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962A -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962A
KR20170062962A KR1020150168800A KR20150168800A KR20170062962A KR 20170062962 A KR20170062962 A KR 20170062962A KR 1020150168800 A KR1020150168800 A KR 1020150168800A KR 20150168800 A KR20150168800 A KR 20150168800A KR 20170062962 A KR20170062962 A KR 20170062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present
feed additive
feed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빈
조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Priority to KR102015016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962A/ko
Publication of KR2017006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3Nucleic acids; Hydrolysis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광합성 세균인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그람음성균인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를 함유하여 소화 촉진 효과, 영양 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Composition of feed additive with probiotics}
본 발명은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50년대 동물 사료에 소량의 항생제를 첨가함으로써 단위 동물의 성장률과 사료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고, 항생제는 사료 첨가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항생제로서 버지니아마이신, 틸로신, 플라보마이신, 아보파르신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가축사료에 대한 항생제의 남용은 최근 언론보도에서 지적할 정도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항생제에 대한 병원성 박테리아의 내성은 사람은 물론 가축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박테리아에 감염된 인축의 치료를 어렵게 만들며, 새로운 종류의 항생제 개발을 필요하게 한다. 여러 전문가들은 각종 항생제에 대한 내성 가속화의 원인으로 동물 사료에서 항생제의 광범위한 사용을 들고 있다. 이에, 스웨덴에서는 동물 사료에서 생육 촉진제로서 모든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시켰고 덴마크에서는 아보파르신과 같은 특정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그 외 나라에서도 소비자와 건강 보호 단체의 압력으로 인해 가축에 있어서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에 맞춰, 사료 산업은 가축의 내병성을 향상시키고, 사료 효율과 생육 촉진 효과를 지닌 천연물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왔다.
한편, 생균제는 오래전부터 장내의 이상 발효, 설사, 소화불량, 변비 등에 효과가 인정되어 인체용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요즘에 와서는 동물의 발육촉진, 설사 치료 등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료 첨가제로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즉, 생균제라 함은 미생물 자체를 가지고 만든 제제로서 동물의 장내에 정주하여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섭취한 사료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주며, 다른 영양소의 합성에 도움을 줌으로써 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 효율을 개선시켜 주는 일종의 기능성 물질이다.
생균제로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락타아제(lactase)와 같은 소화효소를 생산하며, 젖산과 휘발성 지방산 생산을 자극하고,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같은 항미생물 화합물을 생산하며,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수를 증가시키고, 혈청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권오석 외 5인, 사료내 생균제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혈액성상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제29권 제1호, 2002).
한편, 광합성 세균은 자연계의 식물(食物) 순환 회로에서 일군을 이루는 중요한 미생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 같은 오물을 종속 영양세균과 같이 정화하며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유화수소나 질소 화합물 등 작물이나 어류 및 가축에 해로운 물질들을 자신의 먹이로 섭취 제거하면서 탄산가스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행하여 증식한다. 토양에서는 유산균, 방선균 같은 유익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고 수중에서는 클로렐라 같은 녹색미생물의 발생과 증식을 늘리며 자신은 어패류의 먹이 사슬인 동물성 플랑크톤의 먹이로 사용된다. 따라서 광합성 세균은 토양, 논, 호수, 해안, 하수처리장 등 오물이 있는 곳에는 어느 곳이든 존재하며 특히 유기물이 많이 있는 곳에는 다량 존재하고 있다.
