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655A - 랜 멀티 탭 장치 - Google Patents

랜 멀티 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655A
KR20170057655A KR1020150161012A KR20150161012A KR20170057655A KR 20170057655 A KR20170057655 A KR 20170057655A KR 1020150161012 A KR1020150161012 A KR 1020150161012A KR 20150161012 A KR20150161012 A KR 20150161012A KR 20170057655 A KR20170057655 A KR 2017005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oe
plug
la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휘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휘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휘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6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655A/ko
Publication of KR2017005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연결된 PoE 입력 LAN선(20)의 타단의 플러그(20A)가 삽입 접속되는 제1소켓(16)과, 상기 제1소켓(16)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용 장치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4A)가 단부에 결합된 PoE 출력 LAN선(20) 및, 일단이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의 타단의 플러그(30A)가 삽입 접속되는 제2소켓(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소켓(16)의 1,2번선 쌍, 3,6번선 쌍, 4,5번선 쌍 및 7,8번선 쌍이 트위스트되어 PoE 출력 LAN선(14)에 연결되며, 상기 제1소켓(16)의 4,5번선 쌍과 7,8번선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위스트되어 제2소켓(12)의 각각 4,5번선 단자와 7,8번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랜 멀티 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랜 멀티 탭 장치 {Multi-tap apparatus for LAN}
본 발명은 이더넷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PoE(Power of Ethernet)의 랜선과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위한 장치에는 데이터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도록 하고 전원만 필요한 장치에는 전원라인이 접속되도록 하는 랜 멀티 탭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의 이더넷 스탠더드인 802.3의 af, at는 스위치나 허브를 통하여 DC 전원을 장치에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1999년 902.3의 소 그룹에서 시작하여 2003년 IEEE 802.3af라는 규정이 제정되었다. 이를 PoE(Power of Ethernet)라 칭하고 있다.
IEEE 802.3af에서는 포트당 15.4W의 전력과 약 350mA의 전류를 제공하며, 스탠더드가 규정하는 공급전원의 출력 전압의 범위는 44V~57V이고, 장치에서 입력받는 입력 전압은 대략 37~57V이다.
IEEE 802.3af의 케이블링(cabling)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링 TIA규격의 CAT5/5e 24AWG UTP케이블을 사용한다. CAT5/5e 케이블을 통한 전력전달은 최대 100m로 규정되었고, CAT5/5e 케이블 특성상 약 20Ω의 저항을 가지므로 드롭 전압(drop voltage)는 약 7V이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입력전압 범위가 37~57V를 갖게 된다.
여기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이더넷의 예비(reserved)로 남겨진 4번선과 5번선의 쌍과 7번선과 8번선의 쌍을 활용하여 DC전원을 제공한다. 각 제조사마다 상이한 쌍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DC전원의 (+)전원은 4번선과 5번선의 쌍을 사용하고 (-)전원은 7번선과 8번선의 쌍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었던 10/100Mbps 이더넷에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IEEE 802.3af보다는 그 이후에 제안된 IEEE 802.3at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2009년 신규로 추가된 IEEE 802.3at에서는 각 포트당 25.4W의 전력을 제공한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링 TIA규격의 CAT6/6e의 케이블을 사용하며, 이는 기존의 CAT5/5edml 케이블보다 적은 약 12.5Ω의 저항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공급전원의 출력 전압의 범위는 50V~57V이고 전류는 600mA이고, 장치에서 입력받는 입력 전압은 대략 42~57V의 범위가 된다.
이러한 PoE(Power of Ethernet)를 활용하면 IP전화, 웹캠, CCTV, 무선AP 장비 등의 장치에 데이터통신과 함께 전원공급을 동시에 하나의 LAN선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하나의 PoE(Power of Ethernet) LAN선에 하나의 장치만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용 장치와 전원공급용 장치를 결합하여 통신용 장치는 PoE LAN선을 통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전원공급용 장치는 동일한 PoE LAN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34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65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하나의 PoE(Power of Ethernet) LAN선에 통신용 장치와 전원공급용 장치를 연결하여 통신용 장치는 PoE LAN선을 통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전원공급용 장치는 동일한 PoE LAN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랜 멀티 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는, 일단이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연결된 PoE 입력 LAN선(20)의 타단의 플러그(20A)가 삽입 접속되는 제1소켓(16)과, 상기 제1소켓(16)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용 장치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4A)가 단부에 결합된 PoE 출력 LAN선(20) 및, 일단이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의 타단의 플러그(30A)가 삽입 접속되는 제2소켓(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소켓(16)의 1,2번선 쌍, 3,6번선 쌍, 4,5번선 쌍 및 7,8번선 쌍이 트위스트되어 PoE 출력 LAN선(14)에 연결되며, 상기 제1소켓(16)의 4,5번선 쌍과 7,8번선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위스트되어 제2소켓(12)의 각각 4,5번선 단자와 7,8번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소켓(16)(12)는 RJ45 규격의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20A)(14A)(30A)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용 장치는 IP폰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프린터이고, 상기 외부 전원장치는 스마트폰 충전장치 또는 LED 스탠드 또는 스피커 또는 전기방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사무환경 등에서 IP폰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프린터와 같은 외부 통신용 장치와, 스마트폰 충전장치 또는 LED 스탠드 또는 스피커 또는 전기방석과 같은 외부 전원장치를 하나의 PoE LAN선을 통하여 연결하여, 외부 통신 장치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전원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무환경 등에서 배선을 단순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내부 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선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외부에 제1소켓(16)와 제2소켓(12) 및 PoE출력 LAN선(1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소켓(16)에는 일단이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연결된 PoE 입력 LAN선(20)의 타단의 플러그(20A)가 삽입 접속되어, 본체(10)가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2소켓(16)에는 일단이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의 타단의 플러그(30A)가 삽입 접속되는 것으로, 플러그(30A)가 제2소켓(16)에 접속되면 그 외부 전원장치는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과 본체(10) 및 PoE입력 LAN선을 통해서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PoE(Power of Ethernet)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PoE 출력 LAN선(20)은 상기 제1소켓(16)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용 장치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4A)가 단부에 결합되어, 플러그(14A)가 외부 통신용 장치에 연결 접속되면 그 외부 통신용 장치는 PoE 출력 LAN선(20)과 본체(10) 및 PoE입력 LAN선을 통해서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멀티 탭 장치의 내부 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선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켓(16)의 1,2번 단자로부터의 1,2번선 쌍과, 상기 제1소켓(16)의 3,6번 단자로부터의 3,6번선 쌍과, 상기 제1소켓(16)의 4,5번 단자로부터의 4,5번선 쌍과, 상기 제1소켓(16)의 7,8번 단자로부터의 7,8번선 쌍이 각각 트위스트되어 PoE 출력 LAN선(20)의 플러그(14)의 플러그(14A)의 대응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켓(16)의 4,5번 단자로부터의 4,5번선 쌍과 7,8번 단자로부터의 7,8번선 쌍이 각각 전기적으로 분기되고 트위스트되어 제2소켓(12)의 4,5번선 단자와 7,8번선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소켓(16)(12)는 RJ45 규격의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20A)(14A)(30A)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외부 통신용 장치는 IP폰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프린터이고, 상기 외부 전원장치는 스마트폰 충전장치 또는 LED 스탠드 또는 스피커 또는 전기방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무환경 등에서 IP폰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프린터와 같은 외부 통신용 장치에 PoE출력 LAN선(14)의 플러그(14A)를 접속하고, 스마트폰 충전장치 또는 LED 스탠드 또는 스피커 또는 전기방석과 같은 외부 전원장치의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의 플러그(30A)를 제2소켓(12)에 삽입 연결하며, 또한 PoE입력 LAN선(20)의 플러그(20A)를 제1소켓(16)에 접속하면, 하나의 PoE LAN선(20)을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전원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무환경 등에서 배선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제2소켓
14 : PoE 출력 LAN선 14A : 플러그
16 : 제1소켓 20 : PoE 입력 LAN선
20A : 플러그 30 : 외부전원공급용 LAN선
30A : 플러그

