122 : 클릭신호생성부
130 : 입력신호생성부
140 :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
110: Switch input part
111: Switch signal receiving section
112: Switch input signal output section
120: Mouse signal processor
121: Operation signal receiving section
122: Click signal generating unit
130: input signal generating unit
140: Virtual keyboard signal receiver

Claims (5)

스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른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110);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상기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130);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A switch input unit 110 receiving a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A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and processing the operation signal to generate and output a mouse click signal; And
An input signal generator 13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keyboard input signal and a mouse input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basis of the switch input signal, the mouse click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And an input auxiliary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 및
상기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 수신되는 상기 스위치신호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input unit 110
A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connected to the switch for receiving the switch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for storing the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in advance and outputting the switch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ignal received by the switch signal receiving unit 111;
And an input auxiliary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각각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스위치신호 별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의 변경이 가능한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 input signal output unit 112
Wherein the switch input signal is set by setting the switch input signal for each switch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each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신호화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신호수신부(121); 및
상기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상기 동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의 마우스 클릭 기능을 마우스클릭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릭신호생성부(122);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s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signaling th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And
A click signal generating unit 122 for analyzing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21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mouse click function of the mouse pointer at the 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a mouse click signal;
And an input auxiliary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가상 키보드 프로그램으로부터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상기 가상키보드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트 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rtual keyboard signal receiving unit (140)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 virtual keyboard signal from a virtual keyboard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input signal generator 130 converts the virtual keyboard signal into an HID keyboard signal recognized as a human interface device (HID) key boat signal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s the converted HID keyboard signal.
KR1020150169011A 2015-11-30 2015-11-30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KR101910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en) 2015-11-30 2015-11-30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en) 2015-11-30 2015-11-30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61A true KR20170063061A (en) 2017-06-08
KR101910448B1 KR101910448B1 (en) 2018-10-24

Family

ID=5922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en) 2015-11-30 2015-11-30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298A (en) * 2019-01-18 2020-07-29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Assistive device for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for the disable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101A (en) * 2003-08-11 2005-03-10 Hitachi Keiyo Engineerring & System Ltd Personal computer input device for disabled
KR20080100651A (en) * 2007-05-14 2008-11-19 학교법인 영광학원 Computer control apparatus for the disabled
KR20100023548A (en) * 2008-08-22 2010-03-04 (주)모이텍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JP2011014124A (en) * 2009-06-05 2011-01-20 Mitsutoyo Corp Signal converter, signal processor, and signal conversion and transmission system
KR20110088959A (en) * 2010-01-29 2011-08-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put device of info-communication equipment
KR20140135572A (en) * 2013-05-16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ting device of copmputer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101A (en) * 2003-08-11 2005-03-10 Hitachi Keiyo Engineerring & System Ltd Personal computer input device for disabled
KR20080100651A (en) * 2007-05-14 2008-11-19 학교법인 영광학원 Computer control apparatus for the disabled
KR20100023548A (en) * 2008-08-22 2010-03-04 (주)모이텍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JP2011014124A (en) * 2009-06-05 2011-01-20 Mitsutoyo Corp Signal converter, signal processor, and signal conversion and transmission system
KR20110088959A (en) * 2010-01-29 2011-08-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put device of info-communication equipment
KR20140135572A (en) * 2013-05-16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ting device of copmputer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and system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298A (en) * 2019-01-18 2020-07-29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Assistive device for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for the disab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448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357B2 (en)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87837B1 (en) Inputting device of copmputer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and system thereof
Ang et al. A user-friendly wearable single-channel EO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for cursor control
Majaranta et al. Eye movements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TW2015129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event by voice recognition
KR101910448B1 (en)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Rajanna et al. PressTapFlick: Exploring a gaze and foot-based multimodal approach to gaze typing
Chew et al. Low-cost eye gesture communication system for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Blignaut Development of a gaze-controlled support system for a person in an advanced stage of multiple sclerosis: a case study
Henzen et al. Adaptable virtual keyboard and mouse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Montanini et al. Low complexity head tracking on portable android devices for real time message composition
Chhimpa et al. Development of a real-time eye movement-based computer interface for communication with improved accuracy for disabled people under natural head movements
Battina et al. Innovative study of an AI voice based smart Device to assist deaf people in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their body language
Beelders et al.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gaze and speech for text input
Vasiljevas Development of a concept-based EMG-based speller
Ani et al. Preliminary study of recognizing alphabet letter via hand gesture
Biswas Inclusive Human Machine Interaction for India: A Case Study of Developing Inclusive Applications for the Indian Population
Umapathi et al. Morse Code to Text Converter using Arduino.
Kenttälä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and eye-tracking interface in assistive technology for disabled
KR102483860B1 (en) Cognitive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ing Tactile Display Table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t
Parthasarathy et al. Development of a low-resource wearable continuous gesture-to-speech conversion system
Tanna et al. Smart Hand Gloves
Petrucci et al. WebSound: a generic Web sonification tool allowing HCI researchers to dynamically create new access modalities
Rajan et al. Humorse: smartphone based unified home automation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Li et al. Empowering Autonomy and Agency: Exploring and Augmenting Accessible Cyber-Physic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