광합성 세균은 작물, 가축, 어류의 생육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인 황화수소(H2S), 아질산, 질산, 이산화탄소(CO2), 저급 지방산, 유기산 등을 균체의 영양분으로 흡수하여 증식함으로써 생육환경을 정화하는 생리적인 기능 외에 균 체내에 다량의 단백질과 양질의 아미노산 그리고 비타민, 핵산, 적색 색소와 같은 영양물질, 유비퀴논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가축, 작물, 양어에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611호 (등록일자: 2009.08.17)에는, 물 17 ℓ에 배지 0.5 내지 1.5 ℓ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기수역에서 채취한 기수로부터 분리한 광합성 세균 로도슈도모나스 루티라를 접종 배양하여 조성되며, 상기 물에는 유기화된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혈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어류용 사료 첨가제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3671호 (등록일자: 2007.05.23)에는, 활성탄에 젖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미생물 중 1종 이상을 선택적으로 흡착, 고정화시킨 후 β-1,3-gulcan, 수크로스, 글루탐산 나트륨, 카테킨(Catechin), 유카 추출물로 조성된 안정화제를 미생물이 고정화된 활성탄 표면에 형성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2763호 (공개일자: 2007.04.24)에는, 티아민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염, 티아민 라우릴황산염 및 티아민 염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타민 B1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 사료첨가용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광합성 세균인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와 그람음성균인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을 함유하여 소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합성 세균인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를 함유하여 영양 강화 효과가 우수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형태로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P, 판토텐산, 아미노산 및 콜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형태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유기물의 소화·흡수 촉진, 장내 유익세균 성장 촉진, 장내 유해세균 성장 억제, 장내 유해가스 제거,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5.0~15.0%,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5.0~15.0%, 비타민 B1 0.1~1.0%, 비타민 B2 0.1~1.0%, 비타민 D 0.1~1.0%, 비타민 E 0.1~1.0%, 비타민 P 0.1~1.0%, 판토텐산 0.1~1.0%, 아미노산 0.1~1.0%, 콜린 0.1~1.0% 및 부형제 62.0~89.2%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글로코오즈(Glucose), 수크로오즈(Sucrose)를 포함하는 단당류와 이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는 광합성 세균으로,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면역력 강화능이 뛰어난 카로테노이드 성분과 체색 생성능에 중요한 박테리오클로로필 a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강화능도 우수하다.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는, 바람직하게 5.0~15.0%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5.0% 미만으로 함유되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15.0%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은 그람음성균으로, 다양한 효소 생성능이 우수한 유산균으로서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은, 바람직하게 5.0~15.0%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5.0% 미만으로 함유되면 소화율 향상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15.0%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P, 판토텐산, 아미노산 및 콜린은 사료에 부족할 수 있는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 2형태로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비타민 B1 염산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 핵산, 지방산 및 엽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형태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에너지 신진대사와 신경계 활성화로 영양을 증진키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5.0~15.0%, 비타민 B1 염산염 5.0~15.0%, 필수아미노산 0.1~1.0%, 비타민 C 0.1~1.0%, 비타민 B 복합체 0.1~1.0%, 핵산 0.1~1.0%, 지방산 0.1~1.0%, 엽산 0.1~1.0% 및 부형제 69.0~93.4%로 조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는 광합성 세균으로, 자체 영양 성분이 뛰어나 사료의 영양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면역력 강화능이 뛰어난 카로테노이드 성분과 체색 생성능에 중요한 박테리오클로로필 a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강화능도 우수하다. 상기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는, 바람직하게 5.0~15.0%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5.0% 미만으로 함유되면 영양 강화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15.0%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1 염산염은 에너지대사 및 신경계 활성화를 통해 사료에 영양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1 염산염은, 바람직하게 5.0~15.0%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5.0% 미만으로 함유되면 영양 강화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15.0%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비타민 B1은 쌀겨로부터 추출된 비타민이며, 가장 일찍부터 알려진 비타민의 하나로 녹색식물이나 미생물에 의하여 합성되고, 쌀겨, 배아, 효모 등에 많이 함유되며 동물의 신경에서도 다량 발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 핵산, 지방산 및 엽산은 사료에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수아미노산은, 일 예로 리신(Lysine), 트립토판(Tryptopha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트레오닌(Theronine), 메티오닌(Methionine), 히스티딘(Histidi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 복합체는, 비타민 C를 제외한 수용성 비타민의 총칭이다. 