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256A - 비디오 피커 - Google Patents

비디오 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256A
KR20170057256A KR1020177006637A KR20177006637A KR20170057256A KR 20170057256 A KR20170057256 A KR 20170057256A KR 1020177006637 A KR1020177006637 A KR 1020177006637A KR 20177006637 A KR20177006637 A KR 20177006637A KR 20170057256 A KR20170057256 A KR 20170057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user
recorded
indic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이 피콕
다니엘 제임스 체스트니
스티브 제임스 피어스
에이미 지연 김
소라미스트 친타나마너스
안토니오 페드로 퍼남부코 레젠데
스테파니 메리 맥니
엘다 에이 마르코프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5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04L51/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04L51/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 장치에서 제1 비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제1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상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디오 피커{VIDEO PICKER}
사용자들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적인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존재한다. 예들로는 IM(instant messaging, 인스턴트 메시징) 채팅 서비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전화) 서비스, 그림 메시징 서비스,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 및/또는 음성 메시징 서비스가 있다. IM 채팅 대화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화에 참여한 한 명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텍스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VoIP 대화(통화)에서 사용자는 대화내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라이브 음성 및/또는 비디오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그림 메시징 대화에서 사용자는 대화내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스틸 이미지를 보낼 수 있는 반면 비디오 메시징 대화에서 사용자는 비디오 클립을 보낼 수 있고, 음성 메시징 대화에서 사용자는 (라이브가 아닌) 음성 클립을 남길 수 있다.
VoIP 통신은 진화를 계속하고 있고 당사자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통화 당사자가 서로를 볼 수 있는 비디오 요소를 포함하는 VoIP 통화는 친밀하고 바람직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VoIP 통신은 많은 사용자들이 VoIP 통신에 관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장벽을 계속적으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VoIP를 사용한 비디오 통신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 본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비디오 통신을 가지기 위해 비디오 통신의 양 당사자는 동시에 같은 라인에 있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다양한 시간대를 걸쳐있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VoIP를 사용한 비디오 통신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대역폭의 네트워크 접속을 사용하는 고급의 컴퓨팅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화상 통화를 연결하고 일정시간 통화를 유지하는 데 여전히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비디오 기반 통신을 유일한 방식으로 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에서 또는 사용자가 비디오 기반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비디오 메시지를 수신하였거나 화상 통화에 응답할 수 없었고 비디오 기반 응답으로 답하는 것을 희망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상황 또는 환경에서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하여 응답하는데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상황 또는 환경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공장소, 미팅, 소음이 많은 환경, 대중 교통, 또는 조명레벨이 낮고 현재 비디오 캡처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에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수신된 비디오에 대해 인지(acknowledge), 응답 및/또는 코멘트를 전달하고자 하지만 비디오 메시지로 기록하기에 충분히 창의적인 것을 재빨리 생각해낼 수 없거나 고유한 새로운 비디오 메시지로서 기록하고 응답으로 보낼 충분히 흥미로운 주변 콘텐츠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통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메시지나 게시물에 대해 빠르게 인지하고 응답할 수 있는 가벼운 방법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스마일(smileys), 인사(bowing) 또는 별(star)과 같은 이모티콘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응답들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인지, 확인 및/또는 승인하는데 선택적이고 수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으로 그래픽적인 "미리 만들어진" 응답들이다. 이들은,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적용되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관련 대화를 여는 것에 의해 모든 메시지에 동등하게 적용되는 읽음 확인과는 다르다.
