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622A -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622A
KR20170062622A KR1020150167629A KR20150167629A KR20170062622A KR 20170062622 A KR20170062622 A KR 20170062622A KR 1020150167629 A KR1020150167629 A KR 1020150167629A KR 20150167629 A KR20150167629 A KR 20150167629A KR 20170062622 A KR20170062622 A KR 2017006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ignal
unit
sensor
mai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584B1 (ko
Inventor
김탁용
오용철
정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암전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암전기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암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5016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은,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연산을 통해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신호 여부를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인 시스템부; 및 메인 시스템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관련 데이터 및 메인 시스템부의 분석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부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고, 메인 시스템부에 의해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설비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Distribution panel boar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분배전반 내부에 자외선 및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 분배전반 내부 접점에서 발생하는 아크및 열발생에 따른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아크 및 열발생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배전반, 또는 수/배전반은 발전소나 변전소 등으로부터 송전되는 고압의 전력을 적당한 저압의 전력으로 변환한 후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게 되며, 내부에는 각종 개폐기, 계전기, 안전장치 등이 설치되어 전선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수행하게 된다.
도 1의 (A)∼(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비사고 중 수배전용 개폐기 및 컷아웃 스위치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 종래의 분배전반 진단 방식은 비정기적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분진, 습기 등으로 인한 폐쇄 분배전반 내부의 아크 및 화재 발생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2313호(특허문헌 1)에는 각각 통신부를 구비하고 기능별 모듈추가에 의한 확장이 가능한 복수의 하위 모듈과; 하위 모듈의 통신 부와 통신을 위한 하위 통신부와, 상위 감시반과의 통신을 위한 상위 통신부와, 계측된 전력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근거로 전력을 연산하고 누적하여 전력량을 적산하는 계량부를 갖는 디지털 파워 미터; 및 상기 하위 모듈의 통신부와 상기 디지털 파워 미터의 하위 통신부를 통신 접속하며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 기반으로 운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배전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는 기능적 중복을 최소화한 최적화 구성을 통해서 경제적이고 소형화할 수 있는 배전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기는 하나,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 발생에 대한 상시적 감시 수단이 없어 아크 및 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4548호(특허문헌 2)에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원이 분기되어 각각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누전을 감지하고, 전원을 사용하는 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상태(과부하)를 표시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인입되는 전원선을 분기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의 차단원인, 차단시간, 오동작, 부동작을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변류기를 통해 절연저항 값을 측정하는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 분전반과; 분전반에 설치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화재의 발화시점을 감식할 수 있는 온도센서와; 화재가 발생된 현장의 소리를 받아들여 이를 사용자, 감시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와; 분전반의 제어수단에 의해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통해 현재 부하, 누전, 절연저항, 온도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모니터에 표현하는 원격감시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2의 경우는 분전반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전기상태(과부하, 누전)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하고, 누전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마찬가지로 분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 발생에 대한 상시적 감시 수단이 없어 아크 및 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2313호(2014.02.24.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4548호(2003.08.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분배전반 내부에 자외선 및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 분배전반 내부 접점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 발생에 따른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아크 및 열 발생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은,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연산을 통해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신호 여부를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인 시스템부; 및
상기 메인 시스템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시스템부의 분석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감지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부에 의해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시스템부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분배전반 내부의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 검출부는,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분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전 펄스)를 검출하는 아크 센서와;
상기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아크 신호 카운터와;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방전 펄스) 발생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처리부; 및
상기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에 대해 주파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 센서와 아크 신호 카운터 사이에는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를 입력받아 아크 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잡음(noise)을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센서의 구동을 위해 아크 센서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펄스 구동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 사이에는 아날로그 필터로부터 출력된 아크 신호를 입력받아 정형화하여 출력하는 정형회로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형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정현파 신호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펄스폭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형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임시로 저장한 후, 그 정현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와 상기 경보신호 처리부 사이에는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 신호(방전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자기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부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고, 메인 시스템부에 의해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설비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배전반 및 개폐기에서 발생한 화재 및 기타 사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의 감지부의 아크 검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분배전반의 전면 도어 및 내부에 각각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UV 센서 및 IR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설비 감시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열화상(이미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열화상(이미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감지부의 아크 검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200)은 감지부(201), 메인 시스템부(202), 디스플레이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201)는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센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ultraviolet) 센서(401) 및 IR(infrared) 센서(402)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감지부(201)는 상기 UV 센서(401)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의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210)와, 상기 IR 센서(402)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검출부(230)를 구성하는 IR 센서(4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 내부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감지부(201)는 UV 센서(401)에 의해 검출된 아크 신호와 IR 센서(402)에 의해 검출된 열에 의한 적외선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메인 시스템부(202)로 전송한다.
