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775A -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775A
KR20170060775A KR1020150165369A KR20150165369A KR20170060775A KR 20170060775 A KR20170060775 A KR 20170060775A KR 1020150165369 A KR1020150165369 A KR 1020150165369A KR 20150165369 A KR20150165369 A KR 20150165369A KR 20170060775 A KR20170060775 A KR 2017006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sensing
point
sensing oper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603B1 (ko
Inventor
오진영
김동한
배태한
신철규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03B1/ko
Priority to PCT/KR2016/013617 priority patent/WO2017091003A1/en
Priority to CN201680068838.1A priority patent/CN108293269B/zh
Priority to US15/361,301 priority patent/US10499426B2/en
Publication of KR2017006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에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은,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기지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NSING IN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 LTE) 통신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 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인터넷 테크놀로지 (internet technology : IT)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사물 통신, MTC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 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점에 따라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기지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단말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기지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단말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 (include)" 및 "포함하다 (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 (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 (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 (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 (include), ~내에 포함되고 (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 (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 (contain), ~내에 포함되고 (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 (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 (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 (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 (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 (interleave), 병치하고 (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 (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 (be bound to or with), 가지고 (have), 소유하고 (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채널 감지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채널 감지 동작에 관한 기준을 명확하게 설정함으로써 비 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및 채널 점유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WiFi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에 대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 (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최근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3GPP, 고속 업링크 패킷 접속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TE, LTE-A (LTE-Advanced), 3GPP2의 고속 패킷 데이터 (high rate packet data : HRPD), 그리고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IEEE)의 802.16 등 다양한 이동 통신 표준이 개발되었다.
특히, LTE/LTE-A (이하, LTE라 함) 시스템은 시스템 용량 및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표준 개발 및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LTE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주파수 집적화 기술 (carrier aggregation : CA)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률 및 시스템 용량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재 LTE 통신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으로 사업자가 고유의 권한을 갖고 사용할 수 있는 면허 대역 (licensed spectrum 또는 licensed carrier)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5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경우, 이미 다른 사업자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업자가 다수의 면허 대역 주파수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CA 기술을 이용하여 시스템 용량을 확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면허 대역 주파수의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모바일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최근에는 비 면허 대역에서 LTE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 되고 있다 (예를 들어, LTE-U (LTE in unlicensed) 및 LAA (Licensed-Assisted Access)). 여기서, 상기 비 면허 대역은 비 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 또는 비 면허 캐리어(unlicensed carrier)에 대한 대역이다. 특히, 비 면허 대역 중 5GHz 대역은 2.4GHz 비 면허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통신기기들이 사용하고 있고, 매우 넓은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주파수 대역 확보에 용이하다. 다시 말해, LTE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집적화하여 사용하는 CA기술을 이용하여 면허 대역 및 비 면허 대역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면허 대역에서의 셀 (LTE 셀)을 프라이머리 셀 (primary cell : PCell 또는 Pcell)로 설정하고, 비 면허 대역에서의 셀 (LAA 셀 또는 LTE-U 셀)을 세컨드 셀 (second cell : SCell 또는 Scell)로 설정하여, 기존 CA 기술을 이용하여 면허 대역 및 비 면허 대역을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은 면허 대역과 비 면허 대역간에 이상적인 백홀 (ideal backhaul)로 연결되는 CA 뿐만 아니라, 면허 대역과 비 면허 대역간에 비이상적인 백홀 (non-ideal backhaul)로 연결되는 이중-연결 (dual-connectivity) 환경에도 적용 가능하나, 본 개시에서는 면허 대역과 비 면허 대역간에 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되어 있는 CA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LTE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OFDMA)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OFDM 방식에서 변조 신호는 시간과 주파수로 구성된 2차원 자원 (resource)에 위치한다. 시간 축 상의 자원은 서로 다른 OFDM 심볼들로 구별되며 이들은 서로 직교한다. 주파수 축 상의 자원은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sub-carrier)로 구별되며 이들 또한 서로 직교한다. 즉 OFDM 방식에서는 시간 축 상에서 특정 OFDM 심볼을 지정하고 주파수 축 상에서 특정 서브캐리어를 지정하면 하나의 최소 단위 자원을 가리킬 수 있는데, 이를 자원 요소 (resource element : RE)라고 한다. 서로 다른 RE들은 주파수 선택적 채널 (frequency selective channel)을 거치더라도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다른 RE로 전송된 신호는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수신 측으로 수신될 수 있다.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대역 (bandwidth)은 다수 개의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 RB)들로 이뤄져 있으며, 각 물리적 자원 블록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주파수 축을 따라 배열된 12개의 서브캐리어들과 시간 축을 따라 배열된 14개 또는 12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RB는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가 된다.
기준 신호 (reference signal : RS)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단말이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로서, LTE 통신 시스템에서는 공통 기준 신호 (CRS: Common Reference Signal, 이하 ‘CRS’라 칭함)와 전용 기준 신호의 하나로 복조 기준 신호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 DMRS)를 포함한다. CRS는 전체 하향링크 대역에 걸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 모든 단말이 수신 가능하며, 채널 추정, 단말의 피드백 정보 구성, 또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복조에 사용된다. DMRS 역시 전체 하향링크 대역에 걸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 특정 단말의 데이터 채널 복조 및 채널 추정에 사용되며, CRS와 달리 피드백 정보 구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DMRS는 단말이 스케줄링 할 PRB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시간 축 상에서 서브프레임 (subframe)은 0.5msec 길이의 2개의 슬롯 (slot), 즉 제1슬롯 및 제2슬롯으로 구성된다. 제어 채널 영역인 물리적 전용 제어 채널 (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 : PDCCH) 영역과 데이터 채널 영역인 향상된 PDCCH (enhanced PDCCH : ePDCCH) 영역은 시간 축 상에서 분할되어 전송된다. 이는 제어 채널 신호를 빠르게 수신하고 복조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PDCCH 영역은 전체 하향링크 대역에 걸쳐서 위치하는데 하나의 제어 채널이 작은 단위의 제어 채널들로 분할되어 상기 전체 하향링크 대역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향링크는 크게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PUCCH)과 데이터 채널 (physical uplink data channel : PUDCH)로 나뉘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응답 채널과 기타 피드백 정보가 데이터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데이터 채널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A은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소형 기지국 (101)내에 LTE 셀 (102)과 LAA 셀 (103)이 공존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단말 (104)은 LTE 셀 (102)과 LAA 셀 (103)을 통해 기지국 (101)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LTE 셀 (102)이나 LAA 셀 (103)의 이중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면허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셀을 LTE셀 (102) 또는 PCell로 가정하고,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셀을 LAA셀 (103) 또는 SCell로 가정할 수 있다. 단, 상향링크 전송은 LTE 셀이 PCell인 경우 LTE 셀 (102)을 통해서만 전송하도록 제한 할 수도 있다.
