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203A -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203A
KR20170062203A KR1020150167723A KR20150167723A KR20170062203A KR 20170062203 A KR20170062203 A KR 20170062203A KR 1020150167723 A KR1020150167723 A KR 1020150167723A KR 20150167723 A KR20150167723 A KR 20150167723A KR 20170062203 A KR20170062203 A KR 2017006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ousing
drones
controller
infla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브이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드론 filed Critical (주)브이드론
Priority to KR102015016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203A/ko
Publication of KR2017006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2700/6265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의 비상 착륙 시 작동되어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드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는 비행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과, 컨트롤러와 연결되도록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컨트롤 유닛과,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모듈 하우징 안에 접혀져 있다가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모듈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컨트롤 유닛은 컨트롤러로부터의 비상 착륙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의 비상 착륙 시 에어백이 전개되어 충돌로부터 드론, 인명, 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SAFETY LANDING APPARATUS FOR DRONES}
본 발명은 드론(Dro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비상 착륙 시 작동되어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드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한다. 최근 드론은 정찰, 공격 등의 군사적 용도 이외에 영상 촬영, 무인 택배 서비스, 재해 관측 등 다양한 민간·상업 분야에도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민간·상업용 드론은 각종 규제와 인증, 법제도 등의 기반 구축이 미흡하여 제한적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고, 드론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잠재적인 위험이나 공공에 가할 수 있는 위험을 깨닫기도 어렵다. 특히, 드론의 무분별한 이용으로 충돌사고, 보안 지역의 비행,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 등의 발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많은 국가들이 드론의 운영과 관련하여 새로운 규정, 표준, 정책 및 절차 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초경량 비행장치에 대해 소유자가 국토교통부에 신고하게 되어 있으나, 12kg이하 비사업용 드론은 예외로 두고 있다. 또한, 고도 150m 이하로 서울 대부분 지역, 휴전선 인근 등의 비행금지구역과 비행제한구역 이외의 지역에서 비행할 수 있으며, 비행금지구역이나 제한구역이라도 사전에 승인받은 경우 비행이 가능하다. 미국은 1kg 이상의 드론 등록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드론을 위험(Risk)에 근거하여 저위험군(Open category), 중위험군(Specific category), 고위험군(Certified category)의 3개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
한편, 드론의 추락 및 충돌 시 재산상의 손실은 물론이고, 최악의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드론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행 중 드론을 어느 때라도 이륙 지점으로 귀환시키는 자동 귀환 기능이나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비행을 하는 자율 비행 기능 등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8495호 "회전익 드론 안전착륙팩"과 한국 등록특허 제10-1496892호 "멀티콥터 드론"은 드론의 이상이나 추락을 감지하여 낙하산을 작동시켜 드론의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의 이상, 돌풍, 주파수 간섭 등에 의해 드론의 제어가 불가능해져 추락 및 구조물과의 충돌 발생 시 드론 및 구조물 파손, 인명의 피해를 줄이는데 미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드론의 추락 및 구조물과의 충돌 시 충격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는, 비행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과; 컨트롤러와 연결되도록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컨트롤 유닛과;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모듈 하우징 안에 접혀져 있다가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모듈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컨트롤 유닛은 컨트롤러로부터의 비상 착륙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에 있어서, 모듈 하우징은 비행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속되는 파스너를 구비한다.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개 시 비행체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닥 보호 부분과, 바닥 보호 부분의 윗면에 연결되어 있고, 전개 시 바닥 보호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비행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보호 부분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는, 드론의 비상 착륙 시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의 에어백이 전개되어 충돌로부터 드론, 인명, 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드론의 측방에 전개되는 측면 보호 부분들에 의해 드론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에서 에어백이 드론에 전개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에서 에어백이 전개되기 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에서 에어백이 모듈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에서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안전 착륙 장치(10)가 적용되어 있는 드론(2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드론(20)은 비행을 위한 하드웨어 요소로 비행체(22), 컨트롤러(Controller: 24) 또는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 항법장비, 송수신기, 다양한 센서(26)들 등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성되어 있다. 비행체(22)는 배터리와 전기모터에 의해 프로펠러(Propeller)를 회전시켜 비행하게 된다. 또한, 드론(20)은 소프트웨어 요소로는 지상통제장치, 임무탑재체, 데이터링크, 이착륙장치, 지상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드론(20)의 비행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26)들은 컨트롤러(24)와 연결되도록 비행체(22)에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26a), 고도센서(Altitude sensor: 26b), 지피에스센서(GPS sensor, 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26c), 가시광선 및 적외선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임무탑재체는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30), 촬영용 사진기 등의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30)는 비행체(22)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랜딩기어(Landing gear: 32)로 한 쌍의 랜딩스키드(Landing skid: 34) 또는 랜딩레그(Landing leg)가 비행체(22)의 하부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드론(20)은 드론 조정기(40)와의 롱텀에볼루션 네트워크(LTE network, Long term evolution network)를 통한 LTE 통신에 의해 원격제어된다. 드론(20)과 드론 조정기(40) 각각은 LTE 네트워크를 위한 LTE 모듈(LTE module: 36, 42) 또는 LTE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비한다. 드론(20)과 드론 조정기(40) 각각은 블루투스 네트워크(Bluetooth network)를 위한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구비한다. 드론(20)은 드론 조정기(40)와의 와이파이네트워크(Wi-Fi network, Wireless fidelity network)를 통한 Wi-Fi 통신에 의해 원격제어될 수도 있다. 드론(20)은 이동통신 단말기(50),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스마트폰(52),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원격조정되기도 한다.