티아민(B1), 리보플래빈(B2), 나이아신(B3, 니코틴산), 피리독신(B6), 판토텐산, 코발라민(B12), 엽산, 비오틴의 8종이 여기에 속한다. 모두가 물질 에너지대사에 관계하는 효소반응의 조효소들이다 (생명과학대사전).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글로코오즈(Glucose), 수크로오즈(Sucrose)를 포함하는 단당류와 이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사료 1 ton 당 180~220 g을 혼합하거나 적당량의 물에 용해하여 사료에 흡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 사료에는 100 g/MP 사료 20 kg, EP 사료에 적용시에는 200 g/EP 사료 20 kg으로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사료 첨가외에도 먹이생물 배양, 수질정화, 활어수송 및 보관, 새우 양식, 어류 양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로렐라 배양 시 100 cc/수량 1톤/일, 로티퍼 배양 시 200 cc/수량 1톤/일, 알테미아 배양 시 150cc/수량 1톤/일 만큼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질 정화 시 100 cc/수량 1톤/주, 활어수송 및 보관 시 10 cc/수량 1톤/회, 새우 양식 시 cc/수량 1톤/주 만큼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P, 판토텐산, 아미노산 및 콜린을 함유하여 소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비타민 B1 염산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 핵산, 지방산 및 엽산을 함유하여 영양 강화 효과가 우수한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계의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대조군, (B)는 실험군의 실험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제조]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10.0 g,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10.0 g, 비타민 B1 0.2 g , 비타민 B2 0.2 g , 비타민 D 0.2 g, 비타민 E 0.2 g, 비타민 P 0.2 g, 판토텐산 0.2 g, 아미노산 0.2 g, 콜린 0.2 g 및 부형제로서 글루코오즈 178.4 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제조]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10.0 g, 비타민 B1 염산염 10.0 g, 필수아미노산 0.2 g, 비타민 C 0.2 g, 비타민 B 복합체 0.2 g, 핵산 0.2 g, 지방산 0.2 g, 엽산 0.2 g과 부형제로서 글루코오즈 178.8 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 실험 방법
동일한 돼지우리에 65 Kg 정도의 비육돈 120마리를 임의로 선택한 후, 60마리씩 두 조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은 다시 20마리씩 세 개의 우리에 나누어 넣은 다음 비육돈들에게 과립사료를 제공하고 자유롭게 먹이를 섭취, 음수하게 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각 우리의 사양관리조건은 동일 (위생, 소독 등 관리 정상적으로 운영)하였다. 실험군에는 배합사료에 1 ton 당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200 g을 추가하여 공급하였고, 대조군에는 배합사료만을 공급하였다. 하루 평균 사료 공급량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원료(%) 대조군 실험군
밀 분쇄물 15 15
옥수수 25 25
콩찌꺼기 9.12 9.12
45.445 45.425
콩기름 2 2
인산수소칼슘 0.26 0.26
석분 1.4 1.4
곰팡이균 흡착제 0.15 0.15
곰팡이 방지제 0.05 0.05
리신 0.2 0.2
식염 0.35 0.35
항산화제 0.025 0.025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 0.02
예비 배합물 1 1
합계 100.000 100.000
(2)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았다.
분류 규모
(마리)
초기
체중
(kg)
마지막
체중
(kg)
평균
증체량/day (g)
평균 사료 섭취량/day (kg)
대조군 60 64.99 82.06b 610b 1.93b
실험군 60 66.15 86.86a 740a 2.18a
(상기 데이터는 평균치 ± 기준치 차이, 그림에서 숫자 위에 대문자는 차이가 뚜렷함을 의미 (P<0.05)하고, 숫자 위 영문이 같은 것은 차이가 뚜렷하지 않음을 의미 (P>0.05)함)
실험결과, 실험군의 사료 섭취량은 대조군보다 12.9% (250 g) 높고, 실험군의 일평균 증체량은 대조군보다 21.3% (130 g)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사료의 섭취율을 증가시키고, 소화율이 우수하여 비육돈의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계 산란율 및 계란 파손율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계 산란율 및 계란 파손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 실험 방법
327일령 산란계 3736마리를 임의로 선택하여 실험군 1660마리, 대조군 2076마리로 나누었다. 실험군에는 기초 일평균 먹이량에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를 40 g/ton으로 첨가시켜 공급하였고, 대조군에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를 공급하지 않았다. 실험군의 일평균 먹이 공급량은 하기 표 3과 같았다.
먹이 공급 후, 실험군을 단위로 매일 산란량과 계란 파손량을 정확하게 체크하고 산란율과 파손율을 계산하였다. 산란량은 암탉이 통계기간 내에 생산한 총수량으로 계산하였고, 산란율 및 계란 파손율의 계산은 하기 수학식 1, 2에 나타내었다.
실험데이터는 SPSS 13.0 통계전용 소프트웨어인 'Independent-Sample-T-Test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평균수치 ± 기준차로 표기하였다. 또한, 다중비교는 LSD법으로 표기하였고, P>0.05: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P<0.05: 차이가 뚜렷하다, P<0.01: 차이가 아주 뚜렷하다를 의미한다.