도 1B는 네트워크에서 넓은 커버리지를 위한 LTE 매크로 (Macro) 기지국 (111)과 데이터 전송량 증가를 위한 LAA 소형 기지국 (112)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단말 (104)은 LTE 매크로 기지국 (111)과 통신 (116)을 수행하고, LAA 소형 기지국 (112)과도 통신 (115)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LTE 매크로 기지국 (111)이나 LAA 소형 기지국의 이중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LTE 매크로 기지국 (111)은 LTE 소형 기지국으로 대체 할 수도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은 LTE 기지국이 PCell인 경우 LTE 기지국 (111)을 통해서만 전송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이때, LTE 기지국 (111)과 LAA 기지국 (112)는 이상적인 백홀 망을 가진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빠른 기지국간 X2 인터페이스 (113)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LTE 기지국 (111)에게만 전송되더라도, X2 인터페이스 (113)를 이용하여 LAA 기지국 (112)이 관련 제어 정보를 LTE 기지국 (111)으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개시에서 제안한 실시예들은 도 1A의 시스템과 도 1B의 시스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비 면허 대역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을 복수의 기기들이 서로 공유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기기들은 서로 다른 시스템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간에 상호 공존을 위하여 비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기기들의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하여 신호 전송을 필요로 하는 전송 기기는, 상기 신호 전송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신호 전송이 수행되는 비 면허 대역 또는 채널에 대하여 다른 기기들의 상기 채널에 대한 점유 여부를 확인 하고, 판단된 상기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 상태에 따라 상기 채널을 점유하거나 점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일반적으로 LBT (listen-before-talk)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송 기기는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채널에 대한 점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은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을 감지하는 시간은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될 수 있고, 또한 특정 범위 내에서 임의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을 감지하는 시간은 설정된 최대 채널 점유 시간 (channel occupancy time)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채널을 점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채널 점유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채널을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을 감지하는 채널 감지 동작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비 면허 주파수 대역에 따라, 또는 지역, 국가별 규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미국의 경우 5GHz 주파수 대역에서 레이더 (Radar) 감지를 위한 동작 외에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 없이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전송 기기는, 상기와 같은 채널 감지 동작 (또는 LBT)을 통해 해당 채널에 대한 다른 기기들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채널에서 다른 기기들의 채널 점유가 감지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기기들은 채널 감지 동작 이후, 연속적으로 점유 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을 사전에 정의하거나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대 점유 시간은, 주파수 대역 및 지역 등에 따라 정의 된 규제에 따라 사전에 정의 되거나, 다른 기기, 예를 들어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설정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점유 시간은 비 면허 대역 또는 지역, 국가별 규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일본의 경우 5GHz 대역의 비 면허 대역에서 최대 점유 가능한 시간은 4ms로 규제되어 있다. 반면에 유럽의 경우 최대 10ms 또는 13ms까지 연속적으로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최대 점유 시간 동안 채널을 점유한 기기들은, 채널 감지 동작을 재 수행 한 후, 상기 채널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채널을 재 점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 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감지 및 채널 점유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및 채널 점유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 과정을 예로 든 것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subframe) (200)은 1ms 길이를 갖으며, 복수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 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과 단말은 설정된 채널 점유 시간 (또는 TXOP) (250 및 260) 동안 해당 채널을 점유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채널 점유 시간 (250) 동안 채널을 점유한 기지국에서 추가적인 채널 점유가 필요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구간 (220)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채널을 다시 점유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채널 감지 구간 (또는 길이)은 기지국과 단말간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신호 (higher layer)를 통해 설정하거나,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송/수신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 수행 되는 채널 감지 동작에 적용되는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전 채널 감지 동작에서 적용된 변수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채널 감지 및 점유 동작은 주파수 대역 또는 지역, 국가별로 정의 된 규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유럽의 5GHz 대역에 관한 규제 EN301 893 중 채널 접속 방법의 하나의 방식인 부하 기반 장치 (Load-based equipment)를 예를 들어 상기 채널 감지 및 점유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채널 점유 시간 (250) 이후 기지국이 만일 추가적인 채널 사용이 필요할 경우, 최소 채널 감지 구간 (220) 동안 다른 기기들의 상기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때, 최소 채널 감지 구간 (220)은 최대 채널 점유 구간에 따라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최대 채널 점유 구간: 13/32 x q, (q=4, ..., 32)
최소 채널 감지 구간: ECCA slot 길이 x rand (1, q)
여기서, ECCA slot 길이는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의 최소 단위 (또는 길이)이다. 즉, q=32로 설정할 경우, 전송기기는 최대 13ms 동안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이때, 최소한으로 필요한 채널 감지 구간은 1~q 사이 (즉, 1~32사이)에서 임의 (random)의 값으로 선택 되고, 총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ECCA slot 길이 x 상기 선택된 임의의 값이 된다. 따라서, 최대 채널 점유 구간이 증가할 경우, 일반적으로 최소 채널 감지 구간 역시 증가된다.