도 1,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10)는 드론(20)의 비행체(22)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10)는 드론(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듈 하우징(Module housing: 60)을 구비한다. 모듈 하우징(60)은 아랫면이 트인 수납공간(62)을 가지며, 파스너(Fastener)로 벨트-버클 어셈블리(Belt-buckle assembly: 64)에 의해 비행체(22)의 하부나 랜딩기어(32)에 결속시킬 수 있다. 벨트-버클 어셈블리(64)의 벨트(64a) 또는 밴드(Band)는 버클(64b)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64a)는 벨크로(Velcro, 상품명)에 의해 결속될 수도 있다. 패드 커버(Pad cover: 70)가 수납공간(62)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패드 커버(70)는 우레탄(Urethane)을 소재로 제조되어 있다. 입구(72)가 외력, 즉 가스의 공급에 의한 에어백(100)의 팽창력에 의해 갈라져 확장될 수 있도록 패드 커버(7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커버(70)는 액추에이터(Actuator)의 작동에 의해 힌지(Hinge)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도어형(Door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착륙 장치(10)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80), 인플레이터(Inflator: 90)와 에어백(Airbag: 100)을 구비한다. 컨트롤 유닛(80)은 컨트롤러(24), 인플레이터(90)와 연결되도록 모듈 하우징(60)에 장착되어 있으며, 컨트롤러(24)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인플레이터(90)의 작동을 제어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 유닛(80)은 LTE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의해 컨트롤러(24)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론(20)의 비상 착륙을 경보하기 위하여 음향 출력 유닛(Sound output unit)으로 스피커(Speaker: 82)와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84)가 컨트롤 유닛(80)에 연결되어 있다. 스피커(82)와 LED 인디케이터(84) 각각은 모듈 하우징(60)의 외면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80)은 프로그램 메모리에 의해 스피커(82)의 작동을 제어하여 비상 착륙에 대한 메시지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 드론(20) 주위의 사람들에게 알려주게 된다. 음향 출력 유닛은 버저(Buzz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컨트롤 유닛(80)은 프로그램 메모리에 의해 LED 인디케이터(84)의 점멸을 제어하여 드론(20)의 비상 착륙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인플레이터(90), 즉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는 모듈 하우징(60)에 장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90)는 아르곤(Ar), 헬륨(He) 등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튜브 형태의 하우징(Housing: 92)과 착화기(Initiator: 94)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식(Hybrid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92)의 선단에 디퓨저 노즐(Diffuser nozzle: 92a)이 형성되어 있다. 착화기(94)는 하우징(92)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컨트롤 유닛(8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화되어 인접한 점화약(Booster)과 가스발생제(Propellant)를 순차적으로 발화시킴으로써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하우징(92)에 충전되어 있던 가스가 디퓨저 노즐(92)을 통해 배출되어 에어백(100)에 공급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인플레이터(90)는 착화기의 점화에 의해 점화약과 가스발생제를 순차적으로 발화시켜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 예를 들면 질소가스(Nitrogen gas)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화약식(Pyro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100)은 모듈 하우징(60)의 수납공간(62)에 접혀져 수용되어 있다. 에어백(100)은 인플레이터(90)의 작동에 의한 가스의 공급에 의해 수납공간(62) 밖으로 전개된다. 비행체(22)의 하부에 전개되는 바닥 보호 부분(Bottom protection portion: 102)과 비행체(22)의 측면에 전개되는 복수의 측면 보호 부분(Side protection portion: 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보호 부분(102)은 하우징(92)의 디퓨저 노즐(92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개 시 비행체(22)의 하방에 배치되어 비행체(22)의 하부를 보호하게 된다. 바닥 보호 부분(102)은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측면 보호 부분(104)들 각각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살(Spoke)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보호 부분(102)은 파이프라인(Pipeline) 또는 가스 통로(Gas passage)와 퀵커플링(Quick coupling), 피팅(Fitting) 등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보호 부분(104)은 바닥 보호 부분(102)의 윗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측면 보호 부분(104)들 각각은 전개 시 바닥 보호 부분(102)의 윗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비행체(22)의 측방에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4에 네 개의 측면 보호 부분(104)이 비행체(22)의 사방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측면 보호 부분(104)들의 개수 및 위치는 비행체(22)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에 있어서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에어백(110)은 