비디오 메시징에서 이모티콘(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기능하는 비디오 메시지를 가지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이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을 사용하는 개념이 적용되는 경우, 혼동을 피하기 위해 특정 비디오 메시지 수신자에게 미리 녹화된 비디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면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은 사용자가 실제로 집에 있는 주말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응답을 보내는 사람(또는 사용자)이 직장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개념의 단순화된 형태로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청구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제1 장치에서 제1 비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에 의존하여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비디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 및 상기 비디오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장치의 사용자에게는 비디오 기반 대화에서 가장 최근에 송신된 통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비디오가 "즉석에서(on the fly)" 녹화되지 않았다는 시각적 표시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혼란의 가능성은 그러한 시각적 표시를 사용하지 않은 방식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비디오 메시징에서 이모티콘(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기능하는 비디오 메시지를 가지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이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을 사용하는 개념이 적용되는 경우, 혼동을 피하기 위해 특정 비디오 메시지 수신자에게 미리 녹화된 비디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면 미리 녹화된 비디오 응답은 사용자가 실제로 집에 있는 주말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응답을 보내는 사람(또는 사용자)이 직장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것이다.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장치의 사용자에게는 비디오 기반 대화에서 가장 최근에 송신된 통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비디오가 "즉석에서(on the fly)" 녹화되지 않았다는 시각적 표시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혼란의 가능성은 그러한 시각적 표시를 사용하지 않은 방식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본 개시의 이해를 돕고 실시예가 어떻게 행해지는지 보여주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예시로서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착수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착수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비디오 메시지가 다수의 미리 기록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로부터 각각 선택되었는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다르게 표시되는 방식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의 특정한 응용례는 미리 기록된 메시지의 라이브러리가 스마일 얼굴(smiley-face), 화난 얼굴(angry-face), 웃는 얼굴(laughing-face), 우는 얼굴(crying-face) 등과 같은 기본 감정과 관련된 경우이다. 이들은 텍스트 기반 대화에서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방법, 즉 응답 사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전달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에 더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교시가 구현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보여준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인터넷 및/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실시예로 하는 통신 매체(101)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101)에 각각 접속하도록 동작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2)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또한 네트워크(101)에 접속된 서버(103)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버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사이트들에 있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서버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는 논리적 서버를 지칭한다. (즉, 서버(103)는 다수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로 분산되거나 아닐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2)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인터넷 또는 3GPP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모뎀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예로 하는 통신 매체(10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2) 중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01)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EEPROM(때로는 플래시 메모리라고도 함)과 같은 하나 이상의 내부 또는 외부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202), 즉,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나 헤드폰 소켓과 같은 오디오 출력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입력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102)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또한 포함할 것이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기(102)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102) 또는 서버(103)상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상보적인 인스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203)을 포함한다. (이 경우, 메시지들은 서버(103)을 통해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송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롯되고/비롯되거나 서버(103)로부터 비롯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비디오 메시지, 이를테면 송신 사용자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토킹 헤드(talking head)" 비디오 메시지 또는 송신 사용자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캡쳐된 장면을 공유하는 비디오 메시지를 남길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비디오 메시지가 가장 많은 저장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비디오 메시지는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애니메이션 및/또는 화면 공유 녹화가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수신기(201)를 통해 네트워크(101)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통신 매체)를 통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저장 장치(202)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설명을 위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기(102)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2)로 송신하는 수신(목적지) 사용자 단말기로서 고려될 것이다. 그러나 수신 사용자 단말기(102)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203)이 (예를 들어 동일한 대화의 일부로서) 네트워크(101)나 다른 그러한 통신 매체를 통해 송신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서버(103)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상보적인 인스턴스들에 다른 방향으로 메시지를 또한 송신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수신 메시징 어플리케이션(203)은 예를 들어 각각의 수신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같은 각각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메시지가 수신되어 현재 저장 장치(202)에 저장되어 있다는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는 예를 들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된 이후의 시간, 또는 송신 사용자 단말기상의 송신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생성 또는 송신 이후의 시간, 또는 서버에 의해 송신된 이후의 시간의 측면에서, 가장 오래된 순서에서부터 가장 최근의 순서와 같은 편리한 순서로 디스플레이의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징 어플리케이션(203)은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메시지 콘텐츠를 재생하고, 즉 스크린을 통해 비디오 메시지의 비디오를 재생하고/재상하거나 스피커나 헤드폰을 통해 비디오 메시지의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의 다른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의 표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대응되는 선택된 메시지의 콘텐츠를 재생한다.