한편, 상기 최대 채널 점유 구간 및 최소 채널 감지 구간 설정 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주파수 대역, 지역 및 국가 별 정의된 규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주파수 규제 개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규제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 외에 추가적인 동작 (예를 들어, 추가적인 채널 감지 구간 도입) 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채널 감지 구간 (220)에서 기지국에서 해당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기기들이 감지 되지 않을 경우, 즉,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그 즉시 상기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감지 구간 (220)에서의 다른 기기 점유 여부에 대한 판단은,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다른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의 크기가 일정 기준 값 (예를 들어, -62dBm) 보다 클 경우, 상기 채널이 다른 기기들에 의해 점유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보다 작을 경우, 상기 채널을 유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점유에 대한 판단 방법은 상기와 같은 수신 신호의 크기를 포함하여 사전에 정의 된 신호 검출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LTE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작되므로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 수행),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직후 특정 OFDM 심볼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 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브 프레임 내의 채널 감지 구간 (220)에서 유휴 채널을 감지한 기지국은 채널 감지 구간 (220)이 종료된 시점부터 다음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 전송 직전까지, (즉, 구간 (230)) 동안 상기 채널 점유를 위한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210 또는 240)에서 전송하는 제1 신호 (예를 들어, 일반적인 (E)PDCCH 및 PDSCH)를 전송하기 이전에, 해당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 및 단말의 동기화 등을 위하여 제 2신호 (예를 들어, PSS/SSS/CRS 또는 새로 정의 된 신호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 되는 제 2 신호는 채널 감지 구간 종료 시점에 따라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만약 해당 채널을 점유하는 점유 시작 시점이 특정 OFDM 심볼 이내부터 설정될 경우, 제 3의 신호 (새로 정의 된 신호)를 다음 OFDM 심볼 시작 시점까지 전송 후, 제 2 신호 또는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채널 감지 동작 구간을 OFDM 심볼 단위를 이용하여 서술할 것이나, 채널 감지 동작 구간은 LTE 통신 시스템의 OFDM 심볼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신호는 현재 LTE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 PSS)/ 서컨더리 동기 신호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 SSS)를 재 사용하거나, 현재 면허 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루트 시퀀스 (root sequence)와 다른 시퀀스를 이용하여 PSS 또는 S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신호는 비 면허 대역 기지국 고유 값 (physical cell id : PCID)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PSS/SSS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이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 고유 값과 혼동되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신호는 현재 LTE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CRS 또는 채널상태지시자-기준신호 (channel state indicator-reference signal : CSI-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E)PDCCH 또는 PDSCH 또는 상기 신호가 변형된 형태의 신호를 제 2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신호를 전송하는 구간 (230)이 채널 점유 시간에 포함되기 때문에, 구간 230에서 전송되는 제 2신호를 통해 최소한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파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LTE 통신 시스템은 (이하, LAA 셀 또는 LAA셀), 사용하고자 하는 비 면허 대역에 관한 규제 만족뿐만 아니라,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 (이하, 와이파이 (WiFi) 통신 시스템) 들과의 상호 공존을 위하여 기존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것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채널 접속 (channel access, 또는 LBT) 방식이 필요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WiFi 통신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채널 접속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WiFi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AP1 (310)이 스테이션 1 (Station 1 : STA 1) 또는 단말 1 (315)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채널 점유를 위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분포된 협력 기능 인터프레임 스페이스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 DIFS) 시간 (330) 동안 상기 채널을 감지한다. 상기 채널에 대한 다른 기기의 점유 여부는 상기 DIFS 시간 (330) 동안 수신된 신호의 세기 또는 사전에 정의 된 신호의 검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DIFS 시간 (330) 중 상기 채널이 다른 기기 (320)에 의해 점유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AP1 (310)는 설정된 경쟁 구간 (contention window, 예를 들어, 1 ~ 16) 안에서 임의의 변수 (355), 예를 들어 N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작을 백오프 (backoff) 동작이라고 말한다. 이후 상기 AP1 (310)는 사전에 정의 된 시간 (예를 들어 9us) 동안 상기 채널을 감지하고, 만일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 될 경우 선택된 변수 N (355)를 1만큼 차감 한다. 즉, N=N-1으로 업데이트 된다. 만약, 상기 AP1 (310)는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채널을 다른 기기가 점유하고 있다고 판단 할 경우, 상기 변수 N (355)를 차감하지 않고 유지 (freeze)한다.
그리고 AP2 (320)가 송신한 데이터 (340)를 수신한 STA2 (325)는 DIFS 시간 (345) 이후, 상기 데이터 (340)의 수신에 대한 긍정 응답 (acknowledge : ACK) 또는 부정 응답 (negative acknowledge : NACK) 신호 (347)를 상기 AP2 (320)에 전송한다. 이때, 상시 STA2 (325)는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 수행 없이 ACK 또는 NACK 신호 (347)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TA2 (325)의 ACK 신호 (347)에 대한 전송이 끝난 이후, 상기 AP1 (310)은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AP1 (310)은 DIFS 시간 (350) 동안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에서 backoff 동작을 위해 사전에 정의 되거나 설정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9us) 동안 상기 채널을 감지하고, 만일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 될 경우 선택된 변수 N (355)를 다시 차감 한다. 즉, N=N-1으로 업데이트 된다. 이때, 만약 N=0이 될 경우, AP1 (310)은 상기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360)을 STA1 (315)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데이터 (360)을 수신한 STA1 (315)은,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ACK 또는 NACK 신호를 AP1 (310)에게 DIFS 시간 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STA1 (315)로부터 NACK 신호 (370)를 수신한 AP1 (310)은 다음 backoff 동작에서 사용 되는 임의의 변수 N을 증가된 경쟁 구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앞서 사용된 경쟁 구간이 [1,16]이라고 가정하고, STA1 (315)의 상기 데이터 (360)에 대한 수신결과가 NACK 신호 (370)일 경우, 상기 NACK 신호 (370)을 수신한 AP1 (310)의 경쟁구간은 [1,32]로 증가될 수 있다. 만일, 상기에서 ACK을 수신한 AP1 (310)은 경쟁 구간을 초기 값 (예를 들어, [1,16])으로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경쟁 구간을 감소 또는 유지 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LTE 통신 시스템과 LTE-A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면허 대역 및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 별다른 가감 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통신 시스템의 CA 환경만을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중 연결y 또는 비 면허 대역에서만 동작하는 환경 (stand-alone)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LAA 시스템에서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채널을 감지 및 점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는 셀 (즉, LAA 셀)에 존재하는 기지국은 유휴상태를 유지한다 (401). 이때, 유휴 상태는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유휴 상태는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더 이상 전달할 데이터 신호가 없는 상태, 또는 단말에게 전달할 데이터는 있으나, 상기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대기 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유휴 상태의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기준 신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채널 점유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402), 만약, 상기 유휴 상태의 기지국이 채널 점유가 필요할 경우,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403). 설명의 편의 상 이하 본 개시에서의 제어 신호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여 기지국 및 단말과의 운용에 필요한 신호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 (discovery reference signal : DRS, CSI-RS, PSS, SSS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4us 또는 25us) 또는 다른 기기로부터 설정 받은 시간, 또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려고 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의 종류 중 적어도 한 가지 조건 (예를 들어 전송 신호에 대한 우선순위 조건)에 의해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에서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없이 제어 신호만 전송할 경우에 대한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간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 신호와 함께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간과 다르게 (예를 들어, 제어 신호만 전송 시, 데이터 신호를 전송 경우보다 짧은 시간 동안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위하여 설정 가능한 값들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데이터 신호 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채널 감지 동작은 A+B 구간으로 나누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A는 모든 신호 전송에 사용되도록 사전에 정의된 값 (예를 들어 16us)으로 상기 구간 A에서는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간 A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점유 여부는 상기 기지국 또는 단말의 채널 점유 판단 동작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B구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슬롯의 길이는 사전에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us). 