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828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828A
KR20170057828A KR1020160122383A KR20160122383A KR20170057828A KR 20170057828 A KR20170057828 A KR 20170057828A KR 1020160122383 A KR1020160122383 A KR 1020160122383A KR 20160122383 A KR20160122383 A KR 20160122383A KR 20170057828 A KR20170057828 A KR 2017005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ignal
broadcast
data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464B1 (ko
Inventor
플레서 시몬 페나
크리스토퍼 앨더
리차드 모어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통신부;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tuning)하여 상기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튜너; 및 상기 채널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튜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방송 통신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방송 신호의 특성은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거나, 방송 신호 중계기들의 위치 결정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방송 신호의 특성은 신호가 측정된 곳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방송 신호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tuning)하여 상기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튜너; 및 상기 채널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강도 및 RSSI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튜너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및 서버가 초기 설정(configuration)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튜너(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TV),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셋톱박스(set top box; STB)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는 방송 신호 중 튜닝된 특정 주파수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너를 구비하는 어떠한 전자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튜너(110)는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tuning)하여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10)는 TV 튜너로도 언급될 수 있다. 튜너(110)는 광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방송 신호 중에서 특정 방송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시켜 선택할 수 있다. 튜너(110)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시켜, 특정 방송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시킬 수 있다.
튜너(110)가 선택하는 방송 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TV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로부터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튜너(110)는 미리 프로그램된 스케줄링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다.
튜너(11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는 방송 서비스 정보, 프로그램 정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대응하는 자막(subtitle),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연관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를 처리(예를 들어,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등)하여,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는 제어부(130)가 채널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특정 방송 채널을 록킹(locking)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또는 비디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외부 출력 장치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오디오 출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출력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STB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등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튜너(110)에서 수신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신호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는, 채널 신호의 신호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채널 신호의 신호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튜너(110)에서 수신된 채널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다. 채널 신호의 신호 특성은 신호 강도,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품질, SNR(signal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SSI는 튜너(100) 입력에서 RF 신호 레벨일 수 있다.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튜너(110)가 수신하는 채널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더해,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튜너(110)에서 수신된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다음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식별자
서비스 리스트
방송 채널 식별자
서비스 이름
서비스 LCN (Major)
프로그램 장르
프로그램 이름
EPG
채널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방송 채널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방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는 다음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 식별자
우편 번호(post code)
IP(internet protocol) 주소
중심 주파수
신호 강도
신호 품질
신호 잡음 비율(C/N)
비트 에러 레이트(bit error rate: BER)
정정되지 않은 패킷들
튜너 록 상태(tuner lock status)
PLP(physical layer pipes)
밴드 내 DTT(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간섭 (CCI: co-channel interference)
인접 밴드 DTT 간섭 (ACI: Adjacent-channel interference)
T/T2 모드
T2 시스템 식별자
캡처 날짜/시간
캡처 주파수/일(day)
모니터링 모드(능동/수동)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상 TV 입력
DTH(direct-to-home) 상 TV 입력
ONID(Original Network ID)
TSID(transport stream ID)
네트워크 ID
수동 모니터링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 중인 경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수동 모니터링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 중이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아무런 사용자 액션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튜너(110)는 전자 장치(100)가 턴온되어야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사용 중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턴오프되거나, 스탠바이 모드일 때는 튜너(110)는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스탠바이 모드는 전자 장치(100)가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는 않으나 채널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바이 모드의 전자 장치(100)는 화면이 오프되거나, 대기 모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능동 모니터링은 전자 장치(100)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방송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방송 신호에 관한 데이터는 신호 간섭, 예상치 못한 신호들, 잡음 등을 체크하기 위해 서버에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는 전자 장치(100)가 턴온되면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동 모니터링 모드 또는 능동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방송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것을 배경 스캔(background scan)이라고도 한다. 배경 스캔 시, 튜너(110)는 완전한 VHF(very high frequency) / UHF(ultra high frequency) 범위를 스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는 ~30MHz (VHF 범위)로부터 ~900MHz (가용한 UHF 범위의 최대)를 스캔할 수 있다. RSSI 레벨은 항상 제어부(130)로 반환될 수 있다. DVB-T 록(lock)과 같은 신호 록이 유효하면, 서비스 정보가 반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푸시(push)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받을 수 있다. 서버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들에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전송 시기에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방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 획득 시기, 획득된 데이터 전송 시기, 전송 주기 및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 획득을 개시할지 여부, 얼마나 자주 개시해야 하는지 등을 더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설정 정보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전송 시기에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서버에 전송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가 유용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서버에게 알려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센서 등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치 센서를 통해 에서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GNSS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GNSS 좌표(coordinates)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는 주소, 우편 번호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IP 주소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IP 주소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하거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처리되지 않은 로(raw) 위치 정보를 변형, 계산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와 함께 위치 정보를 서버에 한번 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한번 수신받은 위치 정보에 기초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위치와 매칭시킬 수 있다. 서버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위치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유효해질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들(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자 장치들(100)은 텔레비전(TV), 개인용 컴퓨터(PC), 셋톱박스(STB)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각 전자 장치들(100)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된다. 전자 장치들(100)은 각각 튜너에서 튜닝된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채널 신호에 기초해 획득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100) 각각의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서버(200)는 각 전자 장치들(1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익명 처리할 수 있다. 익명 처리는 데이터에서 전자 장치(100)를 식별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일 수 있다. 서버(200)는 전자 장치들(100)에서 수신하여 익명 처리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서버(200)는 방송 채널별 그리고 위치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복수의 전자 장치들(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서버(200)는 방송 채널별로 복수의 전자 장치들(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전자 장치들(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 인접하는 전자 장치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서버(2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해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200)는 특정 지역의 평균 리딩(average reading)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지리학적 지역(geographical region)에 대해 알려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인증(validation)할 수 있다.