메인 시스템부(202)는 상기 감지부(201)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연산을 통해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신호 여부를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메인 시스템부(202)는 감지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아크 및 트랙킹(tracking) 신호의 피크(peak) 값, 피크 주파수, 첨도, 왜도, 지속시간 등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신호의 속성을 알아내기 위해 소정 시간 주기(예컨대, 10ms의 주기)로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등을 산출하여 기준 신호를 초과하는 위험 신호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며, 적외선 신호에 대해서는 주변온도와 검출지점의 온도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온도 차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또한, 메인 시스템부(202)는 감지부(20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일정 기간 저장하여 사고 발생 및 위험 신호 발생시 데이터 추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03)는 상기 메인 시스템부(202)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감지부(201)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시스템부(202)의 분석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의 전면 도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IR 센서(예컨대, 열화상 센서)에 의한 내부 색분포 및 아크 발생에 대한 위험 신호를 표시해 준다. 또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3)로는 LCD, LED, PD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200)은 상기 메인 시스템부(202)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200)은상기 감지부(201)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부(202)에 의해 감지부(201)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감지부(201)의 아크 검출부(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아크 검출부(210)는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분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전 펄스)를 검출하는 아크 센서(212)(이는 도 4에 도시된 UV 센서(401)에 해당함)와, 아크 센서(212)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아크 신호 카운터(215)와, 아크 신호 카운터(215)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방전 펄스) 발생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처리부(217) 및 상기 아크 센서(212)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에 대해 주파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Digital Signal Processor; DSP)(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 센서(212)와 아크 신호 카운터(215) 사이에는 아크 센서(212)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를 입력받아 아크 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잡음(noise)을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2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센서(212)의 구동을 위해 아크 센서(212)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펄스 구동회로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필터(213)와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215) 사이에는 아날로그 필터(213)로부터 출력된 아크 신호를 입력받아 정형화하여 출력하는 정형회로부(2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형회로부(214)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20)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214)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정현파 신호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20)로 출력하는 펄스폭 변환기(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형회로부(214)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20)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214)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임시로 저장한 후, 그 정현파 신호를 순차적으로(예컨대, FIFO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20)로 출력하는 버퍼(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215)와 상기 경보신호 처리부(217) 사이에는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215)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 신호(방전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2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자기 진단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아크 검출부(210)에 있어서, 아크 센서(212)로부터 검출된 아크 신호(방전 펄스)는 아날로그 필터(213)를 통해 형광등이나 주광 등에 의한 잡음 요소가 제거되고, 정형회로부(214)에 의해 아크 신호에 대한 정현파 신호를 검출(생성)한다. 아크신호 카운터(215)는 검출된 정현파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신호보다 큰 아크 신호에 대해서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기준값 이상의 이상펄스가 발생하면 경보 신호 처리부(217)를 통해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감독자(설비 관리자) 등에게 알려주게 된다.