이때, 상기 B구간은 상기 채널 점유 구간에서 제어 신호만 전송하는 경우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채널 점유 구간에서 제어 신호만 전송하는 경우의 구간 B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의 구간 B보다 짧은 구간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만 전송하는 경우 1개의 슬롯으로 채널 감지 구간 B를 구성하고,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 상기 3개의 슬롯으로 채널 감지 구간 B가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구간은 제어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음성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서비스와 같이 최소의 지연 시간을 요구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1개의 슬롯으로 채널 감지 구간이 설정되고, 파일 전송 프로토콜 (file transfer protocol : FTP)와 같이 요구된 최소의 지연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3개 이상의 슬롯으로 채널 감지 구간 B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다른 변수들 (예를 들어, 채널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 신호 세기 임계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기지국에서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없이 제어 신호만 전송할 경우와 상기 기지국에서 특정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1 채널 감지 동작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 감지 동작은,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세기 측정 또는 사전에 정의 된 신호 검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해당 채널의 점유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이다. 이때, 제1의 채널 감지 시간을 포함하여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필요한 변수들은 사전에 설정된 값을 이용하거나, 다른 기기들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 상태가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기지국이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고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405). 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기지국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제2 채널 감지 동작에서 사용 되는 경쟁 구간을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407). 즉, 기지국은 설정된 경쟁 구간 [x, y]에서 임의의 변수 N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최초 경쟁 구간 또는 초기값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경쟁 구간은 상기 채널에 대한 점유 시도 횟수, 채널에 대한 점유율 (예를 들어, 트래픽 부하 (traffic load)), 또는 상기 채널 점유 시 전송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단말의 수신 결과 (예를 들어 ACK/NACK 신호의 수 또는 비율)등을 포함한 다양한 값들을 이용하여 경쟁 구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단계 405에서 채널을 점유한 기지국 단계 406에서 추가적으로 채널의 점유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단계 405에서 수행된 데이터 전송 결과 또는 상기 언급한 다양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계 414에서 경쟁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 점유 구간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 결과로 NACK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다음 채널 점유 동작을 위한 경쟁 구간을 증가 또는 이전 경쟁 구간을 유지 할 수 있다. 만약, 증가 또는 유지된 경쟁 구간을 이용하여 채널을 점유한 기지국이 상기 채널 점유 구간에서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 결과로 ACK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경쟁 구간을 감소 또는 유지시키거나 초기 경쟁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CK/NACK 신호를 이용하여 경쟁 구간을 설정하는 방식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상기 언급한 다른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경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계 407에서 기 설정된 경쟁 구간에서 임의의 변수 N이 설정된 경우, 상기 설정된 N을 이용하여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08). 이때, 제2 채널 감지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세기 측정 또는 사전에 정의 된 신호 검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채널의 점유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으로 제1 채널 감지 동작과 다른 판단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채널 감지 동작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과 동일하거나, 제1 채널 감지 동작 동안 채널을 감지하는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감지 시간은 34us로 설정되고, 제2 채널 감지 시간은 9us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제2 채널 감지 동작의 기준 임계 값은,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의 기준 임계 값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감지된 제2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409), 상기 제2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변수 N을 1 차감한다 (410). 이때, 1만큼 차감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설정 값에 따라 다르게 차감되거나, 또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 또는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감지된 제2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설정된 변수 N을 1 차감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차감된 변수 N의 값이 0인지 판단하여 (411), 상기 차감된 변수 N의 값이 0인 경우 채널 점유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405). 반면 기지국은 상기 차감된 변수 N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다시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408). 만약, 기지국은 상기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통하여,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님을 판단할 경우 (409), 제3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12). 이때, 제3 채널 감지 동작은 제1 채널 감지 동작 또는 제2 채널 감지 동작과 동일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기준 시간과 제3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기준 시간을 동일하게 34us 또는 25us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구간을 상기 제 1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구간에서의 A, B 구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기준 임계 값과 제3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기준 임계 값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기준 시간 및 임계 값은 일 예시일 뿐이며, 제3 채널 감지 동작에 필요한 변수 또는 기준들은 제1 채널 감지 동작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채널 감지 동작은 별도의 채널 감지 또는 채널 점유 동작 없이 시간 지연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채널 감지 시간은 제1 채널 감지 시간 또는 제2 채널 감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채널 감지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은 다른 기기들의 상기 제3 채널에 대한 점유 여부를 판단한다 (413). 상기 기지국은 상기 판단된 제3 채널의 점유 상태가 유휴 상태일 경우, 다시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08). 만약, 상기 판단된 제3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기지국은 설정된 제3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412).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의 종류 또는 그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 제2 채널 감지 동작 및 제3 채널 감지 동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생략하거나,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 제2 채널 감지 동작, 제3 채널 감지 동작에 필요한 구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이 제어 신호 (예를 들어,, DRS)만 전송할 경우, 제1 채널 감지 동작만 수행 후, 채널 감지 동작 결과에 따라 채널을 바로 점유할 수 있다. 이때, DRS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 제2 채널 감지 동작 및 제3 채널 감지 동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생략 가능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제어 신호 전송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단말에서도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또는 단말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 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 후,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를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채널 감지 동작 수행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기지국은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다른 기기들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도 5와 같은 채널 감지 구간에서 채널 점유를 위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기지국의 채널 감지 동작은 다양한 채널 감지 동작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채널 감지 동작도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일반적인 채널 감지 동작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의 일 예는 단말에서도 이용된다.
