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094A - 스피커 제어 모듈 - Google Patents

스피커 제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094A
KR20170058094A KR1020150161882A KR20150161882A KR20170058094A KR 20170058094 A KR20170058094 A KR 20170058094A KR 1020150161882 A KR1020150161882 A KR 1020150161882A KR 20150161882 A KR20150161882 A KR 20150161882A KR 20170058094 A KR20170058094 A KR 2017005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peakers
control module
channel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094B1 (ko
Inventor
정연웅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부, 복수의 스피커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 관리부, 스피커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의 스피커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제어 모듈 {Module for controlling speaker}
본 발명은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부, 복수의 스피커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 관리부, 스피커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의 스피커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정보통신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TV, 셋톱박스, 게임 콘솔, AVR, 블루레이, 스마트폰 도킹 오디오,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 수많은 종류의 전자 장치들의 경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편리하고 뛰어난 음질의 오디오 장치 및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스피커 장치의 경우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생성하는 음향기기를 말하며, 전자 장치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피커 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판매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피커 장치를 무선으로 구현하여, 별도의 연결선이 필요 없이 근거리 통신망(Bluetooth, Wi-Fi, 지그비, BLE 등)을 통하여 깔끔한 공간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스피커 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 음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 스피커 제어 모듈과 스피커가 항상 쌍으로 동작하여야 하며, 스피커가 고장나거나 바꾸고 싶으면 전체적인 시스템을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스피커 제어 모듈과 스피커가 패키지 형태로 공장에서부터 생산되는 경우, 스피커 제어 모듈과 스피커 간의 세팅이 불필요하나,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스피커의 추가 및 변경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자 장치가 TV, 컴퓨터, 셋톱박스 등 스피커 제어에 필요한 윈도우용 프로그램, 홈시어터 내장 어플리케이션, TV메뉴 설정 프로그램 등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어야 스피커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하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불가능한 전자 장치의 경우 무선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갖추지 않은 전자 장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 관리부, 상기 스피커의 상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입력부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스피커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스피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부여된 고유의 ID를 기준으로,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스피커 채널 설정값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스피커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의 신호강도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피커와 스피커 제어 모듈간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센터(center) 스피커, 우퍼(woofer) 스피커, 좌/우 프론트(front) 스피커, 좌/우 리어(rear) 스피커를 포함하는 5.1채널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센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프론트 스피커, 리어 스피커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스피커 제어 모듈 사용자가 입력한 스피커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는 전자 장치에 사용되더라도 스피커의 추가 및 변경이 자유로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전자 장치에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독립형 장치(stand alone)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스피커 위치를 각각의 스피커별 수신 강도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며, 신호강도가 높은 스피커부터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설정함으로써,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더 효율적으로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이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이 적용된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제어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은, 전자 장치(110), 스피커 제어 모듈(120), 복수의 스피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TV, 셋톱박스, 게임 콘솔, AVR, 블루레이, 스마트폰 도킹 오디오,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 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스피커 제어 모듈(120)이 입력된 후, 복수의 스피커(13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음원을 재생하도록 한다.
스피커 제어 모듈(120)은 안테나, 증폭회로, 동조회로, 검파회로, 수신기, 기록기 등 무선통신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부품을 포함하며, 용도에 따라 각종 형태의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피커(130)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110)와 연결된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빠른 확산으로 무선 스피커의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무선 스피커의 경우, 독자적인 전파를 이용하여 아날로그로 송신 및 수신을 진행하는 스피커부터, FM 신호나 무전기용 전파신호를 사용하는 스피커까지 다양한 무선 통신을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규격이 표준화된 이후 블루투스 스피커와 Wi-Fi 스피커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이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120)은, 입력부(121), 무선 통신부(122), 스피커 관리부(123),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5)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1)는 전자 장치(11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정보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복수의 스피커에 음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 때, 입력부는 전자 장치와 호환가능한 모든 입력 장치의 형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USB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2)는 복수의 스피커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의 경우 내장된 안테나를 통하여 RF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스피커 관리부(123)는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스피커 제어 모듈이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경우, 현재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한다. 전자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들이 이전 연결과 동일한 경우 저장된 설정에 따라서 곧바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지만, 이전 연결과 대비하여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 경우, 변경된 스피커와 전자 장치간의 채널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피커를 검색하면서 그 상태를 바로 확인하여야 한다.
