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848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848A
KR20170058848A KR1020160140378A KR20160140378A KR20170058848A KR 20170058848 A KR20170058848 A KR 20170058848A KR 1020160140378 A KR1020160140378 A KR 1020160140378A KR 20160140378 A KR20160140378 A KR 20160140378A KR 20170058848 A KR20170058848 A KR 20170058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core network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787B1 (ko
Inventor
정상수
박종한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4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787B1/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428320.7A priority patent/CN112954775A/zh
Priority to EP22157546.7A priority patent/EP4021032A1/en
Priority to JP2018526501A priority patent/JP2018538744A/ja
Priority to CN202111192410.7A priority patent/CN113891433A/zh
Priority to PCT/KR2016/012805 priority patent/WO2017086646A1/ko
Priority to JP2018526549A priority patent/JP2018538747A/ja
Priority to CN201680067157.3A priority patent/CN108293226B/zh
Priority to CN201680066884.8A priority patent/CN108293225B/zh
Priority to ES16866599T priority patent/ES2919553T3/es
Priority to EP16866598.2A priority patent/EP3364695B1/en
Priority to PCT/KR2016/012814 priority patent/WO2017086647A1/ko
Priority to EP16866599.0A priority patent/EP3379867B1/en
Priority to ES16866598T priority patent/ES2914802T3/es
Priority to EP22160678.3A priority patent/EP4030796A1/en
Publication of KR2017005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787B1/ko
Priority to US15/981,351 priority patent/US11178600B2/en
Priority to US15/985,110 priority patent/US10609636B2/en
Priority to US16/793,882 priority patent/US11265809B2/en
Priority to JP2020104816A priority patent/JP7128234B2/ja
Priority to US17/500,071 priority patent/US20220039005A1/en
Priority to US17/584,458 priority patent/US11792728B2/en
Priority to JP2022023078A priority patent/JP202206226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함에 있어, 리라우트(re-route)없이 사용자 가입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시스템 운영의 용이성이나 QoS 보호 등을 목적으로 서비스별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분리하여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코어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는 특정 서비스(예컨대, IoT)에 할당(dedicated)된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 이하 '전용 코어 네트워크')이고, 다른 하나는 그 외의 모든 서비스에 공통(common)적으로 사용되는 코어 네트워크(Common Core Network, 이하 '공통 코어 네트워크')이다. 이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운용하는 경우, 기기 및 사용자 별로 다른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장치가 망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의 가입정보(subscription)에 따른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가 선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코어 네트워크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3GPP Release 13 표준에서 도입된 기술로서 사용자 단말장치(User Equipment: UE)이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가입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Usage Type)를 이용하여 서비스별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기술을 도시한다. 단말장치(1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S110), 기지국장치(eNodeB, 20)은 단말장치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서비스별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없고, 우선 설정에 따라 기본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접속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12). 이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MME 1, 30a)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HSS, 40)로 위치 업데이트 요청(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114) HSS(40)로부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S116). MME 1(30a)은 접속한 코어 네트워크가 가입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지원하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MME 2, 30b)를 선택하고(S118) 선택한 다른 코어 네트워크로 단말장치를 우회(re-direct)시키기 위해 NAS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장치(20)으로 전송한다(S120). 이후 과정은 기존의 위치등록(Attach/TAU(Tracking Area Update)) 과정과 동일하다.