기지국은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채널을 감지하는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는 경우와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채널 감지 동작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는 경우,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 없이 사전에 정의 또는 설정 되거나 전송 신호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설정된 구간 동안 (예를 들어 도 4의 제1 채널 감지 구간, 또는 도 5의 채널 감지 구간 A (500) 및 구간 B (510))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비 면허 대역이 유휴 상태로 판단될 경우,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 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 (예를 들어 도 4의 제2 채널 감지 구간, 또는 도 5의 채널 감지 구간 C (530) 또는 도 5의 채널 감지 구간 A(500), B(520), C(530))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고, 유휴 상태로 판단된 비 면허 대역의 채널에서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채널 감지 동작을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기지국의 채널 감지 동작은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10), C (5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수행되고, 상기 채널 감지 동작으로부터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10)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도 4의 제1 채널 감지 동작으로 가정할 수 있고, 채널 감지 구간 C (530)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도 4의 제2 채널 감지 동작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10)는 사전에 설정되거나 전송 신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고, 채널 감지 구간 C (520)는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값으로 기지국이 직접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는 채널 감지 구간 C (520)는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C (530)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C (530)를 최소한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채널 감지 구간 A (500)는 다른 채널 감지 구간 B (510), C (530)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감지 구간 A (500)은 다른 채널 감지 구간 B (510), C (53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감지 구간 A (500)의 최소 단위는 16us로 설정될 수 있고, 채널 감지 구간 B (510), C (530)의 최소 단위(또는 슬롯, 또는 실롯 길이)는 각각 9us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채널 감지 구간 B (510), C (530)의 최소 단위를 동일한 채널 감지 구간으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채널 감지 구간 B (510), C (530)의 최소 단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10), C (530) 중 적어도 한 구간 이상에 대해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다른 기기들의 채널 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 (500)에서는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 (500)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감지 구간 A (500)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채널 감지 구간 B (510)는 기지국에서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우선 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DRS 또는 CSI-RS 등의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와 상기 신호들과 함께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채널 감지 구간 B의 값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없이 PDCCH를 전송하는 경우, 하나의 채널 감지 구간 B (510)로 설정하고, PDSCH를 포함하여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3개의 채널 감지 구간 B (52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DSCH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의 채널 감지 구간 B (520)는 PDSCH의 우선 순위에 따라 또 다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를 통해 VoIP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3개 미만의 채널 감지 구간 B로 설정하고, PDSCH를 통해 FTP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3개 이상의 채널 감지 구간 B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PDSCH없이 PDCCH, DRS, CSI-RS 등의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수의 채널 감지 구간 B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을 PDSCH를 포함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20)에 이어 채널 감지 구간 C (540) 동안 추가로 채널을 감지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감지 구간 C (540)는 설정된 경쟁 구간에서 임의로 선택된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경쟁 구간의 크기는 PDSCH를 통해 포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의 채널 감지 구간은 도 5의 (a)와 같이 채널 감지 구간 A (500), B (5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도 5의 (a)경우 A+B+B+B 구간 또는 도 6의 참조번호 625에 해당하는 구간)은 사전에 설정되기 때문에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 이전에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지국 특정 시점 (예를 들어 subframe T)에서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은 다음과 같은 제1 방법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OFDM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제2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OFDM 심볼 이전 심볼에서부터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의 임의의 OFDM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에 대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a) 및 (b)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 시간 중 마지막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서는 기지국의 채널 감지 동작을 위하여 아무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기지국이 OFDM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 (T)에서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이 A (615)와 3개의 채널 감지 구간 B (620)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3개의 채널 감지 구간 B (620)로 설정된 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1개 이상의 채널 감지 구간 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a)의 (1)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방법을 설명하면, 기지국은 신호의 전송 시작 시점 (T) (610)에서 상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을 감지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시점 (610)으로부터 최소로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 (625) 바로 이전을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 (예를 들어 T- (A+B+B+B)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기지국의 채널 감지 동작에서 신호 전송 동작으로 변환 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상기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 (예를 들어 Xus)을 제외하였으나, 상기 시스템 동작을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추가로 포함 (예를 들어 T- (A+B+B+B+X))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동작을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Xus)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에 관한 동작은 상기 예를 통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모두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6에서 (a)의 (3)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2 방법을 설명하면, 기지국은 신호의 전송 시적 시점 (T) (610)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A+B+B+B)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OFDM 심볼 (605)에서부터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방법의 경우, OFDM 심볼 단위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OFDM 심볼 단위를 기준으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의 구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a)의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만약 상기에서 설정된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이 하나의 OFDM 심볼 길이보다 짧을 경우,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부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직전까지의 유휴구간 (635) 동안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점유를 위해 기존 정의 된 하향링크 신호 또는 별도의 신호 D를 새롭게 정의하여, 상기 신호 D를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 (610) 직전까지 전송함으로써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를 추가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유휴구간 (635)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유휴구간 (635)에서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를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유휴구간 (635)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의 수행 결과는 실제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 (또는 다른 기기의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 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점유를 위해 기존 정의 된 하향링크 신호 또는 새롭게 정의 된 별도의 신호 D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 경우,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a)의 (1), (2) 에 도시된 예들과 같이 신호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하나 이상의 채널 감지 동작 B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2) 및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만일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구간이 16us이고, 채널 감지 구간 B에서의 채널 감지 구간의 최소 단위가 9us일 경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을 2개의 채널 감지 구간 B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로부터 기지국은 채널 감지 구간 A, B와 같이 서로 다른 채널 감지 구간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하나의 채널 감지 구간 (예를 들어 채널 감지 구간 B 또는 C)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은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감지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를 채널 감지 동작 B를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을 위한 채널 감지 동작 B 의 수행 결과는 기지국이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a)의 (5)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유휴구간 (635)에서 채널 감지 동작 C (640)를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감지 동작 B와 채널 감지 동작 C는 동일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일, 상기 유휴구간 (635) 동안 채널 감지 동작 C (640)를 추가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 (640)에서 채널 감지 동작 수행 결과는 실제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 (640)에서의 추가적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가 기지국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추가적인 채널 감지 동작 C를 통해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될 경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점까지 추가 채널 감지 동작 C를 지속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추가적인 채널 감지 동작 C (640)에서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닐 경우, 즉, 다른 기기들이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추가 채널 감지 동작 C를 중지하고, 새로운 채널 감지 동작 A 또는 B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3 방법은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A+B+B+B) 시점이 포함된 OFDM 심볼들 중에서 임의의 OFDM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여 채널 점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 (605) 이전의 임의의 OFDM 심볼 (예를 들어 시작 시점 이전의 2 OFDM 심볼)에서부터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을 감자하는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점 이후로 상기 기지국은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를 신호 전송 직전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하거나, 기존 정의 된 신호 또는 별도의 신호 D를 전송하여 상기 채널을 신호 전송 직전까지 점유 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를 포함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b) 및 도 6의 (b)와 같이 채널 감지 구간을 A, B, C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C는 설정된 채널 경쟁 구간 중 임의로 선택된 값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C는 상기 기지국이 채널을 재 점유하기 위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때 마다 다른 값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구현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는 채널 감지 동작 B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을 통해 PDSCH가 포함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655)은 사전에 정의 되거나 전송 신호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고정으로 설정되는 채널 감지 구간 A (610), B (620)와 설정된 채널 경쟁 구간 중 임의로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 C (650)을 포함하는 시간 (6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PDSCH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도 