실시예에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대화마다, 즉 주어진 대화의 현재 수신되고 저장된 메시지 모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함께 그룹지어지도록 메시지의 표시가 대화별로 그룹화되어, 메시지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나가 넘는 대화가 존재하는 경우 각 대화의 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내에서 각각의 상이한 그룹들로 함께 그룹화될 것이다.) 이것은 주어진 대화의 현재 수신되고 저장된 메시지 모두가 한 번에 디스플레이상에서 보여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든 표시들을 보기 위해 대화를 스크롤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대화의 개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 잘 이해된다. 대화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대화 ID(사용자가 ID를 알 필요는 없지만)로 정렬된 논리적인 콘텐츠 스레드이다. 대화의 첫 번째 메시지 다음에 이어지는 각 메시지는 해당 대화를 나타내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에 보내는 사용자가 입력한 것과 동일한 대화의 일부로 간주된다. 후속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대화의 이전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거나 관련이 있지만 잠재적으로 사용자는 완전히 관련 없는 메시지를 동일한 대화의 일부로 보낼 수 있다. 주어진 대화는 전형적으로 동일한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체와 관련되지만 사용자는 대화를 나갈 수 있고 새로운 사용자는(보통 한명 이상의 기존 사용자에게 허가를 얻어서만)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대화들이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프로세스(300)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301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비디오와,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한다. 302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비디오는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비디오와 표시 모두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제1 비디오가 즉 "스탁(stock)" 비디오 응답이라는 비디오 타입의 표시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 "스탁(stock)" 비디오라는 용어는 제3 자 콘텐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녹화한 콘텐츠 즉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비디오를 모두 커버하려는 의도이다.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 및 제1 비디오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비디오가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는 제1 비디오가 재생되기 전, 재생되는 동안 및/또는 재생된 후에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제1 비디오가 재생되는 전체 지속기간 동안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는 사용자가 표시를 보지 않을 가능성이 감소되므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잠재적 혼란을 덜어 준다.
제1 비디오는 전체 비디오 파일이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디오에 액세스 가능한 비디오 파일의 일부는 비디오 파일 위로 표시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서 완전히 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비디오와 표시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 비디오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는 다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통신의 적절한 프로토콜 계층에 삽입된 플래그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그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의 헤더(또는 몸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표시는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될 때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에서 제1 비디오를 선택하지 않은 때는 표시가 제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녹화 및 전송(stop-recording-and-send)" 명령을 사용하여 가장 즉시 녹화된 비디오를 특정 사용자/대화로 전달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그 보내진 비디오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표시와 함께 제공되지는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비디오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리 녹화된 비디오세트는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일부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아래에서 설명함).
이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1 비디오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1 비디오에 마스크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가 상기 일부의 생략에 의해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비디오는 더 큰 비디오 영역을 가지는 더 큰 비디오의 일부로서 수신되고 이 방법은 제1 장치에서 더 큰 비디오 영역의 일부를 생략하기 위해 마스크를 더 큰 비디오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비디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가 상기 일부의 생략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공된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 표시는 디스플레이된 제1 비디오의 경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1 비디오는 제1 비디오가 비롯되는 비디오 파일의 일부이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파일에 마스크가 적용될 때, 오직 제1 비디오만 나타난다. 마스크는 원형 마스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식별된 비디오에 원형 마스크를 적용하면 식별된 비디오의 모서리가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생략하게 된다. 대신, 원형 비디오 이미지가 재생된다. 원형 마스크는 다른 형태의 마스크보다, 재생되고 있는 제1 비디오에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의 관심을 더 효과적으로 집중시키므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할 때 특히 유용하다고 밝혀졌다.
마스크가 원형 마스크인 경우, 제1 비디오의 중심부 또는 제1 비디오에서 식별되는 대상에 마스크의 중심을 둘 수 있다. 대상은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디오의 중심부에 중심을 둔 원형 마스크를 제1 비디오에 적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제1 비디오는 제1 비디오의 대응하는 공간-중심점을 공간적으로 중심에 둔 원형을 갖는다.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제1 비디오에서 식별된 대상에 중심을 둔 원형 마스크를 제1 비디오에 적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제1 비디오는 식별된 대상의 대응하는 공간 중심점에 공간적으로 중심을 둔 원형의 모양을 갖는다. 이 식별된 대상은 (예를 들어, 비디오 내의 얼굴을 검출하는 것과 같은) 자동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식별된 대상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프로세스의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비디오가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한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는 복수의 비디오 자체에서 시각 효과 또는 변경을 렌더링하는 복수의 처리 도구(processing tools)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기반의 처리 절차는 그레이 스케일, 블루 스케일, 네거티브 등과 같은 특정 이미지 기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처리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앞서 제1 비디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비디오의 유형에 대한 결정, 즉, 미리 녹화된 스탁 응답인지 아니면 즉석에서 녹화된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데 이러한 이미지의 뷰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처리 도구의 유형이다.