제어부(124)는 스피커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의 스피커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한다. 특히, 스피커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스피커의 채널을 빠르게 설정하기 위하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피커 위치별 채널을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도록 한다.
스피커 관리부 및 제어부의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4,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스피커 제어 모듈은 먼저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한다.(S310) 스피커의 변경이 없는 경우 곧바로 이전 설정에 따라서 음악을 재생(S340)하지만, 스피커의 변경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에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S320)하는 단계가 더 필요하다.
전자 장치 중 PC, 스마트폰, 셋톱박스 등 별도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스피커의 위치별 채널을 설정(S321)하고, 해당 설정을 저장(S330) 후 음악을 재생(S340)한다.
다만, 전자 장치 중 별도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임의의 채널을 설정(S322)하여 음악을 재생(S340)할 수 밖에 없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스피커 제어 모듈은 먼저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S410)하며, 스피커의 변경이 없는 경우 곧바로 이전 설정에 따라서 음악을 재생(S440)한다.
이 때, 스피커 관리부는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부여된 고유의 ID를 기준으로,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재생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가 ID-01, ID-02, ID-03, ID-04인 경우, 스피커 관리부는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현재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가 ID-01, ID-02, ID-03, ID-05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스피커 제어 모듈은 ID-05 스피커가 변경된 스피커임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스피커 관리부는 복수의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 경우 전자 장치에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S420)한다.
전자 장치 중 PC, 스마트폰, 셋톱박스 등 별도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스피커의 위치별 채널을 설정(S421)하고, 해당 설정을 저장(S430) 후 음악을 재생(S440)한다.
전자 장치 중 별도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임의의 채널을 설정(S322)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스피커의 우선순위별로 채널을 설정(S422)하고, 설정의 저장 후 음악을 재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복수의 스피커들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경우,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복수의 스피커들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여, 스피커의 신호강도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위치는 대부분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까운 스피커가 신호강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정이 대부분 들어맞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우선 순위 지정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제3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스피커가 수신 레벨이 가장 높고, 제2 스피커가 그 다음, 제3 스피커의 수신 레벨이 가장 낮은 경우, 따라서, 수신 레벨이 높은 순서대로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제3 스피커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스피커와 스피커 제어 모듈간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는 전자 장치와 1m, 제2 스피커는 3m, 제3 스피커는 1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3 스피커의 수신 레벨이 가장 낮고, 제1 스피커의 수신 레벨이 가장 높게 될 것이며,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제3 스피커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피커 제어 모듈 사용자가 입력한 스피커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레벨, 스피커의 거리 등의 변수를 자동적으로 산정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나, 사용자의 전자 장치 사용 위치, 전자 장치 사용 방법, 스피커의 고장 유무 등 다양한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스피커의 우선 순위를 직접 입력하고, 그에 따라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이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시스템이 적용된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특히 5.1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5.1채널 스피커는, 청취자를 중심으로 전방의 왼쪽(Front Left; 630), 중간(Center; 610), 오른쪽(Front Right; 630)과 후방의 왼쪽(Rear Left; 640), 오른쪽(Rear Right; 640)에 5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며, 저음을 보강하기 위한 서브 우퍼(Woofer; 620)가 별도로 구성된 방식을 말한다. 이 때, 센터 스피커는 이동하는 청취자의 시선을 전방 화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5.1채널 스피커의 경우, 극장용 사운드 시스템의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홈시어터 등의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집이나 사무실 등 작은 공간에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특히, 5.1채널 스피커의 경우, 기존 스테레오나 4채널 사운드 출력과 다르게 소리를 각 채널별로 별도 채집하며 녹음하기 때문에 재생 시 음장감이 뚜렷하며, 저음 부분이 별도 채널로 구성되어 서브 우퍼를 통해 재생되므로 현장감이 우수하다.
5.1채널 스피커는 총 6대의 스피커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가 1대만 고장나더라도 그 전체적 시스템을 모두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스피커가 변경되는 경우, 반드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피커를 세팅하거나, 임의의 스피커 위치로 설정되어, 센터/우퍼/프론트 등 각각의 역할이 서로 다른 스피커들의 특성을 제대로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5.1채널 스피커의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하고, 변경된 스피커를 검색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곧바로 채널을 설정하여 효율적인 음악 재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들을 검색(S510)한다. 이와 동시에, 스피커의 수신 레벨을 함께 검출하도록 한다. 이어, 수신 레벨에 따라서 우선 순위를 결정(S520)한다. 특히, 5.1채널 스피커의 경우, 일반적인 수신 레벨의 순서인 센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프론트 스피커, 리어 스피커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미리 5.1채널의 우선 순위를 지정해 놓음으로써, 채널 설정 및 음원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서, 해당 레벨의 스피커가 우선 순위에 맞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 높은 레벨의 스피커가 센터 스피커인 경우, 우선순위 1순위인 센터 스피커와 동일한지 확인 후, 첫번째 스피커를 센터 스피커로 설정한다.(S531)
만약, 첫번째로 높은 레벨의 스피커가 우퍼 스피커인 경우, 제어부는 센터 스피커가 가장 높은 레벨의 스피커인지 확인후 사실이 아님이 판정되면 우퍼 스피커가 가장 높은 레벨의 스피커인지 확인한다. 따라서, 첫번째 스피커를 우퍼 스피커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로 높은 레벨의 스피커가 프론트 스피커 중 왼쪽 스피커인 경우, 제어부는 첫번째로 높은 레벨의 스피커가 센터 스피커인지, 우퍼 스피커인지 확인하고, 사실이 아님이 판정되면 프론트 스피커 중 왼쪽 스피커임을 확인한다. 프론트 스피커 중 왼쪽/오른쪽 스피커의 설정 순서는 사용자 또는 제조사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성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커 제어 모듈은, 5.1채널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레벨의 스피커인 센터, 우퍼, 프론트, 리어 스피커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결정해 놓음으로써, 설정 순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독립 장치(stand alone)으로도 스피커 세팅이 가능하고, 스피커 세팅시 스피커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전자 장치
120: 스피커 제어 모듈
121: 입력부
122: 무선 통신부
123: 스피커 관리부
124: 제어부
125: 저장부
130: 무선 스피커
610: 센터 스피커
620: 우퍼 스피커
630: 프론트 스피커
640: 리어 스피커

