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726A -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726A
KR20170058726A KR1020150162705A KR20150162705A KR20170058726A KR 20170058726 A KR20170058726 A KR 20170058726A KR 1020150162705 A KR1020150162705 A KR 1020150162705A KR 20150162705 A KR20150162705 A KR 20150162705A KR 20170058726 A KR20170058726 A KR 2017005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data
signal
reference device
additio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건용
김정진
백인권
이동훈
장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726A/ko
Priority to US15/350,521 priority patent/US20170150188A1/en
Publication of KR2017005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Signal processing at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04N5/440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4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additional data relating to the broadcast data are available via a different channel than the broad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고,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BROADCAST RECEIVING SYSTEM INCLUD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고 고성능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방송 기술의 경우에도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 및 서라운드 사운드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많은 방송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하고 실감나는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많은 사용자는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도시에는 고층빌딩을 포함하여 많은 건물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실내에서 수신한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에러없이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열악한 채널 환경하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에러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상기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시스템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장치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부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부가 신호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한다.
그리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장치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부가 신호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상기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장치가 부가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시스템의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시스템(1000)이 도시되어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1000)은 방송 송신 장치(10), 기준(Reference) 장치(200) 및 방송 수신 장치(300)를 포함한다. 방송 송신 장치(10)는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방송 신호는 방송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송신 장치(10)는 방송국, 방송 통신 대역으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텐츠 공급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는 기준 장치(200) 및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방송 신호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 등을 통해 기준 장치(200) 및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기준 장치(200) 및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셋탑 박스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준 장치(200)는 서버,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200)는 방송 송산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장치(200)는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고성능의 안테나 등을 포함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장치(200)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에러가 거의 없는 양호한 품질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송신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일반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집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열악한 품질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스마트 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장치, TV,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200)와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장치(200)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방송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즉, 기준 장치(200)는 수신된 방송 신호 중에서 방송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장치(200)는 부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부가 신호는 방송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 장치(200)는 추출된 방송 데이터에 헤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헤더 정보는 방송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200)는 생성된 부가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0)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멀리 있는 지역까지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러에 강건할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부가 신호는 디지털 신호 형태로 짧은 거리의 장치로 전송되므로 최소한의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 신호는 방송 신호에 비해 데이터량이 적으며, 작은 대역폭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송신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준 장치(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이다. 그러나,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보다 에러가 적은 데이터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할 수 있다. 정렬(align)이라는 표현은 동기화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와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동일한 프레임을 대비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와 에러 부분을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1000)은 상술한 방법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100)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러가 없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블록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튜너(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튜너(11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통신부(120)는 부가 신호를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부가 신호는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20)는 기준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기준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100)를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방식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는 인터넷, 이더넷,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을 이용하여 기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시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한다.
프로세서(13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튜너(110)로부터 전달받는다. 프로세서(130)는 튜너(110)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방송 데이터를 파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부가 신호를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는다. 부가 신호는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부가 신호 내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 순서를 판별하고 대응되는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을 정렬(align)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정렬된 프레임을 기초로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교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프로세서(130)는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판단하고 대응되는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와 대응되는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이산(discrete) 방식(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프레임 내의 정확한 데이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은 0일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이 에러 때문에 0.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은 0일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과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을 더하면 0.5이고, 두 개의 값을 더했으므로 2로 나누면 0.25가 된다. 이산 방식(또는 디지털 방식)은 0과 1만의 값을 가지므로 0.25는 0의 값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의 제1 프레임의 제1 픽셀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100a)는 튜너(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부(140), 스피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10)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는 복수 개의 방송 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통신부(120)는 기준 장치로부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 및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 부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에서 방송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방송 신호를 파싱하여 방송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방송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 부가 신호에서 방송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렬(align)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방송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방송 데이터 중 교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전달하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5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교정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40)는 교정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50)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방송 데이터의 정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기준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의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가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와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부가 신호는 인터넷, 와이-파이 또는 화이트 스페이스 방송 대역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므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부가 신호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방송 신호 간에는 시간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차가 발생하는 부가 신호의 방송 데이터와 방송 신호의 방송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정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든 지상파 방송 규격에는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방 데이터의 동기화 및 복호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시그널링 정보 또는 파일럿 신호 등을 전송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 장치는 별도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 등을 방송 수신 장치로 보낼 필요가 없다. 기준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 중 시그널링 정보 구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링 정보 구간을 방송 수신 장치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 삽입 구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준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시그널링 정보 구간에 삽입하여 헤더 정보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부가 신호를 수신하고, 부가 신호 내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와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정렬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와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판단하고, 두 데이터 간의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상관 관계 및 지연 시간을 기초로 부가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와 방송 신호 내의 방송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정렬(align)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에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디지털 방송 규격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북미향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식인 ATSC-8VSB(8-Vesigial Side Band) 방송 신호의 변조는 데이터 랜더마이저(Data Randomizer), 리드 솔로몬 인코더(Read Solomon Encoder), 데이터 인터리버(Data Interleaver), 트렐리스 인코더(Trellis Encoder), 싱크 먹스(Sync MUX), 파일럿 삽입(Pilot Insertion), 프리 이퀄라이저 필터(Preequalizer Filter), VSB 모듈레이터(VSB Modulator) 및 RF 업컨버터(RF Upconverter)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변조기의 입력 신호는 19.39 Mbps의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데이터 랜더마이저(Data Randomizer)는 0000, 1111과 같이 고정된 값의 반복되는 패턴을 없애 에러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즉, 데이터 랜더마이저는 RF 에너지가 채널에 고르게 분포하게 하여 변조를 할 때 간섭을 줄여줄 수 있다. 리드 솔로몬 인코더(Read Solomon Encoder)는 블럭코딩 기술의 한가지 방식으로 한 패킷(예, 187 바이트)을 블록으로 묶어서 블록당 20 바이트의 패리티를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리버(Data Interleaver)는 버스트 에러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렐리스 인코더(Trellis Encoder)는 콘볼루션 코딩기술의 한가지 방식으로서 매 2 비트당 이전 2 비트를 참고하여 1 비트의 코딩 계산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1 비트의 리던던시(redundancy) 비트가 추가될 수 있다.
