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161A -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161A
KR20170058161A KR1020150162024A KR20150162024A KR20170058161A KR 20170058161 A KR20170058161 A KR 20170058161A KR 1020150162024 A KR1020150162024 A KR 1020150162024A KR 20150162024 A KR20150162024 A KR 20150162024A KR 20170058161 A KR20170058161 A KR 2017005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driving
providing
social platform
driving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림
Original Assignee
지투지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투지솔루션(주) filed Critical 지투지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5016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161A/ko
Publication of KR2017005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2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한다. 3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운전 진단을 위한 회원가입을 시킨다. 4 단계,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한다. 5 단계,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한다. 6 단계,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6 단계에서, 6-1 단계, 안전운전 스탬프를 발행하고,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6-2 단계,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보상 제공한다. 6-3 단계,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6-4 단계,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he social platforms using the analysis system of safe driving}
본 발명은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세는 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일상적인 운행 기록,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하고, 회원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하여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매체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과 같이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거대한 네트워크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더욱 확장시키 위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관계의 설정 및 정보 제공은 다분히 콘텐츠 제공 업자의 이용자 확장을 고려한 측면이 강하다.
즉, 콘텐츠 제공 업자는 서비스 가입자들 간에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설정하고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고려하는 이용자들을 움직여 더 많은 가입자들을 유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업자들은 서비스의 확장 및 유지를 위해서도 이용자들에게 강하게 호소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관계 설정 및 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37303(등록일자 2015년07월10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하며,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하여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 및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운전 스탬프 발행, 안전운전 마일리지 적립,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 보상 제공,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은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2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한다. 3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운전 진단을 위한 회원가입을 시킨다. 4 단계,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한다. 5 단계,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한다. 6 단계,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6 단계에서, 6-1 단계, 안전운전 스탬프를 발행하고,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6-2 단계,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보상 제공한다. 6-3 단계,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6-4 단계,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한다.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익모델을 제공하는 7 단계를 더 포함하고, 7-1 단계,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및 소셜플랫폼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을 SI 구축한다. 7-2 단계, 소셜 플랫폼 활동에 의한 트래픽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7-3 단계,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에 링크되는 추천상품 마켓을 제공한다. 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문제 해결은 서비스 제공 업자는 가입자들 간에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안전운전을 기반으로 설정하고,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고려하는 이용자들을 움직여 더 많은 가입자들을 유치할 수 있으며, 가입자들이 직접 참여하므로 서비스의 확장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운전 스탬프 발행, 안전운전 마일리지 적립,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 보상 제공,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강하게 호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관계 설정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및 헬스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진단에 따른 안전운전 스템프를 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 스탬프 라운지와 소셜 네트워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기반의 소셜 플랫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기반의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마켓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및 헬스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은,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하며,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하여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 및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1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2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한다.
3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운전 진단을 위한 회원가입을 시킨다.
4 단계,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한다.
5 단계,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한다.
6 단계,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6 단계에서, 6-1 단계, 안전운전 스탬프를 발행하고,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6-2 단계,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보상 제공한다.
6-3 단계,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6-4 단계,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한다.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익모델을 제공하는 7 단계를 더 포함하고, 7-1 단계,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및 소셜플랫폼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을 SI 구축한다.
7-2 단계, 소셜 플랫폼 활동에 의한 트래픽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7-3 단계,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에 링크되는 추천상품 마켓을 제공한다. 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및 헬스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집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인 데이터(General Data), 안전운전 데이터, 운전자 헬스 데이터 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데이터(General Data)는 1) 위치정보시스템 (GIS), 2) 차량정보시스템 (CIS), 3) 차량관리시스템 (CMS) 등으로 분류된다.
