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793A - 독서대 겸용 책상 - Google Patents

독서대 겸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793A
KR20170062793A KR1020150168413A KR20150168413A KR20170062793A KR 20170062793 A KR20170062793 A KR 20170062793A KR 1020150168413 A KR1020150168413 A KR 1020150168413A KR 20150168413 A KR20150168413 A KR 20150168413A KR 20170062793 A KR20170062793 A KR 2017006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reading
coupling
suppo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소현
김해린
Original Assignee
안소현
김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소현, 김해린 filed Critical 안소현
Priority to KR102015016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793A/ko
Publication of KR2017006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책상에 있어서, 전면 측면 중앙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된 책상; 독서대;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독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로 구성되되,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의 상부면에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홈이 있으며,상기 독서대는 상기 책상의 지지홈과 결합하여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있고,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돌출된 책상의 양쪽 측면에 제1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는 독서대 양쪽측면에 제2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있도록 연결부위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 겸용 책상{The Desk With Lectern}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대가 책상에 결합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 이동변경이 되어서 책상위에 독서대를 설치할 수 있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대부분의 책상은 책상판이 수평을 유지하여 시선이 책 페이지면에 경사지게 주시되므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할 경우 신체나 눈의 피로가 가중되어 학습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대부분이 책상판에 책을 그냥 펼치고 근거리에서 머리를 숙인 상태로 책을 보기 때문에 장시간 독서하면 목이 아프고 장기간에 걸쳐서는 시력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세교정 및 시력보호를 위해서는 독서대를 책상에 올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독서대를 구비 설치하여야 한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1-0073594호는 책상판 아래에 독서대의 수납함을 형성 내장하여 필요에 의해 개방사용하는 것으로 책상에 독서대 수납공간이 별도로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서대가 결합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에 설치된 독서대가 공간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책상에 있어서, 전면 측면 중앙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된 책상; 독서대;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독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로 구성되되,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의 상부면에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홈이 있으며,상기 독서대는 상기 책상의 지지홈과 결합하여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있고,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돌출된 책상의 양쪽 측면에 제1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는 독서대 양쪽측면에 제2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있도록 연결부위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는 독서대 뒷면에 결합되어 있고 한 쪽 부분을 상기 독서대에서 이격시켜서 상기 책상의 지지홈에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홈의 위치에 따라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회전부는 상기 연결장치를 상기 독서대와 상기 책상에 연결시키고 연결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장치의 제1,2 연결부 말단에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책상 및 독서대와 결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가 제1연결부 안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어 연결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는 제2연결부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관통구조이며, 상기 관통구조 상하에 한쌍의 구성된 반원모양의 결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 내부로 관통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의 결합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의 결합구가 있고, 상기 결합구는 하부에 탄성부재가 결합구를 외부로 밀어올릴 수 있어 결합홈과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홈과 결합구는 반원형상의 특징이 있어 상기 제1,2연결부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었을 경우 상기 결합구가 결합홈에서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독서대가 책상에 결합이 되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 외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책상사용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독서대 겸용 책상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독서대 겸용 책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책상과 독서대의 연결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독서대가 책상에 설치된 상태 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독서대 겸용 책상(1)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독서대 겸용 책상(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책상(1)으로 전면 측면 중앙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된 책상(100); 독서대(200);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독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300)로 구성된다.
기존의 분리된 독서대는 사용자가 책상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면, 책상에 매립된 독서대는 매립된 공간이 책상에 존재하여야 하며 책상에 설치할 경우 책상공간을 차지하여 실제 책상 이용공간이 줄어든다. 본 발명은 책상에서 돌출된 부분에 독서대(200)를 책상에서 매립된 상태가 아닌 책상 아래에서 책상으로 이동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결과 책상의 공간이용에 유리한 점이 있다.
이런 공간적인 이득을 위해서 본 발명은 책상의 일부분이 돌출된 공간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의 상부면에 독서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홈(110)이 있다. 상기 독서대는 상기 책상의 지지홈(110)과 결합하여 독서대(200)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210)가 있다.
상기 받침대(210)는 독서대 뒷면에 결합되어 있고 한쪽 부분을 상기 독서대(200)에서 이격시켜서 상기 책상의 지지홈(110)에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홈(110)의 위치에 따라 독서대(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귿자 모양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말단부가 독서대(200) 뒷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독서대에서 이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책상(100)과 독서대(20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300)가 있고, 상기 연결장치(300)는 제1,2연결부(310,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10)는 상기 돌출된 책상의 양쪽 측면에 제1회전부(311)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320)는 독서대 양쪽측면에 제2회전부(321)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있도록 연결부위에 구멍이 뚫려있다.
상기 제1,2회전부(311,321)는 상기 연결장치(300)를 상기 독서대(200)와 상기 책상(100)에 연결시키고 연결장치(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장치의 제1,2 연결부(310,320) 말단에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책상 및 독서대와 결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부(311,321)는 나사못을 사용하여 제1,2연결부(310,320)에 뚫려있는 구멍을 관통해서 책상 및 독서대에 결합되므로 결합과 동시에 상기 제1,2연결부(310,320)가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310,3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320)가 제1연결부(310) 안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어 연결장치(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310)는 제2연결부(320)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관통구조이며, 상기 관통구조 상하에 한 쌍의 구성된 반원모양의 결합홈(313)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제1연결부(310) 내부로 관통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310)의 결합홈(313)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의 결합구(323)가 있고, 상기 결합구(323)는 하부에 탄성부재(325)가 결합구(323)를 외부로 밀어올릴 수 있어 결합홈(313)과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연결장치(300)는 책상(100)과 독서대(2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여 독서대(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책상에 밀착시켜 도 1처럼 보관을 하기 위해 최대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독서대(200)를 사용시에는 독서대(200)를 책상돌출부분위에 올리기 위해서 제1연결부(310)를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때 제1회전부(311)의 회전기능으로 올릴 수 있다. 이때 독서대(200)는 책상에 밀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어려우므로 연결장치(300)의 연장이 필요하다.
도4는 독서대를 책상에 설치한 도면으로 연장된 연결장치(300)로 독서대를 책상(100) 위로 이동시킨 후 독서대(200)를 책상에 비스듬히 기울여 지지홈(110)과 받침대(210)로 각도조절을 하여야 한다. 이때는 연장된 연결장치(300)를 다시 줄여야 한다.
따라서 독서대의 설치 및 보관을 위해 연결장치(300)의 연장과 축소기능은 도 3과 같이 제2연결부(320)의 반원구모양의 결합구(323)가 제1연결부(310)의 결합홈(313)과 외부힘으로 탈착이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323) 아래 결합구를 밀어올리는 탄성부재(325)가 있고 결합구(323)가 결합홈(313)에 위치할경우 탄성부재(325)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장치(300)를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제1연결부(310) 또는 제2연결부(320)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323)가 반원모양으로 횡축의 힘으로 인해 아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독서대 겸용 책상 100: 책상
110: 지지홈 200: 독서대
210: 받침대 300: 연결장치
310: 제1연결부 311: 제1회전부
313: 결합홈 320: 제2연결부
321: 제2회전부 323: 결합구
325: 탄성부재