원료 배합비례(%) 영양지수 영양수준
옥수수 62.5 조단백질(%) 16.73
콩찌꺼기 23.5 조류신진대사에너지(Mcal/kg) 2.75
패분 10.0 칼슘(%) 3.44
본 발명의 영양강화용 사료첨가제 4.0 인(%) 0.41
합계 100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2)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계 산란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산란율과 계란 파손율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류 실험규모(마리) 실험일 산란무게(근) 신란량(개)
실험군 1660 22 4100 32931
대조군 2076 22 5106 40936
분류
산란율 (%) 계란 파손율(%)
실험전 실험후 실험전 실험후
실험군 87.03±4.87a 90.17±1.87a 0.40±0.25A 0.40±0.12A
대조군 90.96±1.27b 89.63±1.71a 0.06±0.11B 0.21±0.14C
(상기 데이터는 평균치 ± 기준치 차이, 그림에서 숫자 위에 대문자는 차이가 뚜렷함을 의미 (P<0.05)하고, 숫자 위 영문이 같은 것은 차이가 뚜렷하지 않음을 의미 (P>0.05)함)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험군의 산란율은 90.17%로 대조군의 89.63%보다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의 산란율은 실험전후 대비 3.48% 증가하였고, P 값은 0.093을 기록하였고, 대조군의 산란율은 실험전후 큰 변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산란계의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대조군, (B)는 실험군의 실험결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계란 파손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험군의 계란 파손율은 실험전후 대비 큰 변화 없음에 반해, 대조군의 계란 파손율은 실험전보다 수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료에 첨가하면 산란율이 증가하고 계란 파손율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P, 판토텐산, 아미노산 및 콜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5.0~15.0%,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5.0~15.0%, 비타민 B1 0.1~1.0%, 비타민 B2 0.1~1.0%, 비타민 D 0.1~1.0%, 비타민 E 0.1~1.0%, 비타민 P 0.1~1.0%, 판토텐산 0.1~1.0%, 아미노산 0.1~1.0%, 콜린 0.1~1.0% 및 부형제 62.0~89.2%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촉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3.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비타민 B1 염산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 핵산, 지방산 및 엽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로도박터 캡슐라투스(Rhodobacter capsulatus) 5.0~15.0%, 비타민 B1 염산염 5.0~15.0%, 필수아미노산 0.1~1.0%, 비타민 C 0.1~1.0%, 비타민 B 복합체 0.1~1.0%, 핵산 0.1~1.0%, 지방산 0.1~1.0%, 엽산 0.1~1.0% 및 부형제 69.0~93.4%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강화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150168800A 2015-11-30 2015-11-30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170062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00A KR20170062962A (ko) 2015-11-30 2015-11-30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00A KR20170062962A (ko) 2015-11-30 2015-11-30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962A true KR20170062962A (ko) 2017-06-08

Family

ID=5922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800A KR20170062962A (ko) 2015-11-30 2015-11-30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18B1 (ko) * 2019-10-29 2020-09-29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18B1 (ko) * 2019-10-29 2020-09-29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4550B (zh) 一种保育猪浓缩饲料
Soltan et al. Effect of probiotics and some spices as feed additives on the performance and behaviour of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CN103250879B (zh) 一种用于调节仔猪肠道发育的配合饲料及应用
Skoufos et al. Effects of oregano essential oil and attapulgite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ota and morphometry in broilers
CN113812528A (zh) 一种改善畜禽肠道健康的植物提取物添加剂
WO2017147130A2 (en) Direct fed microbial for prevention of shrimp disease
KR101420974B1 (ko) 가축용 사료첨가제
KR100857771B1 (ko)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를 포함하는 어류사료첨가용조성물
CN108142688B (zh) 一种不含氧化锌的保育料
Tabrizi et al. Study of the effect of prebiotic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cidifier on growth parameters in grower's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dipu et al. Growth performance of Litopenaeus vannamei grown in biofloc system produced from different carbohydrate sources.
Karimzadeh et al. Effect of canola peptides, antibiotic, probiotic and prebiotic on performance, digestive enzymes activity and some ileal aerobic bacteria in broiler chicks
Hu et al. Effects of Cu2+‐exchanged montmorillonite on intestinal microflora, digestibilit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Nile tilapia
KR20170062962A (ko) 생균제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Abdelhamid et al.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levels of some dietary biological additives on: I-growth performance and production economy of Nile tilapia fish
CN114982874A (zh) 一种改善肉鸡肠道健康的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13841813A (zh) CpG ODN在促进凡纳滨对虾对虾生长和改善肠道菌群中的应用
CN103250880B (zh) 一种海藻糖—蒙脱石纳米复合物作为饲料添加剂的新应用
CN112136970A (zh) 一种仔猪保育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Murtadha et al. Studying the adding of sheep and cows rumen liquid to drinking water as a probiotic and its effect on productive traits and economic indicator of meat broiler
CN110179006A (zh) 禽用降污保健促长饲料添加剂及其工艺方法
Sulaiman et al. Effect of acetic acid added to drinking water of two broiler strains on performance and small intestine histological
WO2019040266A1 (en) MICROBIENT AGENTS DIRECTLY FEED TO IMPROVE THE GENERAL CONDITION AND HEALTH OF FISH
RU2538379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и сохранности поросят после отъема
CN110803778B (zh) 一种产絮凝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