종래의 코어 네트워크 선택 방법은 기지국장치가 먼저 임의의 코어 네트워크로 단말장치의 접속을 시도한 후, 다시 다른 코어 네트워크로 우회시키기 때문에 접속 시도를 2번 시도해야 한다. 이는 접속 시간 및 오버헤드(overhead)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가 네트워크에서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 기본(default) 서비스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 QoS(Quality of Service)를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 원인 중 일부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과 한 사용자에게 하나의 서비스 타입만이 허용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함에 있어, 리라우트(re-route)없이 사용자 가입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비스정보 DB 또는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부,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 또는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서비스정보 DB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단말장치로부터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장치 식별정보 획득부 및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를 선택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위치등록 성공 시,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 또는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특정 서비스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의 노드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부,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서비스정보 판단부 및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위치등록 시, 기지국장치로부터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가 지원하는 서비스정보인 지원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지원서비스 정보 획득부, 지원서비스 정보와 단말장치에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서비스지원 확인부, 및 서비스지원 확인부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비스정보 DB 또는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단계 및 서비스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를 선택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위치등록 성공 시,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 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정보를 특정 서비스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의 노드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단계, 서비스정보 획득단계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서비스정보 판단단계 및 서비스정보 획득단계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서비스정보 획득과정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위치등록 시, 기지국장치로부터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가 지원하는 서비스정보인 지원서비스 정보 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는 지원서비스 정보 획득단계, 지원서비스 정보와 단말장치에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서비스지원 확인단계 및 서비스지원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함에 있어, 리라우트(re-route)없이 사용자 가입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직접 수행하여 코어 네트워크가 잘못 선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사용자 단말장치가 직접 수행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확장성(scalability)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을 사전 공지하여 잘못된 코어 네트워크 선택에 따른 접속 시간 및 메시지 오버헤드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더 나은 QoS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어 네트워크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기지국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3GPP LTE 또는 LTE-Advanced 시스템에서 진화하는 3GPP Release 13 및 Release 14 표준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또는 Long Term Evolution System)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시스템에 기반한 차세대 이동/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단말장치(User Equipment: UE, 10), 기지국장치(eNodeB, 20),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칭함, 30), 및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칭함, 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통신 단말장치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Phone)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지국장치(20)는 예를 들어, E-UTRAN 셀(cell)을 지원하며, 단말장치(10)와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 EPC) 사이의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는 SGW(Serving Gateway, 미도시),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W, 미도시), MME(30), 및 HSS(40)이 포함된다.
MME(30)는 단말장치(10)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handover)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30)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또한, MME(30)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장치-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장치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HSS(40)는 가입자(subscription) 정보, 가입자 인증, 및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단말장치(10)가 네트워크에 접속(attach) 시, 해당 단말장치(10)에 관한 가입자 정보 등을 MME(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두 번의 접속시도로 인한 접속시간 증가,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 및 QoS 저하 등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MME(30)가 HSS(40)로부터 직접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점과, 한 사용자에게 하나의 서비스 타입만이 허용되는 점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장치(20)가 직접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서비스정보 DB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MME(30)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선택방법에 대하여 MME(30)를 선택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후 코어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 예를들어 SGW나 PGW를 선택하는 것은 기지국장치가 MME를 선택하는 것과 유사하게, MME가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기지국장치(20)가 코어 네트워크 즉, MME(30)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여 리라우트(re-route)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말한다.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는 구체적으로, 종래의 Usage Type보다는 넓은 개념으로서 '슬라이스 타입(Slice Type) 정보'를 포함한다. 슬라이스 타입 정보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특정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용도에 따라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한 단위를 말한다. 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기술이 구현된 네트워크를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는 슬라이스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것이며, Usage Type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그대로 Usage Type의 형태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정보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Mission Critical 서비스, 음성통화 서비스, MBB(Mobile Broadband Service)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정보 DB(50)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한다. 서비스정보 DB(50)를 기지국장치(20)와 연결하여 기지국장치(20)가 MME(3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장치가 직접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선택의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장치(10)가 기지국장치(20)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장치(10)는 기지국장치(20)에 대해 랜덤액세스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S210). 그리고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 간에는 RRC 연결 셋업(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Setup)을 위한 초기 과정이 수행된다(S210).
단말장치(10)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 DCN)의 사용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212). 여기서 전용 코어 네트워크는 특정 유형의 서비스, 즉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여러 서비스 중 하나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코어 네트워크를 말하며 공통 코어 네트워크(Common Core Network)와 대비되는 네트워크이다.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단말장치(10)는 RRC 메시지로 단말장치(10)의 식별정보(예컨대, IMSI)를 기지국장치(20)에 전달한다(S214).