각 전자 장치들(100)이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IP 주소에 기초해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IP 주소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을 위치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서버(3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서버(300)는 IP 주소들 및 위치들의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위치 서버(300)는 서버(200)와 별개로 도시되었으나, 위치 서버(300)는 서버(20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서버(200)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버(200)에 처리된 데이터는 수신 블랙스팟들, 간섭원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어, 방송 신호 중계기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는 방송 서비스로 할당되었으나 지역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이다.
서버(200)는 서버(2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제3자들이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수집된 데이터를 스펙트럼 정책 개발자들, 예를 들어, 정부에 제공할 수 있다. 스펙트럼 정책 개발자들은 서버(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용한 대역폭을 할당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를 제3자들에게 제공하기 전 데이터를 익명 처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각 전자 장치들(100)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각 전자 장치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튜너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는 효율적으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방송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형 판독기(handheld reader) 또는 특별히 개조된 차량이 이용될 수 있다. TV와 같은 방송 신호 수신기가 존재하는 위치마다 소형 판독기 또는 차량을 이용해 방송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어 비효율적이다.
도 3은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강도 및 RSSI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방송 신호는 광 주파수 대역을 커버한다. 방송 신호의 신호 강도에서 피크들(10)이 나타난다. 피크들(10)은 튜너가 튜닝할 수 있는 방송 채널들에 대응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튜너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a)는 제1 튜너(110-1), 제2 튜너(110-2),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전자 장치(100a)는 두 개의 튜너들(110-1, 110-2)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공통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이 도 4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전자 장치(100a)가 두 개의 튜너들(110-1, 11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4는 전자 장치(100a)가 포함하는 튜너들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1 튜너(110-1)는 전자 장치(100a) 또는 전자 장치(100a)에 연결되는 출력 장치가 출력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튜너(110-2)는 제1 튜너(110-1)가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하거나 다른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제2 튜너(110-2)에서 수신한 채널 신호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튜너(110-2)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튜너(110-2)는 배경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a)는 제2 튜너(110-2)를 통해 능동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및 서버가 초기 설정(configuration)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S110).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턴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TV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가 턴온되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와 핸드셰이킹(handshaking)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드쉐이킹은 전자 장치(100) 및 서버(200) 사이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에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20).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서버(200)에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 획득 시기, 데이터 전송 시기 및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위치 서버(300)에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문의할 수 있다(S130). 서버(200)가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 서버(200)는 위치 서버(300)에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IP 주소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위치 서버(300)에 문의할 수 있다. 위치 서버(300)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해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알 수도 있다.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S140).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를 서버(200)의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를 전자 장치(100)의 위치와 매칭시켜 서버(20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위치 서버(300)에 문의할 필요가 없다. 서버(200)는 시간에 따라 수신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 및 위치에 매칭시켜 서버(20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설정 정보 요청(S120)에 응답하여 설정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다(S150).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개시할지 여부, 만일 개시한다면, 얼마나 자주 개시해야 하는지, 그리고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이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등의 디폴트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값들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각 튜닝된 방송 채널들에 대해 하루에 하나의 샘플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튜너(110)에 요청하여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60). 제어부(130)는 튜너(110)에서 수신된 채널 신호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S210).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에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S220), 서버(200)는 설정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설정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다(S230). 단계 S210 내지 S230은 도 4의 단계 S110, S120 및 S15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정 정보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지시하는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튜너(110)에 요청하여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40). 제어부(130)는 튜너(110)에서 수신된 채널 신호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S250).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TV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로부터 방송 채널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미리 프로그램된 스케줄링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튜너(110)는 변경된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하여 변경된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출력부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는 변경된 방송 채널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변경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60). 제어부(130)는 방송 채널이 변하는 매 시간 튜너(110)에서 튜닝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튜너(110)가 튜닝되면 튜닝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는 변경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계 S240에서 획득된 이전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에 단계 S260에서 새로 획득된 변경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첨부하거나 병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변경된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270). 