통신 기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비디오 상에서 표시가 사용자에게 어떻게 디스플레이되는지를 맞춤화할 수 있게하는 구성 가능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특정 표시 유형의 사용은 사용자가 그것을 수정할 기회 없이 통신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는 제1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을 때, 제1 비디오와 함께만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의 대화는 이러한 "스탁" 비디오의 혼합 및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 중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지 않은 비디오를 포함할 때, 제1 단말기의 사용자는 스탁 비디오가 수신될 때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그러한 데이터가 "스탁"인지를 깨달을 수 있으므로 "스탁" 비디오를 보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보다 현실적인 쌍방향 사용자 경험을 만든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또한 제2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 없이 제2 비디오를 수신 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1 사용자 단말기상의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제1 및 제2 비디오가 수신되는 순서로 디스플레이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대화에서 교환되는 비디오 메시지의 표현을 포함하는 대화 창에서 두 유형의 비디오 사이에는 구별이 없다. 이것은 사용자가 비디오 유형 중 하나(즉, 대화를 검토할 때부터 비롯된 것으로 표시된 것)를 건너뛸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비디오는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비디오 수신에 앞서,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서버 장치로부터 제1 비디오를 검색(retrieve)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식별자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먼저 수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비디오는 식별자를 먼저 전송하지 않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비디오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해 식별자를 사용하는 이점은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대역폭의 양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 각각은 단지 한번만 서버에 업로드될 필요가 있고 식별자는 비디오 전송만큼 큰 대역폭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 비디오는 상대적으로 적은 재생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재생 시간(즉, 정상 녹화 속도로)은 10초 미만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재생 시간은 실시간으로 5초 이하이다. 재생 시간이 짧다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메모리 부담을 덜어 준다.
통신은 또한 제1 비디오에 대한 텍스트 기반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기반 라벨은 제1 비디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설명하고, 제1 비디오에서의 대상을 식별하고/식별하거나 제1 비디오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디오는 화난 체하는 사람의 비디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비디오는 "화난"으로 라벨링될 수 있다. 텍스트 기반 라벨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비디오의 송신기에 의해 착수되는 프로세스가 또한 설명된다. 이는 도 4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 도면에서, 프로세스(4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는 401에서 시작한다. 이 입력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비디오의 사용자가 선택한 것을 나타낸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선택은 사용자 단말기에 액세스 가능한 미리 녹화된 비디오의 라이브러리나 카탈로그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는 온라인 소스 및/또는 로컬에 저장된 비디오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될 수 있다.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는 이후에 비디오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메시징 통신 기능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액세스할 수 있다.
402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의존하여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비디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403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비디오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되었다는 표시 및 비디오를 다른 장치로 전송한다.
비디오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을 명시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비디오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디오 파일의 식별자를 명시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즉 비디오 파일 자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비디오 파일 자체가 송신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폭을 줄이는데 유용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식별자는 클라우드와 같은 서버로부터 식별된 비디오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해 대응하는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가 해당 비디오를 선택하기 전에 비디오 파일에 있는 내용을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한 번에 하나의 비디오만 재생되게끔 비디오들이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비디오가 동시에 재생되게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든 비디오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스크린에 보이는 비디오들이 완전히 로딩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보일 때 그 비디오들 중 임의의 것이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preceding) 비디오 파일의 재생 완료 여부에 관계 없이 이전 비디오 파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하나의 비디오 파일이 재생되기 시작하게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가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두 실시예 모두에서, 선택 단계 동안에 재생되는 임의의 비디오(들)가 수신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것 같은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가,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어질 때 해당 비디오에 원형 마스크를 적용하여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표시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경우, 해당 비디오의 송신기는 또한 선택 단계 동안 적용된 원형 마스크를 사용하여 해당 비디오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 단계 동안 사용자에게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아이콘이, 비디오가 수신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것 같은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가,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어질 때 해당 비디오에 원형 마스크를 적용하여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표시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경우, 해당 비디오의 송신기는 또한 선택 단계 동안 적용된 원형 마스크를 사용하여 해당 비디오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들은 사용자가 수신기 사용자가 볼 가능성이 있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하므로 선택 프로세스가 수월해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일한 통신 환경 내로부터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1 비디오를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해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떠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4와 관련된 위에서 언급한 단계들은 모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환경 내에서 수행된다. 더욱이, 비디오 기반 대화에서 통신을 전송하고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도 4의 이러한 단계들에서 사용되고, 즉 도 3과 도 4와 관련된 위에서 언급한 단계들이 동일한 통신환경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와 관련된 임의의 오디오 데이터는 선택 단계 동안 재생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비디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에 집중하여 그가 무엇을 선택하고 있는지 정확히 결정하기가 더 쉽기 때문에 선택 스테이지를 좀 더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든다.