기지국장치(20)는 서비스정보 DB(5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S216). 이에 따라 서비스정보 DB(50)는 기지국장치(20)으로 단말장치의 식별정보에 매핑되는 서비스정보를 전달한다(S218).
기지국장치(20)는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MME)를 선택한다(S220).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지국장치(20)는 획득한 슬라이스 타입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되는 MME의 ID 또는 MMEGI(MME Group Identifier)를 찾거나, 별도의 서버(예컨대, DSN(Domain Name System) 등)에 서비스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MME 질의하여 MME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MME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20)는 선택된 MME(30)로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가 포함된 초기 단말장치 메시지(Initial UE Message)를 전달한다(S222). 이후의 과정은 기존의 위치등록(Attach/TAU(Tracking Area Update)) 과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정보 DB(50)는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데 한정되는 DB이거나, 또는 기존의 사용자 가입정보를 저장하는 DB, 예를 들어 HSS(Home Subscriber Server)나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에 추가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선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기지국장치에 노출되고 많은 수의 기지국장치와 서비스정보 DB를 연동해야 하므로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이 예시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가 직접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고 기지국장치(20)는 단말장치(10)가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예를 들어, DECOR)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 있다(S310).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MME, 30)로 단말장치(10)의 접속(attach) 절차가 수행되고, 접속(attach)이 수락되는 경우 MME(30)는 NAS 수락(accept)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S312).
과정 S312에서는 MME(30)가 단말장치(10)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정보는 MME(30)가 HSS(40)로부터 수신한 가입된 서비스 정보(예, Network Slice Type이나 Usage Type)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MME를 선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정보,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MMEGI들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여기서 MME(30)가 제공하는 정보는 슬라이스 타입 정보와 같이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Validity Timer)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미리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서비스정보(예를 들어,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단말장치에 포함된 기억장치(미도시)에 저장한다(S314).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슬라이스 타입 정보와 같이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Validity Timer)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타이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기존에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장치(10)는 기지국장치(20)에 대해 랜덤액세스과정(RACH)을 수행하고,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 간에는 RRC 연결 셋업(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Setup)을 위한 초기 과정이 수행된다(S316). 이후, 단말장치(10)는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장치(20)으로 전달한다(S318). 이와 같이 단말장치(10)로부터 기지국장치(20)에 전달된 서비스정보는 기지국장치(20)가 새로운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S320)하는 데 이용된다.
도 3은 기지국장치가 새롭게 선택한 MME가 기 선택된 MME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한다. 기지국장치(10)은 새롭게 MME(30)를 선택하고 선택한 MME(30)로 NAS 메시지가 포함된 초기 단말장치 메시지를 전달한다(S322). 여기서 초기 단말장치 메시지는 단말장치(10)로부터 기지국장치(20)가 수신한 슬라이스 타입 정보 즉, 서비스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가 MME(30)로 전송하는 NAS 메시지에 직접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초기 단말장치 메시지를 수신한 MME(30)는 HSS(40)로 단말장치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IMSI)를 포함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24). 이에 따라 HSS(4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 즉, 단말장치(10)에 허용되는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위치 업데이트 수락(Update Location Answer) 메시지에 포함시켜 MME(30)로 전송한다(S326).