바닥 보호 부분(112)과 여섯 개의 측면 보호 부분(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보호 부분(112)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12a)을 갖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보호 부분(112)은 링, 바퀴살 형태 이외에도 드론(20)의 형태에 맞도록 평판형, 원형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측면 보호 부분(114)은 링 형태의 바닥 보호 부분(112)의 윗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비행체(22)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전개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에 의한 착륙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듈 하우징(60)이 비행체(22)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드론(20)의 비행체(22)나 랜딩기어(32)에 벨트-버클 어셈블리(66)를 묶어안전 착륙 장치(10)를 설치한다. 사용자는 안전 착륙 장치(10)의 작동이 가능하게 위해 드론 조정기(40) 또는 스마트폰(52)을 통해 컨트롤러(24)와 컨트롤 유닛(80)을 동기화시킨다(S100). 컨트롤러(24)와 컨트롤 유닛(80)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컨트롤 유닛(80)은 컨트롤러(2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착화기(9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비행안전구역에서 드론 조정기(40) 또는 스마트폰(52)에 의해 드론(20)의 비행을 제어한다(S102). 드론(20)의 비행 중 드론(20)의 이상, 비행안전구역의 이탈, 비행금지구역이나 제한구역의 비행, 기상 악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드론(20)을 비상 착륙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드론(20)의 이상이 발생되어 추락하는 경우에도 드론(20)의 비상 착륙을 시도해야 한다.
계속해서, 드론(20)의 비행 정보는 자이로센서(26), 고도센서(28), 지피에스센서(30) 등의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어 컨트롤러(24)에 입력된다(S104). 사용자는 드론(20)의 비행 중 드론(20)의 이상이 발생된 경우, 드론 조정기(40)를 조정하거나(S106) 스마트폰(52)을 조정하여(S108) 비상 착륙 신호를 컨트롤러(24)에 입력한다(S110).
컨트롤러(24)는 센서(26)들, 드론 조정기(40) 또는 스마트폰(5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2). 컨트롤러(24)는 자이로센서(26)로부터 입력되는 드론(20)의 방위를 처리하여 드론(20)이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면,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컨트롤러(24)는 고도센서(28)로부터 입력되는 드론(20)의 고도를 처리하여 드론(20)의 고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 드론(20)의 비행에 이상, 즉 드론(20)이 추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컨트롤러(24)는 GPS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드론(20)의 위치를 처리하여 드론(20)이 위치가 비행안전구역을 이탈하거나 비행금지구역을 비행하는 경우,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컨트롤러(24)는 드론 조정기(40) 또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비상 착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드론(20)의 비행은 드론 조정기(40)에 의한 조정 이외에 항공관제시스템이나 지상관제시스템을 통해 관제될 수 있다. 항공관제시스템은 드론(20)의 비행을 GPS,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추적하고, 드론(20)이 비행금지구역이나 제한구역을 비행하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드론(20)의 비행을 제어하여 안전한 장소에 강제 착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4)는 항공관제시스템을 통해 강제 착륙 신호가 입력되면, 강제 착륙 신호를 비상 착륙 신호로 갈음하여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컨트롤러(24)는 드론(20)의 비행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착륙 신호를 컨트롤 유닛(80)에 입력한다(S114). 컨트롤 유닛(80)은 컨트롤러(24)부터의 안전 착륙 신호에 따라 점화 신호를 출력하여 인플레이터(90)의 착화기(94)를 작동시킨다(S116). 착화기(94)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바닥 보호 부분(102)과 측면 보호 부분(104)들로 공급되어 에어백(100) 전체를 팽창시키게 된다(S118). 바닥 보호 부분(102)과 측면 보호 부분(104)은 지면, 구조물 등과의 충돌로 인한 비행체(22), 구조물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명을 보호함으로써, 드론(20)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드론(20)이 착륙되면(S120), 드론(20)을 수거한 후 벨트-버클 어셈블리(66)를 풀어 안전 착륙 장치(10)를 비행체(22)로부터 분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안전 착륙 장치 20: 드론
22: 비행체 24: 컨트롤러
40: 드론 조정기 50: 이동통신 단말기
52: 스마트폰 60: 모듈 하우징
66: 벨트-버클 어셈블리 70: 패드 커버
80: 컨트롤 유닛 90: 인플레이터
100, 110: 에어백 102, 112: 바닥 보호 부분
104, 114: 측면 보호 부분

Claims (6)

  1. 비행체와, 상기 비행체의 비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과;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컨트롤 유닛과;
    상기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모듈 하우징 안에 접혀져 있다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모듈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비상 착륙 신호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속되는 파스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은 아랫면이 트이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에 패드 커버가 더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드 커버의 중앙에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 갈라져 확장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결속할 수 있는 버클을 구비하는 벨트-버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개 시 상기 비행체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닥 보호 부분과;