1) 위치정보시스템 (GIS)은 GIS 서비스를 통해 차량의 위치 및 운행정보 데이터 (최종 위치, 주행거리, 주행궤적), 차량 위치정보를 관제화면에서 표시하고, 차량의 이동 궤적 추적
2) 차량정보시스템 (CIS)은 차량의 상태, 차량데이터, 운행정보 데이터 (운전자, 속도, RPM, 연료소모량, 연비), 차량 상태정보를 관제화면에서 표시하고, 차량의 상태 변동 추적
3) 차량관리시스템 (CMS)은 차량상태, 소모품 상태, 교체 시기 등 관리 시스템, 알림 푸시(push)
상기 안전운전 데이터는 차량 OBD/블랙박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운전자 운전행동 분석 및 리포트 기능, 위험운전행동 데이터 (과속/장기과속/급가속/급감속/급출발/급정지/급회전/급앞지르기/급진로변경), 안전운전행동 데이터 (급출발/급가속/급정지/급감속/경제속도준수/브레이크사용횟수/공회전/고RPM), 운전습관 개선, 안전운전 홍보 및 연비절감 효과
상기 운전자 헬스 데이터는 건강 팔찌, 헬스밴드, 직접입력 등, 혈압, 맥박, 심박, 체온 호흡, 혈당 등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 시스템은
- 스마트기기를 통해 혈압, 맥박, 심박, 체온 등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OBD, 블랙박스 등 차량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 차량용 다양한 센서 및 데이터 수집기와 추가적으로 연동하여서 차량 운행을 중심에둔 IoT 시스템을 도입하면 고령운령자 안전시스템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 차량 운전과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차량 정보, 운전자 생체 정보, 주위 환경정보)가 전체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개별적이고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어서, 통합단말기(OBD, 블랙박스 및 손목형 스마트밴드 등 웨어러블제품 포함)를 통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클라우드 기반으로 Big Data를 실시간 분석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운전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과 조처가 가능
운전부하 알고리즘을 통한 자신만의 운전패턴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며 고령운전자는 운행시간이 길어지면 운전패턴이 변경되기 때문에 실시간 모니터링에 기초해서 지속적인 패턴분석과 알림 서비스가 요청
B) 운전부하관리 진단 및 모델링
- 운전부하 정량화 및 지능형 인터페이스 관리 기술 개발
- 차량 내 in-dash 단말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부하를 산출 및 정량화
- 운전자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설계
- 운전자 행동 분석(Driver Behavior Analysis)
- 향후 영상인식, 음성인식 등과 결합하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 가능
- 운전자의 운전부하를 운전자의 심리적 특성, 운전자의 헬스 상태, 차량 조작 정보(차량 내 in-dash 단말 기반 차량 정보 활용), 주변 환경 정보와 같은 멀티요인을 고려하여 측정하고 정량화하여 관리
- 기존 경쟁기술은 운전부하를 차량속도 및 조향각, 기어 위치만을 고려하여 산출한 것에 비해 멀티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운전부하의 정확도 및 객관성을 확보
- 운전자 요인, 차량요인, 환경 요인 등 멀티요인을 고려한 운전부하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이나 지능형 차량 시스템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업 확장성 가능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의 처리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진단에 따른 안전운전 스템프를 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 스탬프 라운지와 소셜 네트워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기반의 소셜 플랫폼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기반의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마켓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캠페인 서비스는
(1) 운전부하 측정 및 분석
* 운전부하 정량화 및 지능형 인터페이스 관리 기술 개발
* 차량 in-dash 단말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부하를 산출 및 정량화
* 운전자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고안
* 운전자 운전행동 분석
(2) 안전운전 진단
* 운전자의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의 필요성
*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 및 운전부하 분석 등 멀티 요인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 진단 산출
* 안전운전에 대한 진단을 정량화하여 관리
* 향후 운전자 요인, 차량요인, 환경 요인 등 멀티요인을 고려한 운전부하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이나 지능형 차량 시스템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성 고려
(3) 안전운전 스탬프 발행
* 안전운전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은 복잡한 시스템이지만, 서비스 측면에서는 운전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스탬프 발행
* 사용자에게 어려운 문제를 풀게 할 것이 아니라, 난폭운전과 위험운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운전(Eco Driving)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안전운전 스탬프 모으기 등 생활 캠페인 전개
* 안전운전 스탬프는 운전패턴에 따라 자동발행하는 시스템으로, 포인트나 마일리지처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기본 요소
(4) 소셜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초대장
* SNS 플랫폼으로 확장하기 위한 초대와 랭킹 시스템 도입
* 안전운전 스탬프를 통한 소셜 서비스 제공
* 안전운전 스탬프가 일정 수량이 모이면 활동지수 적립
* 활동지수에 따라 다양한 혜택과 활동 지원
* 초대권에 의해 나와 초대된 지인을 소셜네트워크로 그룹화
* 안전운전 초대장에 기반한 소셜 커뮤니티의 운영
* 안전운전은 단순한 개인의 활동이 아니라 SNS의 핵심이 되는 안전운전 캠페인을 소셜화 해서 영향을 확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마이스탬프 라운지는
* 나와 내가 초대한 지인의 안전운전 스탬프(일정 비율)의 합산
* 레벨에 따라 적립되는 마일리지 비율이 높아짐
* 랭킹에 따라 우수 고객에 대한 별도의 프로모션을 진행 등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안전운전 스탬프를 기반으로 안전운전 서비스는 * 안전운전에 대한 불감증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전운전 스탬프를 기반으로 지인에게 추천하고, 안전운전을 권유하는 재미있고 신나는 안전운전 캠페인 서비스
(2) 초대장을 기반으로 하는 인맥 초대서비스
* 안전운전 활동에 의한 초대장 기반의 인맥 네트워크
* 기존 네트워크 마케팅의 장점을 반영
(3) 추천에 의한 리워드 시스템
* 상품추천에 의한 마일리지 리워드
* 인맥 초대에 의한 안전운전 스탬프 합산 리워드
* 우수 랭킹 회원에 대한 별도의 이벤트 리워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추천과 인맥 초대를 연계하는 Direct Network Channel 서비스는
- 상품 추천과 인맥 초대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 해 주는 Panel을 생성
- 보험사와 운전자는 안전운전데이터와 안전운전스탬프를 매개로 연결
- 궁극적으로 보험사는 사용자와 직접 연결되는 마케팅 채널 확보가 목표
- 인맥과 상품 레이어를 구축하고 SNS 기반으로 추천하는 새로운 마케팅 채널
- 향후 다양한 채널로 확장성이 높은 차세대 마케팅 채널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들 간에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안전운전을 기반으로 설정하고,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고려하는 이용자들을 움직여 더 많은 가입자들을 유치할 수 있으며, 가입자들이 직접 참여하므로 서비스의 확장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운전 스탬프 발행, 안전운전 마일리지 적립,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 보상 제공,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강하게 호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관계 설정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데이터 수집기 20 : 운영 시스템
30 : 서비스 app 40 : 서비스 플랫폼

Claims (3)

  1.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 OBD, 헬스밴드 등)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2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일상적인 운행을 기록하고, 운전자의 습관 및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운전을 진단한다.