Claims (3)

  1. 일단이 PoE(Power of Ethernet) 허브 또는 스위치에 연결된 PoE 입력 LAN선(20)의 타단의 플러그(20A)가 삽입 접속되는 제1소켓(16)과,
    상기 제1소켓(16)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용 장치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4A)가 단부에 결합된 PoE 출력 LAN선(20) 및,
    일단이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외부전원공급용 LAN선(30)의 타단의 플러그(30A)가 삽입 접속되는 제2소켓(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소켓(16)의 1,2번선 쌍, 3,6번선 쌍, 4,5번선 쌍 및 7,8번선 쌍이 트위스트되어 PoE 출력 LAN선(14)에 연결되며, 상기 제1소켓(16)의 4,5번선 쌍과 7,8번선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위스트되어 제2소켓(12)의 각각 4,5번선 단자와 7,8번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멀티 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켓(16)(12)는 RJ45 규격의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20A)(14A)(30A)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멀티 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용 장치는 IP폰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프린터이고, 상기 외부 전원장치는 스마트폰 충전장치 또는 LED 스탠드 또는 스피커 또는 전기방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멀티 탭 장치.
KR1020150161012A 2015-11-17 2015-11-17 랜 멀티 탭 장치 KR20170057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12A KR20170057655A (ko) 2015-11-17 2015-11-17 랜 멀티 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12A KR20170057655A (ko) 2015-11-17 2015-11-17 랜 멀티 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55A true KR20170057655A (ko) 2017-05-25

Family

ID=5905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012A KR20170057655A (ko) 2015-11-17 2015-11-17 랜 멀티 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4922B2 (en) Power-over-ethernet relay system, power injector and access bridge device
US2014017213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with led lights using modified power-over-ethernet
CN200959605Y (zh) 电连接器接口电路
CN110289972B (zh) 一种基于以太网的网络设备及网络系统
WO2014130848A1 (en) Network system for configurable delivery of combined power and data signals over twisted pair wiring
TWM305929U (en) Electrical connector interface circuit
US20070110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power and data over a single cable
CN103779972A (zh) 一种简易可靠的以太网供电装置
CN204967852U (zh) 路由器
EP2429153A1 (en) System for providing data and telephony services
CN204425367U (zh) 一种以太网供电分离器
US20150295732A1 (en) Ethernet powered device
US20210104889A1 (en) Hot swapping protection device for power over ethernet and method thereof
CN201898248U (zh) 一种实现网络供电设备端口互联的装置及系统
WO2015119623A2 (en) Power sourcing equipment
KR20170057655A (ko) 랜 멀티 탭 장치
TWI623204B (zh) 乙太網受電端電路及具有其之rj45連接器
CN111213341B (zh) 以太网供电适配器
JP5984223B2 (ja) 供給電力増幅装置及び供給電力増幅システム
US9548608B2 (en) Gas tube impulse protection
CN210351199U (zh) Poe的自适应供电装置
CN109039659B (zh) G.fast反向供电系统以及局端设备
CN208143218U (zh) 一种只插电就实现网线数据通信的设备及配对设备
CN202610294U (zh) 一种用于罩式退火炉工艺的控制系统
US20180159336A1 (en) Power Supply System Cooperable With Powered Network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