위에서 설명된 수신기 경우와 같이, 비디오는 텍스트 기반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위에서 설명한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외부의 소스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녹화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 어플리케이션 내로부터 발생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실행중인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그러한 명령의 수신 후에 통신 어플리케이션 내의 라이브러리로 임포트(import)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위의 수신기에서와 같이,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 각각은 실시간으로 10초 이하의 재생 시간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재생시간은 5초 이하이다.
위의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수신 사용자 단말기가 마스크를 적용(또는 이게 아니면 시각적 표시를 렌더링하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트를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표시는 수신된 제1 비디오에서 제1 비디오의 송신기로부터 이미 임베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는 수신 사용자 단말기가 프로세싱과 제1 비디오 및 표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렌더링될 수 있는 그래픽 능력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가지므로 수신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과 도 4와 관련되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각각은 각각의 단말기와 관련된 메모리에 상주하는 각각의 컴퓨터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그러한 컴퓨터 코드는 위에서 언급한 프로세스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 논리 회로), 또는 이들 구현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듈","기능","컴포넌트" 및 "로직"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소프트웨어 구현인 경우, 모듈, 기능, 또는 로직은 프로세서(예: CPU 또는 복수의 CPU) 상에서 실행될 때 지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된 기술의 특징은 플랫폼에 무관하며(platform-independent), 이 기술은 다양한 프로세서를 갖춘 다양한 상용 컴퓨팅 플랫폼상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로 하여금 프로세서 기능 블록과 기타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관련 하드웨어로 하여금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관련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관련 하드웨어가 변형되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명령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의해 다양한 다른 구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이러한 구성 중 하나는 신호 저장 매체(signal bearing medium)이며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과 같이 명령들을 (예를 들어 반송파로서) 컴퓨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 저장 매체가 아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RAM(random-access memory, 램), ROM(read-only memory, 롬),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메모리 및 명령들과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성, 광학 및 기타의 기술을 가지는 다른 저장 장치들을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이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들(acts)에 특유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또는 행위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과 행위들은 특허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된다.

Claims (15)

  1. 제1 장치에서 제1 비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제1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상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비디오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가 더 큰 비디오 영역을 가지는 더 큰 비디오의 일부로서 수신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더 큰 비디오 영역의 부분(portion)을 생략하도록 상기 더 큰 비디오 영역에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제1 비디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상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상기 표시는 디스플레이상의 상기 부분의 생략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더 큰 비디오 영역의 중심부 또는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비디오 파일에서 식별되는 대상에 중심이 놓인 원형 마스크인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상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상기 표시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제2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상기 표시는 상기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을 때 상기 비디오와만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비디오를 검색(retriev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와 상기 표시는 동일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8.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의존하여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비디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가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시 및 상기 비디오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에서 상기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를 사용자에게 한 번에 오직 하나의 비디오만 재생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에서 상기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다수의 비디오를 동시에 재생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비디오를 검색(retrieving)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 동안 상기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와 관련된 어떤 오디오 데이터도 재생되지 않는 것인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녹화된 비디오 세트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및/또는 상기 장치의 외부 소스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전송 단계가 모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환경 내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5. 프로세서 상에서 수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77006637A 2014-09-15 2015-09-14 비디오 피커 KR20170057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86,781 US9350943B2 (en) 2014-09-15 2014-09-15 Video picker
US14/486,781 2014-09-15
PCT/US2015/049875 WO2016044113A1 (en) 2014-09-15 2015-09-14 Video pic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256A true KR20170057256A (ko) 2017-05-24

Family

ID=5419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37A KR20170057256A (ko) 2014-09-15 2015-09-14 비디오 피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0943B2 (ko)
EP (1) EP3178225A1 (ko)
KR (1) KR20170057256A (ko)
CN (1) CN106797339A (ko)
WO (1) WO2016044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0731B1 (en) * 2016-03-28 2020-01-07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t with audio and video elements
US10630937B1 (en) * 2018-12-19 2020-04-21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ne or more of annotations and video prior to a video cal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5305B1 (en) * 1997-12-31 2002-05-07 At& T Corp. Video phone multimedia announcement message toolkit
US20030041333A1 (en) 2001-08-27 2003-02-27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and recording video calls
MXPA04007793A (es) 2002-02-11 2006-03-10 Beizhan Liu Sistema y proceso de video basado en la interaccion humano computadora en tiempo irreal.