    3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운전 진단을 위한 회원가입을 시킨다.
    4 단계, 회원가입자 들에게 지인간의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와 활동을 위한 SNS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한다.
    5 단계,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전운전 캠페인과 상품추천 마케팅 채널 제공한다.
    6 단계, 소셜 플랫폼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상(리워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를 포함하는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에서,
    6-1 단계, 안전운전 스탬프를 발행하고,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6-2 단계, 보험사 신규 UBI(운전습관연계보험) 상품 출시에 안전운전 마일리지를 보상 제공한다.
    6-3 단계, 지인초대 및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6-4 단계, 마켓에서 상품 추천을 통한 리워드를 제공한다.
    를 더 포함하는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양한 수익모델을 제공하는 7 단계를 더 포함하고,
    7-1 단계,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및 소셜플랫폼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을 SI 구축한다.
    7-2 단계, 소셜 플랫폼 활동에 의한 트래픽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7-3 단계, 안전운전 캠페인 초대에 링크되는 추천상품 마켓을 제공한다.
    를 포함하는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0150162024A 2015-11-18 2015-11-18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70058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24A KR20170058161A (ko) 2015-11-18 2015-11-18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24A KR20170058161A (ko) 2015-11-18 2015-11-18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61A true KR20170058161A (ko) 2017-05-26

Family

ID=5905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24A KR20170058161A (ko) 2015-11-18 2015-11-18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4492A1 (en) * 2018-09-05 2020-03-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scoring driver activity
CN112248882A (zh) * 2020-10-20 2021-01-2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续驶里程预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4492A1 (en) * 2018-09-05 2020-03-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scoring driver activity
US11989749B2 (en) * 2018-09-05 2024-05-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scoring driver activity
CN112248882A (zh) * 2020-10-20 2021-01-2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续驶里程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Customer process management: A framework for using customer-related data to create customer value
US11277728B2 (en) Physiologic sensors for sensing, measuring, transmitting, and processing signals
Horrey et al. On-board safety monitoring systems for driving: Review, knowledge gaps, and framework
El-Diraby et al. Linking social, semantic and sentiment analyses to support modeling transit customers’ satisfaction: Towards formal study of opinion dynamics
Toma et al. What lies beneath: The linguistic traces of deception in online dating profiles
US201403226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quality feedback and automotive support
CN109313772A (zh) 用于车辆相关活动的数字助理
WO2010062899A1 (en) Dynamic insurance customization and adoption
Wang et al. Why people adopt smart transportation services: An integrated model of TAM, trust and perceived risk
US108785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telematics data
Carrel et al. The San Francisco Travel Quality Study: tracking trials and tribulations of a transit taker
US20140095257A1 (en) Analyzing user actions in a social graph
Zhang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and expectations of automated vehicles
Sener et al. Chipping away at uncertainty: intent to use self-driving vehicles and the role of ride-hailing
Zheng et al. Driver types and their behaviors within a high level of pedestrian activity environment
Wang et al. Initiatives and challenges in using gamification in transportation: a systematic mapping
Marotta et al. Assess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prescription drugs, race, and overdose in New York State from 2013 to 2015
Alghuson et al. Toward an integrated traffic law enforcement and network management in connected vehicle environment: Conceptual model and survey study of public acceptance
Guo et al. Understanding content contribution behavior in a geosegmented mobile virtual community: the context of Waze
Li et al. Adaptation patterns to high speed rail usage in Taiwan and China
Li et al. What affects drivers’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vehicles in different road scenarios?
Audy Martínek et al. Digital practices tracing: studying consumer lurking in digital environments
Cao et al. Exploring elderly users’ MSNS intermittent discontinuance: a dual-mechanism model
Frederico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bus operations controlled by passengers: A user experience design project (UX)
KR20170058161A (ko) 안전운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플랫폼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