MME(30)는 HSS(40)로부터 수신한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요청된 슬라이스 타입의 코어 네트워크 사용을 수락할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S328). 과정 S328은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슬라이스 타입 정보만으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로써 코어 네트워크 선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예시하는 실시예는 한번이라도 네트워크 접속이 발생한 이후에는 리라우트가 발생하지 않으나, 초기 네트워크 접속(attach) 시에는 리라우트(re-route)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별도의 서버(60)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에 서비스정보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별개의 장치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와 통합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가 구성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pre-configured)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는 단말장치(10)의 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의 특성정보(예컨대, Low Priority Access) 등을 포함한 서비스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에 전송할 수 있다(S410). 과정 S410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는 단말장치(10)에 적합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하여 서비스정보 푸쉬 메시지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412).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서비스정보는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과정 S412는 OMA-DM(Open Mobile Alliance-Device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는 NAS MO(Management Object)를 이용하여 서비스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저장한다(S414). 이후, 위치등록(Attach/TAU)이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는 기지국장치(20)에 대해 랜덤액세스과정(RACH)을 수행하고,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 간에는 RRC 연결 셋업을 위한 초기 과정이 수행된다(S416). 여기서 위치등록이 필요한 경우는, 단말장치(10)가 등록된 TA(Tracking Area)를 벗어난 경우, 사업자(PLMN) 영역을 벗어난 경우, 사용 중이던 RAT을 바꿔야 하는 경우, 또는 망으로부터 접속종료(detach) 명령을 받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예컨대,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기지국장치(20)으로 전송한다(S418). 과정 S416 및 과정 S418은 도 3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며 이후의 과정도 역시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에 대해 1개의 Usage Type만 허용되어, 가입한 Usage Type의 사용이 불가하면 동일 사업자(Operator)로부터 기본(default) 서비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네트워크가 공유(Network Sharing)되거나 단말장치가 직접 두 개 이상의 사업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망 사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만약 두 사업자(예를 들어, 사업자 A와 사업자 B) 망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 사업자 A로부터 기본 서비스를 받는 것보다 사업자 B를 선택하여 특정(dedicated) 서비스에 대한 QoS를 제공받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른 본 실시예는 단말장치(10)가 인증/접속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사전에 공지하여 불필요한 서비스 협의(negotiation) 과정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단말장치(10)가 직접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망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20)는 자신과 연결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정보(이하, '지원서비스 정보'라 칭함))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S510). 과정 S510에서 기지국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지원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과정 S510에서 기지국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지원서비스 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하여 유니캐스트할 수도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기지국장치(20)는 단말장치(10)가 제공하는 정보(예컨대, UE Radio Capability 또는 Device Property 등)를 고려하여 단말장치(10)에게 전달될 서비스정보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단말장치(10)가 브로드캐스트 지원서비스 정보를 이미 수신했는데, 특정 셀에 접속 후 유니캐스트를 통해 지원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장치는 해당 셀에 접속한 동안에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지원서비스 정보는 OAM 기능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20)에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장치(20)가 MME(30)와 S1 셋업(setup)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MME(30)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장치(10)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획득한 지원서비스 정보와 단말장치(10) 자신에게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한다(S512).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지원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장치(10)는 해당 슬라이스 타입으로 접속하고,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나 다른 사업자(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를 선택한다(S514). 이 과정 중에 단말장치(10)는 슬라이스 타입 별 우선순위, RAT 선택의 우선순위, 사업자 선택의 우선순위를 모두 고려하여 동작한다. 이후 코어 네트워크 접속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10)가 직접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확장성(scal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이 예시하는 본 실시예는 서비스정보가 단말장치(10)에 적용되는 서비스 타입정보, 서비스 타입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 우선순위정보, 및 PLMN 식별정보(PLMN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하게(flexible)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는 단말장치(1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에 슬라이스 타입정보뿐만 아니라 PLMN 식별정보, 및 우선순위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LMN ID X ---- slice type 1 ---- priority 1
---- slice type 2 ---- priority 2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기지국장치(20)로부터 SIB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지원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2).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정보 및 지원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할 셀의 슬라이스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S614).
과정 S614에서 단말장치는 셀 정보를 수집한 후 접속할 셀을 선택할 때 접속 가능한 셀이 지원하는 슬라이스 타입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최우선 슬라이스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과정 S614에서는 단말장치(10)가 접속하는 PLMN이나 RAT가 변경될 수 있는데, 너무 빈번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장치(10)에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는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타입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시작하면, 불가피한 상황(망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등)을 제외하고는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라이스 타입을 변경하지 않는다.