싱크 먹스(Sync MUX)는 수신 장치에서 RF 신호를 검출하고 복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세그먼트 싱크 및 필드 싱크를 삽입할 수 있다. 파일럿 삽입(Pilot Insertion)(21)은 수신 장치에서 전송 채널 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파일럿 패턴의 파일럿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프리 이퀄라이저 필터(Pre-equalizer Filter)는 SNR(Signal to Noise Ratio) 감소를 보상하기 위한 과정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VSB 모듈레이터(VSB Modulator)는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8-VSB 신호를 진폭변조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F 업컨버터(RF Upconverter)는 생성된 IF 신호를 원하는 채널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파일럿 삽입(21) 과정에서 삽입된 파일럿 삽입 영역이 주기적인 시그널링 정보 또는 파일럿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준 장치는 파일럿 인설션(21) 과정에서 삽입된 파일럿 영역을 헤더 정보를 삽입하는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ATSC 데이터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파일럿 삽입 영역은 도 4(b)에서 도시된 형태와 동일한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즉, 파일럿 삽입 영역은 24.2ms마다 주기적으로 필드 싱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4c에는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 version 2) 디지털 방송 규격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럽향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식인 DVB-T2 방송 신호의 변조는 MISO 프로세싱(MISO processing), 파일럿 인설션 및 더미 톤 리저베이션(Pilot insertion & dummy tone reservation), IFFT,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리덕션(PAPR reduction), 가드 인터벌 인설션(Guard interval insertion), P1 심볼 인설션(P1 Symbol insertion) 및 DAC(Digital-to-Analog Conversion)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MISO 프로세싱(MISO processing)은 alamouti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OFDM 심볼 셀의 쌍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파일럿 인설션 및 더미 톤 리저베이션(Pilot insertion & dummy tone reservation)는 수신 장치에서 전송 채널 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파일럿 패턴의 파일럿 신호를 신호 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더미 캐리어는 DVB-T2 출력 신호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줄이기 위해 변조 및 예약되지 않을 수 있다. IFFT는 고속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파일럿이 삽입된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PAPR 리덕션(PAPR reduction)은 시간 영역의 신호들의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드 인터벌 인설션(Guard interval insertion)은 OFDM 심볼의 마지막 부분을 해당 OFDM 심볼의 앞부분에 복사함으로써 cylic prefix 형태의 가드 인터벌을 삽입할 수 있다. P1 심볼 인설션(P1 Symbol insertion)(22)은 신호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P1 심볼을 삽입할 수 있다. DAC(Digital-to-Analog Conversion)는 신호 프레임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준 장치는 P1 심볼 인설션(P1 Symbol insertion)(22) 과정에서 삽입된 파일럿 영역을 헤더 정보를 삽입하는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기준 장치는 DVB-T2 방송 규격에서도 주기적인 시그널링 정보 구간을 이용하여 헤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가 삽입한 헤더 정보를 수신하여 두 개의 방송 데이터의 동기화를 쉽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장치가 부가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준 장치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장치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동일한 방송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는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와 동일한 방송 데이터일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및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방송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방송 신호의 데이터 영역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방송 신호의 정보 영역은 어떤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Null 영역).