US8576270B1 (en) 2004-10-08 2013-11-05 Glowpoint, Inc. Intelligent call management and redirection
US7813724B2 (en) 2006-03-17 2010-10-12 Comverse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to-video conversion to enhance real-time mobile video services
US7961212B2 (en) 2006-08-14 2011-06-14 Verizon Data Services Llc Video messaging system
US20080071875A1 (en) 2006-08-21 2008-03-20 Stephanie Koff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messaging
CN100589601C (zh) * 2007-03-13 2010-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mms业务的音频消息和视频消息业务实现方法
US20080259155A1 (en) 2007-04-20 2008-10-23 Mclelland Tom Online Video Operator Management System
US8175638B2 (en) * 2007-05-02 2012-05-08 Demand Media, Inc. Virtual video message answering machine platform
GB0712877D0 (en) 2007-07-03 2007-08-08 Skype Ltd Multimedia mood messages
US20090092234A1 (en) * 2007-10-05 2009-04-09 Apple Inc. Answering video chat requests
US8307029B2 (en) 2007-12-10 2012-11-0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delivery of messages
US8457661B2 (en) 2007-12-12 2013-06-04 Mogree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video message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1567945A (zh) 2008-04-21 2009-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信箱系统及应用
EP2332327A4 (en) 2008-10-06 2012-06-2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REATING AN ANSWER RECORDED IN ADVANCE
CN101552826B (zh) 2009-05-04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视电话业务自动答录的方法和装置
US20110319104A1 (en) 2010-02-04 2011-12-29 Christopher Guy Williams Telephone call handling system
CN102025964A (zh) * 2010-05-07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留言方法及终端
CN102281213A (zh) * 2011-08-31 2011-12-14 王胄 一种支持语音和视频消息的即时通信方法和系统
US9055021B2 (en) * 2012-11-30 2015-06-0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impressions of social media messages
CN103139049B (zh) * 2013-01-29 2015-09-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8225A1 (en) 2017-06-14
CN106797339A (zh) 2017-05-31
US9350943B2 (en) 2016-05-24
WO2016044113A1 (en) 2016-03-24
US20160080689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341B2 (en) Animated user identifiers
EP3105711B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in instant communication
CN110620720B (zh) 具有实时状态通知的语音通信
US8762459B2 (en) Selectable mode based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216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ag from a conversation i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US20090092234A1 (en) Answering video chat requests
JP2017526074A (ja) メッセージング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ユーザ表情ライブラリを生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738559B (zh) 投屏实现方法、装置及系统
US20150117513A1 (en) Bandwidth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10200338B2 (en) Integrating communication modes in persistent conversations
US10812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ercemoji
CN112738011B (zh) 投屏实现方法、装置及系统
JP2023550971A (ja) 動画共有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KR20170057256A (ko) 비디오 피커
US10263922B2 (en) Forming a group of users for a conversation
US95652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ending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 in a voice based networking website
KR20210015379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서버
WO201510468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synchronous video conversation
JP2024509837A (ja) 360ビデオ会議においてオクルードフリー領域をシグナ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517734A (ja) 360ビデオ会議におけるオクルージョンフリー領域のセッション記述プロトコル(sdp)信号化
KR101632662B1 (ko) 사운드콘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
US20170264651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17544599A (zh) 在虚拟会议中控制用户交互以启用选择性暂停的系统和方法
WO2016193940A1 (en) A system and method to share dynamic and static content with voice to the users
KR20160058464A (ko) 음성기반의 동영상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