도 6의 과정 S618 내지 과정 S626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이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 대하여 단말장치(10)의 위치등록(Attach/TAU) 성공시(즉, Attach/TAU 수락 메시지 수신 시), 단말장치(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 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정보를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예컨대, MME)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S710).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적용되는 서비스 타입정보, 및 서비스 타입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정보는 슬라이스 타입정보로도 불릴 수 있다.
과정 S712에서 단말장치(10)는 저장된 서비스 타입정보에 대한 유효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유효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타입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의 이동이나 상태변화에 따라 위치등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는 경우(S714, 예)에는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한다(S716). 여기서 위치등록이 필요한 경우는, 단말장치(10)가 등록된 TA(Tracking Area)를 벗어난 경우, 사업자(PLMN) 영역을 벗어난 경우, 사용 중이던 RAT을 바꿔야 하는 경우, 또는 망으로부터 접속종료(detach) 명령을 받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정보는 서비스정보가 PLMN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사업자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만약 PLMN 정보가 별도로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장치(10)가 등록(registered)된 PLMN에 대해서만 수신된 서비스 정보가 유효하다고 간주한다.
과정 S716은 (i) 기존에 접속한 전용 코어 네트워크와 새로 접속할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PLMN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 (ii) 단말장치(10)가 기존에 등록된 영역이 아닌 새로운 영역에 위치등록을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iii)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유효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서비스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영역은 새로운 TA(Tracking Area), 새로운 RA(Routing Area) 또는 새로운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장치(20) 접속 시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20)에 전송한다(S718).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전송할 서비스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과정 S718 이후, 단말장치(10)는 위치등록의 나머지 과정들을 수행한다(S722).
한편, 서비스정보 판단결과 유효한 서비스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는 종래 기술(예를 들어, 3GPP Rel-13 DECOR)을 이용하여 동작한다(S72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S810).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적용되는 서비스타입 정보, 서비스타입 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 우선순위정보, 및 PLMN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과정 S810에서 단말장치(10)는 기 연결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예컨대, MME, SGSN 등)로부터 서비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단말장치(10)의 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의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에 적합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하는 서비스정보 구성서버(60)로부터 서비스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미리 설정(pre-configured)될 수도 있다.
과정 S810 이후, 단말장치(10)의 이동이나 상태 변화에 따라 위치등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S812, 예) 단말장치(10)는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장치(20)로부터 기지국장치(20)와 연결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지원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14). 여기서 지원서비스 정보는 기지국장치(20)에 의해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원서비스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유니캐스트될 수도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기지국장치(20)는 단말장치(10)가 제공하는 정보(예컨대, UE Radio Capability 또는 Device Property 등)를 고려하여 단말장치(10)에게 전달될 서비스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지원서비스 정보는 OAM 기능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20)에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장치(20)가 MME(30)와 S1 셋업(setup)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MME(30)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지원서비스 정보와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기 연결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한다(S816).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지원서비스 정보와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지원서비스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최우선 서비스정보)을 선택하여 기지국장치(20)으로 전달할 수 있다(S818). 이때 단말장치(10)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포함시시켜 기지국장치(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는 위치등록의 나머지 과정을 수행한다(S822).
또한, 단말장치(10)는 비교결과 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서비스정보가 지원서비스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S816, 아니오)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지원하는 다른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른 기지국장치 셀을 선택할 수 있다(S820). 여기서 다른 기지국장치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단말장치(10)는 RAT, 기지국장치, 또는 PLMN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기지국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장치(20)는 서비스정보 획득부(22), 단말장치 식별정보 획득부(24), 및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부(26)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별개의 장치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정보 획득부(22)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비스정보 DB(미도시) 또는 단말장치(10)로부터 획득한다.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10)로부터 직접 획득하는 경우에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기 저장되어 기지국장치(20)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정보를 서비스정보 DB로부터 획득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단말장치(10)는 RRC 메시지로 단말장치(10)의 식별정보(예컨대, IMSI)를 기지국장치(20)에 전달한다. 단말장치 식별정보 획득부(24)는 단말장치(10)가 전달한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기지국장치(20)는 서비스정보 DB에 접속하여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슬라이스 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정보 획득부(22)는 서비스정보 DB로부터 단말장치의 식별정보에 매핑되는 서비스정보를 획득한다.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부(26)는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MME)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부(26)은 획득한 슬라이스 타입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되는 MME의 ID 또는 MMEGI(MME Group Identifier)를 찾거나, 별도의 서버(예컨대, DSN(Domain Name System) 등)에 질의함으로써 MME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 획득부(12), 서비스정보 판단부(14), 및 서비스정보 전송부(19)를 포함한다.