도 5(b)를 참조하면, 기준 장치가 삽입하는 헤더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헤더 정보는 패턴 정보와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정보는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로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 일련의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규약이 없으면 수신하는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장치는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임을 표시할 수 있다. 패턴 정보는 기설정된 일정한 패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정보는 '010001000111'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장치는 헤더 정보에 패턴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전송하는 신호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에 패턴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임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헤더 정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순서 정보는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순서 정보는 현재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가 몇번째 프레임인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동일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는 동일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는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에 비해 에러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는 동일한 프레임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해야 한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몇번째 프레임인지 알 수 있어야 한다. 기준 장치는 헤더 정보에 순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의 순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에 삽입된 순서 정보를 기초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부가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기준 장치는 패턴 정보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헤더 정보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신호의 시그널링 영역(또는, 파일럿 영역)에 헤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생성된 부가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장치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화이트 스페이스 기술 등을 이용하여 부가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 부가 신호 및 부가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송 수신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신호는 헤더 정보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는 기준 장치에서 처리되어 부가 신호로 생성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기 때문에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데이터에 비해 지연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에 포함된 패턴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부가 신호가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에 포함된 순서 정보를 기초로 대응되는 방송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정렬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시스템은 방송 신호의 시그널링 영역(또는, 파일럿 영역)을 이용하여 헤더 정보를 삽입하면, 데이터 지연에 따른 비용(예, 메모리 용량 추가) 및 복잡도에 대한 제어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손쉽게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시스템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시스템은 방송 송신 장치(10), 기준 장치(200), 방송 수신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0)는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10-1, S710-2). 방송 송신 장치(10)는 특정 장치를 지정함이 없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로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신호는 방송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시그널링 정보를 제거하고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부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720). 헤더 정보는 패턴 정보와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정보는 부가 신호에 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순서 정보는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순서 정보를 추출하여 헤더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로 부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30).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를 수신하고,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S740).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와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두 개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고,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러가 교정된 방송 컨텐츠를 감상하거나 부가 신호의 방송 데이터로 교체된 방송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신 품질이 향상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준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정렬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810).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820). 기준 장치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기준 장치는 시그널링 정보 영역(또는, 파일럿 영역)에 헤더 정보를 삽입하여 부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더 정보는 패턴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정보는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순서 정보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장치는 부가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S830). 방송 수신 장치는 헤더 정보에서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부가 신호에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한다(S840). 방송 수신 장치는 순서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와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에러가 수정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기준 장치의 데이터 사용 여부의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910). 기준 장치의 데이터 사용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보조 정보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920). 기준 장치의 데이터 사용 여부가 선택되지 않으면 방송 수신 장치는 기존 수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960).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보조 정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930). 방송 수신 장치는 기준 장치로부터 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부가 신호의 정보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S940).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데이터의 정렬이 수행되지 않으면 타임 아웃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950). 타임 아웃되지 않으면 방송 수신 장치는 계속 방송 데이터의 정렬을 시도할 수 있다. 타임 아웃되면, 방송 수신 장치는 기존 수신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960).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헤더 정보를 기초로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방송 송신 장치
100, 100a: 방송 수신 장치 110: 튜너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140: 디스플레이부 150: 스피커
200: 기준 장치

Claims (18)

  1.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상기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7.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장치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부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부가 신호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장치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부가 신호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13.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와 상기 기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방송 데이터에 관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신호를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헤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alig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 및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 정보에서 상기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턴 정보가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부가 신호에 상기 기준 장치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신호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방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유휴 방송 대역의 방송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기준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62705A 2015-11-19 2015-11-19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58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05A KR20170058726A (ko) 2015-11-19 2015-11-19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5/350,521 US20170150188A1 (en) 2015-11-19 2016-11-14 Broadcast receiving system includ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05A KR20170058726A (ko) 2015-11-19 2015-11-19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726A true KR20170058726A (ko) 2017-05-29

Family

ID=5872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05A KR20170058726A (ko) 2015-11-19 2015-11-19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50188A1 (ko)
KR (1) KR20170058726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039B2 (ja) * 2001-07-18 2006-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及びデータ伝送方法
JP4407661B2 (ja) * 2006-04-05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放送番組予約装置、放送番組予約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81188B1 (ko) * 2007-02-26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상위 레이어의 전 처리를 통한수신 성능 향상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642517B1 (ko) * 2009-03-13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중에 상향 링크 동기 타이머를 조작하는 방법
US8397066B2 (en) * 2009-10-20 2013-03-12 Thomson Reuters (Markets) Llc Entitled data cache management
EP2712190A4 (en) * 2011-05-20 2014-11-12 Japan Broadcasting Corp COOPERATIVE BROADCAST COMMUNICATION RECEPTION DEVICE
US9111580B2 (en) * 2011-09-23 2015-08-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Time alignment of recorded audio signals
KR20150041403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5516887B (zh) * 2014-09-25 2019-03-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蓝牙的定位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0188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778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983874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50063357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483081B2 (ja)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KR102532052B1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0652628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503583B2 (en) Receiver,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receiving system
US8446854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ception system
US11190288B2 (en) Broadcast system
US957131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1132066A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US10194196B2 (en) Decoding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decoding program stored therein
JP7397916B2 (ja) 受信方法および端末
US20150033279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50236886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CN108352980B (zh) 数据处理装置与数据处理方法
CA2645533C (en) Transmission stream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ransmission stream which additional data is stuffed in a payload area of a packet,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transmission stream, and methods thereof
KR10227852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644060B (zh) 数据处理装置和数据处理方法
US20160134908A1 (en)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KR20170058726A (ko)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246965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4876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6374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208721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