6- (b)의 경우 A+B+B+B+C+C 구간 또는 구간 655)은 미리 설정되므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기 이전에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지국은 상기 설명한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방법, 제2 방법 및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방법, 제2 방법 및 제3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b)의 (4) 및 (5)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구간 670 및 680와 같이 기지국은 PDSCH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에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동안에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이 유휴 상태임을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PDSCH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작 가능 시점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경계 (boundary) 또는 사전에 정의 된 전송 가능 시점)까지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을 점유하기 위하여 기존의 시스템에서 정의 된 신호 (예를 들어 Rel-12의 PSS/SSS/CRS) 또는 새롭게 정의 된 신호 D를 전송하거나,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하는 구간 (670 또는 680)에서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이 유휴 상태임으로 판단되더라고,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하는 구간 (670 또는 680)에서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이 유휴 상태임으로 판단될 경우,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을 차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이 0이 되었을 경우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 (670 또는 680)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이 0이 되지 않았을 경우라도 (650)과 같은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 (670 또는 680) 하고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이 유휴 상태임으로 판단될 경우에도,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을 차감하거나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를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채널 감지 동작 수행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은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다른 기기들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도 5와 같은 채널 감지 구간에서 채널 점유를 위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은 다양한 채널 감지 동작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채널 감지 동작도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일반적인 채널 감지 동작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채널을 감지하는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또는 피드백 정보 (ACK/NACK 신호, CSI) 등을 전송하는 경우와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채널 감지 동작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없이 제어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하는 경우,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 없이 사전에 정의 또는 설정 되거나 전송 신호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설정된 구간 동안 (예를 들어 도 4의 제1 채널 감지 구간, 또는 도 5의 채널 감지 구간 A (500) 및 B (510))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고 유휴 채널로 판단된 비 면허 대역의 채널에서 상기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 (예를 들어 도 4의 제 2 채널 감지 구간, 또는 도 5의 채널 감지 구간 C (530))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고, 유휴 상태로 판단된 비 면허 대역의 채널에서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필요한 채널 감지 구간을 임의로 선택하지 않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필요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채널 감지 동작을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은 채널 감지 구간 A (730), B (735), C (7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수행되고, 상기 채널 감지 동작으로부터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의 점유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채널 감지 구간 A (730), B (735)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도 4의 제1 채널 감지 동작으로 가정할 수 있고, 채널 감지 구간 C (740)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도 4의 제2 채널 감지 동작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감지 구간 A (730), B (735)는 사전에 설정되거나 전송 신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고, 채널 감지 구간 C (740)는 설정된 경쟁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값으로 기지국이 직접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이 상기 채널 감지 구간 C를 선택하고 단말에게 상기 선택된 채널 감지 구간 C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는 채널 감지 구간 C (740)는 단말이 데이터 신호 (예를 들어 PUSCH)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단말이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채널 감지 구간 C가 설정되지 않거나, 채널 감지 구간 C가 설정되더라도 고정된 채널 감지 구간 C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채널 감지 구간 A (730)는 다른 채널 감지 구간 B (735), C (740)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감지 구간 A (730)는 다른 채널 감지 구간 B (735), C (74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감지 구간 A (730)의 최소 단위는 16us로 설정되고, 채널 감지 구간 B (735), C (740)의 최소 단위는 각각 9us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채널 감지 구간 B (735), C (740)의 최소 단위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동일한 채널 감지 구간으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채널 감지 구간 B (735), C (740)의 최소 단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전송 지연 (propagation delay)로 인해 단말은 기지국이 하향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전송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신호를 수신 받는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이 상향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전송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향신호를 수신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전송 지연으로 인해 수신단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TE에서는 진화된 타이밍 (timing advanced : TA, 720)를 도입하였다. 기지국은 기지국-단말간의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단말에게 진화된 타이밍 정보 (또는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은 상기 사전 전송 시점을 기반으로 기지국이 설정한 전송 시점만큼 상향링크 전송을 앞당겨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하향링크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TA (720)만큼 상향신호를 빨리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의 상향신호는 기지국-단말간 전송 지연 시간 (TA/2) 이후 기지국에서 수신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이 정확한 시점에서 상/하향 신호에 대한 수신이 가능하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 FDD)에 대한 시간 관계를 이용할 경우, 단말은 T-4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프레임 T에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과 단말의 FDD 스케줄링 시간관계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시간 분할 다중 (time division duplexing : TDD) 또는 새로 정의 된 기지국과 단말간 스케줄링 시간관계를 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서브프레임 T-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 받은 단말은 서브프레임 T (710)에서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 등을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T (710) 시점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은 다음 제1 방법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방법은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방법은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single carrier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SC-FDMA)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제2 방법은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 이전의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의 임의의 SC-FDMA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 시간 중 일부 구간 (705) (또는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예상 시점에서)에서는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을 위하여 아무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단말이 SC-FDMA심볼 (또는 OFDM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 (T)에서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이 A (730)와 1개의 채널 감지 구간 B (735), 2개의 채널 감지 구간 C (740)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1개의 채널 감지 구간 B (735)로 설정된 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1개 이상의 채널 감지 구간 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1)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방법을 설명하면, 서브프레임 T-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 받은 단말은 신호의 전송 시작 시점 (T) (710)에서 신호 전송을 위하여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시점 (710)으로부터 최소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으로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 (745) 바로 이전에서 상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채널 감지 동작의 시작 시점 (예를 들어 T- (A+B+C+C)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에서 신호 전송 동작으로 변환 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상기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 (예를 들어 Xus)을 제외하였으나, 상기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추가로 포함 (예를 들어 T- (A+B+C+C+X)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동작을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Xus)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에 관한 동작은 상기 예를 통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모두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7에서 (3)에 도시된 예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2 방법을 설명하면, 단말은 신호의 전송 시적 시점 (T) (710)에서 상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A+B+C+C)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SC-FDMA 심볼 (705)에서부터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방법의 경우, SC-FDMA 심볼 단위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SC-FDMA 심볼 단위를 기준으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구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 7의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만약 상기에서 설정된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이 하나의 SC-FDMA심볼 길이보다 짧을 경우,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 직전까지의 유휴구간 (765)이 남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채널 점유를 위해 기존 정의 된 상향링크 신호 또는 별도의 신호 D를 새롭게 정의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 (710)를 전송하기 직전까지 전송함으로써 상기 비 면허 대역을 점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채널 점유를 위해 기존 정의 된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새롭게 정의 된 별도의 신호 D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 경우,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도 7의 (1) 및 (2)에 도시된 예과 같이 신호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도 7의 (4) 및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구간 (765) 동안 채널 감지 동작 B 또는 C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유휴구간 (765)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단말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다른 기기의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은 하나 이상의 채널 감지 동작 B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2), (4) 및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만일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구간이 16us이고, 채널 감지 구간 B에서의 채널 감지 구간 최소 단위가 9us일 경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을 2개의 채널 감지 구간 및 동작 B를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단말은 채널 감지 동작 A, B와 같이 서로 다른 채널 감지 구간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하나의 채널 감지 구간 (예를 들어 채널 감지 구간 B 또는 C)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은 별도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감지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단말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를 채널 감지 동작 B를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채널 감지 구간 A을 위한 채널 감지 동작 B의 수행 결과는 단말이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단말이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TA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수행할 