Claims (5)

  1. 독서대 겸용 책상에 있어서,
    전면 측면 중앙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된 책상; 독서대;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독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책상의 돌출된 부분의 상부면에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홈이 있으며,
    상기 독서대는 상기 책상의 지지홈과 결합하여 독서대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있고,
    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돌출된 책상의 양쪽 측면에 제1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는 독서대 양쪽측면에 제2회전부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있도록 연결부위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독서대 뒷면에 결합되어 있고 한 쪽 부분을 상기 독서대에서 이격시켜서 상기 책상의 지지홈에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홈의 위치에 따라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부는 상기 연결장치를 상기 독서대와 상기 책상에 연결시키고 연결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장치의 제1,2 연결부 말단에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책상 및 독서대와 결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1,2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가 제1연결부 안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어 연결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는 제2연결부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관통구조이며, 상기 관통구조 상하에 한쌍의 구성된 반원모양의 결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 내부로 관통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의 결합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의 결합구가 있고, 상기 결합구는 하부에 탄성부재가 결합구를 외부로 밀어올릴 수 있어 결합홈과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결합구는 반원형상의 특징이 있어 상기 제1,2연결부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었을 경우 상기 결합구가 결합홈에서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는 독서대 겸용 책상.
KR1020150168413A 2015-11-30 2015-11-30 독서대 겸용 책상 KR2017006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13A KR20170062793A (ko) 2015-11-30 2015-11-30 독서대 겸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13A KR20170062793A (ko) 2015-11-30 2015-11-30 독서대 겸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793A true KR20170062793A (ko) 2017-06-08

Family

ID=5922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413A KR20170062793A (ko) 2015-11-30 2015-11-30 독서대 겸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60A (ko) 2017-11-08 2019-05-16 이예린 독서대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60A (ko) 2017-11-08 2019-05-16 이예린 독서대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7056B2 (ja) 携帯式情報表示装置の高さ調整装置
USD911091S1 (en) Barbecue grill
CN204157950U (zh) 多功能阅读架
CN203731041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US11490738B2 (en) Electrical bed
JP5806720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CN105722423A (zh) 用于培训辅助器具的旋转底座
KR101383647B1 (ko) 독서대
CN105164604B (zh) 具有可延展显示屏的笔记本电脑
KR200473560Y1 (ko) 책상의 보조 테이블 회전용 조립체
KR200477599Y1 (ko) 독서대
KR20170062793A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CN104970547A (zh) 一种靠墙的床边多功能组合桌
CN204970037U (zh) 一种靠墙的床边多功能组合桌
CN209528503U (zh) 一种自动回位座椅
KR101532884B1 (ko) 독서대
USD559580S1 (en) Pedestal desk
CN210025057U (zh) 一种座钟机芯固定架
CN208871273U (zh) 显示器支臂及显示器支撑座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CN107734414B (zh) 一种头戴耳机
KR200191525Y1 (ko) 독서대
KR200497771Y1 (ko) 독서대용 책걸림대
WO2007035032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lcd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