전자 장치(100)는 반환된 설정 정보(S230)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 이후에 변경된 방송 채널들에 관해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200)로 푸시(push)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한 시간에 한번 또는 하루에 한번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익명 처리할 수 있다(S280). 익명 처리된 데이터는 제3자 서버(third party server; 400)에 전송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3자 서버(40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S290). 요청은 제3자 서버(400)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자 서버(40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과 관계된 데이터 또는 특정 방송 채널과 관계된 데이터만을 필요로 할 수 있고, 특정한 지리적 영역 또는 특정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를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요청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S293)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제3자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S295).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 중인 배경에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6에 도시된 과정은 최소 샘플들을 이용하는 수동 모니터링 과정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에서 전자 장치(100)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반면, 도 7에서는 방송 채널의 변경과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S310).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에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S320), 서버(200)는 설정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설정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다(S330). 서버(200)가 전자 장치(100)에 반환(S330)하는 설정 정보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의 획득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 주기는 매 10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40, S350, S360, S370).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7의 데이터 획득 과정은 도 6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과정은 주기적 수동 모니터링 과정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도 6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10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튜너(1100), 통신부(120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출력부(140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 A/V 입력부(1600), 저장부(1700), 센싱부(1800) 및 사용자 입력부(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장치(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튜너(1100), 통신부(1200) 및 제어부(13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8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튜너(1100)는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하여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10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는 디코딩(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의 튜너(110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1100)는 전자 장치(10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에 연결되는 튜너(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0)를 외부 기기, 외부 서버 등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200)는, 서버(2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210), 이동 통신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2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17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튜너(110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에 기초해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전자 장치(10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부(120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위치 센서(186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부(19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통신부(1200)를 통해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의 획득 시기, 데이터의 전송 시기 및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400)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400)는 디스플레이부(1410), 음향 출력부(1420), 및 진동 모터(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0)는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튜너(110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10)는 통신부(1200)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0)에 저장된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1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14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4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튜너(110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0)는 통신부(1200)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0)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1430)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430)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4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0)의 외부 기기(예를 들어, 출력 장치)로 튜너(110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오디오, 부가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는 외부 기기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포트,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 및 USB 포트 중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이한 제어는 전자 장치(1000)의 턴온, 방송 채널 선택,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 커서 이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10)는 촬영을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61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이미지는 저장부(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0)의 턴온, 방송 채널 선택 또는 볼륨 조정 등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마이크로폰(1620)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저장부(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인스트럭션, 데이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0)는 튜너(1100), 통신부(1200), 제어부(1300), 출력부(140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0), A/V 입력부(1600), 센싱부(1800) 및 사용자 입력부(1900)의 구동에 대응되어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장치(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전자 장치(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410)를 통해 비디오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420)를 통해 오디오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430)를 통해 진동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싱부(1800)는, 전자 장치(10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8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8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820), 온/습도 센서(1830), 적외선 센서(1840), 자이로스코프 센서(18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860), 기압 센서(1870), 근접 센서(18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8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부(19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9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900)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전자 장치(1000)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하여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0).