디지털 신호처리기(220)에서는 아크 신호에 대한 정현파 신호에 대해서 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및 크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험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험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도 5는 종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설비 감시 시스템에 의해검출된 열화상(이미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 열화상 카메라는 일정거리 이격 후 측정(촬영)해야 하므로, (A)와 같이 변전 설비함의 뚜껑을 열어놓은 후 원거리에서 측정했다. 그러나 분전함 상시 점검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측정해야 하므로 검출 영역이 (B)와 같이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열화상(이미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서는 위에서와 같은 종래 전기설비 감시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 내부에 열화상 센서(IR 센서(402))를 다수개 설치하고, 도 6의 (A)와 같이 그 다수의 열화상 센서(IR 센서(402)) 각각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를 상기 메인 시스템부(202)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도 6의 (B)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실제로 원거리에서 측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은 감지부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고, 메인 시스템부에 의해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 설비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감지부 202: 메인 시스템부
203: 디스플레이부 204: 통신부
210: 아크 검출부 230: 적외선 검출부
211: 고압펄스 구동회로부 212: 아크 센서
213: 아날로그 필터 214: 정형회로부
215: 아크 신호 카운터 216: 데이터 래치부
217: 경보신호 처리부 218: 펄스폭 변환기
219: 버퍼 220: 디지털 신호 처리기
221: 자기 진단부 401: UV 센서
402: IR 센서

Claims (12)

  1.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상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연산을 통해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신호 여부를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인 시스템부; 및
    상기 메인 시스템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시스템부의 분석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열에 의한 적외선을 감지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부에 의해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기 설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부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분배전반 내부의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분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로 구성된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검출부는,
    분배전반 내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분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전 펄스)를 검출하는 아크 센서와;
    상기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아크 신호 카운터와;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방전 펄스) 발생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처리부; 및
    상기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에 대해 주파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센서와 아크 신호 카운터 사이에는 아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아크(방전 펄스)를 입력받아 아크 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잡음(noise)을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가 더 설치된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센서의 구동을 위해 아크 센서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펄스 구동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 사이에는 아날로그 필터로부터 출력된 아크 신호를 입력받아 정형화하여 출력하는 정형회로부가 더 설치된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정현파 신호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펄스폭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사이에는 상기 정형회로부에 의해 정형화된 아크 신호(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임시로 저장한 후, 상기 정현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와 상기 경보신호 처리부 사이에는 상기 아크 신호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아크 신호(방전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자기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전반 내부에 IR 센서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IR 센서 각각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를 상기 메인 시스템부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0150167629A 2015-11-27 2015-11-27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181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29A KR101810584B1 (ko) 2015-11-27 2015-11-27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29A KR101810584B1 (ko) 2015-11-27 2015-11-27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22A true KR20170062622A (ko) 2017-06-08
KR101810584B1 KR101810584B1 (ko) 2017-12-21

Family

ID=592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629A KR101810584B1 (ko) 2015-11-27 2015-11-27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365B1 (ko) 2021-10-25 2023-11-10 주식회사 정우계전 인공지능 기반의 수배전반 내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96898B1 (ko) 2021-11-02 2023-11-02 주식회사 정우계전 아크 발생 위치 식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79B1 (ko) * 2009-12-23 2010-10-0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584B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219B1 (ko) 배전함의 감시 시스템
KR101457880B1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0984679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KR101643701B1 (ko) 수배전 전력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블랙박스 시스템
CA2736137C (en) Validation of arc flash detection systems
KR100804128B1 (ko) 배전반의 비접촉 열화감지시스템
ES2908881T3 (es) Dispositivo de control y protección eléctrica
KR101184372B1 (ko) 배전반 제어시스템
KR101194021B1 (ko)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101262907B1 (ko)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784710B1 (ko) 화재 예방 감지 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520758B1 (ko) 온도와 통전전류 분석방식의 이상 진단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101917664B1 (ko) 아크 종류 및 위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시스템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CN107078475B (zh) 空气绝缘中压开关柜以及用于空气绝缘中压开关柜的探针系统
KR101617117B1 (ko)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 시험 시스템
KR101810584B1 (ko)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932260B1 (ko) 감지센서와 컨트롤러를 이용한 절연파괴 상시감지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JP6509029B2 (ja) 分電盤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N109342904A (zh) 一种电弧故障检测和预警的方法及装置
KR101180010B1 (ko) 자외선 센서와 전자파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절연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