경우, 도 7의 (3) 및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채널 감지 구간 중 일부 구간 (760, 770)은 상기 단말의 TA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을 설정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자기 간섭 신호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가 불필요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단말은 서비스를 제공 받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상기 채널 감지 구간에서 수신하게 되어 상기 채널을 유휴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SC-FDMA 심볼 시작 시점에서부터 채널 감지 동작이 수행되고,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이 TA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와 같이 채널 감지 구간 A 또는 채널 감지 구간 B중 첫 번째 채널 감지 구간에서의 채널 감지 수행 결과는 실제 단말의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점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채널 감지 구간 A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를 상기 단말의 비 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점유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도 7의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은 TA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이 아닌, 하향링크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시점은 TA를 고려하여 설정하고,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은 TA 고려 없이 설정하여 또는 하향링크 전송 시점에 따라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도 7의 (4),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간 (775)와 같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가능 시점 (예를 들어 subframe boundary 또는 사전에 정의 된 전송 가능 시점)까지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상기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하는 구간 (775)에서 상기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이 유휴 상태임으로 판단되더라고, 도 4의 단계 410과 같이 채널 감지 구간 설정을 위해 설정된 변수 N을 차감하지 않거나 N=0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도 4의 단계 410에서 설정된 변수 N이 0이 되었을 경우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변수 N이 0이 되지 않았을 경우라도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하고, 상기 추가 채널 감지 구간 (775)내에서 채널 감지 동작 C를 수행하여 유휴 상태의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변수 N을 1 차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간 (775) 동안 채널 감지 동작 C를 추가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구간 (775)에서 판단된 채널 감지 결과는 실제 단말의 상기 비 면허 대역에 대한 다른 기기의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 및 채널 점유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력 및 현재 단말이 가용 가능한 전력의 양 등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고려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가능한 전력이 충분한 단말의 경우, 상기 채널 점유 시작 시점을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점 또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시작 시점 보다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가용 가능한 전력이 부족한 단말의 경우, 단말은 채널 감지 동작을 최소화 하기 위해 도 7의 (1) 및 (2)에 도시된 예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비 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에서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과 관련된 변수를 설정한다 (801). 이때, 상기 변수는 상기 <수학식 1> 또는 상기 시스템이 사용되는 국가, 또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규제 (예를 들어 ETSI BRAN, EN301 893)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전 채널 감지 동작에서 적용된 변수와 다르게 설정되거나, 기지국과 단말 간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신호를 통해 설정하거나, 비 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송/수신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변수를 기반으로,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803). 여기서,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은 데이터 없이 제어 신호만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에 대하여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제1 방법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즉, 제1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OFDM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의 임의의 OFDM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시작 시점으로부터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805). 상기 기지국은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807). 만약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다시 단계 803으로 복귀하여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반면,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SCH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809). 만약, 기지국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SCH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817).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SCH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811).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 시점을 설정할 때, 상기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작 시점에서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813). 이후 상기 기지국은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815),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을 통해 PDSCH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전송한다 (817). 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다시 단계 803으로 복귀하여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이로부터, 상기 기지국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작 시점에 채널을 감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비 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과 관련된 변수를 수신한다 (901). 이때, 상기 변수는 기지국과 단말 간 사전에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903). 일반적으로 FDD에 대한 시간 관계를 이용할 경우, 단말은 T-4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프레임 T에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상향링트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수신된 변수를 기반으로,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905). 여기서,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은 데이터 없이 제어 신호만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에 대하여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단말은 다음과 같은 제1 방법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즉, 제1 방법은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에 채널 감지 동작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방법은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의 시작 시점이 포함된 SC-FDMA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방법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시작 시점 (T)으로부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널 감지 구간 이전의 임의의 SC-FDMA 심볼에서 채널 감지 동작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단말은 상기 설정된 시작 시점으로부터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907). 상기 단말은 제1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909). 만약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USCH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911). 그리고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단말은 단계 903으로 복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단계 909에서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단말 또는 통신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SCH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이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라고 판단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CCH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단계 919에서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다음에서 설명하는 단계 911 내지 단계 917는 단말 또는 통신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단말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DSCH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 (919). 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USCH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913).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 시점을 설정할 때, 상기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작 시점에서 제2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91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917), 유휴 상태인 경우 제2 채널 감지 동작에 따라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 (919). 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감지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903으로 복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이로부터, 상기 단말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작 시점에 채널을 감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비 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감지 동작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 8 및 도 9에서는 기지국 및 단말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 (1000)은 제어부 (1001), 송신부 (1003), 수신부 (1005) 및 저장부 (100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1001)는 기지국 (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 (1003)는 상기 제어부 (10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1003)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 (1005)는 제어부 (10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 (100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 (1007)은 상기 제어기 (10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지국 (1000)이 수행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 (1007)은 상기 수신부 (100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기지국 (1000)이 상기 제어부 (1001), 송신부 (1003), 수신부 (1005) 및 저장부 (1007)와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지국 (1000)은 상기 제어부 (1001), 송신부 (1003), 수신부 (1005) 및 저장부 (100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지국 (1000)은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1100)은 제어부 (1101), 송신부 (1103), 수신부 (1105) 및 저장부 (110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1101)는 단말 (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 (1103)는 상기 제어부 (11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1103)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 (1105)는 제어부 (11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 (110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1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 (1107)은 상기 제어기 (11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 (1100)이 수행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 (1107)은 상기 수신부 (110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1에는 상기 기지국 (1100)이 상기 제어부 (1101), 송신부 (1103), 수신부 (1105) 및 저장부 (1107)와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지국 (1100)은 상기 제어부 (1101), 송신부 (1103), 수신부 (1105) 및 저장부 (110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말 (1100)은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기지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채널 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작 시점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방법은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에 포함된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의 이전에 존재하는 임의의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슬롯(slot)들의 길이를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의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7.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단말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채널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작 시점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방법은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에 포함된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의 이전에 존재하는 임의의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슬롯(slot)의 길이를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의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방법.
