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846A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846A
KR20170059846A KR1020150164328A KR20150164328A KR20170059846A KR 20170059846 A KR20170059846 A KR 20170059846A KR 1020150164328 A KR1020150164328 A KR 1020150164328A KR 20150164328 A KR20150164328 A KR 20150164328A KR 20170059846 A KR20170059846 A KR 2017005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ail terminal
terminal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법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846A/ko
Publication of KR2017005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메일 하우징와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피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이 접촉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접촉시켜 통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 탈착에 따른 스파크(Spark) 등을 방지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엔진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원을 보조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하여 모터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 주행모드와, 엔진 구동력을 보조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주행 모드 등으로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MCU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 바,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전압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로 나누어지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의 체결로 인하여 단품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일 커넥터 및 피메일 커넥터는 전자파(EMI) 차폐를 위한 실드(shield) 구조로 제작되고, 상호 간의 체결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 원터치 캡 구조로 제작되며, 차폐전선의 차폐망 접지 구조로서 피메일 커넥터 내측에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제작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전압 장치의 고압전류에 의한 커넥터 탈장착시 스파크 요소를 제거하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고, 잔여전류에 의한 위험 요소를 없애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메일 하우징와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피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이 접촉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접촉시켜 통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터미널에 삽입되는 상기 메일 터미널과 통전되도록 탄성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메일 터미널의 접촉을 감지하는 볼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메일 터미널과 상기 볼센서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고전압 장치의 고압전류에 의한 커넥터 탈장착시 스파크(Spark)를 제거하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고전압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고전압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고전압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를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고전압 커넥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커넥터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고전압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를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메일 터미널(25)이 구비된 메일 하우징(20)과 메일 터미널(25)이 삽입되는 피메일 터미널(35)이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30) 및 피메일 하우징(30)에 구비되고, 메일 터미널(25)이 접촉되어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을 접촉시켜 통전시키는 접촉부재(40)를 포함한다.
메일 하우징(20)는 내부에 메일 터미널(25)이 구비된다. 메일 하우징(20)에 메일 터미널(25)이 락킹되어 구비된다. 메일 터미널(25)은 피메일 터미널(35)에 결합될 때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반대방향의 후방에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피메일 하우징(30)는 메일 하우징(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피메일 하우징(30)는 메일 터미널(25)이 삽입되는 피메일 터미널(35)이 구비된다. 피메일 터미널(35)에는 메일 터미널(25)이 삽입되어 통전된다.
이때, 피메일 하우징(30)에서 메일 하우징을 탈거하면 고압에 의한 스파크(Spark) 등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 간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접촉부재(40)가 구비된다.
접촉부재(40)는 피메일 터미널(35)에 메일 터미널(25)과의 접촉을 위해 피메일 하우징(30)에 구비된다. 접촉부재(40)는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을 접촉시켜 통전시킨다.
접촉부재(40)는 피메일 터미널(35) 내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터미널(35)에 삽입되는 메일 터미널(25)과 통전되도록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접촉부재(40)는 메일 터미널(25)의 접촉을 감지하는 볼센서(43)와, 메일 터미널(25)과 볼센서(43)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볼센서(4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촉부재(40)는 피메일 터미널(35)의 내부를 관통하고, 피메일 터미널(35)의 내부에 볼센서(43)가 배치되고, 볼센서(43)와 피메일 터미널(35) 사이에 볼센서(43)를 지지하는 탄성부재(46)가 배치된다. 볼센서(43)와 연결되는 와이어(W)는 피메일 터미널(35)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 전자장치와 연결된다. 여기서, 탄성부재(46)는 볼센서(43)와 연결된 와이어(W)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고전압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를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메일 하우징(30)에 메일 하우징(20)를 결합시킨다. 메일 하우징(20)의 메일 터미널(25)을 피메일 터미널(35)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피메일 하우징(30)와 메일 하우징(20)는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에 의해 통전된다.
이때, 피메일 하우징(30)의 내부에 구비된 접촉부재(40)로 메일 하우징(20)를 즉, 메일 터미널(25)을 탄성 지지하여, 스파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일 터미널(25)은 피메일 터미널(35)에 삽입되면, 메일 터미널(25)의 삽입단(25a)이 볼센서(43)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6)는 메일 터미널(25)과 볼센서(43)간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일 터미널(25)의 가압력으로부터 볼센서(43)를 지지하여 메일 터미널(25)에 볼센서(43)를 접촉시킨다.
도 1에서, 고전압 배터리(1)는 커넥터 조립시 볼 센서(43)를 감지하여,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의 연결시 보조 계전기(AUXiliary RELAY)에 접지(GrouND)(2)된다.
한편, 메일 터미널(25)과 피메일 터미널(35)의 탈거시 접지(GND)가 오픈(3)된다. 이때, 고압 케이블이 한개라도 탈거시에는 릴레이(RELAY)가 작동하도록 MCU(4)로 전송하여, 잔여전류로 인한 인명 손상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볼센서(43)로부터 감지하여 캔(CAN)통신을 통해 릴레이(RELAY)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고전원 장치의 고압전류에 의한 커넥터 탈장착시 스파크(Spark)를 제거하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고전압 커넥터 20: 메일 하우징
30: 피메일 하우징 40: 접촉부재

Claims (7)

  1. 내부에 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메일 하우징와;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피메일 터미널이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이 접촉되어 상기 메일 터미널과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접촉시켜 통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터미널에 삽입되는 상기 메일 터미널과 통전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메일 터미널의 접촉을 감지하는 볼센서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메일 터미널과 상기 볼센서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의 외부를 감싸는 고전압 커넥터.
  6.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이 결합되는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이 통전되도록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메일 터미널의 접촉하는 볼센서와,
    상기 메일 터미널의 가압력으로부터 상기 볼센서를 지지하여 상기 메일 터미널에 상기 볼센서를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164328A 2015-11-23 2015-11-23 고전압 커넥터 KR20170059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28A KR20170059846A (ko) 2015-11-23 2015-11-23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28A KR20170059846A (ko) 2015-11-23 2015-11-23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846A true KR20170059846A (ko) 2017-05-31

Family

ID=5905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328A KR20170059846A (ko) 2015-11-23 2015-11-23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3774B2 (en) 2018-06-12 2021-06-22 Lg Chem, Ltd. Connector having surge prevention function and circuit board includ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3774B2 (en) 2018-06-12 2021-06-22 Lg Chem, Ltd. Connector having surge prevention function and circuit board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9992B2 (en) Connector part comprising a circuit board
US7351098B2 (en) EMI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US20180269619A1 (en) Car charging plug-in connector
US9923311B2 (en) Safety system for high current applications
EP2360050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190782B2 (en) Power connection system
EP1830438A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KR200467833Y1 (ko) 차량용 노이즈 저감 고전압 커넥터
US7766675B2 (en) Connector
JP6123134B2 (ja) 給電制御装置
KR20180088045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CN102891566A (zh) 直流电机
CN107666071B (zh) 用于耦联高压接头的插接装置和具有该插接装置的系统
KR20170059846A (ko) 고전압 커넥터
CN211556234U (zh) 一种充电枪及充电桩
JP2013138570A (ja) 高電圧機器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210074317U (zh) 具有电路板的插拔连接件
JP2008262811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0833802B1 (ko) 쉴드쉘 커넥터 조립체
CN211126215U (zh) 换电连接器
KR20190081786A (ko) 완속 충전기
CN208690616U (zh) 电连接器
WO2014157317A1 (ja) 充電コネクタ
KR20120090308A (ko) 전동 압축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