서비스정보 획득부(12)는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 대하여 단말장치의 위치등록 성공 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적용되는 서비스 타입정보, 및 서비스 타입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정보 판단부(14)는 새로운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비스정보 획득부(12)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서비스정보 판단부(14)는 (i) 새로운 전용 코어 네트워크가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 (ii) 기 선택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정보 획득 시에 등록된 단말장치(10)의 위치와 새로운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 등록될 단말장치(10)의 위치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 및 (iii)단말장치(10)에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유효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서비스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정보 판단부(14)에서 판단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의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서 그 유효성이 다시 확인될 수 있다.
서비스정보 전송부(19)는 서비스정보 판단부(14)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서비스정보 획득부(12)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2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전송할 서비스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 획득부(12) 및 서비스정보 전송부(19) 외에 지원서비스 정보 획득부(16) 및 서비스지원 확인부(18)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정보 획득부(12)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단말장치(10)에 적용되는 서비스타입 정보, 서비스타입 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 우선순위정보, 및 PLMN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원서비스 정보 획득부(16)는 단말장치(10)의 위치등록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장치(20)로부터 전용 코어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서비스정보인 지원서비스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위치등록이 필요한 경우는 단말장치(10)가 등록된 TA(tracking area)를 벗어난 경우, 사업자(PLMN) 영역을 벗어난 경우, 사용 중이던 RAT를 바꿔야 하는 경우, 또는 망으로부터 Detach 명령을 받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지원 확인부(18)는 하나 이상의 지원서비스 정보와 서비스정보 획득부(12)에서 저장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기 연결된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 획득부(12)에서 저장한 서비스정보(즉,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는 기존에 위치등록한 전용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 단말장치(10)에 미리 구성(pro-configured)될 수 있다. 별도의 서버는 단말장치(10)의 식별정보 및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에 적합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지원 확인부(18)는 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지원서비스 정보와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비스정보 전송부(19)는 서비스지원 확인부(18)의 비교결과, 지원서비스 정보와 일치하는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선택하여 기지국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정보 확인부(18)의 비교결과,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서비스정보가 지원서비스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지원하는 다른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지국장치(20)의 셀과는 다른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8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리라우트(re-route)없이 접속 시간 및 메시지 오버헤드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더 나은 QoS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단말장치 20: 기지국장치
30: MME 40: HSS
50: 서비스정보 DB 60: 서비스정보 구성서버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부; 및
    상기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를 선택하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위치등록 성공 시,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정보를 특정 서비스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의 노드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획득부;
    상기 서비스정보 획득부에서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서비스정보 판단부; 및
    상기 저장된 서비스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서비스 타입정보, 상기 서비스 타입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 및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 판단부는,
    기존에 접속한 전용 코어 네트워크와 새로 접속할 전용 코어 네트워크의 PLMN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 상기 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유효 타이머의 만료 여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기존에 등록된 영역이 아닌 새로운 영역에 위치등록을 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위치등록 시, 기지국장치로부터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가 지원하는 서비스정보인 지원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지원서비스 정보 획득부;
    상기 지원서비스 정보와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용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서비스지원 확인부; 및
    상기 서비스지원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는,
    기존에 위치등록한 전용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구성되는(pre-configur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의 식별정보 및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적합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서비스 타입 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타이머, 우선순위정보, 및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지원 확인부는,
    상기 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상기 지원서비스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 전송부는,