Claims (14)

  1.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 관리부;
    상기 스피커의 상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부여된 고유의 ID를 기준으로,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변경된 스피커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스피커 채널 설정값에 따라 스피커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의 신호강도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와 스피커 제어 모듈간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센터(center) 스피커, 우퍼(woofer) 스피커, 좌/우 프론트(front) 스피커, 좌/우 리어(rear) 스피커를 포함하는 5.1채널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프론트 스피커, 리어 스피커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피커 제어 모듈 사용자가 입력한 스피커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 모듈.
KR1020150161882A 2015-11-18 2015-11-18 스피커 제어 모듈 KR10242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82A KR102426094B1 (ko) 2015-11-18 2015-11-18 스피커 제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82A KR102426094B1 (ko) 2015-11-18 2015-11-18 스피커 제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94A true KR20170058094A (ko) 2017-05-26
KR102426094B1 KR102426094B1 (ko) 2022-07-27

Family

ID=590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882A KR102426094B1 (ko) 2015-11-18 2015-11-18 스피커 제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93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채널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93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채널 설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094B1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4387A1 (en) Voice operated control device
US10158946B2 (en)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US95784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multiple audio output devices
JP6657353B2 (ja) マルチハウスホールドのサポート
US8135141B2 (en) 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8776147B2 (en) Source device change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150056B2 (en) 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CN110049428B (zh) 用于实现多声道环绕立体声播放的方法、播放设备及系统
US10318097B2 (en) Bass management for home theater speaker system and hub
US20140219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udio output channels of speakers
KR102533698B1 (ko) 음향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115224A (zh) 控制音频回放设备的系统、方法、装置和制品
US20130324031A1 (en) Dynamic allocation of audio channel for surround sound systems
KR102170398B1 (ko) 위치정보를 활용한 멀티 스피커의 운용 방법 및 장치
EP2816823B1 (en) Audio system and audio apparatus and channel mapping method thereof
US20080061578A1 (en)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AU2015362095A1 (en) Sound output device, sound out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18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 channel configuration of a set of audio output devices
CN109842810B (zh) 远程控制装置、电子装置及配对方法
US97234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 channel configuration of a set of audio output devices
KR20110037680A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80288556A1 (en) Audio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device
CN108650592B (zh) 一种实现颈带式环绕立体声的方法及立体声控制系统
KR102426094B1 (ko) 스피커 제어 모듈
US20190110144A1 (en) Method adapted to be implemented in a master device of a sound system, corresponding method adapted to be implemented in an audio rendering device of a sound system, corresponding master device, audio rendering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