전자 장치는 채널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S1200). 전자 장치는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130).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는, 채널 신호의 강도, 채널 신호의 품질, 그리고 채널 신호의 SNR 및 방송 채널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획득하거나,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 센서를 통해 획득하거나,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출력부를 통해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거나, 또는 외부 출력 장치에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의 획득 시기, 데이터의 전송 시기 및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턴온되면, 전자 장치는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 중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전자 장치는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
도 9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 1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설명한 내용들은 도 9에도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청구항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통신부;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tuning)하여 상기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튜너; 및
    상기 채널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채널 신호의 강도, 상기 채널 신호의 품질, 그리고 상기 채널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다른 튜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의 상기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상기 비디오 및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상기 비디오 및 상기 오디오를 전달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획득 시기,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기 및 상기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상기 전자 장치가 턴온되면 상기 방송 신호 중 상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 중 방송 채널의 주파수에 튜닝하여 상기 방송 채널의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널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 및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채널 신호의 강도, 상기 채널 신호의 품질, 그리고 상기 채널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획득되거나, 주기적으로 획득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 센서를 통해 획득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획득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튜너를 통해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의 상기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비디오 및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상기 비디오 및 상기 오디오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획득 시기,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기 및 상기 데이터가 포함할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턴온되면 상기 튜너를 통해 상기 방송 신호 중 상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상기 튜너를 통해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122383A 2015-11-17 2016-09-2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5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20243.5 2015-11-17
GB1520243.5A GB2544488B (en) 2015-11-17 2015-11-17 Radio frequency analysis using television tu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28A true KR20170057828A (ko) 2017-05-25
KR102555464B1 KR102555464B1 (ko) 2023-07-17

Family

ID=5513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383A KR102555464B1 (ko) 2015-11-17 2016-09-2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2750B2 (ko)
KR (1) KR102555464B1 (ko)
GB (1) GB2544488B (ko)
WO (1) WO2017086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76345U (zh) * 2018-11-02 2019-04-01 大通電子股份有限公司 Interactive antenna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4653A1 (en) * 2001-02-02 2002-12-05 Pierce Matthew D. Services based on position location using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20100284356A1 (en) * 2009-05-06 2010-11-1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on bundling of packet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40375823A1 (en) * 2013-06-21 2014-12-25 Zenith Electronics Llc Diagnostics system for remotely located televisio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040A (ja) 1997-03-05 1998-09-14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337719B1 (en) * 1998-03-30 2002-01-08 U. S.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s during power-off (stand-by) mode
EP1257107B1 (en) * 2001-05-08 2007-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wo-way communicating method and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269151B2 (en) * 2002-04-22 2007-09-11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spectrum management of a shared frequency band
US20050114879A1 (en) * 2003-11-20 2005-05-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onitoring signal quality on a cable network
KR20060124069A (ko) 2005-05-30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TW200822729A (en) * 2006-11-07 2008-05-16 Benq Corp Playback device capable of updating a program at a standby mode and method thereof
US8750804B2 (en) 2009-05-3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Applying spurious interference rejection to detect incumbent users of television channels
US8364107B2 (en) * 2010-06-25 2013-01-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ignal degradation detection
WO2012092680A1 (en) 2011-01-07 2012-07-12 Wi-La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v white space spectrum sensing
KR20140023515A (ko) 2012-08-16 2014-02-27 송종문 하이브리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40045205A (ko) 2012-10-08 2014-04-16 (주)코튼인터렉티브 시청 프로그램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2507A (ko) 2013-05-08 2014-11-18 (주)휴맥스 선취득한 psi를 사용하는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US9503714B2 (en) * 2014-12-29 2016-11-22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gramming disruption diagnost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4653A1 (en) * 2001-02-02 2002-12-05 Pierce Matthew D. Services based on position location using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20100284356A1 (en) * 2009-05-06 2010-11-1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on bundling of packet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40375823A1 (en) * 2013-06-21 2014-12-25 Zenith Electronics Llc Diagnostics system for remotely located televi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464B1 (ko) 2023-07-17
US20180332251A1 (en) 2018-11-15
GB2544488A (en) 2017-05-24
GB201520243D0 (en) 2015-12-30
GB2544488B (en) 2019-01-02
US10812750B2 (en) 2020-10-20
WO2017086587A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10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32442B2 (en) Acquiring cable channel map information in a cable receiver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US9137583B2 (en) Method for securing indirect return channel and mobil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CN103037251B (zh) 无线终端、系统和信息处理方法
KR102555464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59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1373762B (zh) 广播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JP5514839B2 (ja) スペクトルの利用可能なチャネルを使用したデータのローカルブロードキャスト
US11108481B2 (en) Over-the-air programming integration with over the top streaming services
US11671953B2 (en) Efficient channel scanning for media rendering device
KR2017011854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76823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예약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그 제어방법
US202300448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6671B2 (en) Providing promotion channel
US202203115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ying local channels with over-the-top services
JP2018029281A (ja) 放送受信装置、チャネル設定プログラム、及びチャネル設定方法
KR100774199B1 (ko) 자동 채널 검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82675A (ja) 車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7281749A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KR20030048971A (ko) 채널 탐색 방법
CN109525871A (zh) 获取广告码流的方法、机顶盒及存储介质
KR20070024283A (ko) 멀티미디어기기의 튜너를 이용한 fm 주파수 정보 제공방법
JP2009182923A (ja) 移動体デジタルテレビ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