  13.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기지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작 시점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방법은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에 포함된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의 이전에 존재하는 임의의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슬롯(slot)들의 길이를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의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19.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 면허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과 상기 단말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제1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감지 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 시점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채널 감지 구간 동안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작 시점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방법은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에 포함된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제2 시작 시점을 상기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채널 감지 구간만큼 빠른 시점의 이전에 존재하는 임의의 심볼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슬롯(slot)의 길이를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소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구간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감지된 채널의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감지 장치.
KR1020150165369A 2015-11-25 2015-11-25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42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69A KR102420603B1 (ko) 2015-11-25 2015-11-25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PCT/KR2016/013617 WO2017091003A1 (en) 2015-11-25 2016-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nsing in communication system
CN201680068838.1A CN108293269B (zh) 2015-11-25 2016-11-24 通信系统中用于信道感测的方法和装置
US15/361,301 US10499426B2 (en) 2015-11-25 2016-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nsing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69A KR102420603B1 (ko) 2015-11-25 2015-11-25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75A true KR20170060775A (ko) 2017-06-02
KR102420603B1 KR102420603B1 (ko) 2022-07-13

Family

ID=5872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69A KR102420603B1 (ko) 2015-11-25 2015-11-25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9426B2 (ko)
KR (1) KR102420603B1 (ko)
CN (1) CN108293269B (ko)
WO (1) WO20170910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86A1 (ko) * 2017-08-25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43682B2 (en) 2018-05-10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68273B2 (en) 2017-08-10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unlicensed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383B1 (ko) 2016-03-25 2021-08-0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72544A1 (en) 2016-03-31 2017-10-05 Ruckus Wireless, Inc. Reliable communication in shared-license-access bands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KR102278751B1 (ko) * 2016-07-23 2021-07-1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비인가 대역에서 채널 엑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923928B (zh) * 2016-11-10 2023-02-21 索尼集团公司 通信终端、通信基站及其通信方法
KR102315778B1 (ko) * 2017-05-04 2021-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시간 식별 방법 및 장치
CN110167160B (zh) * 2018-02-13 2022-01-04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资源分配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终端
US11800560B2 (en) * 2018-08-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KR102588143B1 (ko) * 2018-11-07 2023-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CN114885438A (zh) * 2019-10-06 2022-08-09 奥罗佩法国有限责任公司 用于在共享的下行信道占用时间中执行上行传输的方法和设备
US20230300658A1 (en) * 2022-03-17 2023-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unit allocation for trigger based sensing measurement instances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support ident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5905A1 (en) * 2012-03-08 2013-09-12 Hitachi,Ltd. Gateway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40105031A (ko) * 2009-12-02 2014-08-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745B2 (en) * 2010-03-29 2012-09-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carrier sensing for multi-channel operation
WO2012040520A1 (en) * 2010-09-23 2012-03-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relaying for cellular systems
US9693264B2 (en) * 2011-04-18 2017-06-27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49326B2 (en) * 2011-07-14 2017-01-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US8830947B2 (en) * 2011-08-30 2014-09-09 Broadcom Corporation Channel sensing in uplink transmission
GB2498773A (en) * 2012-01-27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Mapping control channels to hop in the frequency domain while user data channels use opportunistically other parts of the same total band
US9392458B2 (en) * 2013-03-15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Authentication for relay deployment
US9736829B2 (en) * 2013-10-14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management in an unlicensed or shared spectrum
WO2015084095A1 (ko) * 2013-12-06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용 채널을 포함한 무선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53797B2 (en) * 2014-02-03 2017-12-26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division coexistence in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s for mobile devices
KR101553924B1 (ko) * 2014-02-14 2015-09-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분산형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감지 방법
US9503918B2 (en) * 2014-03-20 2016-11-22 Intel IP Corporation ENODEB and UE for dynamic cell on and off
WO2016024848A1 (en) 2014-08-14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dicated core network
EP3200547B1 (en) * 2014-09-26 2021-08-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US10117261B2 (en) * 2014-10-13 2018-10-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carrier sensing and coexistence
WO2016072763A1 (ko) * 2014-11-06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부요소 반송파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65568B2 (en) * 2014-11-14 2017-02-07 Blackberry Limited Sharing channels in a licensed-assisted access in long term evolution operation
US10389494B2 (en) * 2015-01-30 2019-08-20 Intel IP Corporation Uplink schedul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EP3335353B8 (en) * 2015-08-13 2021-01-20 Apple Inc. Discovery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lte in unlicensed band
US10492222B2 (en) * 2015-09-17 2019-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LBT process on multiple carriers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WO2017078796A1 (en) * 2015-11-06 2017-05-11 Intel IP Corporation Partial subframe transmission in licensed assisted access
US10674535B2 (en) * 2015-11-13 2020-06-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opportunist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031A (ko) * 2009-12-02 2014-08-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20130235905A1 (en) * 2012-03-08 2013-09-12 Hitachi,Ltd. Gateway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4767 *
3GPP R1-155533 *
3GPP R1-155627 *
3GPP R1-155899* *
3GPP R1-157132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8273B2 (en) 2017-08-10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unlicensed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39886A1 (ko) * 2017-08-25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22067A (ko) * 2017-08-25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32302B2 (en) 2017-08-25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43682B2 (en) 2018-05-10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0524A1 (en) 2017-05-25
CN108293269B (zh) 2021-08-17
WO2017091003A1 (en) 2017-06-01
CN108293269A (zh) 2018-07-17
US10499426B2 (en) 2019-12-03
KR102420603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0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구간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96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US1149690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and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band
KR10242060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CN110754043B (zh) 用于新无线电的频率选择性上行链路预编码
CN116508365A (zh) 用于无执照频谱中的侧链路通信的基于先听后讲的资源修改以及减少的信道占用时间共享信令
TW201906480A (zh) 用於補充上行鏈路隨機存取配置的技術和裝置
KR102249748B1 (ko)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29278A (ko) Nr 비면허의 프레임 기반 장비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419191B (zh) 用于共享射频频谱中的部分子帧传输的方法和装置
CN110800368B (zh) 在连接释放之后的增强型机器类型通信快速空闲转变
WO2020198304A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waveform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870278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20220070936A1 (en) Sense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transport blocks for new radio sidelink
CN113557763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通信的方法和装置
US11582800B2 (en) Contention window adjustment for group channel occupancy time sharing
US20180263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unlicensed band
CN116058037A (zh) 用于用户设备间协调的侧链路冲突处理
US11395337B2 (en) Relaxed threshold for synchronous access in unlicensed spectrum
KR20180022221A (ko) 비면허대역에서 다중 캐리어 채널엑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202415037A (zh) 非授權頻譜中用於側行鏈路的信道占用時間共用中的感測結構及優先級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