    상기 바닥 보호 부분의 윗면에 연결되어 있고, 전개 시 상기 바닥 보호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행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보호 부분을 구비하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보호 부분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보호 부분은 그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보호 부분 각각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살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KR1020150167723A 2015-11-27 2015-11-27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KR20170062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23A KR20170062203A (ko) 2015-11-27 2015-11-27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23A KR20170062203A (ko) 2015-11-27 2015-11-27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203A true KR20170062203A (ko) 2017-06-07

Family

ID=5922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723A KR20170062203A (ko) 2015-11-27 2015-11-27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2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978B1 (ko) 2017-11-27 2019-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uwb 레이더를 이용한 드론 착륙 영역의 안전성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92752A (ko) 2018-01-31 2019-08-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JP2020029111A (ja) * 2018-08-20 2020-02-27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ローン用エアバッグ
KR20200104701A (ko) 2019-02-27 2020-09-04 김지성 드론 피스톤 랜딩기어
KR20200127431A (ko) 2019-05-02 2020-11-11 고준혁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드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978B1 (ko) 2017-11-27 2019-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uwb 레이더를 이용한 드론 착륙 영역의 안전성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92752A (ko) 2018-01-31 2019-08-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JP2020029111A (ja) * 2018-08-20 2020-02-27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ローン用エアバッグ
KR20200104701A (ko) 2019-02-27 2020-09-04 김지성 드론 피스톤 랜딩기어
KR20200127431A (ko) 2019-05-02 2020-11-11 고준혁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494B2 (en) Parachute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286053B2 (en) Damage mitigating apparatus operable by pressurized deployment of a fabric
KR20170062203A (ko) 드론의 안전 착륙 장치
US1005321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80022310A1 (en) Airbag system for use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9908629B2 (en) Inflatable parachute airbag system
KR101765039B1 (ko) 추락 경고장치 및 이를 갖춘 무인항공기
US7882921B2 (en)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ES2264006T3 (es) Sistema de avionica y estacion en tierra para gestion de fuera de ruta de una aeronave y para comunicaciones de alarma.
US10618663B2 (en) Intelligent parachute rescue system for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70061748A1 (en) Deployable Beacon
US10183760B2 (en) Aircraft comprising at least one emergency beacon, and such an emergency beacon
US20220204170A1 (en) Damage mitig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17411A (ko) 충격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KR20180005802A (ko) 충격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AU2013313302B2 (en) Active countermeasures systems and methods
KR20170129522A (ko) 에어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EP3805099B1 (en) Emergency landing device
US20160137301A1 (en) Passenger control center
US20230264821A1 (en) Aircraft emergency parachute deployment system
US20040200931A1 (en) Aircraft air bag unwanted intrusion preventative deployment system
ES1163359U (es) Dispositivo paracaídas automático para dr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