    상기 서비스지원 확인부의 비교 결과, 상기 지원서비스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지원 확인부의 비교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서비스정보가 상기 지원서비스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우선 서비스정보를 지원하는 다른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의 셀과는 다른 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60140378A 2015-11-19 2016-10-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9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78A KR101795787B1 (ko) 2016-10-26 2016-10-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6/012814 WO2017086647A1 (ko) 2015-11-19 2016-11-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26501A JP2018538744A (ja) 2015-11-19 2016-11-08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CN202111192410.7A CN113891433A (zh) 2015-11-19 2016-11-08 操作用于选择核心网络的基站设备和终端装置的方法
PCT/KR2016/012805 WO2017086646A1 (ko) 2015-11-19 2016-11-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26549A JP2018538747A (ja) 2015-11-19 2016-11-08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CN201680067157.3A CN108293226B (zh) 2015-11-19 2016-11-08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核心网络的方法和设备
CN201680066884.8A CN108293225B (zh) 2015-11-19 2016-11-08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核心网络的方法和设备
ES16866599T ES2919553T3 (es) 2015-11-19 2016-11-08 Aparatos para seleccionar una red centr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EP22157546.7A EP4021032A1 (en) 2015-11-19 2016-11-08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2110428320.7A CN112954775A (zh) 2015-11-19 2016-11-08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核心网络的基站设备
EP16866598.2A EP3364695B1 (en) 2015-11-19 2016-11-08 Method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6866599.0A EP3379867B1 (en) 2015-11-19 2016-11-08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160678.3A EP4030796A1 (en) 2015-11-19 2016-11-08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S16866598T ES2914802T3 (es) 2015-11-19 2016-11-08 Procedimientos para seleccionar una red centr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US15/981,351 US11178600B2 (en) 2015-11-19 2018-05-1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5/985,110 US10609636B2 (en) 2015-11-19 2018-05-21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6/793,882 US11265809B2 (en) 2015-11-19 2020-02-18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0104816A JP7128234B2 (ja) 2015-11-19 2020-06-17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US17/500,071 US20220039005A1 (en) 2015-11-19 2021-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7/584,458 US11792728B2 (en) 2015-11-19 2022-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2023078A JP2022062265A (ja) 2015-11-19 2022-02-17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78A KR101795787B1 (ko) 2016-10-26 2016-10-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90A Division KR101795786B1 (ko) 2015-11-19 2015-11-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848A true KR20170058848A (ko) 2017-05-29
KR101795787B1 KR101795787B1 (ko) 2017-11-08

Family

ID=5905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78A KR101795787B1 (ko) 2015-11-19 2016-10-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434A (ko) * 2017-08-11 2021-10-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소스 기지국, 타깃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707A (ko) 2018-05-31 2019-12-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와 그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1382B (zh) 2008-06-18 2015-09-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接入的装置
CN101868002B (zh) 2009-04-17 2012-1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控制ue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KR101863478B1 (ko) * 2014-04-28 2018-05-31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전용 네트워크 노드를 통한 통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434A (ko) * 2017-08-11 2021-10-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소스 기지국, 타깃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
US11758441B2 (en) 2017-08-11 2023-09-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source base station, target base station, core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787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823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353353B (zh) 通信系统
CN107925955B (zh) 无线电接入网节点和移动终端及其通信方法、通信系统
US11706705B2 (en) Multimedia priority service
ES2948518T3 (es) Seleccionar una entidad de función de plano de usuario (upf) en una entidad de función de control de políticas (PCF) en base a la información de cambio de ubicación del terminal proporcionada a partir de una entidad de función de gestión de sesión (SMF)
US9432960B2 (en) Method of handl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86506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KR202001153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137474A1 (en) Maintenance of forbidden tracking area list in nr systems
KR201101376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 간 연결 방법
US10334640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957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9578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EP4349075A1 (en) Technique for network slice rejection and admission control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